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306Y1 - A block for building a house using loess - Google Patents

A block for building a house using lo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306Y1
KR200327306Y1 KR20-2003-0019771U KR20030019771U KR200327306Y1 KR 200327306 Y1 KR200327306 Y1 KR 200327306Y1 KR 20030019771 U KR20030019771 U KR 20030019771U KR 200327306 Y1 KR200327306 Y1 KR 200327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ocher
present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77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상현
Original Assignee
조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현 filed Critical 조상현
Priority to KR20-2003-0019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30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306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황토를 이용한 주택을 쉽게 건축함과 아울어 황토주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ocher house as well as easily construct a house using the ocher.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은 황토주택을 축조하는 데 사용하는 블록에 있어서, 개방된 상부와,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 상에 적층되는 다른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을 적층시키기 위해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적층 홈(170)과, 상기 적층 홈(170)에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 홈(122)과,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하면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적층 홈(170)에 삽입되는 적층 돌기(180)와, 상기 적층 돌기(180)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홈(122)에 삽입 가능한 다수의 제 1 체결 돌기(124)와,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120)의 내부에 타설되는 황토에서 수분을 배출 시키기 위한 다수의 관통 홀(128, 190)과, 상기 블록(120c, 125, 220, 320a, 320b)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인접한 다른 블록(120, 125, 220, 320a, 320b)과의 체결을 위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체결 돌기(140)와, 상기 제 2 체결 돌기(140)가 삽입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삽입 홈(130)과, 사용자가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을 쉽게 운반시키기 위해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상기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126)와,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내부 중앙부에서 상기 (120, 125,220, 320a, 320b)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자 형상의 지지바와,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 내부 하면에 형성되는 메쉬부(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used to build an ocher house, the open top and the other blocks (120, 125, stacked on the blocks 120, 125, 220, 320a, 320b) In order to stack the 220, 320a, and 320b, a stack groove 170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formed in the stack groove 170 ( 122, a stacking protrusion 180 formed at a bottom edge of 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and inserted into the stacking groove 170, and the stacking protrusion 180 is formed and the insertion groove.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rotrusions 124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122, and the side of the block (120, 125, 220, 320a, 320b) formed on the side and discharges the moisture from the loess which is placed inside the block 12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8 and 190 and other blocks 120, 125, 220, and 32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locks 120c, 125, 220, 320a, and 320b. at least on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0 formed for fastening with the a and 320b, an insertion groove 130 formed to be insertable in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0, and a user to the block 120 Handles 126 formed on the upper sides of 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to easily transport the 125, 220, 320a, and 320b, and the blocks 120, 125, 220, and 320a. And a “+” shaped support bar formed to cross the 120, 125, 220, 320a and 320b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to improve durability of the 320b. And a mesh unit 150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블록들(120, 125, 220, 320a, 320b)은 황토의 습도 및 온도의 조정력과 황토속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광물질로부터 발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살균 및 보전력을 주거용 주택에 활용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blocks 120, 125, 220, 320a, 320b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erilization and compensation of far infrared rays emitted and radiated from various minerals contained in the loess and humidity and temperature adjustment of the loess Electricity can be used in residential homes.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들(120, 125, 220, 320a, 320b)은 상기 블록들(120, 125, 220, 320a, 320b)의 내부에 에 황토를 타설하여 황토벽면(108)을 형성할 수 있어 황토벽면(108)의 형성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황토주택(100)의 황토벽면(108)을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들(120, 125, 220, 320a, 320b)로 형성하여 황토주택(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인접한 블록들(120, 125, 220, 320a, 320b)에 타설된 황토들간의 결속력으로 인해 황토주택(100)에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져도 황토벽면(108)이 쉽게 부서지지 않아 황토주택(1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 the ocher wall surface 108 by pouring loess into the inside of 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to form the ocher wall surface 108. In addition, the ocher wall surface 108 of the ocher housing 100 is formed of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ocher housing 100, and adjacent blocks. The ocher wall surface 108 is not easily broken even when an impact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ocher housing 100 from the outside due to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ochers placed in the fields 120, 125, 220, 320a and 320b. Can improve the safety.

Description

황토를 이용한 주택 건축용 블록{A BLOCK FOR BUILDING A HOUSE USING LOESS}Block for building a house using loess {A BLOCK FOR BUILDING A HOUSE USING LOESS}

본 고안은 주택 건축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를 이용한 주택을 쉽게 건축함과 아울어 황토주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building a h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ck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an ocher house as well as easily construct a house using ocher.

황토는 붉은색을 띈 점토로서 다량의 탄산칼숨(CaCO3)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화학조성으로는 실리카(Sio2) 60∼65%, 철분 5∼6%, 알루미나(AlO3) 8∼12%, 나트륨(Na) 10∼13%, 칼리 1.5%, 석회 8%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물조성으로는 석영 60∼70%, 장석과 운모 10∼20%, 탄산염광물 5∼3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d clay is red clay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carbon carbonate (CaCO 3 ). Chemical composition includes 60 to 65% of silica (Sio 2 ), 5 to 6% of iron, and 8 to 12 of alumina (AlO 3 ). %, Sodium (Na) 10-13%, Kali 1.5%, lime 8%, etc.The mineral composition consists of 60-70% quartz, feldspar and mica 10-20%, carbonate mineral 5-35% It is.

황토는 난방이나 냉방 등의 온도 조절능력이 뛰어나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황토는 습도조절 및 통풍이 뛰어나 분해력, 자정력, 흡수력이 뛰어나고, 황토에 함유된 광물질 자체에서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체에 해로운 미생물의 살균력과 멸균력이, 인체에 이로운 미생물에는 생명력이 각각 유지되게 하는 기능이 있어 인체에 유익한 약성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의 복원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이 많이 알려져 황토방(온돌, 싸우나), 식품의 보관용기, 침대 매트리스등의 여러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서는 주거를 위한 주택의 도료재와 벽돌과 같은 건축용 자재의 재료등으로 사용되고 있다.Ocher has excellent temperature control such as heating and cooling, so it can be cool in summer and warm in winter. In addition, ocher has excellent humidity control and ventilation, and has excellent decomposition, self-cleaning and absorption ability, and emits far-infrared rays from the minerals contained in the ocher, so that the microorganisms disinfecting and sterilizing are harmful and the vitality is maintained for the microorganism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It is known that it has a function to make a good effect on the human body as well as the weakness that i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and it is widely used in ocher rooms (ondol, fighting), food storage containers, bed mattresses, etc. For example, it is used as a paint material for housing and building materials such as brick.

도 1은 일반적인 황토를 이용하여 건축한 주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e built using general loess.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황토주택(1)은 주거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2)와,몸체(2)의 상측을 덮는 지붕(14)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general ocher house 1 includes a body 2 forming a residential space and a roof 14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body 2.

몸체(2)는 몸체(2)를 지지하는 바닥(4)과, 바닥(4)의 모서리 부분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황토주택(1)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6)와, 다수의 지지부(6) 사이에 형성되는 황토벽면(8)과, 황토벽면(8)에 형성되는 출입문(10) 및 창문(12)으로 구성된다.The body 2 has a bottom 4 for supporting the body 2, a plurality of supports 6 formed vertically at the corners of the bottom 4 to support the ocher housing 1, and a plurality of supports ( It is composed of the ocher wall surface 8 formed between the 6, the door 10 and the window 12 formed on the ocher wall surface (8).

지붕(14)은 몸체(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몸체(2)를 덮으며 우천시 빗물이 고이지 않게 하기위해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roof 14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2 to cover the body 2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rain water does not collect in the rai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ody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황토주택(1)의 몸체(2)를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4)의 모서리 부분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6) 사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벽면(8)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푸집 틀(16)을 이격되게 이중으로 배치한다. 각각의 거푸집 틀(16)은 철사 또는 와이어와 같은 조립수단(20)에 의해 조립된다. 이러한 거푸집 틀(16)이 조립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틀(8)의 사이에 황토가 채우지는 공간(22)이 형성된다. 이러한 거푸집 틀(8) 사이의 공간(22)에 일정량의 수분이 함유된 황토를 채워 수일간 양생하여 황토벽면(8)을 만들어 몸체(2)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2, in order to form the body 2 of the ocher housing 1,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6 formed vertically at the corners of the bottom 4, an ocher wall surface. In order to form (8), formwork molds 16 are arranged in duplicate and spaced apart. Each formwork 16 is assembled by means of assembling means 20, such as a wire or wire. When the formwork 16 is assembled, as shown in FIG. 3, a space 22 is formed in which the loess is filled between the formwork 8. Filling the loess containing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in the space (22) between the mold frame (8) to cure for several days to form the ocher wall surface (8) to form the body (2).

이렇게 형성된 몸체(2) 상에 도시되지 않은 판넬을 배치하고, 이 판넬 상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14)을 적층시켜 황토주택(1)을 건축한다.A panel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body 2 thus formed, and as illustrated in FIG. 1, the roof 14 is laminated to build the ocher housing 1.

주택에 황토를 사용하면 황토주택(1)에 미약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질 때 황토로 형성된 벽면(8)이 쉽게 부서지게 되어 벽면(8)을 지속적으로 보수를 해야하는 불편함과 아울러, 주택의 안전성에도 큰 문제가 있다.When the ocher is used in the house, the wall 8 formed of the ocher is easily broken when a slight shock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ocher house 1,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ontinuously repair the wall 8 and the safety of the house There is a big problem.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거푸집 틀(16) 사이에 형성된 공간(22)에 목재 또는 철재의 틀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황토벽면(8)의 강도를 높이거나, 황토로 만들어진 벽돌을 이용하여 황토벽면(8)을 형성한다. 거푸집 틀(16) 사이이 공간(22) 목재 또는 철재의 틀을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황토벽면(8)을 형성후 거푸집 틀(16)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그리고, 황토벽돌로 축조되는 주택은 황토벽돌을 축조하고 황토벽돌이 서로 붙어서 고정되도록 수분을 함유한 황토를 황토벽돌 사이에 도포하고 쌓아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황토가 굳지 않은 상태에서 한번에 여러단으로 쌓으면 수분을 함유한 황토에 의해서 축조된 황토벽돌들이 미끄러져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ood or steel frame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space 22 formed between the formwork frames 16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ocher wall surface 8, or the ocher wall surface 8 using bricks made of ocher. ). Space between the formwork 16 It is time-consuming and expensive to install a frame of wood or steel, and there is a need to remove the formwork 16 after forming the ocher wall surface 8. In addition, the houses built with ocher bricks need to apply and stack ocher containing moisture between the ocher bricks to build the ocher bricks and fix the ocher bricks to be fixed to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takes. In addition, when the loess is not hardened and stacked in several layers at once, the ocher bricks formed by the loess containing moisture are slipped and collaps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황토를 이용한 주택을 쉽게 건축함과 아울어 황토주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ocher house as well as easily building a house using the ocher.

도 1은 일반적인 황토를 이용하여 건축한 주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e built using general loes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ody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body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주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e using lo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으로 구성된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rame composed of block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나태내는 사시도이다.6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6B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c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들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6C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of block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d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들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D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of block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e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E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f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나타나낸 평면도이다.6F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lo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g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6G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loc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h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6H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loc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으로 구성된 프레임을 이용한 황토주택의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dy of the ocher housing using a frame composed of block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00 : 황토주택 2,102 : 몸체1,100: ocher housing 2,102: body

4,104 : 바닥 6,106 : 지지부4,104: Floor 6,106: Supporting part

8,108 : 황토벽면 10,110 : 출입문8,108 Ocher wall surface 10,110 Door

12,112 : 창문 14,114 : 지붕12,112: windows 14,114: roof

16 : 거푸집 틀 18 : 홀16: die frame 18: hole

20 : 조립수단 22 : 공간20: assembly means 22: space

120,220,320a,320b : 블록 122, 130 : 삽입 홈120, 220, 320a, 320b: blocks 122, 130: insertion groove

124 : 제 1 체결 돌기 126 : 손잡이124: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6: handle

128,190 : 관통 홀 132 : 상면128,190: through hole 132: upper surface

134 : 모서리 140 : 제 2 체결 돌기134: corner 140: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50 : 메쉬부 160 : 지지바150: mesh portion 160: support bar

170 : 적층 홈 180 : 적층 돌기170: lamination groove 180: lamination protrusion

192 : 안착 돌기192: settling protrus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은 황토주택을 축조하는 데 사용하는 블록에 있어서, 개방된 상부와, 상기 블록 상에 적층되는 다른 블록을 적층시키기 위해 상기 블록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적층 홈과, 상기 적층 홈에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 홈과, 상기 블록의 하면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적층 홈에 삽입되는 적층 돌기와, 상기 적층 돌기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홈에 삽입 가능한 다수의 제 1 체결 돌기와, 상기 블록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내부에 타설되는 황토에서 수분을 배출 시키기 위한 다수의 관통 홀과, 상기 블록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인접한 다른 블록과의 체결을 위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체결 돌기와, 상기 제 2 체결 돌기가 삽입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삽입 홈과, 사용자가 상기 블록을 쉽게 운반시키기 위해 상기 블록의 상기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블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블록의 내부 중앙부에서 상기 블록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자 형상의 지지바와, 상기 블록 내부 하면에 형성되는 메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used to build an ocher house, the upper edge of the block for stacking the open top and other blocks stacked on the block A stack groove formed in the stack groove, a plurality of insert grooves formed in the stack groove, a stack protrusion formed at a bottom edge of the block and inserted into the stack groove, and a plurality of stacking protrusions formed and insertable into the insert groove. 1 fastening protrus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ck and for discharging moisture from the loess which is placed inside the block, and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lock and formed for fastening with another adjacent block On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n insertion groove formed to be insertable 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nd a user easily moves the block. A handl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ck for transporting, a support bar having a “+” shape formed to cross the block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block to improve durability of the block, and a lower surface inside the bloc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sh portion formed in.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블록은 "ㅁ"자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ㅁ".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블록은 "ㄱ"자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b".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블록은 "D"자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D" shap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블록은 상기 관통 홀이 십자가("+")형 단면의 구조체가 상하 좌우로 연결된 메쉬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has a mesh structure in which a structure having a cross ("+") cross section is connected up, down, left and right.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블록의 상기 메쉬부에는 상기 블록의 측면으로 배출되는 황토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sh portion of th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rojection for seating the ocher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block is formed.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블록은 상기 블록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블록의 테두리 부분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block is thicker than the edge portion of the block.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황토를 이용한 주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e using lo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이용하여 건축된 황토주택(100)은 주거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02)와, 몸체(102)의 상측을 덮는 지붕(114)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ocher house 100 built using a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2 forming a living space and a roof 114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body 102. do.

몸체(102)는 몸체(102)를 지지하는 바닥(104)과, 바닥(104)의 모서리 부분에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황토주택(100)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106)와, 다수의 지지부(106) 사이에 형성되는 황토벽면(108)과, 황토벽면(108)에 형성되는 출입문(110) 및 창문(112)으로 구성된다.The body 102 has a bottom 104 supporting the body 102, a plurality of supports 106 formed vertically at the corners of the bottom 104 to support the ocher housing 100, and a plurality of supports ( It consists of the ocher wall surface 108 formed between the 106, the door 110 and the window 112 formed on the ocher wall surface 108.

지붕(114)은 몸체(10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몸체(102)를 덮으며 우천시 빗물이 고이지 않게 하기위해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roof 114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102 to cover the body 102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rain water does not collect in the rain.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으로 구성된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rame composed of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황토주택(100)의 몸체(102)는 바닥(104)의 모서리 부분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106) 사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벽면(108)을 형성하기 위한 도 6a 내지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블록들(120, 125, 220, 320a, 320b)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the body 102 of the ocher housing 100 includes an ocher wall surface 108, as shown in FIG. 4, between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06 formed vertically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bottom 104. A plurality of blocks 120, 125, 220, 320a, 320b, as shown in FIGS. 6A-6H for forming, are provided.

바닥(104)은 일반적인 주택 건축 공법으로 형성되며, 바닥(104)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소정의 깊이 및 넓이를 가지는 도시되지 않은 삽입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 홈에 블록(120)이 삽입된다. 또한, 바닥(104)의 모서리 부분에는 다수의 지지부(106)가 수직하게 형성된다.The floor 104 is formed by a general house construction method, and 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is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floor 104. The block 1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s 106 are vertically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bottom 104.

지지부(106)는 바닥(104)의 모서리 부분에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부(106)는 황토주택(100)을 지지함과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들(120,125,220,320a,320b)을 가이드 한다.Support portion 106 is bent in the shape of the "b"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bottom 104 is formed vertically, this support portion 106 supports the ocher housing 100, and in accordance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도 6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의 평면도이다.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plan view of a b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를 결부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6A and 6B, the structure of the block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은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의 몰드(Mold)물로 형성되며, 상부(132)가 개방된 육면체의 함 형태이고, 상면 테두리에는 블록(120)의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블록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소정 깊이의 적층 홈(170)이 형성되고, 적층 홈(170)에는 블록(120)의 하면에 형성된 적층 돌기(180)에 형성되는 제 1 체결 돌기(124)가 삽입 또는 체결되는 다수의 삽입 홈(122)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Block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durable plastic or metal mold (Mold), the upper portion 132 is an open hexahedral box shape, block 120 on the upper edge A stack groove 17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 fixing other blocks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ck is formed, and the stack groove 170 includes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stack protrusion 18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120.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22 into which the 124 is inserted or fastened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블록(120)의 하면 테두리에는 상기 적층 홈(170)에 삽입되는 적층 돌기(180)가 형성되고, 이 적층 돌기(180)에는 상기 삽입 홈(122)에 삽입 또는 체결되는 제 1 체결 돌기(124)가 형성된다. 제 1 체결 돌기(124)는 상기 삽입 홈(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bottom edge of the block 120 is formed with a stacking protrusion 180 inserted into the stacking groove 170, and the stacking protrusion 180 has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4 inserted or fastened to the inserting groove 122. ) Is formed.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122.

이러한 블록(120)은 블록(12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블록(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120)의 모서리(134) 부분이 테두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The block 120 is formed with a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of the edge 134 of the block 120 to prevent the block 120 from being damaged from the load applied to the block 120.

블록(120)의 측면에는 블록(120)의 내부에 타설되는 수분이 포함된 황토 중 일부 또는 수분이 블록(1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다수의 관통 홀(128)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 홀(128)을 통해서 황토에 포함된 일정량의 수분이 빠지게 되어 황토의 소성 시간이 줄어 들게된다. 이러한 관통 홀(128)은 원형 및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of the block 1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28 to allow a portion or moisture of the ocher containing the water poured into the block 120 to b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lock 120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128,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ocher is removed, thereby reducing the firing time of the ocher. The through hole 128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ircle and a polygon.

블록(120)의 일측면에는 그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어 다른 블록과의 체결을 위한 정면에서 바라본 모양이"Ⅰ"자 형태이고, 위에서 바라본 모양이 "T"자 형태의 제 2 체결 돌기(140)가 형성되고, 제 2 체결 돌기(140)가 형성된 일측면과 마주보는 타 측면에는 제 2 체결 돌기(140)와 대응되는 삽입 홈(130)이 형성된다. 또한, 블록(120)의 측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블록(120)의 운반을 용이토록 하기위한 손잡이(126)가 형성된다.One side of the block 120 is formed on its left or right side and the shape viewed from the front for fastening with another block is in the form of "I", and the shape viewed from above is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0 in the form of "T". ) Is formed, and an insertion groove 1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on which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0 is formed. In addition, a handle 126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ck 120 to facilitate the user to carry the block 120.

블록(120)의 내부 중간부분에는 블록(1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블록(12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12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자 형태의 지지바(160)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블록(120)의 내부에 타설되는 황토를 블록(120)의 하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메쉬부(150)가 형성된다. 이러한 메쉬부(150)를 통해 일정량의 수분이 빠지게 되어 블록(120) 내부에 타설되는 황토의 소성시간을 줄일 수 있다.An inner middle portion of the block 120 has a "+" shaped support that crosses the inside of the block 120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lock 120 and to prevent the shape of the block 120 from being deformed. Bar 160 is forme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mesh portion 150 for discharging the ocher to be placed inside the block 120 to the lower side of the block 120.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is removed through the mesh unit 150 to reduce the firing time of the loess which is poured into the block 120.

도 6c 및 도 6d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6C and 6D are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of block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c 및 도 6d를 결부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의 조립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6C and 6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block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은 제 1 블록(120a)의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 홈(130)에 제 2 블록(120b)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2 체결 돌기(140)가 삽입되어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 구조를 통해 제 1 블록(120a)과 제 2 블록(120b) 사이에 강한 결속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 1 블록(120a)과 제 2 블록(120b)의 조립을 반복하여 가로 방향으로 긴 블록(120)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블록(120) 조립체의 상측에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블록(120c)을 제 1 블록(120a) 및 제 2 블록(120b)과 일부가 중첩되도록 격자(지그재그) 형태로 쌓아 올린다. 이때, 제 1 블록(120a) 및 제 2 블록(120b)의 상측에 형성된 적층 홈(170)에 제 3 블록(120c)의 하면에 형성된 적층 돌기(180)가 삽입되고, 제 1 블록(120a) 및 제 2 블록(120b)의 적측 홈(170)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 홈(122)에 제 3 블록(130a)의 적층 돌기(180)에 형성된 다수의 제 1 체결 돌기(122)들이 삽입되어 제 1 내지 제 3 블록(120a 내지 120c)들이 강한 결속력을가지게 한다. 전술한, 다수의 블록(120a 내지 120c)들의 조립체를 반복 형성하여 황토벽면(108)의 프레임(틀)을 형성하고, 블록(120)의 내부에 황토를 타설하여 블록(120)의 내부를 황토로 채우게 된다. 이때 블록(12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홀(128)을 통해 블록(120)의 측면으로 배출되는 황토는 일반적인 미장방법으로 다수의 블록(120)의 전면에서 평탄화시켜 황토 벽면(108)을 형성한다.The block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0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lock 120b in the insertion groove 130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lock 120a. Inserted and assembled. This assembly structure has a strong bi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block 120a and the second block 120b. The assembly of the first block 120a and the second block 120b may be repeated to form the long block 120 assemb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6D, the third block 120c is formed in a lattice (zigzag) shape so that a part of the third block 120c overlaps with the first block 120a and the second block 120b. Stack up. At this time, the lamination protrusion 18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block 120c is inserted into the lamination groove 17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lock 120a and the second block 120b, and the first block 120a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rotrusions 122 formed in the stacking protrusions 180 of the third block 130a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22 formed in the red grooves 170 of the second block 120b. The first to third blocks 120a to 120c have a strong binding force. 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y of the plurality of blocks 120a to 120c is repeatedly formed to form a frame (frame) of the ocher wall surface 108, and the ocher is poured into the block 120 to ocher the interior of the block 120. Filled with. At this time, the ocher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block 120 through the through hole 128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ck 120 is flatten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blocks 120 in a general plastering method to form the ocher wall surface 108. .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홀(128)과 블록(120) 내부의 하면에 형성된 메쉬부(150)를 통해 블록(120)의 외부로 배출되는 황토들은 인접한 블록(120)에 타설되는 황토들과 결합하게 되어 블록(120)들 간의 결속력을 높이게 된다.The ocher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lock 120 through the through-hole 128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ck 120 and the mesh unit 1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is combined with the ochers placed in the adjacent block 120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blocks (120).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은 측면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blo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e b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sid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e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E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e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5)은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의 몰드(Mold)물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함 형태이고, 블록(125)의 측면에는 블록(125)의 내부에 타설되는 황토에 포함된 수분 중 일부가 블록(125)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관통 홀(190)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 홀(190)은 십자가(+)형 단면의 구조체가 상하좌우로 연결된 메쉬 구조를 갖는다. 황토에 포함된 일정량의 수분이 메쉬 구조의 관통 홀(190)을 통하여 블록(125)의 외부로 배출되어 황토의 소성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관통 홀(190)에는 블록(125)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소정량의 황토들이 안착되는다수의 안착 돌기(192)가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 홀(190)은 원형 및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E, the block 125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durable plastic or metal mold, and has an open hexahedron shape, and the block 125 is formed. Side of the through hole 190 is formed so that som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ocher being poured in the block 125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lock 125 to the outside. The through hole 190 has a mesh structure in which a structure having a cross (+) cross section is connected up, down, left and right.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och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lock 125 through the through-hole 190 of the mesh structure to reduce the firing time of the ocher. The through hole 19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ating protrusions 192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loes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lock 125 is seated. The through hole 19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ircle and a polygon.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5)의 하면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메쉬부(150)와 동일한 형상의 메쉬부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B,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125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hape as the mesh part 1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portion of is formed.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5)은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의 조립 구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c and 6d, the block 125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assembly structure in the same manner as the assembly structure method of the block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o.

전술한, 다수의 블록(125)들의 조립체를 반복 형성하여 황토벽면(108)의 프레임(틀)을 형성하고, 블록(125)의 내부에 황토를 타설하여 블록(125)의 내부를 황토로 채우게 된다. 이때 블록(125)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홀(190)을 통해 블록(125)의 측면으로 배출되는 황토는 일반적인 미장방법으로 다수의 블록(125)의 전면에서 평탄화시켜 황토 벽면(108)을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y of the plurality of blocks 125 is repeatedly formed to form a frame (frame) of the ocher wall surface 108, and the ocher is poured into the block 125 to fill the inside of the block 125 with ocher. do. At this time, the ocher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block 125 through the through hole 190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ck 125 is flatten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blocks 125 by the general plastering method to form the ocher wall surface 108. .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5)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홀(190)과 블록(125) 내부의 하면에 형성된 메쉬부를 통해 블록(125)의 외부로 배출되는 황토들은 인접한 블록(120, 125)에 타설되는 황토들과 결합하게 되어 블록(125)들 간의 결속력을 높이게 된다.The ocher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lock 125 through the through hole 190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ck 125 and the mesh par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125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jacent blocks 120. And, it is combined with the loess to be poured in 125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blocks (125).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은 블록의 형상이 "ㄱ"자 형태로 절곡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6a 및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 125)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lock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ure 6a and 6e, except that the shape of the block is bent in the form of "b",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e blocks 120 and 125,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f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나타나낸 평면도이다.6F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lo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f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블록(220)은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의 몰드(Mold)물로 형성되며, 황토 벽면(108)의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기에 적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F, the block 2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durable plastic or metal mold, and is suitable for forming an edge portion of the ocher wall 108. It is formed by bending the shape of the upper part "a".

블록(220) 상면 테두리에는 블록(220)의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블록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소정 깊이의 적층 홈(270)이 형성되고, 적층 홈(270)에는 블록(220)의 하면에 형성되는 도시되지 않은 제 1 체결 돌기가 삽입 또는 체결되는 다수의 삽입 홈(222)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upper edge of the block 220 is formed with grooves 27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 fixing other blocks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ck 220, and the grooves 270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220.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222 into which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s which are not inserted are fastened or fastened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블록(220)의 하면 테두리에는 상기 적층 홈(270)에 삽입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의 하면에 형성된 적층 돌기(180)와 동일한 형성의 적층 돌기가 형성되고, 이 적층 돌기에는 상기 삽입 홈(222)에 삽입 또는 체결되는 도시되지 않은 제 1 체결 돌기가 형성된다. 제 1 체결 돌기는 상기 삽입 홈(2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블록(220)은 블록(22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블록(2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220)의 모서리(234) 부분을 테두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한다.As shown in FIG. 6 inserted into the stack groove 270 on the bottom edge of the block 220, the same formation as the stack protrusion 18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ination protrusion of is formed, and this lamination protrusion is formed with the 1st fastening protrusion which is not shown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222 is inserted or fastened.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222. The block 220 forms a corner 234 of the block 220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dge to prevent the block 220 from being damaged from the load applied to the block 220.

블록(220)의 측면에는 도 6a 및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 125)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홀(128) 또는 관통 홀(190)과 동일한 형상의 관통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 홀은 원형 및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A and 6E, through-holes 128 or through-holes 190 formed on the sides of blocks 120 and 125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on the side of block 220. A through hole having the same shape as) is formed. Such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circles and polygons.

블록(220)의 일측면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의 측면부에 형성된 제 2 체결 돌기와 동일한 형상의 제 2 체결 돌기(240)이 형성되고, 제 2 체결 돌기(240)가 형성된 일측면과 대각선 방향의 타 측면에는 제 2 체결 돌기(240)와 대응되는 삽입 홈(230)이 형성된다. 또한, 블록(220)의 측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블록(220)의 운반을 용이토록 하기위한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A,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240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ck 220. The insertion groove 2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2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240 and the other side of the diagonal direction. In addition, a handle, which is not show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ck 220 to facilitate the transportation of the block 220 by the user.

블록(220)의 내부 중간부분에는 블록(2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블록(22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22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자 형태의 다수의 지지바(260)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블록(220)의 내부에 타설되는 황토를 블록(220)의 하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메쉬부(250)가 형성된다. 이러한 메쉬부(250)를 통해 일정량의 수분이 빠지게 되어 블록(220) 내부에 타설되는 황토의 소성시간을 줄일 수 있다.The inner middle portion of the block 220 has a plurality of “+” shapes across the inside of the block 220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lock 220 and to prevent the shape of the block 220 from being deformed. The support bar 260 is forme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with a mesh portion 250 for discharging the ocher to be placed inside the block 220 to the lower side of the block 220.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is removed through the mesh unit 250 to reduce the firing time of the loess that is poured into the block 220.

전술한,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블록(220)의 내부에 황토를 타설하여 블록(220)의 내부를 황토로 채우게 된다. 이때, 블록(22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 블록(220)의 측면으로 배출되는 황토는 일반적인 미장방법으로 블록(220)의 전면에서 평탄화시켜 황토 벽면(108)을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cher is poured into the block 2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ill the inside of the block 220 with ocher. At this time, the ocher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block 220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ide of the block 220 is flattened in front of the block 220 by the general plastering method to form the ocher wall surface 108.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블록(220)의 측면에 형성된 광통 홀과 블록(220) 내부의 하면에 형성된 메쉬부(250)를 통해 블록(220)의 외부로 배출되는 황토들은 인접한 블록(120, 125, 220)에 타설되는 황토들과 결합하게 되어 블록들(120,125, 220) 간의 결속력을 높이게 된다.The och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lock 220 through the light through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ck 220 and the mesh unit 2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2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jacent blocks ( Coupling with the loess is poured in 120, 125, 220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blocks (120, 125, 220).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은 블록의 형상이 "D"자의 형상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6a 및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 125)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block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A and 6E except that the shape of the block is the shape of "D". 120 and 125 have the same components a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g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6G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loc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g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블록(320a)은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의 몰드(Mold)물로 형성되며, 황토 벽면(108)의 모서리 부분과 기둥을 형성하기에 적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D"자의 형태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6g, the block 320a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durable plastic or metal mold (Mold), to form the corner portion and the pillar of the ocher wall 108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letter "D" with the top open to suit.

블록(320a) 상면 테두리에는 블록(320a)의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블록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소정 깊이의 적층 홈(370)이 형성되고, 적층 홈(370)에는 블록(320a)의 하면에 형성되는 도시되지 않은 제 1 체결 돌기가 삽입 또는 체결되는 다수의 삽입 홈(322)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upper edge of the block 320a is formed with a stacking groove 37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 fixing other blocks stacked above the block 320a, and the stacking groove 37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320a.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322 into which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s which are not inserted are fastened or fastened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블록(320a)의 하면 테두리에는 상기 적층 홈(370)에 삽입되는 도시되지 않은 적층 돌기가 형성되고, 이 적층 돌기에는 상기 삽입 홈(322)에 삽입 또는 체결되는 도시되지 않은 제 1 체결 돌기가 형성된다. 제 1 체결 돌기는 상기 삽입 홈(3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블록(320a)은 블록(320a)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블록(320a)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320a)의 모서리 부분을 테두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한다.The bottom edge of the block 320a is formed with an unillustrated lamina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lamination groove 370, and the lamination protrusion has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not shown, inserted or fasten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22. do.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322. The block 320a forms a corner portion of the block 320a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dge to prevent the block 320a from being damaged from the load applied to the block 320a.

블록(320a)의 측면에는 도 6a 및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 125)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홀(128, 190)과 동일한 형상의 관통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 홀은 원형 및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A and 6E, the side of the block 320a has the same shape as the through-holes 128 and 190 formed on the sides of the blocks 120 and 125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holes are formed. Such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circles and polygons.

블록(320a)의 측면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의 측면부에 형성된 제 2 체결 돌기와 동일한 형상의 제 2 체결 돌기(340)이 형성된다. 또한, 블록(320a)의 측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블록(320a)의 운반을 용이토록 하기위한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A,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340 having the same shape as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320a. In addition, a handle, not show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ck 320a to facilitate the user to carry the block 320a.

블록(320a)의 내부 중간부분에는 블록(320a)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블록(320a)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320a)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자 형태의 지지바(360)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블록(320a)의 내부에 타설되는 황토를 블록(320a)의 하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메쉬부(350)가 형성된다. 이러한 메쉬부(350)를 통해 일정량의 수분이 빠지게 되어 블록(320a) 내부에 타설되는 황토의 소성시간을 줄일 수 있다.The inner middle portion of the block 320a has a "+" shaped support that crosses the inside of the block 320a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lock 320a and to prevent the shape of the block 320a from being deformed. Bar 360 is forme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with a mesh portion 350 for discharging the ocher to be placed inside the block 320a to the lower side of the block 320a.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is removed through the mesh unit 350 to reduce the firing time of the loess that is poured into the block 320a.

전술한,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블록(320a)의 내부에 황토를 타설하여 블록(320a)의 내부를 황토로 채우게 된다. 이때, 블록(320a)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 블록(320a)의 측면으로 배출되는 황토는 일반적인 미장방법으로 블록(320a)의 전면에서 평탄화시켜 황토 벽면(108) 또는 기둥을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cher is poured into the block 320a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ill the inside of the block 320a with ocher. At this time, the ocher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block 320a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ide of the block 320a is planariz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lock 320a by the general plastering method to form the ocher wall surface 108 or the pillar.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블록(320a)의 측면에 형성된 광통 홀과 블록(320a) 내부의 하면에 형성된 메쉬부(350)를 통해 블록(320a)의 외부로 배출되는 황토들은 인접한 블록에 타설되는 황토들과 결합하게 되어 블록들 간의 결속력을 높이게 된다.The och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lock 320a through the light barrel hol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 320a and the mesh portion 3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320a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in the adjacent block. Combining with the loess being poured will increase the cohesion between the blocks.

본 고안의 제 5 실시 에에 따른 블록은 측면부에 형성되는 삽입 홈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블록(320a)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block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e block 320a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insertion grooves formed in the side por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h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6H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loc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h를 참조하면, 블록(320b)의 측면에는 도 6a 내지 도 6g에 도시된 제 2 체결 돌기(140, 240, 340)와 대응되는 삽입 홈(330)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H, an insertion groove 33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140, 240, and 340 illustrated in FIGS. 6A to 6G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block 320b.

전술한,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블록(320b)의 내부에 황토를 타설하여 블록(320b)의 내부를 황토로 채우게 된다. 이때, 블록(320b)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홀 또는 메쉬부를 통해 블록(320b)의 측면으로 배출되는 황토는 일반적인 미장방법으로 블록(320b)의 전면에서 평탄화시켜 황토 벽면(108) 또는 기둥을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cher is poured into the block 320b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ill the inside of the block 320b with ocher. At this time, the ocher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block 320b through the through hole or the mesh part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ck 320b is flattened at the front of the block 320b by the general plastering method to form the ocher wall surface 108 or the pillar. .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블록(320b)의 측면에 형성된 광통 홀 또는 메쉬부와 블록(320b) 내부의 하면에 형성된 메쉬부(350)를 통해 블록(320b)의 외부로 배출되는 황토들은 인접한 블록(120, 125, 220, 320a, 320b)에 타설되는 황토들과 결합하게 되어 블록들(120, 125, 220, 320a, 320b) 간의 결속력을 높이게 된다.The och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lock 320b through the light pipe hole or the mesh unit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ck 320b and the mesh unit 35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320b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ing with ochers placed in adjacent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increases binding force between 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본 고안의 제 1 내지 제 5 실시 예에 따른 블록들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벽면(108)을 축조하여 황토주택(100)의 몸체(10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들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홀(128) 또는 관통 홀(190)과 블록 내부의 하면에 형성된 메쉬부(150, 250, 350)를 통해 블록들의 외부로 배출되는 황토들은 인접한 블록들에 타설되는 황토들과 결합하게 되어 블록들 간의 결속력을 높이게 된다.As shown in FIG. 7 through the blocks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cher wall surface 108 may be constructed to form the body 102 of the ocher housing 100. The ocher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locks through the through-hole 128 or the through-hole 190 formed on the side of the block and the mesh unit 150, 250, 3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jacent to each other. Coupling with ochers that are poured into blocks increases binding force between blocks.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들로 건축되는 황토주택(100)은 몸체(102), 기둥 및 벽면을 형성하는 블록 자체의 내구성과 인접한 블록에 타설되는 황토들간의 결속력으로 인해 황토주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cher housing 100 constructed of block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durability of the ocher housing due to the durability of the block itself forming the body 102, the pillar and the wall and the cohesion between the ochers placed in the adjacent block. Can be improved.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들은 황토주택의 몸체(102) 뿐만 아니라, 황토주택의 내부를 분할하는 벽면과 몸체(102)의 상측을 덮는 천정과 주택을 지지하는 기둥 등에 적용될 수 있다.Block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body 102 of the ocher housing, but also a ceiling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wall and the wall for dividing the interior of the ocher housing and the pillar supporting the housing.

이렇게 형성된 몸체(102) 상에 도시되지 않은 판넬을 배치하고, 이 황토 판넬 상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114)을 적층시켜 황토주택을 건축 할수 있다.A panel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body 102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4 on the ocher panel, the roof 114 may be laminated to build an ocher housing.

전술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120)은 황토주택을 건축하는 용도로 설명하였으나, 비단 황토주택의 건축용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흙, 흙과 짚의 혼합, 흙과 자갈의 혼합 및 흙과 콘크리트 등을 혼합한 재료들을 사용하여 축조되는 주택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block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use for building ocher houses, but not only for the purpose of building ocher houses, but also general soil, soil and straw mixing, soil and gravel mixing, and soil and concrete It can also be applied to houses built using mixed material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들(120, 125, 220, 320a, 320b)은 황토의 유익한 특성을 생활속에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황토의 습도 및 온도의 조정력과 황토속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광물질로부터 발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살균 및 보전력을 주거용 주택에 활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locks 120, 125, 220, 320a, 320b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use the beneficial properties of the loess in life, containing the adjustment ability of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loess and in the loess Sterilization and maintenance of far-infrared rays emitted and radiated from various minerals can be used in residential houses.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다수의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을 조립하여 황토벽면(108)의 프레임(틀)을 형성하고, 이 다수의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내부에 황토를 타설하여 황토벽면(108)을 형성할 수 있어 황토벽면(108)의 형성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황토주택(100)의 황토벽면(108) 및 기둥을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들(120, 125, 220, 320a, 320b)로 형성하여 황토주택(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인접한 블록(120, 125, 220, 320a, 320b)들에 타설된 황토들간의 결속력으로 인해 황토주택(100)에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져도 황토벽면(108)이 쉽게 부서지지 않아 황토주택(1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sembling a plurality of blocks (120, 125, 220, 320a, 320b)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frame (frame) of the ocher wall surface 108, the plurality of blocks (120, 125, 220, 320a) , To place the ocher wall surface 108 by pouring the loess inside the 320b),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to form the ocher wall surface 108. In addition, the ocher wall surface 108 and the pillars of the ocher housing 100 are formed of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durability of the ocher housing 100. The ocher wall 108 is not easily broken even when an impact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ocher housing 100 from the outside due to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ochers placed in the adjacent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100) can improve the safety.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Claims (7)

황토주택을 축조하는 데 사용하는 블록에 있어서,In the block used to build ocher houses, 개방된 상부와,Open top,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 상에 적층되는 다른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을 적층시키기 위해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되는 적층 홈(170)과,Top edges of the blocks 120, 125, 220, 320a, 320b to stack other blocks 120, 125, 220, 320a, 320b stacked on the blocks 120, 125, 220, 320a, 320b Laminated groove 170 formed in, 상기 적층 홈(170)에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 홈(122)과,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22 formed in the lamination groove 170,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하면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적층 홈(170)에 삽입되는 적층 돌기(180)와,A stacking protrusion 180 formed at a bottom edge of 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and inserted into the stacking groove 170; 상기 적층 돌기(180)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홈(122)에 삽입 가능한 다수의 제 1 체결 돌기(124)와,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protrusions 124 formed on the stacking protrusions 180 and insertable into the insertion grooves 122;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120)의 내부에 타설되는 황토에서 수분을 배출 시키기 위한 다수의 관통 홀(128, 190)과,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8 and 190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for discharging moisture from the yellow soil which is poured into the block 120; 상기 블록(120c, 125, 220, 320a, 320b)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인접한 다른 블록(120, 125, 220, 320a, 320b)과의 체결을 위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체결 돌기(140)와,At least on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locks 120c, 125, 220, 320a, and 320b to be fastened with other adjacent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Wow, 상기 제 2 체결 돌기(140)가 삽입가능 하도록 형성되는 삽입 홈(130)과,An insertion groove 130 formed to be insertable in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0; 사용자가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을 쉽게 운반시키기 위해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상기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126)와,A handle 126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ck 120, 125, 220, 320a, 320b to allow a user to easily transport the blocks 120, 125, 220, 320a, 320b;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내부 중앙부에서 상기 (120, 125, 220, 320a, 320b)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자 형상의 지지바와,In order to improve durability of 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cross the 120, 125, 220, 320a and 320b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blocks 120, 125, 220, 320a and 320b. A support bar having a "+" shape formed to shrivel,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 내부 하면에 형성되는 메쉬부(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Block (120, 125, 220, 320a, 320b)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sh portion 150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블록은 "ㅁ"자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The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letter "w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블록은 "ㄱ"자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The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letter "b". 제 1 하에 있어서,Under 1, 상기 블록은 "D"자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And said block is in the shape of a letter "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관통 홀(190)은 십자가("+")형 단면의 구조체가 상하 좌우로 연결된 메쉬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The through-hole 190 is a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 of the cross-section structure has a mesh structure connected up, down, left and right.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관통 홀(190)에는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측면으로 배출되는 황토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돌기(19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The through hole 190 is a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rojections 192 for seating the ocher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block (120, 125, 220, 320a, 320b)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블록(120, 125, 220, 320a, 320b)의 테두리 부분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A corner portion of the block (120, 125, 220, 320a, 320b) is thicker than an edge of the block (120, 125, 220, 320a, 320b).
KR20-2003-0019771U 2003-06-23 2003-06-23 A block for building a house using loess KR2003273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771U KR200327306Y1 (en) 2003-06-23 2003-06-23 A block for building a house using lo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771U KR200327306Y1 (en) 2003-06-23 2003-06-23 A block for building a house using lo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306Y1 true KR200327306Y1 (en) 2003-09-19

Family

ID=4941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771U KR200327306Y1 (en) 2003-06-23 2003-06-23 A block for building a house using lo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30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842B1 (en) 2008-12-01 2011-12-15 옥윤선 Brick with hand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842B1 (en) 2008-12-01 2011-12-15 옥윤선 Brick with han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8003T3 (en) CONSTRUCTIONS AND FORMS OF ISOLATED WALLS, AND METHODS TO MANUFACTURE THEM.
ES2744234T3 (en) Modular element and modular construction system for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from a plurality of modular elements
KR100887757B1 (en) Wall structure of korean style house
KR101162281B1 (en) Prefabricated panel, panel group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all structure
KR200327306Y1 (en) A block for building a house using loess
US20080168725A1 (en) Masonry Wall System
KR100751234B1 (en) A loess well panel
KR200204049Y1 (en) A wall structure of movable house using yellow earth
KR101846305B1 (en) Air adiabaetic construction material
JP6865032B2 (en) building
KR200467656Y1 (en) Block having reinforced heat insulation
KR200374953Y1 (en) brick structure for masonry
KR100784494B1 (en) Light weight prominence insulation block for construction
KR102264317B1 (en) Assembly structure of construction panel
KR100758539B1 (en) Ocher panel for construction
KR101315258B1 (en) Functional cinerary urn
KR100638273B1 (en) Wall of structure filled with soil
US8590242B1 (en) Insulated concrete wall
KR100603752B1 (en) The construction method for a loess structure that use C-type steel, H beam and material wood
KR20080029448A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wooden house using log
KR100408920B1 (en) Complex panel structure for building
KR200279564Y1 (en) Fabricated yellow soil panel
CN1328198A (en) Multifunctional hollow plate
KR101140629B1 (en) A heat insulating and soundproof structure of a wall in a building
EP1457613A1 (en) Construction or cover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