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647Y1 - Case used for decoration - Google Patents

Case used for deco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647Y1
KR200326647Y1 KR20-2003-0019675U KR20030019675U KR200326647Y1 KR 200326647 Y1 KR200326647 Y1 KR 200326647Y1 KR 20030019675 U KR20030019675 U KR 20030019675U KR 200326647 Y1 KR200326647 Y1 KR 200326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main body
body side
auxiliary
sli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6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대훈
Original Assignee
이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훈 filed Critical 이대훈
Priority to KR20-2003-0019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64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647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4Box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꽂이함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아 놓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꽂이함을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 지고 보는 이로 하여금 싫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최대한의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그 구성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box, and more specifically, a box used to hold a business card or a memo, etc., is easily assembled and allows the viewer to minimize boredom and have the maximum decorative effect. Configuration,

명함이나 메모지를 꽂아 놓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꽂이함에 있어서, 금속 박판 상에 부식에 의한 무늬 모양이 성성되는 성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부을 일부 절개하여 그 절개된 부분을 상향으로 절곡시켜 본체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 측벽의 각 끝단으로 슬릿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홈과 대응되는 각 끼움 슬릿홈이 양측으로 형성된 보조 측벽이 끼워져 상기 본체 측벽과 보조 측벽 사이로 수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꽂이함에 관한 것이다.In the holder used to insert a business card or a note paper, forming a molded part is formed on the metal sheet to form a pattern by corrosion, and by partially cutting the molded part is bent upwardly to form the main body side wall And a slit groove formed at each end of the main body side wall, and an auxiliary side wall having both fitting slit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lit groove formed at both sides is inserted to form a receiving groove between the main body side wall and the auxiliary side wall. It is about ham.

Description

장식용 꽂이함{Case used for decoration}Decorative box {Case used for decoration}

본 고안은 장식용 꽂이함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아 놓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꽂이함을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 지고 보는 이로 하여금 싫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최대한의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 장식용 꽂이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box, more specifically, a box used to hold a business card or a memo, etc. can be easily assembled and allows the viewer to minimize boredom and have the maximum decorative effect. It relates to a decorative box.

일반적으로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아 놓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꽂이함은 그 사용되는 용도가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즉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을 수 있는 기능적인 역할 위주로 제작됨에 따라 그 대부분이 직육면체의 함 형태로 제작된다.Generally, the box used for inserting business cards or memo papers is limited to its use, that is, it is mainly designed for the functional role of inserting business cards or memo papers. Is produced by.

그에 따라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아 놓는 용도로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꽂이함은 투박하고 둔탁한 느낌을 갖도록 제작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Accordingly, most of the holders used for inserting business cards or memo papers are currently being manufactured to have a rough and dull feeling.

이와같이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아 놓을 수 있도록 제작되는 종래 꽂이함의 경우에는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아 놓고 사용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었으나, 사용자가 항시 접하면서 잦은 사용으로 인해 테이블로 올려진 그 꽂이함을 볼 때 사용자나 제3자가 단시간 내에 식상함을 느끼게 됨은 물론 장식 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ox that can be inserted into a business card or note paper, there is no shortage of a business card or note paper, but when the user sees the box on the table due to frequent use The user or a third party feels sick in a short time, and had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expect a decorative effect.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아 놓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꽂이함을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 지고 보는 이로 하여금 싫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최대한의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easy to assemble the holder used to put the business card or note paper, etc., and minimizes the tiredness of the viewer The purpose is to have the maximum decorative effec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큰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greater decorative effe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명함이나 메모지를 꽂아 놓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꽂이함에 있어서, 금속 박판 상에 부식에 의한 무늬 모양이 성성되는 성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부을 일부 절개하여 그 절개된 부분을 상향으로 절곡시켜 본체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 측벽의 각 끝단으로 슬릿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홈과 대응되는 각 끼움 슬릿홈이 양측으로 형성된 보조 측벽이 끼워져 상기 본체 측벽과 보조 측벽 사이로 수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form a molded part formed by the corrosion pattern on the metal thin plate in the holder used to insert the business card or memo paper, and partially cut the molding part Bent upwards to form a main body side wall, and a slit groove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main body side wall, and an auxiliary side wall formed with both fitting slit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lit groove is inserted between the main body side wall and the auxiliary side wa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상기 본체 측벽의 일면에 다수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편이 일면으로 형성된 보조 모형체가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fixing hol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s are coupled to the auxiliary model body formed with one surface.

도 1은 본 고안의 제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manufactur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본체 측벽이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sid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upward.

도 3은 도 2에 따른 본체 측벽으로 보조 모형체와 보조 측벽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model body and the auxiliary side wall is coupled to the main body side wall according to FIG.

도 4는 도 3에 따른 본체 측벽으로 보조 모형체가 결합되는 부분의 요부 확대도.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auxiliary model is coupled to the body side wall according to FIG.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3에 따른 본체 측벽으로 보조 모형체가 결합되는 부분의 다른 실시예.FIG. 6 i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ion in which the auxiliary model is coupled to the body sidewall according to FIG. 3;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꽂이함1: Box

10 : 금속 박판10: metal lamination

12 : 성형부 14 : 본체 측벽12 molding part 14 main body side wall

14a : 슬릿홈 15 : 보조 측벽14a: slit groove 15: secondary side wall

15a : 끼움 슬릿홈15a: fitting slit groove

20 : 수납홈부20: storage groove

30 : 보조 모형체30: auxiliary model

32 : 고정공 34 : 고정편32: fixing hole 34: fixing piec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의 제작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본체 측벽이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본체 측벽으로 보조 모형체와 보조 측벽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본체 측벽으로 보조 모형체가 결합되는 부분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1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manufactur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side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upward, Figure 3 is a main body side wall according to Figure 2 and the auxiliary model body and the auxiliary side wall This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it is coupled,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ortion of the auxiliary model coupled to the main body side wall according to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등의 상면에 올려 놓고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아 놓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꽂이함(1)에 있어,As shown in the box (1) used to p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such as business cards and note paper, etc.,

본 고안은 얇은 금속 박판(10) 상에 공지의 성형공법에 의해, 즉 필요로 하는 무늬 모양을 도안하고 그 도안을 필름으로 제작한 후 노광에 의한 인화시킨 다음 식각에 의해 부식으로 인한 도 1에서와 같이 무늬 모양이 성형되는 성형부(12)를 형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by the known molding method on the thin metal thin plate 10, that is, the pattern of the required pattern, and the pattern is made into a film and then printed by exposure and then etched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molding part 12 to which the pattern is molded is formed.

그런 다음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상기 성형부을 일부 절개하여 그 절개된 부분을 도 2에서와 같이 상향으로 절곡시켜 본체 측벽(14)을 형성하고, 상기 상향으로 절곡된 본체 측벽의 각 끝단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슬릿홈(14a)을 형성한 후 그 슬릿홈과 대응되는 각 끼움 슬릿홈(15a)이 양측으로 형성된 보조 측벽(15)이 끼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 측벽과 보조 측벽 사이로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아 놓을 수 있는 수납홈부(20)가 형성되도록 조립되는 것이다.Then, the molded part formed of a thin metal plate is partially cut and the cut portion is bent upward as shown in FIG. 2 to form a main body sidewall 14, and each end of the upwardly bent main body sidewall is shown in FIG. After the slit groove 14a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ide wall 15 having the fitting slit grooves 15a corresponding to the slit grooves is sandwiched between the main body side wall and the auxiliary side wall as shown in FIG. It is to be assembled to form a receiving groove 20 to be inserted.

상기와 같이 제작됨에 따라 상기 금속 박판 상에 모형부를 형성하고자 할 때 필요로 하는 무늬 모양이나 취향에 맞는 도안을 제작하여 전술한 성형공법을 통하여 성형하므로서, 다양한 형태는 물론 정교하고 섬세한 형태의 모형부를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oduction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pattern according to the pattern shape or taste required to form a model portion on the thin metal plate and molding through the above-described molding method, a variety of forms, as well as fine and delicate model portion It can be molded.

그에 따라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아 놓을 수 있도록 제작되는 꽂이함을 단순한 꽂이함의 용도는 물론 다양한 형태는 물론 정교하고 섬세한 모형부를 성형할수 있어 뛰어난 장식효과를 가지는 것이다.Accordingly, the box made for inserting business cards or memo papers can be molded into various shapes as well as the use of a simple box, and have excellent decorative effects.

또한, 상기 본체 측벽(14)의 일면에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다수의 고정공(3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편(34)이 일면으로 형성된 보조 모형체(30)를 도 5에서와 같이 결합 고정하여, 즉 상기 고정공으로 보조 모형체의 고정편을 삽입하여 하측으로 내리게 됨에 따라 간단하게 결합고정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본체 측벽으로 형성된 모형부에 의해 장식효과는 물론 상기 보조 모형체의 결합으로 인한 장식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a plurality of fixing holes 32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side wall 14, and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34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uxiliary model 30. ) As shown in FIG. 5, that is, as the fixing piece of the auxiliary model body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and then lowered downward, the decoration effect can be easily achieved by the model part formed as the main body sidewall. Of course, there is also a condition that can double the decorative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the auxiliary model.

그리고, 상기 보조 모형체 또한 상기한 성형공법에 의하여 제작되어 조립되는 보조 모형체로서, 상기 본체 측벽으로 형성된 모형부와 대응되는 무늬 모양을 형성하여 보다 큰 장식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uxiliary model body is also an auxiliary model body manufactured and assembled by the forming method, it is preferable to form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model portion formed by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to have a greater decorative effect.

한편, 상기 본체 측벽으로 결합 고정되는 보조 측벽의 결합고정도 슬릿홈과 끼움 슬릿홈이 아닌 상기 본체 측벽으로 결합되는 보조 모형체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고정공과 고정편을 형성하여 결합 고정하여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high slit groove and the fitting slit groove of the auxiliary side wall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side wall may be fixed by forming a fixing hole and a fixing piec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uch as an auxiliary model coupled to the main body side wall. .

도 6은 도 3에 따른 본체 측벽으로 보조 모형체가 결합되는 부분의 다른 실시예이다.6 is another embodiment of a portion where the auxiliary model is coupled to the body sidewall according to FIG. 3.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본체 측벽(14)으로 형성된 고정공(32)으로 보조 모형체(30)의 일단으로 형성된 고정편(34)을 삽입한 후 그 삽입된 고정편의 끝단을 회전시켜 상기 고정공의 배면으로 꺽어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xing piece 34 formed of one end of the auxiliary model body 3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32 formed of the main body side wall 14, and then the end of the inserted fixing piece is rotated. It is shown to be fixed by bending to the back of the fixing hole.

따라서, 상기 본체 측벽으로의 보조 모형체의 결합고정이 보다 긴밀하면서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xing of the auxiliary model to the main body side wall can be fixed more tightly and firm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아 놓고 사용할 수 있는 꽂이함을 그 명함이나 메모지 등을 꽂아 놓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로 하는 다양한 무늬 모양을 정교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편리성을 가지면서 뛰어난 장식효과를 가지는 효과를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business card or memo p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o insert the business card or memo paper, as well as to form a variety of pattern shapes required, as well as easy to assemble. It is to have the effect of having an excellent decorative effect while having the convenience made.

또한, 별도의 보조 모형체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장식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In addition, it also has the effect of doubling the decorative effect by allowing a separate auxiliary model to be combined and fixed.

Claims (2)

명함이나 메모지를 꽂아 놓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꽂이함에 있어서,In the rack used to insert business cards or memos, 금속 박판(10) 상에 부식에 의한 무늬 모양이 성형되는 성형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부을 일부 절개하여 그 절개된 부분을 상향으로 절곡시켜 본체 측벽(14)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 측벽의 각 끝단으로 슬릿홈(14a)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홈과 대응되는 각 끼움 슬릿홈(15a)이 양측으로 형성된 보조 측벽(15)이 끼워져 상기 본체 측벽과 보조 측벽 사이로 수납홈부(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꽂이함.Forming a molded part 12 is formed on the metal thin plate 10 by the pattern of the pattern formed by corrosion, and partially cut the molded part to bend the cut portion upward to form a body side wall 14, the main body Auxiliary sidewall 15 having a slit groove 14a formed at each end of the sidewall and each fitting slit groove 15a corresponding to the slit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is inserted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groove 20 between the main body sidewall and the auxiliary sidewall. Decorative shelf box,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측벽(14)의 일면에 다수의 고정공(3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편(34)이 일면으로 형성된 보조 모형체(30)가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꽂이함.The auxiliary model 30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fixing holes 32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side wall 14, and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34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s are formed on one surface. Decorative shelf box characterized in that.
KR20-2003-0019675U 2003-06-21 2003-06-21 Case used for decoration KR2003266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675U KR200326647Y1 (en) 2003-06-21 2003-06-21 Case used for deco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675U KR200326647Y1 (en) 2003-06-21 2003-06-21 Case used for deco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647Y1 true KR200326647Y1 (en) 2003-09-17

Family

ID=4941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675U KR200326647Y1 (en) 2003-06-21 2003-06-21 Case used for deco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64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85556S1 (en) Smart watch
USD935839S1 (en) Container clip
US20030037657A1 (en) Puncher for decorative sheet
EP1456039A1 (en) Embossing system
KR200326647Y1 (en) Case used for decoration
USD502947S1 (en) Card reader
USD964372S1 (en) Electronic book reader housing
USD924186S1 (en) Board card
JP4937206B2 (en) Nursery tray with display board
JP3120649U (en) Calendar with note paper function
JP3105746U (en) Embossing plate
US20060248756A1 (en) Vivid three-dimensional illustrated card and method to fabricate the vivid three-dimensional illustrated card
JP3239186U (en) tissue box
USD499547S1 (en) Slipcover for portfolios and similar documents
JPH0337989Y2 (en)
USD485576S1 (en) Writing instrument
USD980810S1 (en) Integrated circuit card
USD520505S1 (en) Data card
USD1011423S1 (en) Writing instrument
USD956139S1 (en) Writing instrument
KR200140862Y1 (en) Punch unit
USD892797S1 (en) Triangle card reader
JP6615480B2 (en) Music stand
JP2010172292A (en) Raising seedling tray with display board
KR200240380Y1 (en) Memo holder for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