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208Y1 - Apparatus for turning page automaticall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urning page automatical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208Y1
KR200326208Y1 KR20-2003-0018672U KR20030018672U KR200326208Y1 KR 200326208 Y1 KR200326208 Y1 KR 200326208Y1 KR 20030018672 U KR20030018672 U KR 20030018672U KR 200326208 Y1 KR200326208 Y1 KR 200326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turning
book
ba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6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호종
김수영
Original Assignee
김호종
김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종, 김수영 filed Critical 김호종
Priority to KR20-2003-0018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20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208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4Leaf turne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페이지 넘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책을 지지하는 책받침부와; 상기 책의 각 페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에 끼워지는 복수의 철편과; 상기 철편에 자기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전자석편을 갖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페이지가 넘겨지는 방향 및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넘김바아와; 상기 넘김바아 하단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진 회동조립체와;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전자석편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전자석편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age turning apparatus, comprising: a book supporter supporting a book; A plurality of iron pieces inserted into at least one corner of each page of the book; A holder having an electromagnet piece magnetically coupled to and decoupled from the iron piece; A turning bar coupled to the holder and rotatab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urning of the page; A rotating assembly comprising an actuat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urning bar; A power supply unit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the actuator and the electromagnet pie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and to selectively turn on / off the power provided to the actuator and the electromagnet piece.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가져 고장 발생률을 줄이면서도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원활하게 동작하여 페이지를 자동으로 보다 원활하게 넘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it has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to reduce the failure rate, but each component operates smoothly with each other to automatically turn the page more smoothly.

Description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Apparatus for turning page automatically}{Apparatus for turning page automatically}

본 고안은,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가져 고장 발생률을 줄이면서도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원활하게 동작하여 페이지를 자동으로 보다 원활하게 넘길 수 있도록 한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ge tur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have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to reduce the failure rate while allowing each component to operate smoothly with each other organically, so that the page can be automatically flipped. It is about page turning device.

일반인들에 있어, 한 쪽 손을 이용하여 책을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쪽 손을 이용하여 페이지(책장)를 넘기면서 책을 읽는 것은 자연스럽고 매우 편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극히 일반적인 자세일지라도 양손을 원활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신체부자유자에게는 결코 쉬운 일만을 아닐 것이다.For the general public, it is natural and very convenient to read a book while holding a book in one hand and using the other hand to turn pages. However, even in this extremely general posture, it will never be easy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who cannot use both hands smoothly.

그러나, 비단 신체부자유자가 아니더라도 피아노 연주자가 피아노를 연주할 경우, 피아노의 연주와 악보를 넘기는 일을 동시에 행할 수는 없다. 이에, 피아노 연주시에는 별도의 보조 연주자가 피아노의 옆에 서서 적절한 시기에 악보를 넘기는 일을 대행하고 있다.However, even if you are not a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ies, if a piano player plays the piano, you cannot perform the performance of the piano and handing over the score at the same time. Therefore, when playing the piano, an additional assistant player stands beside the piano and takes over the sheet music at an appropriate time.

이렇듯, 페이지를 넘기는 일은 아주 쉬운 일임에도 불구하고 사람에 따라 혹은, 장소나 환경에 따라 페이지를 자동으로 넘길 필요성이 많이 대두된다. 이러한필요성에 발맞추어 페이지를 자동으로 넘길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As such, despite the fact that turning pages is very easy, there is a great need for automatically turning pages according to people, places, and environments. In response to this need,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for automatically turning pages.

공개번호 10-1999-000763에 보면, 자동으로 페이지를 넘길 수 있도록 한 페이지 넘김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기술을 보면, 롤러부, 넘김바아, 이송수단, 고정바아, 고정바아 구동수단, 스위치부 및 제어부를 가지고 자동으로 페이지를 넘기려 하고 있다.In Publication No. 10-1999-000763, a page turning device is known for automatically turning pages. In the known art, the roller part, the turning bar, the conveying means, the fixed bar, the fixed bar driving means, the switch part, and the control part try to automatically turn the page.

즉, 제어부가 회전롤러를 구동함과 동시에 넘김바아 승하강모터를 기 설정된 속도로 구동시켜 넘김바아가 책장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한 후, 넘김바아가 책장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면, 이송벨트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넘김바아가 연결된 이송벨트를 좌측으로 회전시킨다.That is, the control unit drives the rotating roller and the turning bar lifting motor at a predetermined speed so that the turning bar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okshelves, and then the conveying bar is driven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okshelves. Drive the motor to rotate the transfer belt to which the transfer bar is connected to the left.

이송벨트의 회전에 따라 넘김바아가 고정바아 측으로 위치 이동하면, 회전톱니에 형성된 치형과 회전판 기어에 형성된 치형이 맞물려서 축봉이 회전하게 되어 고정바아는 책받침부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회전함으로써 페이지가 자동으로 넘겨진다.When the transfer bar moves to the fixed bar sid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belt, the teeth formed on the rotary teeth and the teeth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gear are engaged so that the shaft is rotated so that the fixed bar rotates to be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Is passed.

페이지의 넘김 과정이 종료되면, 제어부는 다시 넘김바아가 하강되도록 넘김바아 승하강모터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이송벨트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넘김바아와 이송벨트가 원위치 되도록 한다. 이 때, 이송벨트의 이동에 의해 회전톱니에 맞물린 회전판 기어가 역회전함으로써 축봉이 역회전하여 고정바아가 다시 책위치로 위치 이동한다.When the page turning process is finished, the controller drives the turning bar lifting motor so that the turning bar is lowered again and reversely rotates the conveying belt driving motor so that the turning bar and the conveying belt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t this tim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gear engaged with the rotary teeth by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belt reverse rotation, the shaft is rotated reversely, the fixed bar is moved back to the book position.

그런데, 공지된 종래의 기술을 보면, 페이지를 넘기기 위해 채용하고 있는 구성요소들이 실질적으로 많다. 따라서 이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한다면 페이지를넘기는 데에 무리가 없어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으며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고장 발생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By the way, in the known prior art, there are substantially many components employed for turning pages. Thus, if they work organically, it may seem easy to turn the page, but it is not easy to apply it in practice, and due to the complicated configuration, the failure rate is high.

이에 본 출원인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가져 고장 발생률을 줄이면서도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원활하게 동작하여 페이지를 자동으로 보다 원활하게 넘길 수 있도록 한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one-page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to have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to reduce the failure rate, and to operate the components smoothly with each other organically, so that the pages can be automatically and smoothly turned over.

본 출원인의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에 의하면, 양손을 사용할 수 없는 신체부자유자 뿐만 아니라 양손으로 연주를 해야 하는 연주자를 비롯하여 편안한 상태에서 책을 보려는 사람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applicant's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it can be very useful for those who want to read a book in a comfortable state, including a player who needs to play with both hands as well as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who cannot use both hand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가져 고장 발생률을 줄이면서도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원활하게 동작하여 페이지를 자동으로 보다 원활하게 넘길 수 있도록 한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incidence of failures by having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while the components operate smoothly with each other organically and smoothly. It's about providing a one-page automatic page feeder for turn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의 일실시예,1 is an embodiment of an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의 다른 실시예,Figure 2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의 페이지에 끼워진 철편의 부분 확대 측면도,3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of the iron piece inserted into the p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도 4는 본 고안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의 홀더 영역의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of a holder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page turning device,

도 5는 본 고안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의 전자석편에 전원이 공급 및 차단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and cut off the electromagnet piece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도 6은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로써 페이지 넘김장치가 피아노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ge turning device is applied to the piano a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책받침부 20 : 철편10: book support 20: iron piece

30 : 구동모터 40 : 홀더30: drive motor 40: holder

41 : 고정보스부 42 : 가동보스부41: high information portion 42: movable boss portion

43 : 홀더바디 43a : 전자석편43: holder body 43a: electromagnet piece

50 : 넘김바아 60 : 회동조립체50: turn-over bar 60: assembly assembly

70 : 전원공급부 80a,80b : 컨트롤러70: power supply unit 80a, 80b: controller

91 : 피아노본체 92 : 건반91: piano body 92: keyboard

100 : 액츄에이터100: actua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책을 지지하는 책받침부와; 상기 책의 각 페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에 끼워지는 복수의 철편과; 정역회전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 철편에 자기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전자석편을 갖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페이지가 넘겨지는 방향 및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넘김바아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넘김바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넘김바아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동조립체와; 상기구동모터 및 상기 전자석편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전자석편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ok support for supporting the book; A plurality of iron pieces inserted into at least one corner of each page of the book; A forward and reverse drive motor; A holder having an electromagnet piece magnetically coupled to and decoupled from the iron piece; A turning bar coupled to the holder and rotatab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urning of the page; A rotating assembly interposed between the driving motor and the turning bar to conver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into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turning bar; A power supply unit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 and the electromagnet piece; By providing a page automatic turn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and selectively turn on / off the power provided to the drive motor and the electromagnet piece Is achieved.

여기서, 상기 책받침부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책이 파지되는 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책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를 갖는다.Here, the book support portion has a body portion and a lower support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ok is gripped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book.

상기 몸체부는 상기 구동모터, 상기 홀더, 상기 넘김바아, 상기 회동조립체 및 상기 전원공급부가 부분적으로 노출되거나 혹은 모두 수용되는 판상체 또는 통상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art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plate or a body in which the driving motor, the holder, the turning bar, the pivot assembly, and the power supply part are partially exposed or all received.

상기 철편은 상기 페이지의 각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구되고 개구된 양단이 상호 접촉하는 인력의 극성을 가지며, 상기 페이지의 양단 하측 모서리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The iron piece has a polarity of attraction that one end is opened so that each edge of the page is inserted and the open end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ay be selectively fitted to the lower edges of both ends of the page.

상기 홀더는, 상기 책의 크기에 따라 상기 넘김바아의 일영역에 장착되는 한편 일측에 스토퍼가 형성된 고정보스부와; 상기 고정보스부에 형성된 스토퍼에 배치되는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보스부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보스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가동보스부와; 상기 가동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보스부와 함께 회전하며 판면에 상기 전자석편이 장착된 홀더바디를 포함한다.The holder may be mounted on one region of the turning ba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ok while having a stopper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movable boss portion having a protrusion disposed on the stopper formed in the high intelligence portion and arrang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the high intelligence portion to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high intelligence portion; The holder body is connected to the movable boss portion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movable boss portion and the electromagnet piece is mounted on a plate surface.

상기 회동조립체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랙과; 상기 랙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어 상기 넘김바아의 일단이 고정되는 축봉을 포함한다.The rotating assembly includes a rack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motor; A pinion which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rack; It is connected to the pinion includes a shaft that is fixed to one end of the falling bar.

상기 축봉을 상기 책받침부에 고정시키는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for fixing the shaft rod to the book support.

상기 브래킷에 마련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이 형성되는 고정단자부와; 상기 축봉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페이지를 넘기기 전에는 상기 고정단자부에 접촉하여 상기 전자석편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넘김바아가 회동하여 상기 페이지가 적어도 반 이상 넘어가는 시점에서는 상기 고정단자부로부터 접촉해제되어 상기 전자석편으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가동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A fixed terminal unit provided on the bracket and configured to provid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It is provided on the shaft and is selectively contacted with the fixed terminal portion, and before turning the page contact the fixed terminal portion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magnet piece, when the turning bar is rotated at least half the page is fixed It is advantageous to further include a movable terminal portion which is disconnected from the terminal portion to cut off power to the electromagnet piece.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책받침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book holder.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ge tu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1)는, 책을 지지하는 책받침부(10)와, 책의 각 페이지(P) 중 양측의 하단 모서리에 끼워지는 복수의 철편(20)과, 정역회전가능한 구동모터(30)와, 철편(20)에 자기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전자석편(43a)을 갖는 홀더(40)와, 홀더(40)에 결합되어 페이지(P)가 넘겨지는 방향 및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넘김바아(50)와, 구동모터(30)와 넘김바아(50)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넘김바아(5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동조립체(60)와, 구동모터(30) 및 전자석편(43a)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와, 컨트롤러(80a)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page turn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ok supporting portion 10 for supporting a book, and a plurality of iron pieces fitted to lower edges of both sides of each page P of the book. A holder 40 having a drive motor 30 that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an electromagnet piece 43a that is magnetically coupled to and decoupled from the iron piece 20, and a page coupled to the holder 40. Rotational movement of the turning bar 50 passing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turning bar 50 and the driving motor 30 and the turning bar 50 which are rotatable in a direction in which P is passed and the opposite direction. And a rotation assembly (60) for converting the power, a power supply unit (70)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 (30) and the electromagnet piece (43a), and a controller (80a).

책받침부(10)는, 책을 받치는 부분으로써 본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1)의 몸체에 해당한다. 이러한 책받침부(10)는 그 위치에 따라, 몸체부(12)와, 몸체부(12)의 판면으로부터 책이 파지되는 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책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14)를 갖는다. 몸체부(12)는 다시, 구동모터(30)가 놓여지는 가로판(12a)과, 가로판(12a)에 대해 세워지는 세로판(12b)으로 이루어진다.The book support part 10 corresponds to the body of the page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1 as a part supporting the book. The book support portion 10,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 body portion 12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14 protruding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ok is gripped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book Has The body portion 12 is again composed of a horizontal plate 12a on which the drive motor 30 is placed, and a vertical plate 12b erected relative to the horizontal plate 12a.

이 때, 몸체부(12)는 전술한, 구동모터(30), 홀더(40), 넘김바아(50), 회동조립체(60) 및 전원공급부(70)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판상체(도 1 참조)로 형성될 수도 있거니와, 혹은 이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통상체(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12 is a plate-like body so as to partially expose the drive motor 30, the holder 40, the turning bar 50, the rotation assembly 60 and the power supply 70 described above. Or a common body (not shown) capable of accommodating all of them.

전자의 판상체일 경우에는 본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1)를 피아노(도 5 참조) 등에 올려놓을 경우에 사용하기가 유리하고, 후자의 통상체일 경우에는 독서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case of the former platelet, it is advantageous to use this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1 on a piano (see FIG. 5) or the like, and in the latter case, it may be used for reading.

철편(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조되어 페이지(P)의 양단 하측 모서리에 선택적으로 끼워진다. 이 때, 철편(20)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일 될 수도 있고, 혹은 삼각 형상이 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iron piece 20 is manufactured separately and selectively fitted to both bottom edges of the page P.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iron piece 20 may be a rectangular shape, or may be a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Figs.

이러한 철편(20)은 페이지(P)의 각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구(20a)되고 개구(20a)된 양단이 상호 접촉하는 인력의 극성을 갖는다. 즉, 도 3에서, 일측의 영역(21)이 (+)의 극성을 가지고, 타측의 영역(22)이 (-)의 극성을 갖는다면, 그 사이로 페이지(P)가 쉽게 끼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이지(P)로부터 철편(2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물론, 페이지(P)를 넘기는데 있어 구속을 받지 않도록 철편(20)은 그 두께가 비교적 얇고 중량이 가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ron piece 20 has the polarity of the attraction force that one end of the opening (20a) and both ends of the opening (20a) contact each other so that each corner of the page (P) is inserted. That is, in FIG. 3, if the region 21 on one side has a polarity of (+) and the region 22 on the other side has a polarity of (−), the page P can be easily inserted therebetwee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ron piece 20 from being randomly separated from the page P. Of course, the iron piece 20 is preferably formed to be relatively thin in thickness and light in weight so as not to be restrained in turning the page P.

홀더(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의 크기에 따라 넘김바아(50)의 일영역에 장착되는 한편 일측에 스토퍼(41a)가 형성된 고정보스부(41)와, 고정보스부(41)에 형성된 스토퍼(41a)에 배치되는 돌기부(42a)를 가지고 고정보스부(41)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정보스부(41)에 대해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가동보스부(42)와, 가동보스부(42)에 연결되어 가동보스부(42)와 함께 회전가능하며 판면에 전자석편(43a)이 장착된 홀더바디(4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holder 40 is mounted on one region of the turn-over bar 5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ok while having a stopper 41a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high intelligence portion. A movable boss portion having a projection portion 42a disposed on the stopper 41a formed in the 41 and arrang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the high intelligence portion 41 to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high intelligence portion 41 ( 42 and a holder body 43 connected to the movable boss portion 42 and rotatable together with the movable boss portion 42 and on which the electromagnet piece 43a is mounted on the plate surface.

이 때, 고정보스부(41)와 가동보스부(42)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고정보스부(41)에 대해 가동보스부(42)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가동보스부(4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ovable boss portion 4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gh intelligence portion 41 in one of the high intelligence portion 41 and the movable boss portion 42, the movable boss portion 42 is rotated. It may be advantageous that a return spring (not shown) is provided for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전자석편(43a)은,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전자석시트와 철심, 그리고 코일로 이루어져 있다. 코일에는 전원공급부(70)로부터의 전원이 제공되는데, 그 경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64)에 형성되고 전원공급부(70)에 연결된 고정단자부(64a)를 통해, 축봉(63)에 형성된 가동단자부(63a)를 거쳐 넘김바아(50) 내부에 배치된 전선(미도시)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electromagnet piece 43a consists of an electromagnet sheet, an iron core, and a coil. The coil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70, the path of which is formed in the bracket 64 and through the fixed terminal unit 64a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70, as shown in FIG. 5. It may be provided through an electric wire (not shown) disposed in the turn bar 50 via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63a formed in the 63.

이러한 전자석편(43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P)를 넘기기 전 상태에서는 전원공급부(7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페이지(P)에 끼워진 철편(20)에 부착된다.As shown in FIG. 1, the electromagnet piece 43a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70 and is attached to the iron piece 20 inserted into the page P in a state before the page P is turned over.

그러다가, 구동모터(30) 및 회동조립체(60)의 상호작용에 의해 넘김바아(50)가 회전할 경우, 페이지(P)가 반쯤 넘어간 지점에서부터 전원공급부(70)로부터의 전원이 끊어진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63)에 형성된 가동단자부(63a)가 전원이 인가되는 고정단자부(64a)로부터 떨어지는 시점이다.Then, when the turning bar 50 rotates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driving motor 30 and the rotation assembly 60,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70 is cut off from the point where the page P is half over. This is a time point when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63a formed in the shaft rod 63 falls from the fixed terminal portion 64a to which power is applied, as shown in FIG. 5.

따라서, 페이지(P)가 반 이상 넘어간 시점에 이르면, 전자석편(43a)이 철편(20)으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페이지(P)는 그 자중에 의해 넘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page P reaches more than half, the electromagnet piece 43a is separated from the iron piece 20 so that the page P can be turned over by its own weight.

만일, 전자석편(43a)에 전원이 끊어진 상태에서, 전자석편(43a)이 넘김바아(50)의 축에 대해 임의로 회전된다면, 다음 페이지(P)를 넘기기 위한 작업을 위해 전자석편(43a)이 철편(20)에 부착되기가 곤란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정보스부(41)에 대해 가동보스부(42) 측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수단으로 스토퍼(41a)와 돌기부(42a)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If the electromagnet piece 43a is arbitrarily rotated about the axis of the turn-over bar 50 in a state where the power is cut off from the electromagnet piece 43a, the electromagnet piece 43a is turned to work for turning the next page P. It will be difficult to attach to the iron piece 20.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41a and the projection 42a are formed as a means for preventing the movable boss 42 side from rotating arbitrarily with respect to the high intelligence portion 41.

회동조립체(60)는, 구동모터(30)의 회전축(30a)에 결합된 워엄(61)과, 워엄(61)에 맞물려 회전하는 워엄기어(62)와, 워엄기어(62)에 연결되어 넘김바아(50)의 일단이 고정되는 축봉(63)을 포함한다. 축봉(63)은 브래킷(64)에 의해 책받침부(10)에 고정된다. 한편, 축봉(63)과 브래킷(64) 사이에는 축봉(63)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ng assembly 60 is connected to the worm 61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0a of the drive motor 30, the worm gear 62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worm 61, and the worm gear 62. One end of the bar 50 includes a shaft rod 63 is fixed. The shaft rod 63 is fixed to the book holding portion 10 by the bracket 64.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bearing (not shown) is interposed between the shaft rod 63 and the bracket 64 for smooth rotation of the shaft rod 63.

한편, 상기한 워엄(61)은 랙기어로, 워엄기어(62)는 피니언으로도 실시가능하며, 첨부 도면 도 2는 이것을 도시한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같이 이와같은 구동모터와 기어조립구조를 단지 액츄에이터(100)로 변경하여 실시할 경우 그 구조와 작동성을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orm 61 is a rack gear, the worm gear 62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pinion, Figure 2 i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particular, when the drive motor and gear assembly structure is changed to only the actuator 100 as described below, the structure and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63)에는 넘김바아(50)의 회전시 축봉(63)과 함께 동회전하는 가동단자부(63a)가 마련되어 있다. 가동단자부(63a)는 축봉(63)의 회전에 연동하여 브래킷(64)에 형성된 고정단자부(64a)와 선택적으로 접촉 및 접촉해제된다.As shown in FIG. 5, the shaft bar 63 is provided with a movable terminal portion 63a which co-rotates with the shaft bar 63 when the turning bar 50 is rotated.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63a selectively contacts and releases contact with the fixed terminal portion 64a formed on the bracket 64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rod 63.

이에, 구동모터(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워엄(61) 및 워엄기어(62)가 차례로 회전한다. 워엄기어(62)의 회전에 의해 축봉(63)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축봉(63)에 연결된 넘김바아(50)는 도 1에서 도 2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구동모터(30)가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넘김바아(50)는 다시 도 2의 방향에서 도 1의 방향으로 복귀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riving motor 3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worm 61 and the worm gear 62 rotate in turn in association with the driving motor 30. As the shaft bar 63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worm gear 62, the turning bar 50 connected to the shaft bar 63 rotates in the direction of FIG. 1 to FIG. 2. On the contrary, when the driving motor 3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turning bar 50 returns from the direction of FIG. 2 to the direction of FIG. 1.

한편, 컨트롤러(80a)는, 구동모터(3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한편 구동모터(30) 및 전자석편(43a)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한다. 따라서, 별도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컨트롤러(80a)에는 위의 사항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모드스위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80a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30 and selectively turns on / off the power provided to the drive motor 30 and the electromagnet piece 43a. Therefore,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it is advantageous to have a plurality of mode switches in the controller 80a to select the above items.

이러한 컨트롤러(80a)는, 버튼식으로 되어 책받침부(10)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고, 혹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거리 조정가능한 별도의 리모컨 타입이 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80a may be a button type and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book support 10, or may be a separate remote control type that can be remotely adjusted as shown in FIG. 1.

이러한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1)의 작동과정을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5 as follows.

우선, 책의 각 페이지(P) 양단 하측 모서리에 철편(20)을 각각 끼운다. 그런 다음,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넘김바아(50)가 책의 우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하고, 홀더(40)의 전자석편(43a)이 철편(20)에 접촉하도록 한다.First, the iron pieces 2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 the lower edge of each page P of a book. Then, in the state shown in FIG. 1, the turning bar 50 is disposed in the right region of the book, and the electromagnet piece 43a of the holder 40 is in contact with the iron piece 20.

전자석편(43a)이 철편(20)에 접촉한 초기 상태(도 5의 "A" 참조)에서는, 축봉(63)에 형성된 가동단자부(63a)가 전원공급부(70)와 연결도어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고정단자부(64a)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자석편(43a)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된다.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electromagnet piece 43a contacts the iron piece 20 (see "A" in FIG. 5), the movable terminal part 63a formed on the shaft rod 63 is applied with the power supply unit 70 and the connection door power source. Since it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terminal portion 64a,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piece 43a.

이렇게 준비된 상태에서, 컨트롤러(80a)를 작동하여 전원공급부(70)로부터 구동모터(30)로 소정의 전원이 제공되도록 한다. 전원공급부(70)에 의해 구동모터(30)의 회전축(30a)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워엄(61)이 회전하여 워엄기어(62)를 회전시킨다.In this prepared state, the controller 80a is operated so that predetermined power is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70 to the driving motor 30. When the rotation shaft 30a of the driving motor 3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power supply unit 70, the worm 61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worm gear 62 to rotate the worm gear 62.

그러면, 워엄기어(62)에 결합된 축봉(63)이 워엄기어(62)와 동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넘김바아(50)를 도 5의 "A"영역에서 "B"영역을 향해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넘김바아(50)가 "B"영역에 이르기까지는 가동단자부(63a)가 고정단자부(64a)에 계속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자석편(43a)에는 계속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전자석편(43a)은 철편(20)과 접촉을 유지하면서 철편(43a)을 끌어당기게 된다.Then, the shaft bar 63 coupled to the worm gear 62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orm gear 62 and starts to rotate the turning bar 50 toward the "B" region in the "A" region of FIG. . Until the turning bar 50 reaches the " B " region,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63a is continuously in contact with the fixed terminal portion 64a,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piece 43a continuously. Therefore, the electromagnet piece 43a attracts the iron piece 43a while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iron piece 20.

넘김바아(50)가 회전을 계속하여, "B"영역을 지나는 시점에 이르면, 즉, 페이지(P)가 반 이상 넘어간 상태에 이르면, 가동단자부(63a)가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고정단자부(64a)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전자석편(43a)에는 전원이 차단된다.When the turning bar 50 continues to rotate and reaches the time when it passes the "B" area, that is, when the page P is over half or more, the fixed terminal portion 64a to which the movable terminal portion 63a is supplied with power. ), The power is cut off to the electromagnet piece (43a).

그러나, 이미 페이지(P)는 반 이상 넘어간 상태가 되므로, 이 시점부터는 전자석편(43a)에 의한 자기적인 힘이 아닌, 페이지(P)의 자체 하중에 의해 넘어가게 된다(도 5의 "C" 참조).However, since the page P has already been turned over by half, from this point on, the page P is turned over by the self load of the page P, not the magnetic force caused by the electromagnet piece 43a ("C" in FIG. 5). Reference).

이처럼 전자석편(43a)에 전원이 차단되는 한편 페이지(P)가 자체 하중에 의해 넘어가는 시점(도 5의 "C" 참조)에 이르면, 구동모터(30)가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넘김바아(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As such, when the power is cut off to the electromagnet piece 43a and the page P reaches the point of time when the page P is crossed by its own load (see “C” in FIG. 5), the driving motor 3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Return the turning bar 50 to its original position.

물론, 넘김바아(50)가 도 5의 "D" 지점까지 움직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미 "C" 지점에서 페이지(P)가 넘겨진 상태가 되므로, 굳이 넘김바아(50)가 도 5의 "D" 지점까지 움직일 필요는 없다. 한편, "C" 지점에서, 돌기부(42a)는 스토퍼(41a)에 의해 그 궤적이 제한되므로 고정보스부(41)에 대해 가동보스부(42)가 임으로 회전하는 것은 저지된다. 결국, 고정보스부(41) 및 가동보스부(42)로 인해, 전자석편(43a)은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the turning bar 50 may be configured to move up to the point "D" in FIG. 5, but since the page P is already turned over at the point "C", the turning bar 50 is firmly referred to in FIG. 5. There is no need to move to the D "point. On the other hand, at the point "C", since the projection part 42a is limited by the stopper 41a, the rotation of the movable boss part 42 with respect to the high information part 41 is prevented. As a result, due to the high information portion 41 and the movable boss portion 42, the electromagnet piece 43a can always maintain a constant position.

하나의 페이지(P)를 넘기고 나서 구동모터(3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넘김바아(50)가 다시, "B"지점을 통과하여 "A" 지점으로 향하는 도중 , 축봉(63)에 형성된 가동단자부(63a)가 전원공급부(70)와 연결도어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고정단자부(64a)에 접촉하게 되므로 전자석편(43a)에는 다시 전원이 인가된다.The movable terminal portion formed on the shaft 63 while the turning bar 50 passes through the "B" point to the "A" point again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30 after turning one page P. Since the 63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ed terminal portion 64a to which the power supply unit 70 and the connection door power are applied, power is again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piece 43a.

전자석편(43a)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A"지점에 도달한 전자석편(43a)은 다음 페이지에 끼워진 철편(20)에 자기적으로 접촉한다. 그러면, 구동모터(30)가다시 최초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넘김바아(50)는 회동조립체(60)의 유기적 작동에 의해, 도 5의 "A"지점에서 "B" 및 "C"지점으로 회전하면서 해당 페이지를 넘기게 되는 것이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piece 43a, the electromagnet piece 43a reaching the "A" point magnetically contacts the iron piece 20 sandwiched on the next page. Then, the drive motor 30 is rotated again in the first direction, the turning bar 50 is the "B" and "C" point at the "A" point of Figure 5 by the organic operation of the rotating assembly 60. Rotate to to turn the page.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가져 고장 발생률을 줄이면서도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원활하게 동작하여 페이지(P)를 자동으로 보다 원활하게 넘길 수 있도록 한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1)가 제공된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page automatic flipping device having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reducing the occurrence rate of failures, so that each component operates smoothly with each other organically and automatically turns the page P more smoothly (1) ) Is provided.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은 독서를 하는 등, 일반적인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1)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 6을 보면, 앞서 설명한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1)가 피아노에 적용된 사례에 대해 실시예로써 도시하고 있다.In the meantime,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hows a general page turning apparatus 1, such as reading. However, referring to FIG. 6, an example is shown for the case where the above-described page turning device 1 is applied to a piano.

도 6을 참조하면, 피아노는, 피아노본체(91)와, 건반(92)과, 건반(92)을 회동개폐하는 덮개(93)와, 피아노본체(91)의 하단에 마련되는 조율발판(94)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6, the piano includes a piano body 91, a keyboard 92, a lid 93 for rotating and opening the keyboard 92, and a tuning pedal 94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iano body 91. Has

이러한 피아노를 보면, 덮개(93)의 내부에 악보를 올려놓기 위한 악보받침대(미도시)가 마련되는데, 이 영역에 본 고안의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1)의 책받침부(10)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컨트롤러(80b)는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피아노의 하단 조율발판(94)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하여 왼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Looking at such a piano, there is provided a music stand (not shown) for placing the music in the cover 93, the book support 10 of the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is area. And, unlike the one shown in Figure 1, the controller 80b is provid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tuning pedal 94 of the piano to be adjusted to the left foot.

이러한 상태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다가 악보를 넘기는 시점에 이르면, 연주시 사용하지 않던 왼발을 이용하여 컨트롤러(80b)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앞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페이지(P)가 넘겨지기 때문에 연주자는 다음 악보를 보면서 연주를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피아노 연주 과정시 별도의 보조 연주자가 악보를 대신 넘겨주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playing the piano in this state and reaching the time when the score is reached, the controller 80b is operated by using the left foot, which was not used at the time of playing. Then, since the page P is tur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player can perform the performance while watching the next sheet music. Therefore, as in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that the separate assistant player must pass the sheet music instead during the piano playing process.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1)를 채용하게 되면, 양손을 사용할 수 없는 신체부자유자 뿐만 아니라 양손으로 연주를 해야 하는 연주자를 비롯하여 편안한 상태에서 책을 보려는 사람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when the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it can be very useful for those who want to read a book in a comfortable state, including not only physically disabled persons who cannot use both hands but also performers who need to play with both hands. There will b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책의 종류에 대해 별도로 설명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통상의 책을 보면, 페이지(P) 하나당 그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책들 모두에 본 고안의 사상을 그대로 적용하고자 한다면, 서로 다른 넘김바아(50)를 채용하거나 혹은, 넘김바아(50)에 결합된 홀더(40)의 위치를 가변하면 될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type of book is not described separately. However, in a typical book, it can be seen that the size of each page (P) is different. If you want to apply the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 of these books as it is, it is necessary to employ a different turning bar 50, o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holder 40 coupled to the turning bar 50.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80a,80b)를 동작시켜 페이지(P)를 하나씩 넘기고 있으나, 구동모터(30)에 별도의 타이머를 더 장착하고 컨트롤러(80a,80b)에서 타이머를 세팅할 수 있도록 한다면, 한 번의 작동으로 소정 시간간격으로 페이지가 하나씩 넘어갈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ages P are turned one by one by operating the controllers 80a and 80b, but a separate timer is further mounted on the driving motor 30 and the timers can be set by the controllers 80a and 80b. If so, the pages may be turned one by one in a single operation.

첨부 도면중 도 7은 본 고안 회동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제 적용도면으로서 구동모터와 기어들의 조립구조를 액츄에이터(100)로 단순화한 경우이다. 앞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예들에 비하여 구동력이 우수하고, 구조도 간단한 잇점이 있다.7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premise application drawing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ivo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drive motor and gears is simplified by the actuator 100. The driving force is superior to the various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the structure is simp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가져 고장 발생률을 줄이면서도 각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원활하게 동작하여 페이지를 자동으로 보다 원활하게 넘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to reduce the failure rate, and each component operates smoothly with each other organically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turning the page more smoothly.

Claims (10)

책을 지지하는 책받침부와;A book support for supporting a book; 상기 책의 각 페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에 끼워지는 복수의 철편과;A plurality of iron pieces inserted into at least one corner of each page of the book; 상기 철편에 자기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전자석편을 갖는 홀더와;A holder having an electromagnet piece magnetically coupled to and decoupled from the iron piece; 상기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페이지가 넘겨지는 방향 및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넘김바아와;A turning bar coupled to the holder and rotatab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urning of the page; 정역회전가능한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축상에 설치되는 워엄과 상기 넘김바아에 설치된 워엄기어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넘김바아를 회전시키는 회동조립체와;A rotating assembly for rotating the turning bar wit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comprising a drive motor capable of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a worm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 worm gear installed on the turning bar;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전자석편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A power supply unit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 and the electromagnet piece;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전자석편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and selectively turning the power provided to the drive motor and the electromagnet piece on and off.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책받침부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책이 파지되는 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책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The book support portion, the page automatic page tur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wer support portion protruding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ok is gripped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book.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몸체부는 상기 구동모터, 상기 홀더, 상기 넘김바아, 상기 회동조립체 및 상기 전원공급부가 부분적으로 노출되거나 혹은 모두 수용되는 판상체 또는 통상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The body portion automatic page tur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y one of the drive motor, the holder, the turning bar, the rotating assembly and the plate-shaped body or the ordinary body is partially exposed or all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철편은 상기 페이지의 각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구되고 개구된 양단이 상호 접촉하는 인력의 극성을 가지며, 상기 페이지의 양단 하측 모서리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The iron piece has a polarity of the attraction end is opened so that each edge of the page is inserted and the open end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age automatic tu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ively fitted to the lower edge of the both ends of the pa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홀더는,The holder, 상기 책의 크기에 따라 상기 넘김바아의 일영역에 장착되는 한편 일측에 스토퍼가 형성된 고정보스부와;A high information unit mounted on one region of the turning bar and having a stopper formed at one side thereof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ok; 상기 고정보스부에 형성된 스토퍼에 배치되는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보스부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보스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가동보스부와;A movable boss portion having a protrusion disposed on the stopper formed in the high intelligence portion and arranged side by side with respect to the high intelligence portion to rotat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high intelligence portion; 상기 가동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보스부와 함께 회전하며 판면에 상기 전자석편이 장착된 홀더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And a holder body connected to the movable boss portion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movable boss portion, wherein the electromagnet piece is mounted on a plat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동조립체는,The pivot assembly, 소정의 전원공급으로 반복회동하는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An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uator rotates repeatedly with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동조립체는,The pivot assembly,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랙과, 상기 랙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어 상기 넘김바아의 일단이 고정되는 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And a drive motor, a rack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drive motor, a pinion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rack, and a shaft rod connected to the pinion to which one end of the turn-over bar is fixed.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축봉을 상기 책받침부에 고정시키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Page turn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bracket for fixing the shaft to the book suppor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브래킷에 마련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이 형성되는 고정단자부와;A fixed terminal unit provided on the bracket and configured to provid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축봉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페이지를 넘기기 전에는 상기 고정단자부에 접촉하여 상기 전자석편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넘김바아가 회동하여 상기 페이지가 적어도 반 이상 넘어가는 시점에서는 상기 고정단자부로부터 접촉해제되어 상기 전자석편으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가동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It is provided on the shaft and is selectively contacted with the fixed terminal portion, and before turning the page contact the fixed terminal portion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magnet piece, when the turning bar is rotated at least half the page is fixed And a movable terminal portion which is disconnected from the terminal portion and cuts power to the electromagnet pie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책받침부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The controller is automatic page tur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book support.
KR20-2003-0018672U 2003-06-13 2003-06-13 Apparatus for turning page automatically KR2003262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672U KR200326208Y1 (en) 2003-06-13 2003-06-13 Apparatus for turning page automatical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672U KR200326208Y1 (en) 2003-06-13 2003-06-13 Apparatus for turning page automatical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208Y1 true KR200326208Y1 (en) 2003-09-06

Family

ID=4933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672U KR200326208Y1 (en) 2003-06-13 2003-06-13 Apparatus for turning page automatical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20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812A (en) * 2019-02-12 2020-08-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age turner operated acoording to movement of eyeball or voice and method at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812A (en) * 2019-02-12 2020-08-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age turner operated acoording to movement of eyeball or voice and method at the same
KR102148165B1 (en) 2019-02-12 2020-08-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age turner operated acoording to movement of eyeball or voice and method at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5345A (en) Synchronized combined sound and sight entertainment and educational system
US4160334A (en) Reversible page turner
KR200326208Y1 (en) Apparatus for turning page automatically
US20070285742A1 (en) Electronic Page Turner with Improved Pickup Mechanism
JPH10137045A (en) Apparatus for music stand and reading easel
JP2007327298A (en) Opening/closing door device
US4780977A (en) Page turning apparatus
KR100284327B1 (en) Automatic page turning
JPH0263410A (en) Automatic reading device
JP2019093647A (en) Page-opening device
JP2006061224A (en) Robo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robot device
US20060196344A1 (en) Page turning apparatus
JPH0547433Y2 (en)
KR960005639Y1 (en) Device for turning musical note
JPH0434790Y2 (en)
KR200209652Y1 (en) Music stand that automatically turns the score
JPH083328Y2 (en) Kitchen
JPH09265860A (en) Push-switch-equipped rotary electronic component
JPS6232327Y2 (en)
JPS6232323Y2 (en)
KR200252975Y1 (en) device for automatic page sorting
KR200207054Y1 (en) A music-rack having device of turning the leaves of music book
GB2281904A (en) Page turner.
JPH01271296A (en) Automatic page turn-over device of book
JPS6120713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