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964Y1 - 현수막게시대 - Google Patents

현수막게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964Y1
KR200326964Y1 KR20-2003-0009311U KR20030009311U KR200326964Y1 KR 200326964 Y1 KR200326964 Y1 KR 200326964Y1 KR 20030009311 U KR20030009311 U KR 20030009311U KR 200326964 Y1 KR200326964 Y1 KR 200326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shock absorber
post
ladder
pla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
Original Assignee
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 filed Critical 박준
Priority to KR20-2003-0009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9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9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외에 광고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사 및 로프를 사용하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강철로 만들어진 현수막 걸이봉과 바람이 불때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장치를 제공하여, 게시되어 있는 현수막을 기상 상태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부착되어 있는 현수막을 교체시, 도구가 없어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현수막 걸이봉을 제공하고, 항상 쾌적하게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는 현수막게시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현수막을 탈,부착하기 위해서, 현수막 게시대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식 사다리를 이용하는데, 상기 고정식 사다리는 현수막을 탈,부착할 때를 제외하고 그 필요성이 없으며, 특히 양측 포스트에 돌출되어 있는 사다리는 도시 미관을 헤치는 요인중 하나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현수막을 탈,부착할 때는 사다리를 펼쳐서 사용하고, 현수막을 교체한 후에는 사다리가 자동으로 접어지게 함으로서 도시미관을 크게 개선한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완충장치는, 현수막 게시대의 포스트쪽과 현수막을 탈,부착하는 현수막 걸이장치와의 연결을 와이어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와이어는, 현수막 걸이장치의 자체중량으로 인하여 밑으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특히, 비나 눈이 올때는 현수막이 무거워져 더욱 쳐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는 곧, 완충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완충장치는, 완충역할을 하는 인장스프링의 양끝단에 완충장치 외부파이프와 완충장치 내부파이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완충장치 내부파이프는 완충장치 외부파이프 내측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가이드 역할의 파이프는 강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완충장치 내부파이프 끝단에 현수막 걸이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현수막이 쳐지지 않고 팽팽한 게시상태를 제공하는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현수막 게시대{HANGING BANNER OF NOTICE BOARD}
본 고안은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사나 각목을 사용하지 않고, 현수막 걸이봉과 완충장치를 이용하여 현수막을 탈.부착하려할 때, 작업시간의 단축과 편리함을 제공하고, 특히 바람등에 의한 현수막의 망실 또는 이탈을 방지하고, 항상 현수막이 팽팽하게 게시될 수 있는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현수막을 게시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와 거리를 가지고 있는 포스트를 양측에 설치하고, 현수막 게시대의 양측 포스트에 고정되어 있는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고리모양의 돌출부에 철사나 로프 등을 이용하여 단단히 묶어두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현수막 게시대의 상단부에 현수막을 탈,부착하기 위해서는 포스트에 고정되어 있는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현수막 내부에 끼워져 있는 각목에 철사 등을 단단히 묶은 후 포스트에 고정되어 있는 고리에 도구등을 이용하여 단단히 묶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현수막을 탈,부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숙련되어야 하며, 숙련된 작업자라 할지라도 고공에서 한손으로 기둥에 몸을 지탱하고 현수막과 포스트에 철사를 묶는 작업은 매우 위험하며, 종종 현수막 게시대에서 낙상하여 다치는 사고가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현수막게시대에 현수막을 탈,부착하는 종래의 방법은, 바람등이 불면 철사나 로프 등으로 묶어 두었던 부분이 풀려나 현수막이 느슨하게 되거나 현수막 게시대에서 현수막이 이탈되어 지나가는 행인에 가해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수막 게시대에 부착되어 있는 사다리는 포스트에 용접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사다리가 포스트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현수막을 탈,부착하는 작업자가, 때로는 사다리에 철사등으로 현수막을 부착하는 경우도 있으며, 탈착시 철사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다리에서 미제거한 철사가 흉물스러운 모습으로 도시 미관을 헤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현수막 게시대에 현수막을 탈,부착하고자 할 때, 철사나 로프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현수막 걸이봉과 완충장치가 있는 현수막게시대를 제공함으로서 단시간내에 현수막을 탈,부착할 수 있는 현수막게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와이어나 줄이 아닌, 견고한 완충장치를 사용하여 바람이나 태풍으로 발생될 수 있는 현수막의 망실이나 이탈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의 현수막 게시대에 부착되어 있는 사다리를 포스트에 고정시키지 아니하고, 현수막을 탈,부착할 때에는 사다리를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다리가 자동으로 사다리 보관함으로 보관되는 사다리의 구성품을 제공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다리가 접어진 상태에서 시건장치를 하여 불법부착을 방지하는 사다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사다리가 펼쳐진 상태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사다리가 접어진 상태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사다리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사다리가 접어진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사다리가 펼쳐진 상태와 접어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걸이봉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장치의 작동상태와 분해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게시대에 현수막 걸이봉과 완충장치와 사다리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현수막 게시대의 정면도로서 현수막(700)이 팽팽하게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현수막 게시대의 뒤쪽에 위치한 사다리(120)를 사용하기 위해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사다리(120)를 사용하고 난 후, 사다리가 자동으로 사다리 보관함(170) 안으로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현수막 게시대의 사다리(120)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로서 사다리(120)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View A)에 입각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4와 View A를 보면, 포스트(100)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발판파이프 고정브라켓트(140)를 용접 등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발판파이프(130)가 펼쳐지면 상기 발판파이프 고정브라켓트(140)와 발판파이프(130)의 밑부분이 맞닿게 되어 스토퍼 역할을 하게되고, 사다리(120)가 펼쳐지면 발판파이프(130)는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사다리보관함(170)은 포스트(10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파이프(130)의 발판파이프 포스트축(136)은 사다리보관함(170)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고 발판파이프 포스트축(136)을 중심으로 상기 발판파이프(130)는사다리보관함(170) 내부로 삽입되거나 밖으로 돌출되어 사다리(120)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다리상단 브라켓트(121)와 포스트상단브라켓트(101)에 스프링(11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110)은 사다리(120)를 사용하지 않을때, 사다리(120)가 자동으로 사다리보관함(170)에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다리(120)는 사용하지 않을때 포스트(100)에 바짝 붙어 있어 현수막 게시대의 미관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 사다리 보관함(170)에 삽입된 사다리(120)에 시건장치를 하면, 불특정인이 현수막(700)을 불법으로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현수막 게시대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5는 상기 사다리(120)가 사다리보관함(17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사다리(120)가 펼쳐진 상태(그림1)에서 접어진 상태(그림2)로 변화된 모습을 동시에 도시한 현수막 게시대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 6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120)는 항상 스프링(110)이 포스트(100) 쪽으로 당기고 있음으로 사용을 하지 않으면 그림2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로부터 사다리(120)가 보이지 않게 된다.
도 7은 현수막걸이봉(400)의 사용방법과 완충장치(3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 입각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현수막걸이봉(400)은 하단에 현수막걸이봉 하단브라켓트(440)가 완충장치(300_a)와 볼트등으로 연결되어 있고, 현수막걸이봉(400)의 상단부는 View D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수막(700)을 삽입할 수 있도록 아무것도 부착되어 있지 않다.
상기 도 7의 View C와 View D에 도시된 바와같이 현수막걸이봉 잠금브라켓트(430_b)가 위쪽으로 열리게 되면 현수막(70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현수막걸이봉(400_b)이 앞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현수막(700)을 삽입하기 편리한 상태가 된다. 현수막(700)을 현수막걸이봉(400)에 삽입한 후 현수막걸이봉(400_a)을 완충장치(300_b) 쪽으로 당긴 후 현수막걸이봉 잠금브라켓트(430_a)를 밑으로 내리면 현수막 걸이봉(400_a)이 잠기게 되어 현수막(700)을 장착하게 된다.
상기 현수막걸이봉(40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단완충장치(300_b)와 하단완충장치(300_a)가 각각 연결되어 있어 현수막(700)을 항상 팽팽하게 유지시켜주는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완충장치(300)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8의 그림 3은 완충스프링(330)에 의해 완충장치내부파이프(320)가 완충장치 외부파이프(310) 내부에 완전히 들어가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힘이 작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림 4는 힘이 작용하여 완충스프링(330)이 작동하고 완충장치내부파이프(320)가 완충장치외부파이프(310)로부터 빠져나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완충장치 외부파이프홀(340_a)에 완충스프링 외부파이프홀(340_b)이 연결되고, 완충장치내부파이프홀(341_a)에 완충스프링 내부파이프홀((341_b)이 각각 연결된다.
그림 5는 완충장치(300)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좌측으로부터 포스트(100)쪽에 고정되는 완충장치외부파이프(310)와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스프링(330)과 현수막걸이봉(400)이 부착되는 완충장치 내부파이프(3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상기에서 설명한 포스트(100)에 고정되어 있는 완충장치(300)에 연결된 현수막걸이봉(400)과 펼쳐진 상태의 사다리(120)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그 구성을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양측 포스트에 복수개의 완충장치(300)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장치(300) 끝단부에는 각각 현수막 걸이봉(400)이 연결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완충장치(300)의 끝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현수막걸이봉 잠금브라켓트(430_a)는 현수막걸이봉(400)에 현수막(700)을 단시간 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높은 곳에 현수막(700)을 탈,부착할 때 별도의 도구 없이 을 탈,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완충장치(300)는 견고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수막걸이봉(400)과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현수막(700)이 쳐지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완충장치(300)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완충스프링은 각종 기상상태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현수막(700)의 망실 또는 이탈현상을 최대한 방지해주는 완충역할을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사다리(120)는 사용할 때에는 사다리(120)를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사다리(120)를 사다리보관함(170)에 삽입 보관함으로서 사다리(120)가 외부에 돌출되지 않아 도시미관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다리(120)가 접어진 상태에서 사다리보관함(170)에 시건장치를 하면 현수막(700)의 불법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완충장치(300) 구성품을 파이프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완충장치(300)를 구성하고 있는 완충장치외부파이프(310)와 완충장치 내부파이프(320)는 각각 슬라이딩 되는 물질에 완충스프링(330)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사다리(120)를 사다리 보관함(170)에 보관하지 않고, 사다리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 바, 이는 본 발명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특허 등록 범위 안의 기술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하며, 이는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 속한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하는 단순한 형상 변경 등은 본 고안에 속한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Claims (3)

  1.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포스트에 부착되어 있는 사다리가 포스트에 용접등으로 고정되지 않고, 포스트측에 고정브라켓트가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트와 사다리를 축을 사용하여, 현수막을 탈,장착시에 사다리를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한 후에는 사다리를 접어서 기둥에 붙여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사다리를 포함하고 있는 현수막 게시대.
  2. 상기 현수막 게시대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2개 이상의 파이프와 내측에 인장스프링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파이프(내측파이프)가 다른 하나의 파이프(외측파이프) 내측에 삽입되어 상호 슬라이딩 되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파이프는 포스트측에 고정시켜두고 다른 하나의 파이프과 길게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양쪽 끝단에 인장스프링을 고정하여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완충장치.
  3. 상기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현수막 걸이봉의 하단부는 고정브라켓트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브라켓트는 하단측의 완충장치의 내부파이프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고, 상기 현수막 걸이봉의 상단부는 상단측의 완충장치 내부파이프에 잠금브라켓트가 부착되어 현수막 걸이봉을 열고 닿을 수 있도록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현수막 걸이봉과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현수막 게시대
KR20-2003-0009311U 2003-03-28 2003-03-28 현수막게시대 KR200326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311U KR200326964Y1 (ko) 2003-03-28 2003-03-28 현수막게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311U KR200326964Y1 (ko) 2003-03-28 2003-03-28 현수막게시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346A Division KR20040084349A (ko) 2003-03-28 2003-03-28 현수막게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964Y1 true KR200326964Y1 (ko) 2003-09-19

Family

ID=4941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311U KR200326964Y1 (ko) 2003-03-28 2003-03-28 현수막게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9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6206A1 (en) * 2006-04-29 2007-11-08 Jea-Chul Lee Rolling down celebration message scre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6206A1 (en) * 2006-04-29 2007-11-08 Jea-Chul Lee Rolling down celebration message scre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8380A (en) Portable fire escape
CA2118436C (en) Ladder stabilisers
KR101191142B1 (ko) 가드레일용 지주 고정장치
US5472162A (en) Cap lock for sign stand
US20080216370A1 (en) Stabilized a-frame sign stand
US3490749A (en) Foldable barricade and display holder especially for highway use
KR200326964Y1 (ko) 현수막게시대
JP2003261910A (ja) 網を用いた防護体及び防護構造
KR102096231B1 (ko) 다용도 안내 표지판
CN208220366U (zh) 一种便于存放的复合型护栏
KR20040084349A (ko) 현수막게시대
GB2355751A (en) Scaffold guard having tensionable safety screen
US2995847A (en) Road sign standards
KR101197458B1 (ko) 유지보수 발판이 구비된 도로 전광표지
US5794906A (en) Sign support system
US20110266832A1 (en) Parked vehicle door guard
KR200248204Y1 (ko) 광고 깃발 고정장치
KR200191512Y1 (ko) 건설 공사장용 안전 펜스
KR200407538Y1 (ko) 현수막 고정대
BR112020009612A2 (pt) conjunto de suporte ajustável para tensionar uma faixa em uma estrutura vertical, conjunto de suporte para uso com uma faixa pendurada em uma estrutura vertical, conjunto de montagem de faixa, método para tensionar uma faixa pendurada com o uso de um conjunto de suporte ajustável, mecanismo de produção de atrito, mecanismo de produção de atrito para uso com uma faixa pendurada, método para formar um mecanismo de produção de atrito para uso com uma faixa pendurada e método para formar um conjunto de retenção de faixa
KR200336430Y1 (ko) 현수막 걸이장치
KR200200247Y1 (ko) 가아드레일 장착용 현수막 게시대
US11097604B2 (en) Golf club rain cover for golf carts
KR200196920Y1 (ko) 현수막 게시장치.
US5819873A (en) Ladder bracket and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