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525Y1 -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 - Google Patents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525Y1
KR200327525Y1 KR20-2003-0015628U KR20030015628U KR200327525Y1 KR 200327525 Y1 KR200327525 Y1 KR 200327525Y1 KR 20030015628 U KR20030015628 U KR 20030015628U KR 200327525 Y1 KR200327525 Y1 KR 200327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ap
piston
content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복
Original Assignee
윤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복 filed Critical 윤영복
Priority to KR20-2003-0015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5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의 캡 펌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에 충진된 점도가 높은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장품 용기의 캡 펌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점도가 높은 화장품을 용기에 담아서 사용할 때에도 밸브에 내용물이 묻어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내용물의 수분에 의해 구성 부품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여 캡 펌프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저면에 다수의 관통공(1)이 형성되어 있는 제1밸브 시이트(2)가 형성되고 수분에 팽창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밸브 하우징(3)과, 상기한 제1밸브 시이트(2)에 밀착되어 이를 개폐하도록 형성되고 수분에 팽창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밸브(4)와, 상기한 밸브(4)를 가압하여 제1밸브 시이트(2)에 밀착시키도록 설치된 제1스프링(5)과, 상기한 제1스프링(5)의 상단이 밀착되도록 제2밸브 시이트(17)가 형성되고 밸브 하우징(3)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피스톤 역할을 하며 화장품 용기(51)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수분에 팽창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피스톤 수단과, 상기한 피스톤 수단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7)이 형성되고 상기한 밸브 하우징(3)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캡(8)과, 상기한 하우징 캡(8)이 삽입 고정되고 화장품 용기(51)에 결합되는 용기 캡(9)과, 상기한 피스톤 수단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를 손으로 가압하면 내용물이 분출되도록 구성된 누름캡(1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CAP VACUUM PUMP OF 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의 캡 펌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에 충진된 점도가 높은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장품 용기의 캡 펌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으로 구성된 리퀴드 화운데이션등과 같은 화장품은 일정량씩 덜어쓰기 편하도록 캡 펌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에 담아서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한 캡 펌프를 화장품 용기에 결합시킨 후, 이를 한번씩 누를 때마다 내용물이 일정량씩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액상 화장품을 편하게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화장품 용기와 캡 펌프가 결합된 상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퀴드 화운데이션등과 같은 내용물이 충진되고 상부에 캡 펌프 결합용 입구(50)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51)와, 상기한 용기(51)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승강체(52)와, 상기한 입구(50)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펌핑시마다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 캡 펌프(5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캡 펌프(53)는 용기(51) 내부의 내용물 및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는 않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승강체(52)가 내용물의 배출과 함께 상승하여 항상 일정 공간을 만들면서 내용물을 펌핑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화장품 용기(51)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캡 펌프(53)의 재질은 통상적으로 PE(폴리에틸렌)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캡 펌프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에 리퀴드 화운데이션등과 같은 액상 화장품을 넣고 사용하게 되면 상기한 내용물은 점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상기한 캡 펌프에 내용물이 묻어 펌핑 작용이 잘이루어지지 않고 펌프를 눌렀을 때 복귀 동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점도가 높은 내용물이 캡 펌프의 내부 특히 밸브에 들러 붙어 밸브가 개폐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밸브 작동이 불량하게 되고 상기한 캡 펌프의 복귀 동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캡 펌프를 이루는 구성 부품(PE)들이 화장품의 수분 때문에(점도가 높은 화장품) 부피가 팽창되어 각각의 이동, 개폐 작용에서의 마찰력이 커지게 됨으로써, 캡 펌프의 동작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점도가 높은 화장품을 용기에 담아서 사용할 때에도 밸브에 내용물이 묻어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내용물의 수분에 의해 구성 부품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여 캡 펌프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저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밸브 시이트가 형성되고 수분에 팽창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밸브 하우징과, 상기한 제1밸브 시이트에 밀착되어 이를 개폐하도록 형성되고 수분에 팽창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밸브와, 상기한 밸브를 가압하여 제1밸브 시이트에 밀착시키도록 설치된 제1스프링과, 상기한 제1스프링의 상단이 밀착되도록 제2밸브 시이트가 형성되고 밸브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피스톤 역할을 하며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수분에 팽창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피스톤 수단과, 상기한 피스톤 수단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밸브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캡과, 상기한 하우징 캡이 삽입 고정되고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용기 캡과, 상기한 피스톤 수단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를 손으로 가압하면 내용물이 분출되도록 구성된 누름캡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조립 단면도,
도3은 도2에서 제1밸브 시이트와 밸브를 도시한 확대도,
도4a는 도2에서 밸브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4b는 도3a에서 밸브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관통공 2: 제1밸브 시이트
3: 밸브 하우징 4: 밸브
5: 제1스프링 6: 제2밸브 시이트
7: 관통공 8: 하우징캡
9: 용기캡 10: 누름캡
11: 연통공 12: 밸브체
13: 끼움홈 14: 끼움 돌기
15: 밸브판 16: 볼 밸브
18: 피스톤 19: 제2스프링
20: 통기공 21: 피스톤 부재
22: 실링재 51: 용기
도1과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조립 단면도로서, 저면에 다수의 관통공(1)이 형성되어 있는 제1밸브 시이트(2)가 형성된 원통형의 밸브 하우징(3)과, 상기한 제1밸브 시이트(2)에 밀착되어 이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밸브(4)와, 상기한 밸브(4)를 가압하여 제1밸브 시이트(2)에 밀착시키도록 설치된 제1스프링(5)과, 상기한 제1스프링(5)의 상단이 밀착되도록 제2밸브 시이트(6)가 형성되고 밸브 하우징(3)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피스톤 역할을 하며 화장품 용기(51)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피스톤 수단과, 상기한 피스톤 수단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7)이 형성되고 상기한 밸브 하우징(3)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캡(8)과, 상기한 하우징 캡(8)이 삽입 고정되고 화장품 용기(51)에 결합되는 용기 캡(9)과, 상기한 피스톤 수단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를 손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누름캡(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밸브(4)는 제1스프링(5)의 하단이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변에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연통홈(11)이 형성된 밸브체(12)와, 밸브체(12)의 저면에 끼움홈(13) 및 끼움돌기(14)로 결합되고 밸브판(15)이 얇게 형성되어 상기한 제1밸브 시이트(2)의 관통공(1)을 개폐하는 볼밸브(16)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한 제1밸브 시이트(2)와 이와 접촉하는 볼밸브(16)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제1밸브 시이트(2)와 볼밸브(16)의 밸브판(15)이 만곡되어 있어 내용물이 유출될 때 보다 쉽게 밸브판(15)이 밸브 시이트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한 피스톤 수단은 상기한 제2밸브 시이트(6)가 하단에 형성되고 밸브 하우징(3)의 내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여 피스톤 역할을 하는 원통형의 피스톤(18)과, 상기한 피스톤(18)에 삽입되어 제2스프링(19)으로 지지되고 피스톤(18)의 하단으로 돌출되도록 눌리면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통기공(20)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누름캡(10)과 결합되어 이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피스톤 부재(21)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하우징 캡(8)과 용기 캡(9)의 사이 및 하우징 캡(8)과 화장품용기(51)의 사이에는 밀폐링(22)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밸브 하우징(3), 피스톤(18), 볼밸브(16)의 재질은 실리콘+MBR(부틸렌고무 )+VLDPE(초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한 초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에 따라 상기한 각각의 재질들이 서로 마찰될 때 마찰력이 감소하면서 밀폐는 견고하게 이루어지면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실리콘, 부틸렌고무, 초고밀도 폴리에틸렌등은 수분에 의한 부피 팽창율이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한 볼밸브(16) 및 피스톤(18)이 내용물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여 밸브 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볼밸브(16)의 끼움 돌기(14)를 밸브체(12)의 끼움공(13)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이를 밸브 하우징(3)에 삽입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밸브(4)가 제1밸브 시이트(2)에 밀착되어 이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제1스프링(5)을 밸브 하우징(3)에 투입하면 상기한 제1스프링(5)이 밸브체(12)의 상면을 압박하는 상태가 되면, 상기한 제1스프링(5)의 상단에 제2밸브 시이트(6)가 밀착되도록 피스톤(18)을 삽입한 후, 여기에 제2스프링(19), 피스톤 부재(21)를 삽입하고, 그 상면에 하우징 캡(8)을 결합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한 밸브 하우징(3)과 하우징 캡(8)의 사이에는 결합 돌기(미 도시)가 형성되어 상기한 밸브 하우징(3) 및 하우징 캡(8)의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3) 및 하우징 캡(8)이 결합되면 이를 다시 용기 캡(9)에 결합시키게 되고, 상기한 용기캡(9)을 용기(51)에 결합시키면서 상기한 용기캡(9)에서 돌출된 피스톤 부재(21)에 누름캡(10)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상기한 화장품 용기의 조립이 완료되는 바, 상기한 누름캡(10)을 누르게 되면 이와 연결된 피스톤 부재(21)가 눌리게 되면서 상기한 제2스프링(19)이 압축되고 일정 이상 압축되면 상기한 피스톤 부재(21)가 하향되면서 피스톤(18)의 하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한 피스톤 부재(21)에 형성된 통기공(20)이 개방되고 이 상태로 피스톤(18)이 압박되면서 제1스프링(5)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피스톤(18)이 하향된다.
피스톤(18)이 하향되면 밸브 하우징(3) 내부의 공기가 상기한 연통공(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원환하게 피스톤(18)이 하향되는 바, 이 상태에서 상기한 밸브(4)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 시이트(2)를 차폐하고 있게 되어 내용물이 밸브 하우징(3)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누름캡(10)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한 제1, 2스프링(5, 19)의 힘에 의해 상기한 누름캡(10), 피스톤(18)이 급격하게 상향되는 바, 이때 상기한 밸브 하우징(3) 내부의 공기가 팽창되면서 상기한 밸브(4)가 상향 만곡되고,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밸브 시이트(2)의 관통공(1)이 개방되면서 내용물이 흡입되어 밸브 하우징(3)에 충진된다.
특히, 상기한 제1밸브 시이트(2)와 밸브(4)가 소정 곡률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밸브(4)가 제1밸브 시이트(2)에서 이탈되는 것이 평면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되는바, 상기한 내용물이 제1밸브 시이트(2)의 관통공(1)을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게 된다.
밸브 하우징(3)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면 상기한 밸브(4)가 다시 닫히게 되는 바, 상기한 상태에서 내용물의 수분에 의해 피스톤(18), 밸브 하우징(3), 밸브(4)등이 팽창되지 않게 되어 최초 유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밸브 작동, 피스톤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밸브 하우징(3)에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다시 누름캡(10)을 누르게 되면, 상기한 피스톤 부재(21)가 먼저 제2스프링(19)을 압축시키면서 눌리게 되는 바, 상기한 피스톤 부재(21)의 통기공(20)을 통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고, 이와 같은 작용을 반복하면서 점도가 높은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화장품 내용물의 점도가 높아도 피스톤(18) 및 밸브(4)의 재질에 초고밀도 폴레에틸렌이 혼합 형성되어 수분에 의해 쉽게 팽창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한 피스톤(18)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고 따라서 점도가 높은 내용물의 배출시에도 용이한 펌핑 작동이 보장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점도가 높은 화장품 내용물을 화장품 용기에 충진시키고 용기 펌프로 이를 배출할 때, 내용물의 수분에 의해 펌프의 각 구성부품들이 팽창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제1밸브 시이트와 밸브를 만곡 형성함으로써, 점도가 높은 화장품 내용물의 펌핑 작용이 원활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저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밸브 시이트가 형성되고 수분에 팽창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밸브 하우징과, 상기한 제1밸브 시이트에 밀착되어 이를 개폐하도록 형성되고 수분에 팽창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밸브와, 상기한 밸브를 가압하여 제1밸브 시이트에 밀착시키도록 설치된 제1스프링과, 상기한 제1스프링의 상단이 밀착되도록 제2밸브 시이트가 형성되고 밸브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피스톤 역할을 하며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수분에 팽창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피스톤 수단과, 상기한 피스톤 수단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한 밸브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캡과, 상기한 하우징 캡이 삽입 고정되고 화장품 용기에 결합되는 용기 캡과, 상기한 피스톤 수단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를 손으로 가압하면 내용물이 분출되도록 구성된 누름캡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밸브는 제1스프링의 하단이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변에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연통홈이 형성된 밸브체와, 밸브체의 저면에 끼움홈 및 끼움돌기로 결합되고 밸브판이 얇게 형성되어 상기한 제1밸브 시이트의 관통공을 개폐하는 볼밸브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밸브 시이트와 이와 접촉하는 밸브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제1밸브 시이트와 볼밸브가 만곡되어 제1밸브 시이트에서 볼밸브가 쉽게 이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피스톤 수단은 상기한 제2밸브 시이트가 하단에 형성되고 밸브 하우징의 내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여 피스톤 역할을 하는 원통형의 피스톤과, 상기한 피스톤에 삽입되어 제2스프링으로 지지되고 피스톤의 하단으로 돌출되도록 눌리면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누름캡과 결합되어 이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피스톤 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밸브 하우징, 피스톤, 밸브의 재질은 실리콘, 부틸렌고무, 초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
KR20-2003-0015628U 2003-05-21 2003-05-21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 KR200327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628U KR200327525Y1 (ko) 2003-05-21 2003-05-21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628U KR200327525Y1 (ko) 2003-05-21 2003-05-21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525Y1 true KR200327525Y1 (ko) 2003-09-26

Family

ID=4941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628U KR200327525Y1 (ko) 2003-05-21 2003-05-21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5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028B1 (ko) 2019-11-30 2020-05-25 (주)누리팩 용액 조절 펌프 배출 캡
KR20220010241A (ko) 2020-07-17 2022-01-25 윤정원 펌프캡 투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028B1 (ko) 2019-11-30 2020-05-25 (주)누리팩 용액 조절 펌프 배출 캡
KR20220010241A (ko) 2020-07-17 2022-01-25 윤정원 펌프캡 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562324B (zh) 弹性部件及包括其的泵组件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038320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펌프
US7934626B2 (en) Airless dispensing pump container with an airtight push down type nozzle head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5965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
KR102116648B1 (ko) 펌프 용기
KR200457521Y1 (ko) 밀폐식 화장품용기
KR101907778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JPH04224283A (ja) 吸い込みポンプ用減圧装置
JP2022540555A (ja) ポンプアセンブリおよび内容物排出機能を有する容器
KR100942488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200327525Y1 (ko) 화장품용기의 캡 진공 펌프 구조
JP2019018917A (ja) ポンプ式液体密閉容器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KR200472346Y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장치
KR20200001048A (ko) 펌프 용기
KR200312903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KR102237203B1 (ko) 펌프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CN116963843A (zh) 泵组件
KR20028152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KR200187929Y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101320556B1 (ko) 화장품 용기
KR200166433Y1 (ko) 디스펜서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