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591Y1 -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 Google Patents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591Y1
KR200325591Y1 KR20-2003-0016660U KR20030016660U KR200325591Y1 KR 200325591 Y1 KR200325591 Y1 KR 200325591Y1 KR 20030016660 U KR20030016660 U KR 20030016660U KR 200325591 Y1 KR200325591 Y1 KR 200325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ceiling plate
ceiling
fixture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 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 창
Priority to KR20-2003-0016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57Longitudinally-externally threaded elements extending from the concrete or masonry, e.g. anchoring bolt with embedded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시에 안정정착되고, 정착 상태의 인서트부재와 강고하게 결합되는 수평조절부재를 구비하며, 건물의 슬라브 시공시 매입되는 인서트부재의 상단에 보강용 철근의 종,횡 교차점을 형성하는 배근수단을 겸용한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에 관한 것으로
나선부재(110)와, 이 나선부재(110)가 나선관통되는 베이스부재(120)로 이루어지고, 그 저부에 관공(132)이 형성된 이탈부재(130)가 내장되어 천장 슬라브에 매설되는 인서트부재(100);및 상기 나선부재(110)에 나사로 맞추어져 높이가 조절되도록 나사공(212)을 형성한 ㄱ자형의 헤드부(210)와, 이 헤드부(210)에서 직각으로 절곡,연결되고 그 양연부를 따라 톱니(222)를 형성하여 찬넬부재를 현수고정하기 위한 스템(220)으로 이루어진 수평조절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부재(110)의 상단에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을 배근함에 필요한 받침부재(300)도 갖춘 천장판 현수 고정금구이다.

Description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Ceiling panel suspension fixture}
본 고안은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장판이 부착되는 찬넬부재를 현수상태로 걸기 위한 수평조절부재를 나사맞춤으로 인서트부재에 연결가능하게 하므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건물의 천장슬라브 시공시 철근의 배치간격이 자연스럽게 결정되는 철근 받침구조가 제공되는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판을 현수설치하기 위해서는 첨부 도면 도 1a 내지 도 1e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은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가 건물 시공시 슬라브바닥측에 매입시공된다.
이러한 매입시공된 고정구중 도 1a에서 도시하는 것은 톱니가 형성된 수평조절부재의 상단이 슬라브에 매설된 고정부재의 저면 공간을 통하여 수평조절부재 상단을 끼우고 회전시켜 걸리게 하는 구조로서 그 상단의 걸림상태가 단지 상단의 걸림구조에만 의존하여 천장판 전체를 현수지지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약한 단점이 있고, 구멍에 콘크리트를 함입할 경우 거푸집에서 이탈되는 현상도 발생한다.
첨부 도면중 도 1b는 종래 천장판을 지지하는 고정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콘크리트 슬라브에 너트가 매입된 헤드부를 위치시키고, 하단으로 길게 관통되는 파이프상으로 현수시킨 구조로서 하단에서 수평조절부재와 같은 나사봉을 관착시켜 나사맞춤되게 회전한 뒤 사용하는 것으로 시공후 콘크리트면의 높낮이에 따른 굴곡면의 편차가 발생되는 경우 헤드부가 경사지게 고정되어 나사봉에 나삽되는 수평조절부(지지편)가 경사지게 결합되고 여기에 천장판을 현수설치할 경우 무리하게 수평을 유지해야 되므로 나사봉이 휘어지며, 인위적으로 절단해야 되는 단점도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면에 매설되는 금속재의 굴곡된 고정편의 하부면 상측에 나선관을 하향돌출시키고, 이에 나삽되는 금속재의 나사봉을 합성수지재 지지편에 사출성형하여 천장판을 시공하는 도 1c의 고정구도 있으나, 이 고정편의 하부면 상측에 나선관을 돌출 형성하는 작업이 난해함은 물론, 상기 나선관이 나사봉에 나사맞춤으로 결합될 경우 나선관의 형상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가 어려워 고정효과를 얻지 못함은 물론 나사결합상태가 강고하지 못하며, 콘크리트면과 고정편의 나선관 사이의 간격이 제한적이므로 나선봉의 나선결합에도 문제가 있었다.
첨부 도면중 도 1d에서 도시하는 고정구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키 위하여 1996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471호로 개발되었으나 이 또한 합성수지재 지지편의 중앙부 유동공에 나삽되는 금속재 나선봉이 천장판의 중량에 의해 유동공 외주연의 보강편이 파손되어 이탈되는 위험성이 있으며, 콘크리트 슬라브공사 시공시에 철근 조립된 바닥에 이를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들의 이동시에 쉽게 유동되어 시공후 그 바닥측 에서 불안정하게 정착되어 수평조절부재등의 현수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한 종래 여러가지 예의 천장판 현수용 고정구들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슬라브 시공시에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천장판 현수 시공시에도 그에 나사맞춤되는 수평조절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며, 결합상태가 강고한 천장판 현수현수용 고정금구가 필요로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천장판 현수현수용 고정금구가 갖는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시에 안정적으로 정착고정되고, 정착 상태의 인서트부재와 강고하게 결합되는 수평조절부재로 이루어진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과 아울러 건물의 슬라브 시공시 매입되는 인서트부재의 상단에 보강용 철근의 종,횡 교차점을 받치도록 하여 철근 배치설계없이 일정간격으로 철근이 배근되는 배근수단을 겸용한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도 1a,1b,1c,1d는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들의 여러가지 적용예들이고,
도 2는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a,4b는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분해사시도 및 설치단면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그 설치사시도이고,
도 6a,6b는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받침부재(300)와 인서트부재(100)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도 7은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다른 실시예의 슬라브 배근설치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인서트부재,110:나선부재,111:헤드부,112:나선부,114:안착부,
120:베이스부재,121:관공, 122:판면,124:고정부,130:이탈부재, 132:관공,
200:수평조절부재,210:헤드부, 212:나사공, 220:스템,222:톱니.
300:받침부재,310:헤드부, 312:개구부, 314:날개부, 320:나선부,330:끼움공.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는 나선부재와, 이 나선부재가 나선관통되는 베이스부재로 이루어져 천장 슬라브에 매설되는 인서트부재;및 상기 나선부재에 나사로 맞추어져 높이가 조절되도록 나사공을 형성한 ㄱ자형의 헤드부와, 이 헤드부에서 직각으로 절곡,연결되고 그 양연부를 따라 톱니를 형성하여 찬넬부재를 현수고정하는 수평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로서 달성된다.
상기한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는 상기 나선부재의 상단에 콘크리트보강용 철근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받침부재는 그 상단이 타원형의 받침홈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나선부재 상단에 나사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a,4b는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분해사시도 및 설치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는 크게 인서트부재(100)와 수평조절부재(200)로 구분된다.
인서트부재(100)는 나선부재(110)와, 이 나선부재(110)가 나사맞춤으로 관통되는 베이스부재(120)로 이루어진다.
나선부재(110)는 일반적인 볼트가 적당하며, 그 길이는 제한된다. 베이스부재(12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하방이 개구된 납작한 원통형을 이루며,그 양측면으로 판상으로 연장되는 고정부(124)를 형성하고, 그 판면(122)에는 나선이 형성된 관공(121)을 형성하며, 그 저부에는 관공(132)이 형성된 이탈부재(130)가 공간상에 안착되어 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인서트부재(100)는 건물의 천장슬라브 시공시 그 바닥측에 소정의 설계된 간격으로 나선부재(110)가 나사맞춤된 상태로 판면(122)이 위로오게 콘크리트슬라브에 매설되며, 슬라브 타설후 슬라브 천장면 저부에서관공(132)이 형성된 이탈부재(130)를 베이스부재(120)의 저부에서 탈리시킴으로써 천장 슬라브의 저면에는 소정간격의 인서트부재(100)가 저면에 나선부재(110)의 하부가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조절부재(200)는 상기 나선부재(110)에 나사로 맞추어져 높이가 조절되도록 나사공(212)을 형성한 ㄱ자형의 헤드부(210)와, 이 헤드부(210)에서 직각으로 절곡,연결되고 그 양연부를 따라 톱니(222)를 형성한 스템(220)으로 이루어진다. 도4b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수평조절부재(200)상에 현수된 찬넬부재(a)의 높이는 천장설계에 맞게 상,하방으로 조절가능하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는 상기 인서트부재(100)의 슬라브 매설상태에서 ㄱ자형의 수평조절부재(200)의 헤드부(210)를 나사맞춤 연결한 뒤 그 하부 스템(220)의 톱니(222)에 찬넬부재(a)를 걸어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수평조절부재(200)의 톱니(222)가 찬넬부재(a)의 구멍 연부를 맞춘 뒤 90°회전하여 둠으로써 걸리게 되는 것이다(도5b참조).
이 경우 찬넬부재(a)의 수평상태가 슬라브의 불규칙 곡면등에 의하여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이를 회전시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그 설치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인서트부재(100)의 나선부재(110)를 슬라브내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 정리용 받침부재(300)로 적용하여 실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재(300)는 그 상단이 개구부(312)와 날개부(314)를 교호로 형성한 십자형의 배근부(310)를 형성하고, 하단은 나선부(320)를 이룬다.
첨부 도면중 도 7은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다른 실시예의 슬라브 배근설치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받침부재(300)는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시 매입되는 보강용 철근을 배선할 때 별도로 그 위치를 설계할 필요없이 본 고안 받침부재(300)의 배근부(310)위에 종,횡방향으로 직교하여 올려놓고 결속하면 되는 편리함이 있다.
즉, 천장슬라브 시공시 그 바닥측에 매입되는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인서트부재는 그 배치간격을 일정하게 설계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천장 슬라브의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을 위한 배치설계도가 반드시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슬라브 공간상에 설치된느 인서트부재가 받침부재로 매입되므로 그 받침부재(300)배근부(310)상단에 종,횡방향으로 개구부(312)와 날개부(314)사이에 직교하여 철근을 종,횡으로 재치시키고 고정하므로서 철근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차점을 이루면서 배근되는 것이다.
첨부 도면중 도 6a,6b는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받침부재(300)와 인서트부재(10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즉, 변형된 받침부재(300)는 나선부를 제거하고, 그 하단부에 까움공(330)을 형성하고, 이 받침부재(300)에 대응하는 인서트부재(100)의 나선부재(110)은 그 상단에 상기 끼움공(330)에 대응하는 안착부(114)를 형성함과 동시에 헤드부(111)와나선부(112)를 형성하여서 된다.
따라서 설치시에는 도 6b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나선부재(110)을 베이스부재(120)에 나사맞춤한 상태에서 그 위에 돌출된 안착부(114)에 받침부재(300)의 하단 끼움공(330)을 난착지지시켜 철근의 배치설계에 따라 적당한 갯수와 간격으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설치된 천장슬라브내 철근 배치구조의 예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같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는 종래 알려진 여러가지의 고정구들에 비하여 콘크리트 천장슬라브 시공시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하여 슬라브 시공후에 찬넬부재를 현수고정하기 위한 수평조절부재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수평조절부재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고안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는 건물의 슬라브 시공시 매입되는 인서트부재의 상단에 받침부재를 함께 매입하므로서 그 받침부재 상단에서 보강용 철근의 종,횡 교차점을 형성하여 별도의 철근 배치설계를 하지않아도 자동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철근이 배치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으며, 커플링으로 전산볼트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앵커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는 효과도다.

Claims (6)

  1.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에 있어서,
    나선부재(110)와, 이 나선부재(110)가 나선관통되는 베이스부재(120)로 이루어져 천장 슬라브에 매설되는 인서트부재(100);및
    상기 나선부재(110)에 나사로 맞추어져 높이가 조절되도록 나사공(212)을 형성한 ㄱ자형의 헤드부(210)와, 이 헤드부(210)에서 직각으로 절곡,연결되고 그 양연부를 따라 톱니(222)를 형성한 스템(220)으로 이루어진 수평조절부재(200)를 포함하여,
    슬라브 시공된 천장면의 인서트부재(100)에서 수평조절부재(200)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재(110)는 상단 헤드부를 갖고, 하부 스템에는 나사가 형성된 볼트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100)은 상기 베이스부재(120)저부에 관공(132)이 형성된 이탈부재(1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재(110)의 상단에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300)는 하단에 일정구간 나선부(320)를 이루고, 상단부는 개구부(312)와 날개부(314)를 교호로 형성한 십자형의 배근부(3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6. 제4항에 있어서,
    하단부에 끼움공(330)을 형성하고,상단부는 개구부(312)와 날개부(314)를 교호로 형성한 십자형의 배근부(310)를 이루는 받침부재(300)와,
    상단에 안착부(114)를 형성한 헤드부(111)와, 나선부(112)로 이루어진 나선부재(110)이루어져 상기 받침부재(300)가 상기 안착부(114)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KR20-2003-0016660U 2003-05-28 2003-05-28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KR200325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660U KR200325591Y1 (ko) 2003-05-28 2003-05-28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660U KR200325591Y1 (ko) 2003-05-28 2003-05-28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087A Division KR100588484B1 (ko) 2003-05-28 2003-05-28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591Y1 true KR200325591Y1 (ko) 2003-09-06

Family

ID=4941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660U KR200325591Y1 (ko) 2003-05-28 2003-05-28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5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5977B1 (en) Variable embeddment anchor and method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US20100257812A1 (en) Adjustable Attachment System
RU2011143756A (ru)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анели из цементного раствора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ой двухосной арматурой
KR200325591Y1 (ko)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KR100588484B1 (ko) 천장판 현수용 고정금구
US20110000150A1 (en) Construction insert
KR200405550Y1 (ko) 파이프 써포트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JPS6019217Y2 (ja) 天井の構造
KR20090122670A (ko) 브라켓을 이용한 천정틀 시설재
EP3405625B1 (en) Façade cladding system
KR200289587Y1 (ko) 건축물의 슬래브용 앵커 볼트 고정구
KR100205621B1 (ko) 낙석방지용 방지책의 설치방법 및 장치
KR200381404Y1 (ko)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춘 합벽 지지대
KR19980010326U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102489845B1 (ko) 두부보강용 철근고정유니트 및 이 철근고정유니트를 이용한 두부보강 방법
KR200183468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JPH0125130Y2 (ko)
JPH0115774Y2 (ko)
KR200286055Y1 (ko)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JPH0113131Y2 (ko)
KR200381403Y1 (ko) 개선된 바닥 고정구조를 갖춘 합벽 지지대
KR102152059B1 (ko)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