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089Y1 - 대추씨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대추씨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089Y1
KR200328089Y1 KR20-2003-0021898U KR20030021898U KR200328089Y1 KR 200328089 Y1 KR200328089 Y1 KR 200328089Y1 KR 20030021898 U KR20030021898 U KR 20030021898U KR 200328089 Y1 KR200328089 Y1 KR 200328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jube
seed
rotating disc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김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주 filed Critical 김봉주
Priority to KR20-2003-0021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0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0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stoning fruit
    • A23N4/08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stoning fruit for dates, olives or the like oblong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0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stoning fruit
    • A23N4/1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stoning fruit for fruit with very small pips, e.g. rais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1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coring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24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cut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6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수작업으로 대추씨를 넣고 기계식으로 자동적으로 대추씨를 제거하는 대추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주방향을 따라 대추삽입홀(30,32,34)이 규칙적으로 다수 관통되어 있는 회전원판(28); 상기 회전원판을 1회에 일정각도 씩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원판 회전부; 상기 대추삽입홀(30,32,34)에 넣어진 대추가 뒤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원판 배면의 일부 구간을 지지하는 받침판(10); 상기 받침판(10)이 없는 구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원판 뒤에서 기다란 천공핀(46)을 전진시킴으로써 대추의 중앙을 천공하여 상기 회전원판 전방으로 대추씨를 배출하기 위한 씨앗추출부 ; 상기 받침판이 없는 구간에 설치되며 상기 씨앗추출부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푸싱핀(48)을 전진시킴으로써 씨앗이 제거된 대출살을 상기 회전원판(28) 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대추살배출부를 포함하며, 작업대 위에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도록 케이스(4)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추씨 제거장치 {Apparatus for extruding the seed of jujube}
본 고안은 대추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작업으로 대추씨를 넣고 기계식으로 자동적으로 대추씨를 제거하는 대추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추는 음료수, 약재, 음식 등을 위한 재료로 폭넓게 사용된다. 길쭉하고 딱딱한 대추씨를 발려내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 내지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9954호는 수동으로 낱개씩 대추씨를 뽑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의하면 많은 양의 대추를 처리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57486호는 대량으로 대추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장치가 지나치게 커서 그의 용도에 제한이 따르며, 여러 가지 크기의 대추로부터 정확히 씨만을 추출해내기가 용이치 않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떡집 또는 약재 공급상과 같은 소규모 개인사업장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규모이며, 다양한 크기의 대추로부터 살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대추씨를 발릴 수 있는 대추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대추씨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대추씨 제거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회전원판을 포함하는 장치 전면 구성도이다.
도 4는 회전원판과 각 핀의 설치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핀을 지지하는 핀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탄성판의 배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A-A' 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7(b)은 도 6의 B-B' 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대추씨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회전원판의 동작 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추세팅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의 일부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대추씨 제거장치 4 ; 케이스
6 ; 손잡이 8 ; 베이스판
10 ; 받침판 12 ; 브래킷
14 ; 모터 18 ; 구동축
20 ; 구동캠 22 ; 종동축
24 ; 치형부재 26 ; 분할기어
28 ; 회전원판 30,32,34 ; 대추삽입홀
36 ; 가림판 38 ; 미끄럼판
40 ; 레일 42 ; 종동휠
44 ; 압축핀 46 ; 천공핀
48 ; 푸싱핀 50 ; 펀치지지대
52 ; 스프링 54 ; 탄성판
56 ; 씨앗유출공 56 ; 씨수용홈
60 ; 대추살유출공 62 ; 세팅핀
64 ; 세팅홀 66 ; 칼날
위와 같은 목적은, 대추 한알의 높이 정도에 해당되는 두께를 가지며, 원주방향을 따라 대추삽입홀이 규칙적으로 다수 관통되어 있는 대추삽입홀에 넣을 수 있도록 하는 회전원판; 상기 회전원판을 1회에 일정각도 씩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원판 회전부; 상기 대추삽입홀에 넣어진 대추가 뒤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원판 배면의 일부 구간을 지지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이 없는 구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원판 뒤에서 기다란 천공핀을 전진시킴으로써 압착된 대추의 중앙을 천공하여 상기 회전원판 전방으로 대추씨를 배출하기 위한 씨앗추출부 ; 상기 받침판이 없는 구간에 설치되며 상기 씨앗추출부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푸싱핀을 전진시킴으로써 씨앗이 제거된 대출살을 상기 회전원판 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대추살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씨 제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받침판이 없는 구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원판에 꼽힌 대추로 하여금 상기 대추삽입홀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상기 대추를 약간의 힘으로 압착하기 위한 대추세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회전원판은 수평면으로부터 작업이 용이하도록 소정 각도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씨앗추출부, 대추살배출부 및 대추세팅부는 하나의 원동력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대추씨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대추씨 제거장치는 탁상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 즉, PC 본체 정도의 크기로 제공되므로, 작업자는 장치 앞에 앉은 상태에서 작업에 임할 수 있게 된다. 케이스 전방에 회전원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전방에서의 작업이 편리하도록 수평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회전원판은 회전원판 회전부에 의해 1회에 일정 각도씩 회전하게 된다. 회전원판 전면 하부에는 가림판이 고정설치되며 이 가림판으로부터 씨앗과 대추살이 별개의 위치에서 동시에 배출된다. 배출되는 씨앗과 대추살을 분류하여 저장 내지 포장하기 위한 수단이 가림판의 정면에 설치될 것이며 이에 대한 도면은 생략되었다.
대략 위와 같은 동작을 구성하기 위한 세부장치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대추씨 제거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회전원판을 포함하는 장치 전면 구성도이다. 도 4는 회전원판과 각 핀의 설치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핀을 지지하는 핀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대추씨 제거장치(2)는 상면, 배면 및 전면이 도시된 것과 같이 경사진 케이스(4) 형태로 제공된다. 케이스의 바닥판 저면에는 다리가 설치되고 전방에는 손잡이(6)가 설치된다. 모든 장치가 케이스(4) 내에 비스듬히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판(8)의 위아래에 장착된다. 베이스판(8)의 직각방향으로 받침판(10)이 일체를 이루고 있다.
이하, 씨앗추출부 및 그 후단에 설치되는 대추살배출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씨앗추출부 전단에 설치되는 대추세팅부를 함께 설명한다. 이들은 모두 하나의 원동력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기동된다.
베이스판(8)에 고정된 브래킷(12) 상에 설치되는 모터(14)와 감속기(16)에 의해 구동축(18)이 저속 회전하게 된다. 베이스판(8)을 관통하는 구동축(18) 선단에는 구동캠(20)이 축결합된다.
종동축(22)이 받침판(10)과 브래킷(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양단 지지됨으로써 구동축(18)과 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종동축(22)은 구동축의 1회전에 의해 일정 각도씩 단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연속회전하는 구동축(18)의 회전력을 종동축(22)에 단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존의 다양한 수단이 선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축(18) 상에 하나의 치형부재(24)를 설치하고, 이 치형부재(24)와 치합되도록 종동축(22) 일단부에 직각방향으로 베벨기어와 유사한 형상의 분할기어(26)를 설치한다. 이로써, 구동축(18)이 1회전하면, 종동축(22)은 분할기어(26)의 1피치에 해당되는 각도만큼 단속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동축(22)의 1회 회전각은 30°이다.
받침판(10)을 관통하는 종동축(22)의 타단에는 회전원판(28)이 축결합된다. 회전원판(28)의 두께는 대추 한알의 높이 이상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원판을 관통하는 다수의 대추삽입홀(30,32,34)이 그의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대추삽입홀은 작은 직경의 것(30), 중간 직경의 것(32), 큰 직경의 것(34)이 삼각구도로 1조(組)를 형성하고 있으며, 1조의 대추삽입홀은 30°의 각도로 반복하여 형성된다. 그러므로 동일 직경의 대추삽입홀(30,32,34)은 회전원판에 대하여 각각 12개씩 형성된다. 이로써, 작업자는 각기 다른 크기의 대추를 그에 알맞은 대추삽입홀에 끼워 넣을 수 있게 된다.
받침판(10)은 회전원판(28) 전체 면적의 2/3 가량을 뒤에서 받치고 있으며, 가림판(36)은 회전원판의 앞쪽에서 받침판(1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나머지부분을 커버하고 있다.
한편, 베이스판(8) 저면에는 회전원판(28)의 직각방향으로 레일(40)이 설치되고, 이 레일(40) 상에 미끄럼판(38)이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미끄럼판(38)에는 구동캠(20)과 마찰접촉되도록 종동휠(42) 및 핀지지대(50)가 설치된다.
핀지지대(50)에는 회전원판(28)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각각 1조로 구성된 압축핀(44), 천공핀(46) 및 푸싱핀(48)이 고정된다. 각 핀(44,46,48)은 각각 3개가 1조가 되어 대추삽입홀과 대응되는 삼각구도로 설치된다(도 5 참조). 물론 각 핀은 그와 대응되는 대추삽입홀의 직경에 알맞아야 할 것이다. 즉, 1조를 이루는 각 핀은 작은 직경의 것, 중간 직경의 것, 큰 직경의 것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구동캠(20)이 미끄럼판(38)을 슬라이딩시킬 때, 각 핀은 동시에 회전원판의 각기 다른 대추삽입홀(30,32,34)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5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압축핀(44)은 대추를 압착함으로써 대추씨로 하여금 대추삽입홀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며(도 8(a) 참조), 천공핀(46)은 대추씨만을 회전원판의 전방으로 배출해내기 위한 것이며(도 8(b) 참조), 푸싱핀(48)은 씨발린 대추살을 회전원판의 전방으로 배출해내기 위한 것이다(도 8(c) 참조).
각 핀(44,46,48)은 위와 같은 각각의 용도에 맞게끔 특정의 형상을 가진다. 즉, 압축핀(44)의 앞면에는 대추씨의 뾰족한 부위가 일정깊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씨안착홈(44a,46a)이 패여 있다. 천공핀(46)과 푸싱핀(48)의 길이는 동일하며, 작동시 압축핀(44)은 대략 회전원판(28) 두께의 1/3 정도까지 인입된다.
직경이 다른 2단 구조를 가지는 천공핀(46)의 실질적인 부분의 직경은 대추씨(S)의 직경과 유사하며, 스프링(52)이 끼워져 있다. 이 스프링(52)은 천공핀(46)이 대추씨를 빼낸후 대추살은 그 위치(대추삽입홀)에 남긴 채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대추살을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탄성판의 배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A-A' 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7(b)은 도 6의 B-B' 방향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대추씨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회전원판의 동작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가림판(36)이 회전원판(28)의 일부 앞면, 특히 각 핀(44,46,48)과 반대되는 위치에, 케이스(4)에 고정 설치된다. 가림판(36)의 배면에는 탄성판(54)이 부착 고정된다. 압축핀(44)이 닿은 위치(P)에서부터 씨앗유출공(56)까지 원호 형태의 씨수용홈(58)이 패여 있다. 푸싱핀(48)이 위치되는 곳에는 3개의 대추살통과공(60)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측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성판 상부의 일부 구간에는 경사면(5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회전원판에 끼워진 대추가 그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가림판(36) 내지 탄성판(54)으로 진입될 때 무리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추살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된다. 즉, 도 7(a)와 도 8(b)를 참조하여 보면, 가림판의 씨앗유출공(36a)의 직경보다 탄성판의 씨앗통과공(56)의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즉, 탄성판의 씨앗유출공(56)의 직경을 일반 대추씨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한다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천공핀(46)의 가압시 대추씨(S)는 탄성판의 좁은 씨앗통과공(56)을 강제로 벌리면서 회전원판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에 의해 대추살(F)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대추세팅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의 일부 정면도이다.
상기 탄성판(54)의 대추살통과공에 칼날(66)이 설치됨으로써, 배출되는 대추살이 길이방향으로 잘린 상태로 상기 회전원판(28)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한다.
도 7(b) 내지 도 8(c)과 같이 가림판(36)의 대추살유출공(36b)과 탄성판(54)의 대추살통과공(60)의 직경은 회전원판의 대추삽입홀(30,32,34)과 동일하게 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탄성판(54)의 대추살유출공에 칼날(66)을 설치할 수 있다. 칼날(66)을 도시된 바와 같이 십(十)자 형태로 함으로써, 대추살은 길이방향으로 4등분되어 회전원판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칼날(66)은 작업자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설치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칼날(66)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대추살이 3등분 내지는 5등분 이상으로 잘린 상태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칼날(66)은 탄성판이 아닌 가림판의 대추살유출공(36b)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각 핀(44,46,48)과 각 대추삽입홀(30,32,34)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대추세팅부가 강구되고 있다. 즉,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지지대(50) 상에 핀과 유사한 방식으로 세팅핀(62)이 설치된다. 세팅핀(62)은 어느 핀(44,46,48)보다도 길게 되어 있으며, 선단은 뾰족하게 테이퍼되어 있다. 가림판(36)과 탄성판(54)에는 세팅핀(62)과 대응되는 동일한 위치에 세팅홀(36c,64)이 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핀지지대(50)가 전진하게 되면, 회전원판(28)이 약간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아니하여도, 세팅핀(62)은 세팅홀(64)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인입되는 중에 회전원판(28)을정확하게 세팅하여 핀(44,46,48)으로 하여금 제위치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러 가지 기계적 수단에 의해 회전원판(28)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각 핀을 정확하게 동작시키는 동작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 설명된 사항은 그의 일례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당업자는 단순한 설계 변경을 통하여 다양한 구성의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소규모의 사업장에서 빠른 속도로 편리하게 대추씨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다양한 크기의 대추로부터 대추살의 낭비를 최소화하며 정확히 추출해낼 수 있는 대추씨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대추 한알의 높이 정도에 해당되는 두께를 가지며, 원주방향을 따라 대추삽입홀(30,32,34)이 규칙적으로 다수 관통되어 있는 회전원판(28); 상기 회전원판을 1회에 일정각도 씩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원판 회전부; 상기 대추삽입홀(30,32,34)에 넣어진 대추가 뒤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원판 배면의 일부 구간을 지지하는 받침판(10); 상기 받침판(10)이 없는 구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원판 뒤에서 기다란 천공핀(46)을 전진시킴으로써 대추의 중앙을 천공하여 상기 회전원판 전방으로 대추씨를 배출하기 위한 씨앗추출부 ; 상기 받침판이 없는 구간에 설치되며 상기 씨앗추출부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푸싱핀(48)을 전진시킴으로써 씨앗이 제거된 대출살을 상기 회전원판(28) 전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대추살배출부를 포함하며, 작업대 위에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도록 케이스(4)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씨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추출부 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압축핀(44)으로써 상기 회전원판(28)에 꼽힌 대추로 하여금 상기 대추삽입홀(30,32,34)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상기 대추를 약간의 힘으로 압착하기 위한 대추세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씨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추출부 및 대추살배출부는, 상기 회전원판 배면에서 그에 직각방향으로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핀지지대(50); 상기 핀지지대에 각각 직립하여 설치되는 천공핀(46)과 푸싱핀(48); 및 상기 회전원판 전면에 설치되며, 씨앗유출공(36a) 및 대추살유출공(36b)이 형성되는 가림판(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씨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의 배면에는 대추살통과공(60) 및 일반적인 대추씨의 직경보다 작은 씨앗통과공(56)이 형성된 탄성판(54)이 더 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천공핀(46)으로써 대추씨를 추출시 상기 대추씨가 상기 씨앗통과공(56)을 확장하면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씨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54)의 대추살통과공에 칼날(66)이 설치됨으로써, 배출되는 대추살이 길이방향으로 잘린 상태로 상기 회전원판(28)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씨 제거장치.
KR20-2003-0021898U 2003-07-08 2003-07-08 대추씨 제거장치 KR200328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898U KR200328089Y1 (ko) 2003-07-08 2003-07-08 대추씨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898U KR200328089Y1 (ko) 2003-07-08 2003-07-08 대추씨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089Y1 true KR200328089Y1 (ko) 2003-09-26

Family

ID=4941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898U KR200328089Y1 (ko) 2003-07-08 2003-07-08 대추씨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0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163B1 (ko) * 2005-11-23 2007-04-2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게 가공부산물을 이용한 천연 게향 및 그 제조방법
KR101368643B1 (ko) 2011-12-21 2014-03-04 (주)명성 대추씨제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163B1 (ko) * 2005-11-23 2007-04-2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게 가공부산물을 이용한 천연 게향 및 그 제조방법
KR101368643B1 (ko) 2011-12-21 2014-03-04 (주)명성 대추씨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1682A (en) Peeling machine
US5337480A (en) Subdividing device
EP1368162B1 (en) Cutting device for fruits and vegetables, preferably onion
US6813997B1 (en) Fruit and vegetable processor
US5557998A (en) Bagel coring apparatus
US201000318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rinds from a food item
KR200328089Y1 (ko) 대추씨 제거장치
US3888000A (en) Fruit and vegetable cutting devices
CN1668425A (zh) 食品切割装置
CN211193997U (zh) 铁皮石斛去根装置
CN101229020A (zh) 往复刀片食物和圆周驱动刀片食物制备用具
KR100669212B1 (ko) 다수의 수직형 해머를 갖는 마늘 다지기용 푸드 쵸퍼
CN203622474U (zh) 樱桃草莓切割器
JP3965503B2 (ja) 切粉受けカバー体を備えた穿孔具
JP5793789B2 (ja) ウニ割り装置及びウニ割り方法
KR200380635Y1 (ko) 다수의 수직형 해머를 갖는 마늘 다지기용 푸드 쵸퍼
WO2006098647A1 (en) Cutter head with fast knife replacement system
JP2005066751A (ja) 野菜切截機
CN216031036U (zh) 一种便携式土家酱香饼切割器
CN217090297U (zh) 一种自动回收共轴多刀头削皮器
JPH02124080A (ja) 果実類の処理装置
CN212919746U (zh) 一种木材加工厂用木制矩形条自动打孔机
CN210500425U (zh) 可提升操作稳定性的裁切装置
JP7427260B2 (ja) 種子除去装置、及び種子除去方法
JPS63387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