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611Y1 -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 Google Patents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611Y1
KR200327611Y1 KR20-2003-0018679U KR20030018679U KR200327611Y1 KR 200327611 Y1 KR200327611 Y1 KR 200327611Y1 KR 20030018679 U KR20030018679 U KR 20030018679U KR 200327611 Y1 KR200327611 Y1 KR 200327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huttlecock
wing
emitting member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 호 박
Original Assignee
주 호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호 박 filed Critical 주 호 박
Priority to KR20-2003-0018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6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63B67/193Shuttlecocks with all feathers made in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97Feathered missiles with special functions, e.g. light emission or sound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행하는 셔틀콕의 전·후 양 방향으로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셔틀콕은, 날개몸체(21A)와 원통형 결합관(21B)으로 이루어진 날개(21)와; 상기 날개의 결합관(21B)에 결합되며, 상면과 저면에 발광부재가 구비된 원판상의 인쇄회로기판(22A)과, 인쇄회로기판(22A)의 저면에 대향하여 직립한 한 쌍의 접속단자(22B)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2A)의 저면 두 곳으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되며 하단부에 주 발광부재(L1)가 연결된 와이어 브라케트(22C)로 이루어진 발광장치(22)와; 상기 날개의 결합관(21B)이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되며, 빛을 투과시키는 탄성재질의 상향 개방형 헤드(23)로 구성되어 셔틀콕의 타격시에만 상기 발광부재가 셔틀콕의 전·후 양 방향으로 발광토록 한 구조이다.
본 고안의 셔틀콕은 타격에 의해서만 발광되기 때문에 건전지의 소모가 적으며, 셔틀콕을 치는 사람과 이를 받아치려고 하는 사람 모두가 셔틀콕의 움직임을 정확히 볼 수 있어 야간에도 주간과 같이 배드민턴을 효과적으로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The shuttlecock of emitting light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본 고안은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배드민턴 셔틀콕을 가격했을 때 셔틀콕의 헤드측과 날개측, 즉 셔틀콕 진행 방향의 전·후 양 방향으로 동시 발광되도록 하여 수비하는 사람과 셔틀콕을 가격한 사람 모두에게 셔틀콕의 이동 궤적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드민턴을 효율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고안된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에 관한 것이다.
배드민턴은 서로 마주한 사람 사이에서 상대측으로 공의 역할을 하는 셔틀콕(shuttlecock)을 라켓으로 쳐서 보내는 운동으로서, 그 운동에 필요로 되는 장소의 면적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장소에 대한 제약이 거의 없으며, 상대방과 신체를 부딪히는 일이 없으면서도 운동량이 많고 남녀노소에 관계 없이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운동으로 꼽히고 있는 바, 가족 단위로 운동하거나 가벼운 운동을 하는 장소에서 가장 널리 행해지고 있는 운동 중의 하나이며, 특히 북유럽과 동남아시아에서는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대중 스포츠이다.
상기와 같이 배드민턴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것은, 운동에 필요한 장비가 비싸지 않고, 고난도의 기술이 없이도 누구나 비교적 손쉽게 할 수 있으며,비가 오거나 강한 바람만 불지 않는다면 거의 장소에 관계 없이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배드민턴은 운동 중 상대방과의 신체 접촉이 발생되지 않고, 일정한 궤도를 그리며 날아다니는 셔틀콕을 쫓아다니면서 라켓으로 셔틀콕이 지면에 떨어지기 전에 신속히 쳐내야 하기 때문에 민첩성 및 집중력을 향상시키기에 매우 효과적인 운동이기도 하다.
상기와 같은 배드민턴을 하기 위해서는 라켓과 공의 역할을 하는 셔틀콕이 필요로 되는 바, 상기 셔틀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셔틀콕은, 새의 깃털을 반구상의 코르크에 꽂은 것으로 무게는 4.53∼5.50g, 코르크의 지름은 2.54∼2.87cm, 깃털의 수는 14∼16장, 깃털 끝에서 코르크대까지의 길이는 6.4∼7.0cm, 깃털 끝 부분에서의 직경이 5.8-6.8cm로서, 깃털 끝 부분에서 확경된, 전체적으로 원추형의 외형을 한다.
그러나, 근래에는 제조원가를 줄이기 위하여 경기용이 아닌 일반용의 경우에는 깃털 대신에 합성수지로 만든 인조 깃털을 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배드민턴 셔틀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깃털의 역할을 하는 합성수지 그물 망 형태의 날개(11)와, 날개(11)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상향 개방형의 반구형 탄성체로 이루어진 헤드(12)와, 날개(11)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된 헤드의 상단부 외주면을 견고히 조여주기 위한 밴드(13)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를 라켓으로 타격하게 된다.
근래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고 건강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면서 근래에는퇴근 후 집 근처의 실외에서 가족단위로 운동하는 일이 점차 많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함께 손쉽게 즐길 수 있는 배드민턴을 하고자 하나, 상기의 셔틀콕을 가격하는 배드민턴은 일반적인 거의 모든 운동과 같이 어둡지 않은 장소에서만 즐길수 있으며, 특히 크기가 작은 셔틀콕을 사용하기 때문에 야간에 하는 경우에는 밝은 조명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즉, 야간시 베드민턴을 할 경우 조명이 밝지 못하면 셔틀콕을 제대로 볼 수 없을 뿐 아니라, 어두운 곳에서 셔틀콕을 집중하여 보아야만 하기 때문에 성장기 청소년의 경우에는 시력이 떨어지게 될 수도 있다.
남녀노소 관계 없이 간편하게 널리 행해지는 운동임에도 불구하고 야간에 하고자 하는 경우 배드민턴이 가지고 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야간에도 잘 보일 수 있도록 발광장치를 결합시킨 매우 다양한 셔틀콕들이 개발되었는 바, 발광이 가능한 종래의 셔틀콕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3858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 등록고안에 개시되어 있는 셔틀콕들은 기본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헤드 내부에 발광 부재를 결합시킨 구조로서, 이러한 셔틀콕의 경우 날아오는 셔틀콕을 쳐내기 위하여 수비하는 사람은 헤드를 관통하여 발산되는 빛을 볼 수 있어 셔틀콕을 정확히 쳐낼 수 있으나, 셔틀콕을 가격한 사람은 날개에 의해 헤드가 가려지기 때문에 가격 직후 상대에게 날아가는 셔틀콕을 제대로 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헤드를 보고 셔틀콕을 가격하면, 헤드가 상대측으로 방향이 전환되기 때문에 헤드의 빛이 날개에 가려져 셔틀콕을 가격한 사람은 셔틀콕이 날아가는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게 됨으로써, 셔틀콕을 제대로 가격하였는지, 원하는 방향으로 보냈는지 등 셔틀콕을 친 후 셔틀콕의 이동궤적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어 다음의 가격 준비를 제대로 준비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9036호에는 날개와 헤드의 결합부 사이에 외측으로 드러나는 발광장치를 개재한 셔틀콕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이 셔틀콕의 경우 헤드 내부에 발광장치가 결합된 셔틀콕에 비하여 셔틀콕을 가격한 사람이 셔틀콕의 이동궤적을 잘 파악할 수 있게는 되나, 날개에 의해 발광부가 가려지는 근본적인 문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발광장치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외부 물체와의 직접적인 충돌에 의헤 발광장치의 손상이 초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충격스위치를 채용함으로써 셔틀콕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광되도록 한 셔틀콕이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충격스위치를 채용한 종래의 셔틀콕은 운송, 적재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상기 충격스위치가 작동하여 발광됨으로써 건전지가 너무 쉽게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발광이 가능한 종래의 셔틀콕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셔틀콕을 가격한 사람과 날아오는 셔틀콕을 보는 사람 모두에게 졍확한 셔틀콕의 위치를 알려주는 동시에, 운반이나 적재와 같이 배드민턴과 관계 없는 진동이나 충격에는 발광하지 않고, 배드민턴 운동시 셔틀콕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서만 일정 시간 동안만 발광이 가능하도록 하여 발광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셔틀콕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셔특콕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 셔틀콕을 보인 것으로,
(가)는 결합 구조도이고,
(나)는 분리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 셔틀콕을 구성하는 발광장치를 보인 것으로,
(가)는 정면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며,
(다)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 셔틀콕을 구성하는 발광장치의 개략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 발광장치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날개 12,23. 헤드
13. 밴드 22,22'. 발광장치
22A. 인쇄회로기판 22B. 접속단자
22C. 와이어 브라케트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충격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발광부재의 발광 시간과 단속적인 발광을 제어하는 점등제어 IC칩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은 날개 하단부에 구비된 헤드와의 결합관 내부에 발광장치가 삽입 결합된 구조로서, 빛을 통과시키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헤드 내부측에 위치하도록 주 발광부재가 상기 발광장치의 하부측으로 결합되고, 발광장치의 상면 상에 보조 발광부재가 결합되어 날개 밖에서 보조 발광부재를 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발광부재로는 LED가 사용되는 바, 주 발광부재의 빛은 헤드를 투과하기 때문에 고휘도 LED를 사용하고, 보조 발광부재의 빛은 직접 눈에 보이기 때문에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에스엠디(SMD)형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 스위치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헤드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 상기 충격 스위치가 작동하여 점등제어 IC칩을 통하여 두 발광부재에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발광시키되, 보조 발광부재의 경우에는 단속적으로 발광되도록 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야간에 배드민턴을 할 경우 본 고안 셔틀콕에 구비된 메인 스위치를 켠상태에서 라켓으로 헤드를 가격하게 되면, 그 충격에 의해 헤드가 상대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날가가면서 헤드 내부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점등되는 상기 주 발광부재의 빛을 상대측 사람이 볼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보조 발광부재가 단속적으로 일정 시간 동안 점등되면서 셔틀콕을 가격한 사람도 셔틀콕이 날아가는 궤적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때, 충격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두 발광부재의 각 점등 시간과 보조 발광부재의 단속적인 점등을 제어하는 상기 점등제어 IC칩 외에 사운드 IC칩을 인쇄회로기판에 함께 구비함으로써, 셔틀콕이 라켓에 가격되었을 때 상기 두 발광부재의 점등과 함께 적절한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본 고안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의 결합 및 분리 구조도를, 도 3에 발광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셔틀콕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날개몸체(21A)와, 날개몸체(21A)의 하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원통형 결합관(21B)으로 이루어진 날개(21)와; 상기 날개의 결합관(21B)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발광장치(22)와; 상기 날개의 결합관(21B)이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H)이 형성된 원통형 연결부(23A)와, 연결부(23A)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반구형의 외형과 내부 공간(V)이 형성된 타격부(23B)로 이루어지며, 빛을 투과시키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상향 개방형의 헤드(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관(21B)과 헤드(23)의 결합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관(21B)의 원호상 외주면을 따라 "ㄷ"자형 단면의 요홈(G)과 그 하단부에 삼각 단면의 단턱부(J)가 형성되며, 헤드의 연결부(23A)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G)에 형합되는 삽입돌기(E)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관(21B)을 헤드의 연결부(23A) 내부에 삽입 결합시키면, 헤드의 삽입돌기(E)가 결합관의 요홈(G)에 끼워져 형합되면서, 날개 결합관 하단부의 단턱부(J)가 헤드 연결부(23A)의 하단부에 걸려 인위적으로 잡아당기지 않으면 상기 날개의 결합관(21B)이 헤드의 연결부(23A)부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의 결합을 더욱 단단히 하기 위해서 결합관(21B)이 삽입된 헤드의 연결부(23A) 외주면을 별도의 밴드로 조여주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셔틀콕은 상기 발광장치(22)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바,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광장치(22)는, 상면에 메인 스위치(SM)와 1개 이상의 보조 발광부재(L2)가 저면에 충격 스위치(ST)가 각각 구비되며, 점등제어 IC칩이 장착된 원판상의 인쇄회로기판(22A)과; 건전지(B)와 접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2A)의 저면 양 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하향 직립한 한 쌍의 접속단자(22B)와; 두 접속단자(22B)를 잇는 선과 직교하는 선 상에 있는 인쇄회로기판(22A)의 저면 반대되는 두 곳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하향 연장되어 건전지(B)의 외주면 일부에 밀착되며 상기 두 접속단자(22B) 사이에 장착된 건전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그 하단부에 연결된 주 발광부재(L1)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 브라케트(22C)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광장치의 회로를 간략하게 보인 도 4에 의거하여 발광장치가 작동되는 방법을 살펴보면, 건전지(B)가 장착된 상태에서 메인 스위치(SM)를 닫으면 전원 인가 준비가 완료되나, 충격 스위치(ST)가 열린 상태이기 때문에 두 발광부재(L1)(L2)는 점등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점등제어 IC칩은 씨모스 로직(CMOS LOGIC)(CL)부와 펄스 전류 제어부(P)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와 같이 점등 대기 상태에서 셔틀콕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충격 스위치(ST)가 닫히면서 씨모스 로직(CL)부에 전원이 인가되어 주 발광부재(L1)가 일정 시간 동안 점등되는 동시에, 상기 씨모스 로직(CL)부로부터 펄스 전류 제어부(P)로 신호가 입력되어 보조 발광부재(L2)가 일정 시간 동안 단속적으로 점멸된다.
이때, 상기 두 발광부재의 점등 지속 시간은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으며, 보조 발광부재의 점등 단속 형태 역시 다양한 형태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발광장치에 IC칩이 내장되는 것은 셔틀콕의 작은 내부 공간에 발광장치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그 크기를 최소화하여야 하기 때문이며, IC칩에 의해 두 발광부재의 다양한 점등 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운드 IC칩을 부가적으로 장착하여 상기 씨모스 로직(CL)부에 연결시킴으로써, 셔틀콕 타격시 발광과 함께 음향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 셔틀콕과 달리 건전지를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상에 결합시킴으로써, 그 저면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도 있는 바, 본 고안 셔틀콕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 발광장치의 정면도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른 실시예 발광장치(22')는, 상면에 메인 스위치(SM)와 1개 이상의 보조 발광부재(L2)가, 저면에 주 발광부재(L1)와 충격 스위치(ST)가 각각 구비되며, 점등제어 IC칩이 장착된 원판상의 인쇄회로기판(22A)과;
발광부재의 전원이 되는 건전지(B)와 접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2A)의 상면 양 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상향 직립한 한 쌍의 접속단자(22B)로 구성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수단(도면 미도시)을 사용함으로써, 셔틀콕에 가해지는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기 건전지(B)가 접속단자(22B)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셔틀콕은 타격에 의해서만 발광되기때문에 건전지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발광부재가 셔틀콕의 길이 방향 양 측으로 각각 결합되어 셔틀콕을 치는 사람과 이를 받아치려고 하는 사람 모두가 셔틀콕의 움직임을 정확히 볼 수 있어 야간에도 주간과 같이 배드민턴을 효과적으로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날개와 헤드 및 발광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셔틀콕에 있어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날개몸체(21A)와 그 하단부에 하향 연장되며 원호상 외주면을 따라 "ㄷ"자형 단면의 요홈(G)과 요홈(G)의 하단부에 삼각 단면의 단턱부(J)가 형성된 원통형 결합관(21B)으로 이루어진 날개(21)와;
    상기 날개의 결합관(21B) 내부에 삽입 결합되며, 1개 이상의 보조 발광부재(L2)가 고정된 상면과 저면 일측에 메인 스위치(SM)와 충격 스위치(ST)가 각각 구비되고 점등제어 IC칩이 장착된 원판상의 인쇄회로기판(22A)과, 인쇄회로기판(22A)의 저면 양 측에서 대향하여 하향 직립한 한 쌍의 접속단자(22B)와, 상기 두 접속단자(22B)를 잇는 선과 직교하는 선 상에 있는 인쇄회로기판(22A)의 저면 반대되는 두 곳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하향 연장되어 건전지(B)의 외주면 일부에 각각 밀착되며 두 하단부 사이에 주 발광부재(L1)가 연결된 와이어 브라케트(22C)로 구성된 발광장치(22)와;
    상기 날개의 결합관(21B)이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H)이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상기 결합관의 요홈(G)에 형합되는 삽입돌기(E)가 구비된 원통형 연결부(23A)와, 연결부(23A)의 하단부로부터 반구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빛을 투과시키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상향 개방형의 타격부(23B)로 이루어진 헤드(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발광부재(L1)와 보조 발광부재(L2)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발광부재(L1)와 보조 발광부재(L2)는 각각 고휘도 LED 및 에스엠디형 LE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2A)에는 사운드 IC칩이 부가적으로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5. 날개와 헤드 및 발광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셔틀콕에 있어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날개몸체(21A)와 그 하단부에 하향 연장되며 원호상 외주면을 따라 "ㄷ"자형 단면의 요홈(G)과 요홈(G)의 하단부에 삼각 단면의 단턱부(J)가 형성된 원통형 결합관(21B)으로 이루어진 날개(21)와;
    상기 날개의 결합관(21B) 내부에 삽입 결합되며, 상면에 메인 스위치(SM)와1개 이상의 보조 발광부재(L2)가 구비되고 그 저면에 주 발광부재(L1)와 충격 스위치(ST)가 구비되며 점등제어 IC칩이 장착된 원판상의 인쇄회로기판(22A)과, 인쇄회로기판(22A)의 상면 양 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상향 직립하여 건전지(B)에 접속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22B)로 구성된 발광장치(22')와;
    상기 날개의 결합관(21B)이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H)이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상기 결합관의 요홈(G)에 형합되는 삽입돌기(E)가 구비된 원통형 연결부(23A)와, 연결부(23A)의 하단부로부터 반구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빛을 투과시키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상향 개방형의 타격부(23B)로 이루어진 헤드(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발광부재(L1)와 보조 발광부재(L2)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발광부재(L1)와 보조 발광부재(L2)는 각각 고휘도 LED 및 에스엠디형 LE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2A)에는 사운드 IC칩이 부가적으로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KR20-2003-0018679U 2003-06-13 2003-06-13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KR200327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679U KR200327611Y1 (ko) 2003-06-13 2003-06-13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679U KR200327611Y1 (ko) 2003-06-13 2003-06-13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611Y1 true KR200327611Y1 (ko) 2003-09-26

Family

ID=4941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679U KR200327611Y1 (ko) 2003-06-13 2003-06-13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6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4588B2 (en) Illuminated game-playing apparatuses and games
US7785215B2 (en) Golf ball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and a light source
US9079074B2 (en) Sports training device
US5868633A (en) Lighted novelty golf club with automated sound producing means
US6758773B1 (en) Flashing dart
KR200327611Y1 (ko) 양 방향 발광이 가능한 셔틀콕
US20170333761A1 (en) Touch activated lighted sports ball
KR200413532Y1 (ko) 발광 골프공
KR100953793B1 (ko) 셔틀콕용 엘이디 모듈의 장착구조
US6758767B1 (en) Equipment for croquet
CN201006246Y (zh) 一种电子发光、发声高尔夫球
CN202010399U (zh) 流光羽毛球
CN218923733U (zh) 一种发光羽毛球
WO2012176811A1 (ja) ゴルフティー
KR20070015352A (ko) 셔틀콕
KR200333610Y1 (ko) 발광기능을 갖는 셔틀콕
KR200413386Y1 (ko) 라켓
KR20040045260A (ko) 골프 자세 교정 장치가 장착된 골프 클럽
KR200362734Y1 (ko) 발광 제기
CN216418306U (zh) 羽毛球拍玩具
KR200303858Y1 (ko) 발광형 셔틀콕
KR200279054Y1 (ko) 셔틀 콕
CN209679445U (zh) 一种新型的发光羽毛球球托
CN218129867U (zh) 一种夜间使用可发光和发声的羽毛球
CN209809452U (zh) 一种发光羽毛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