KR200328793Y1 -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793Y1
KR200328793Y1 KR20-2003-0022436U KR20030022436U KR200328793Y1 KR 200328793 Y1 KR200328793 Y1 KR 200328793Y1 KR 20030022436 U KR20030022436 U KR 20030022436U KR 200328793 Y1 KR200328793 Y1 KR 200328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air
air bubble
connection portion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구
Original Assignee
김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구 filed Critical 김영구
Priority to KR20-2003-0022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7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족관 후면 유리 하단에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를 흡착시켜 수족관 내의 물과 외부 공기를 혼합시켜 수족관의 물 속에 부족한 산소를 공급시 용이하게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공기방울분출구가 형성되어 수족관 후면 유리 너비 전체에 공기방울을 분출시켜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수족관 크기에 따라 전체너비에 맞게 분출파이프를 추가로 연결 구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이다.

Description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 {Aquarium air drop gushing system}
본 고안은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에어호스를 거쳐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를 통해 수족관 내의 물과 혼합시켜 수족관의 물 속에 부족한 산소를 공급해 주므로서 용존산소율을 높이고, 부유물의 발생을 막아 물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방울이 수면위로 떠오르는 부력으로 수초를 가볍게 흔들리게 하여 생동감을 연출하고, 수족관 후면 유리면 너비전체에 공기방울이 떠올라 수족관 인테리어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무엇보다 용이하게 수평을 맞출 수 있어 일정한 간격으로 뚤려 있는 공기분출구()를 통해 공기가 고루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이다.
종래의 경우 무수히 많은 기포구멍이 형성된 석재를 이용하거나 상부가 망사로 구성된 스틱 형태의 공기분출기를 에어호수에 연결해서 수족관 내의 물과 공기를 혼합시켰는데, 수족관 내에 설치하는 과정에 있어 종래의 스틱 형태의 공기분출기를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모래를 파서 묻은 다음 다시 모래나 자갈을 덮어 설치하였는데, 약간이라도 수평이 유지되지 않으면 고루 공기가 분출되지 않고 한쪽으로 공기가 쏠려 분출되어 수평을 맞추는데 번거로움이 많았을 뿐 아니라, 수족관내 모래 속에 묻기 때문에 물고기의 배설물이나 부유물이 기포구멍을 막아 고루 공기가 분출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분출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수족관 후면 유리면 하단에 간단히 흡착시켜 수평유지가 용이하도록 흡착고무판을 형성하고, 수족관 너비 전체에 공기방울이 분출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공기방울분출구가 형성된 분출파이프를 수족관 크기에 따라 추가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수족관 후면 유리면 전체에 공기방울이 분출될 수 있도록 해서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를 제공코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10: 공기유입캡 20: 차단캡
30: 분출파이프 40: 추가분출파이프
50: 에어호스 60: 흡착고무판
70: 에어호스연결부 80: 수연결부
90: 암연결부 100: 공기방울분출구
본 고안의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는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유입캡(10)에는 에어호스(50)를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에어호수연결부(70)를 형성하고, 수족관 후면 유리면에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고무판(60)이 형성되었으며 분출파이프(3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수연결부(80)가 형성되었다.
분출파이프(3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공기방울분출구(100)가 형성되고, 암연결부(90)가 형성되어 공기유입캡(10)의 수연결부(80)와 결합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차단캡(20)에도 수족관 후면 유리면에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고무판(60)이 형성되고 암연결부(90)가 형성되어 분출파이프(30)의 수연결부(80)에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상기 구성 중에서 수연결부(80)의 외경과 암연결부(90)의 내경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며, 수족관 크기에 따라 너비전체에 공기방울이 분출될 수 있도록 분출파이프(30)에 추가분출파이프(4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는 투명하게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 중 미 설명된 부호 1은 수족관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공기유입캡(10)과 분출파이프(30), 차단캡(20)을 끼워 결합 구성된 상태에서 공기펌프에 연결된 에어호스(50)를 공기유입캡(10)의 에어호수연결부(70)에 끼우고 수족관 후면 유리 하단면에 공기유입캡(10)과 차단캡(20)에 형성된 흡착고무판(60)을 흡착시킨 상태에서 공기펌프를 작동시키게 되면 공기가 유입되면서 분출파이프(30)의 다수의 공기방울분출구(100)로 공기방울이 수족관 후면 유리면 너비전체로 분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평이 맞지 않으면 공기방울이 수족관 너비전체에 고루 분출되지 않는데, 어느 한쪽의 흡착고무판(60)을 상하로 이동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시켜 공기방울이 고루 분출되도록 하고, 모래나 자갈로 살짝 덮어 주면 간단히 설치되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공기방울 분출장치처럼 모래나 자갈 속에 묻어 수평을 맞춰야 하는 불편함 없이 수족관 후면 유리면 하단에 흡착고무판을 간단히 흡착시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여, 수족관 후면 유리면 전체에 공기방울을 고루 분출시켜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수족관 너비에 따라 분출파이프를 추가 연결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

Claims (1)

  1. 공기유입캡(10)에는 에어호스(50)를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에어호수연결부(70)를 형성하고, 수족관 후면 유리면에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고무판(60)이 형성되었으며 분출파이프(3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수연결부(80)가 형성되고, 분출파이프(3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공기방울분출구(100)가 형성되고, 암연결부(90)가 형성되어 공기유입캡(10)의 수연결부(80)와 결합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차단캡(20)에도 수족관 후면 유리면에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고무판(60)이 형성되고 암연결부(90)가 형성되어 분출파이프(30)의 수연결부(80)에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이다.
KR20-2003-0022436U 2003-07-11 2003-07-11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 KR200328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436U KR200328793Y1 (ko) 2003-07-11 2003-07-11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436U KR200328793Y1 (ko) 2003-07-11 2003-07-11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793Y1 true KR200328793Y1 (ko) 2003-10-01

Family

ID=4941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436U KR200328793Y1 (ko) 2003-07-11 2003-07-11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7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780B1 (ko) * 2009-07-09 2010-03-24 심윤경 자석부착식 에어스틱
KR101150540B1 (ko) 2010-04-05 2012-06-01 염영근 장식기능을 갖는 수중 기포발생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780B1 (ko) * 2009-07-09 2010-03-24 심윤경 자석부착식 에어스틱
KR101150540B1 (ko) 2010-04-05 2012-06-01 염영근 장식기능을 갖는 수중 기포발생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0746B (zh) 用于池塘或类似场所的表面抽吸器
US5571409A (en) Aquarium waterfall assembly
KR20110090665A (ko)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새우 양식 방법
JP5652758B2 (ja) ポンプエアレ−ション装置
US9586184B2 (en) Air-powered water circulation systems for ponds, lakes, municipal water tanks, and other bodies of water
KR200328793Y1 (ko) 수족관 공기방울 분출장치
US20060032797A1 (en) Aeration method of pool water and apparatus thereof
CN205874031U (zh) 漂浮式注气增氧净化机
JP2017074001A (ja) 水槽用滝模型
KR100973773B1 (ko) 수족관 정수장치
CN211170086U (zh) 一种漂浮式多层深水增氧机
KR20180098038A (ko) 녹조 제거장치
CN208434566U (zh) 曝气装置
CN103771601B (zh) 一种用于水处理的雾化曝气增氧装置
CN101112185A (zh) 管道输水式增氧设备
CN207446599U (zh) 一种浮动园林景观喷泉喷水装置
KR102466249B1 (ko) 수중 공기공급장치
GB2366526A (en) Pond aerator or oxygenator with entrainment of air using water pressure
CN214781045U (zh) 一种能够产生纳米气泡的太阳能涌泉曝气机
KR101227698B1 (ko) 이동용 수질정화장치
CN212787069U (zh) 景观水族箱的流沙瀑布发生装置
US20090206497A1 (en) Liquid waste aeration system and method
CN203683238U (zh) 一种用于水处理的雾化曝气增氧装置
KR20130138917A (ko) 살수 폭기기
CN216997877U (zh) 一种用于接触氧化池的生态富氧一体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