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592Y1 - 압축 팩의 팩킹 구조 - Google Patents

압축 팩의 팩킹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592Y1
KR200326592Y1 KR20-2003-0018063U KR20030018063U KR200326592Y1 KR 200326592 Y1 KR200326592 Y1 KR 200326592Y1 KR 20030018063 U KR20030018063 U KR 20030018063U KR 200326592 Y1 KR200326592 Y1 KR 200326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storage space
packing structure
guide
ple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연
Original Assignee
김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연 filed Critical 김준연
Priority to KR20-2003-0018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5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1/00External frames or supports adapted to be assembled around, or applied 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 팩의 팩킹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침낭류, 의류 등의 수납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과, 밸로오즈 타입으로 수축 이완되는 주름부를 가진 팩부재; 및 상기 수납 공간을 개방 또는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주름부를 압축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팩부재의 상단에 마련된 파스너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압축 팩의 팩킹 구조 {Packing structure of pressing pack}
본 고안은 압축 팩의 팩킹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침낭류 또는 의류 등을 수납한 상태에서 밸로오즈 타입으로 얇게 압축시킬 수 있는 압축 팩의 팩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낭류 또는 의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압축 팩은 투명한 비닐소재로 이루어지며, 수납 공간과,수납 공간을 개방 또는 밀폐시킬 수 있는 파스너를 구비한다. 따라서, 압축 팩의 수납 공간에 침낭류 또는 의류 등의 수납 대상물을 수납하고, 파스너를 일정 구간 잠그고 그 나머지 구간을 개방한 상태에서 압축팩을 압축하고, 파스너의 나머지 구간을 잠그게 되면, 수납 공간에 진공 상태가 유지되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압축 팩은 수납 대상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가압할 때, 그 팩을 일정한 형태로 압축시킬 수 있는 가이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닐 소재의 특성상 수납 대상물이 팩의 상,하면으로 볼록하게 튀어 나와 미관이 수려하지 않고, 여러 층으로 적재할 때 한쪽으로 쓰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 압축 팩의 적재가 용이하고 압축 형태의 미관이 수려하도록 압축 팩을 일정한 형태로 압축시킬 수 있는 압축 팩의 팩킹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팩부재의 압축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팩부재의 압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팩부재의 압축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납 대상물 10,60... 팩부재
11... 수납 공간 12,62... 주름부
13,63... 파스너부재 20... 고리부재
21... 구멍 30... 가이드부재
31... 가이드봉 32... 지지봉
33... 제1연결구 34... 제2연결구
40... 케이스부재 41... 투명창
50... 덮개부재 51... 손잡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는, 침낭류, 의류 등의 수납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과, 밸로오즈 타입으로 수축 이완되는 주름부를 가진 팩부재; 및 상기 수납 공간을 개방 또는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주름부를 압축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팩부재의 상단에 마련된 파스너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는, 상기 주름부의 외주 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수납 공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주름부의 각 피치점에 연속적으로 마련된 고리부재; 및 상기 고리부재를 통해 상기 팩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가이드봉을 가진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리부재를 통해 각각의 가이드봉을 삽입하고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 대상물을 수납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름부를 압축시킬 때, 상기 주름부가 가이드봉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팩부재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 각각의 하단과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봉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가이드봉 및 지지봉은 그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박스 모양을 가지며 상기 주름부가 그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주름부를 압축하여 팩부재를 실질적으로 내재시킬 수 있는 케이스부재; 및 상기 팩부재를 케이스부재의 내부 공간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단을 밀폐시킬 수 있는 덮개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 대상물을 수납하고 상기 주름부를 압축시킬 때, 상기 주름부가 케이스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그 내부공간에 수납된 수납 대상물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을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팩부재의 압축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100)는 소정의 수납 대상물(1)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11)과 밸로오즈 타입으로 수축 이완되는 주름부(12)를 가진 팩부재(10)와, 수납 공간(11)을 개방 또는 밀폐시킴과 동시에 주름부(12)를 압축하면서 수납 공간(11)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팩부재(10)의 상단에 마련된 파스너부재(13)를 구비한다.
상기 팩부재(10)는 폴리에틸렌 수지와 같은 비닐 소재로 이루어진 봉투의 형태를 취하며, 대략 육면체 형상의 수납 공간(11)이 마련되고, 그 외벽에는 전술한 바 있는 주름부(12)가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팩부재(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의 구조를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주름부(12)는 팩부재(10)의 높이 방향 따라 대략 "Z"자 형태로 연속되게 형성됨으로써, 상방에서 작용하는 소정 외력에 의해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될 수 있다.
상기 파스너부재(13)는 비닐 지퍼와 같은 통상적인 파스너의 구조를 가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파스너부재(13)는 팩부재(10)의 상단에 마련된 개봉단에 각각 설치되며, 그 개봉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그 돌기가 형합될 수 있는 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스너부재(13)를 개방하여 팩부재(10)의 수납 공간(11)에 침낭류 또는 의류와 같은 수납 대상물(1)을 수납하고, 파스너부재(13)를 일정 구간 잠그고 그 나머지 구간을 개방한 상태에서 팩부재(10)를 가압한다. 그러면, 팩부재(10)는 주름부(12)가 대략 "Z"자 형태로 접혀지면서 수납 대상물(1)과 함께 얇게 압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파스너부재(13)의 나머지 구간을 잠그게 되면, 팩부재(10)는 수납 공간(11)에 진공 상태가 유지되어 압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팩킹 구조(100)는 팩부재(10)를 일정한 형태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주름부(12)가 수납 대상물(1)과 함께 수축되므로, 팩부재(10)의 상,하면이 수납 대상물(1)에 의해 볼록하게 튀어 나오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압축된 팩부재(10)를 소정의 보관 장소에 보관하게 되면, 그 팩부재(10)의 압축 형태가 반듯하고 일정하여 미관이 수려하고, 적재하기가 용이하여 여러 층으로 쌓아 올리더라도 넘어지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팩부재의 압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부재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구조(200)는 팩부재(10)의 수납 공간(11: 도 2)에 수납 대상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주름부(12)를 압축시킬 때, 그 주름부(12)가 일정한 형태로 접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팩킹 구조(200)는 주름부(12)의 외주 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며 팩부재(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주름부(12)의 각 피치점에 연속적으로 마련된 고리부재(20)와, 각각의 고리부재(20)를 통해 팩부재(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다수의 가이드봉(31)을 가진 가이드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 고리부재(20)는 주름부(12)의 각 모서리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팩부재(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후술할 가이드부재(30)의 가이드봉(31)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21)이 각각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고리부재(20)는 주름부(12)의 각 피치점 즉, 산 형태로 절곡된 부분의 각 모서리 지점에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리부재(20)는 주름부(12)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주름부(12)의 두께 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고, 주름부(12)의 모서리 부분에 열융착식으로 부착된다. 대안으로서, 각각의 고리부재(20)는 팩부재(10)의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를 취하는 경우 주름부(12)의 각 모서리 부분에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팩부재(10)의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일 경우에는 주름부(12)의 외주 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팩부재(10)의 높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0)는 팩부재(10)의 수납 공간(11: 도 2)에 수납 대상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주름부(12)를 압축시킬 때, 그 주름부(12)가 고리부재(20)에 지지되면서 일정한 형태로 수축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가이드부재(30)는 고리부재(20)의 구멍(21)을 통해 팩부재(10)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가이드봉(31)과, 팩부재(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봉(31)의 하단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봉(32)을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봉(31)은 주름부(12)의 모서리 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팩부재(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립되게 배치되며, 그 하단이 지지봉(32)의 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지지봉(32)은 제1연결구(33)에 의해 크로스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의 단부에는 가이드봉(31)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2연결구(34)가 설치된다.
전술한 바 있는 각각의 가이드봉(31)과 지지봉(32)은 중공을 가진 다수의 봉이 암수 형태로 결합되어 그 길이가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는 팩부재(10)의 높이와 너비에 따라 가이드봉(31)의 길이와 지지봉(32)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리부재(20)의 구멍(21)을 통해 각각의 가이드봉(31)을 팩부재(10)의 높이 방향으로 삽입시킨다. 그러면, 팩부재(10)의 주름부(12)는 가이드봉(31)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파스너부재(13)를 개방하여 팩부재(10)의 수납 공간(11: 도 2)에 침낭류 또는 의류와 같은 수납 대상물(미도시)을 수납하고, 파스너부재(13)를 일정 구간 잠그고 나머지 구간을 개방한 상태에서 팩부재(10)을 압축시킨다. 그러면, 주름부(12)가 고리부재(20)에 의해 가이드봉(31)에 지지되면서 가이드되기 때문에, 그 주름부(12)는 일정한 형태로 접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파스너부재(13)의 나머지 구간을 잠그게 되면, 팩부재(10)는 그 수납 공간(11: 도 2)에 진공 상태가 유지되면서 두께가 얇고 외관이 반듯한 모양을 가진 압축 형태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압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팩들을 가이드부재(30)로부터 이탈시켜 별도의 보관 장소에 보관하게 되면, 팩부재(10)의 압축 형태가 반듯하고 일정하여 미관이 수려하고, 적재하기가 용이하여 여러 층으로 쌓아 올리더라도 넘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팩킹 구조(200)는 팩부재(10)의 크기에 따라 가이드봉(31)과 지지봉(32)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신축시킬 수 있으므로, 가이드봉(31)을 통해 다수개의 팩부재(10)를 쌓아 놓은 상태에서 별도의 보관 장소에 그대로 보관할 수도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팩부재의 압축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300)는 수납 대상물이 수납된 팩부재(60)가 주름부(62)에 의해 압축되면서 소정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팩킹 구조(300)는 팩부재(60)의 주름부(62)가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케이스부재(40)와, 케이스부재(40)의 상단을 실질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덮개부재(5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부재(40)는 팩부재(60)의 전체적인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케이스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부재(40)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부재(40)는 그 내부 공간이 팩부재(60)의 수납 공간(11: 도 2)과 상호 연통되도록 상단에 팩:부재(60)의 주름부(62)가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케이스부재(40)는 팩부재(60)의 수납 공간(11: 도 2)에 수납 대상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주름부(62)를 압축하게 되면, 그 내부 공간에 팩부재(60)가 내재된다. 또한, 케이스부재(40)의 외벽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소정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에 합성수지 소재의 투명창(41)이 설치된다. 이는 케이스부재(40)의 내부 공간에 내재된 수납 대상물을 외부에서 투명창(41)을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상기 덮개부재(50)는 수납 대상물이 수납된 팩부재(60)를 케이스부재(40)의 내부 공간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케이스부재(40)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덮개부재(50)는 케이스부재(40)의 상면에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며, 덮개부재(50)의 상면에 손잡이(51)가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팩부재(60)의 상단을 통해 침낭류 또는 의류와 같은 수납 대상물을 수납 공간(11: 도 2)에 수납하고, 파스너부재(63)를 일정 구간잠그고 나머지 구간을 개방한 상태에서 팩부재(60)를 압축시킨다. 그러면, 주름부(62)가 케이스부재(4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납 대상물과 함께 수축되고, 이와 같이 수축된 팩부재(60)는 케이스부재(40)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다. 이 후, 파스너부재(63)의 나머지 구간을 잠그게 되면, 팩부재(60)는 그 수납 공간(11: 도 2)에 진공 상태가 유지되면서 두께가 얇고 외관이 반듯한 모양을 가진 압축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런 다음, 케이스부재(40)의 상단에 덮개부재(50)를 덮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팩킹 구조(300)는 팩부재(60) 자체가 케이스부재(40)의 내부 공간에 내재되기 때문에, 적재하기가 편리하고, 여러 층으로 쌓아 올려도 쓰러지지 않으며, 미관이 수려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팩부재(60)에 수납된 수납 대상물은 케이스부재(40)의 투명창(41)을 통해 외부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축 팩의 팩킹 구조는 종래와 달리, 수납 대상물이 팩부재의 상,하면으로 볼록하게 튀어 나오지 않게 팩부재를 일정한 형태로 압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팩부재를 적재하기가 용이하고, 미관이 수려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침낭류, 의류 등의 수납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과, 밸로오즈 타입으로 수축 이완되는 주름부를 가진 팩부재; 및
    상기 수납 공간을 개방 또는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주름부를 압축하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팩부재의 상단에 마련된 파스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팩의 팩킹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의 외주 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주름부의 각 피치점에 연속적으로 마련된 고리부재; 및
    상기 고리부재를 통해 상기 팩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가이드봉을 가진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리부재를 통해 각각의 가이드봉을 삽입하고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 대상물을 수납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름부를 압축시킬 때, 상기 주름부가 가이드봉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팩의 팩킹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팩부재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 각각의 하단과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봉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가이드봉 및 지지봉은 그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팩의 팩킹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박스 모양을 가지며 상기 주름부가 그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주름부를 압축하여 팩부재를 실질적으로 내재시킬 수 있는 케이스부재; 및
    상기 팩부재를 케이스부재의 내부 공간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단을 밀폐시킬 수 있는 덮개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 대상물을 수납하고 상기 주름부를 압축시킬 때, 상기 주름부가 케이스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팩의 팩킹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그 내부 공간에 수납된 수납 대상물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팩의 팩킹 구조.
KR20-2003-0018063U 2003-06-09 2003-06-09 압축 팩의 팩킹 구조 KR200326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063U KR200326592Y1 (ko) 2003-06-09 2003-06-09 압축 팩의 팩킹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063U KR200326592Y1 (ko) 2003-06-09 2003-06-09 압축 팩의 팩킹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592Y1 true KR200326592Y1 (ko) 2003-09-19

Family

ID=4941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063U KR200326592Y1 (ko) 2003-06-09 2003-06-09 압축 팩의 팩킹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5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7357A2 (ko) 2010-11-18 2012-05-24 Park Eun Suk 포장대를 이용한 진공포장용기
KR102040875B1 (ko) * 2019-05-20 2019-11-06 신현옥 에어펌프를 구비한 캐리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7357A2 (ko) 2010-11-18 2012-05-24 Park Eun Suk 포장대를 이용한 진공포장용기
KR102040875B1 (ko) * 2019-05-20 2019-11-06 신현옥 에어펌프를 구비한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2849B1 (en) Evacuatable rigid storage unit for storing compressible articles therein
CN201729350U (zh) 真空储存容器
JP2012503579A (ja) 真空包装袋
US6045263A (en) Gift package
USD875390S1 (en) Insulated tote bag
KR101017750B1 (ko) 비닐포장대를 이용한 진공포장용기
KR200326592Y1 (ko) 압축 팩의 팩킹 구조
CN101391682A (zh) 真空收纳箱
KR100812430B1 (ko) 착탈식 수축성 주름막 및 단일방향 배기밸브를 가진수납상자
US3542281A (en) Box and handle for same
US3150813A (en) Bag closure
CN100553520C (zh) 带细绳的手袋
CN114056712A (zh) 一种塑料制可折叠式周转箱
CN106428958A (zh) 翻盖折叠式包装盒
CN211076929U (zh) 一种立体压缩袋
CN209220094U (zh) 一种快抽式易用纸巾盒
CN217416650U (zh) 一种茶叶包装袋
CN219116131U (zh) 一种新型的八边封手挽袋
CN201080267Y (zh) 软塑包装盒
KR20120110854A (ko) 밀폐용기
KR200252431Y1 (ko) 쓰레기통
CN209080429U (zh) 增强缓冲性能的包装结构
CN213215761U (zh) 一种旅游用箱包
JP3109265U (ja) 圧縮容器
CN211870351U (zh) 一种充气自立式垃圾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