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817Y1 - 완충기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 - Google Patents

완충기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817Y1
KR200324817Y1 KR20-2003-0017537U KR20030017537U KR200324817Y1 KR 200324817 Y1 KR200324817 Y1 KR 200324817Y1 KR 20030017537 U KR20030017537 U KR 20030017537U KR 200324817 Y1 KR200324817 Y1 KR 200324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main body
cover
contact lev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면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코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코인
Priority to KR20-2003-0017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8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2Coin slo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화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화 선별기에 투입되어 낙하하는 주화의 운동량을 감소시킴으로서 주화의 바운드(bound)를 줄이고, 이에 따라 주화 선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완충기를 포함한 주화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선별기는, 상부에 주화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부로 연결된 커버; 상기 본체 및 커버에 의하여 한정되는 양 측벽과 상기 주화 투입구 하부의 본체 또는 커버 내부면에 고정된 경사부로 이루어진 주화 통로; 및 상기 본체와 커버 내부면에 설치된 주화 감별 센서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주화 투입구 하부의 본체 또는 커버 내부면에 고정된 축에 일단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본체 또는 커버 내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주화 통로로 연장되어 상기 주화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주화와 접촉하는 연장부가 고정된 주화 접촉 레버; 및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와 커버의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와 일정 거리동안 접촉하는 연장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롯으로 구성된 완충기를 더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이다.

Description

완충기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Apparatus for selecting coins with a shock absorber}
본 고안은 주화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화 선별기에 투입되어 낙하하는 주화의 운동량을 감소시킴으로서 주화의 바운드(bound)를 줄이고, 이에 따라 주화 선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완충기를 포함한 주화 선별기에 관한것이다.
주화 선별기는 투입된 주화가 주화 선별기 내에 설치된 주화 통로를 지날 때, 주화 통로 상에 설치된 주화 감별 센서로 주화의 종류를 감별하고, 감별된 주화를 종류별로 다른 위치에 수납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주화 감별 센서는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감긴 코어를 주화 통로의 양 측벽에 각각 설치한 후, 양 측벽 사이를 통과하는 주화의 자성 정도에 따라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력선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주화를 감별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의 주화 감별 센서는 주화가 주화 통로를 바운드없이 통과할 때만이 정확한 주화 감별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주화 투입구로부터 낙하하는 주화가 완충됨이 없이 주화 통로에 직접 충돌한 후 바운드되는 상태로 주화 감별 센서를 통과하게 되면 주화 감별의 정확도는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완충기들이 개발되어 왔고, 도 1에는 종래의 완충기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체(1)에 표시된 X - X 간의 일점 쇄선은 커버(2)가 닫힐 경우 커버 상에 설치된 주화 통로의 경사부(6)가 본체(1)에 접하는 경사선을 나타낸다.
종래의 완충기는 주화 접촉 레버(10)가 도 1을 기준으로 주화 투입구(4)의 오른쪽 하부에 피봇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주화 접촉 레버(10)의 피봇 운동에 필요한 큰 공간이 요구되며,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주화(2)의 이동에 따라 주화 접촉 레버가 주화 감별 센서(7)의 감별 영역을 침범하게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작은 크기의 주화만을 사용하거나 주화 선별기의 폭이 증가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주화가 연속적으로 낙하하는 경우에는 다음 주화가 경사부(6)에 충돌할 때까지도 이전 주화에 주화 접촉 레버(10)가 접촉되어 있으므로, 다음 주화의 바운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외에도 주화에 끈을 연결하여 다시 주화를 빼내는 행위가 행해질 때 경사부(6)를 역이동하는 주화에 의해 주화 접촉 레버(10)가 파손되기가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주화 선별기 내로 투입되어 낙하하는 주화를 완충시키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주화 접촉 레버의 운동 영역을 줄여 주화 접촉 레버가 주화 감별 센서의 감별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고, 이에 따라 주화 선별기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완충기를 포함한 주화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연속적인 주화 투입시에도 주화 접촉 레버의 신속한 원위치로의 복귀를 통해 다음 주화의 완충을 가능하게 하며, 역방향으로 빼내는 주화를 효과적으로 저지하도록 구성된 완충기를 포함한 주화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완충기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기의 커버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화 접촉 레버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기의 주화 접촉 레버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화 접촉 레버가 설치된 주화 선별기의 커버에 대한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에 주화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부로 연결된 커버; 상기 본체 및 커버에 의하여 한정되는 양 측벽과 상기 주화 투입구 하부의 본체 또는 커버 내부면에 고정된 경사부로 이루어진 주화 통로; 및 상기 본체와 커버 내부면에 설치된 주화 감별 센서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주화 투입구 하부의 본체 또는 커버 내부면에 고정된 축에 일단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본체 또는 커버 내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주화 통로로 연장되어 상기 주화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주화와 접촉하는 연장부가 고정된 주화 접촉 레버; 및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와 커버의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와 일정 거리동안 접촉하는 연장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롯으로 구성된 완충기를 더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를 도시하고 있다. 주화 선별기는 본체(101) 및 본체와 힌지부(103)로 연결된 커버(102)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1)의 상부에 형성된 주화 투입구(104)를 통해 투입된 주화(3)는 주화 감별 센서(107)에 의해 주화의 종류가 감별되며, 감별된 주화의 종류에 따라 솔레노이드로 복수의 게이트(120)(121)(122)를 출몰시켜 각각 다른 수납부(130)(131)(132)(133)로 주화를 선별한다.
여기서 X - X 간의 일점 쇄선은 커버(102)가 닫힐 경우 커버 상에 설치된 경사부(106)가 본체(101)에 접하는 경사선이며, 주화 통로는 본체(101) 및 커버(102) 내부면에 의해 형성된 측벽과 경사부(106)로 구성되고, 경사부(106)는 본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경사부(106)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를 감별하는 주화 감별 센서(107)는본체(101) 내부면과 커버(102) 내부면에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주화 감별 센서를 통과하는 주화의 자성 정도에 따른 자기력선의 변화에 따라 주화의 종류를 감별한다. 또한, 정확한 주화의 감별을 위해서는 주화가 바운드없이 주화 감별 센서를 통과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기의 커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화 접촉 레버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는 주화 접촉 레버(110) 및 슬롯(111,112)으로 구성되며, 이 중 주화 접촉 레버(110)는 도 3을 기준으로 주화 투입구(104)의 왼쪽 하부에 고정된 축(113)에 연결부(110a)를 통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축(113)은 본체(101) 또는 커버(102) 내부면 중 어느쪽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주화 접촉 레버(110)에는 연결부(110a)와 연장부(110c) 사이에 금속 추(110b)를 구비하고 있다. 금속 추(110b)는 경사부(106)를 이동하는 주화를 그 무게로 누름으로서 바운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또한 주화 접촉 레버의 원위치 복귀를 빠르게 한다.
금속 재질의 연장부(110c)는 주화 접촉 레버(11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되는 주화의 크기에 따라 주화 접촉 레버 전체의 교체 없이 연장부만을 적절한 크기의 연장부로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체(101) 및 커버(102)의 내부면에는 주화 접촉 레버(110)를 축(113)에 장착할 때 연장부(110c)가 주화 통로 내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슬롯(111)(112)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111)(112)은 주화 접촉 레버(110)가 피봇 운동할 때에연장부(110c)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형상이 변형되며,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화 접촉 레버(110) 및 슬롯(111)(112)으로 구성된 완충기는 낙하하는 주화를 바운드가 없는 상태에서 주화 감별 센서(107) 사이로 통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화 투입구(104)를 통하여 낙하한 주화(3)는 주화 접촉 레버의 연장부(110c)와 충돌하면서 운동량이 감소된다(도 3a). 충돌된 주화(3)는 중력에 의해 본체의 왼쪽 측벽(105; 도 2를 기준으로) 및 연장부(110c)와 접촉한 상태에서 경사부(106)로 안내된다. 이 과정에서 연장부(110c)는 주화(3)의 원호를 따라 이동하며 주화 접촉 레버(110)는 축(113)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피봇 운동(상승 운동)을 한다(도 3b).
주화(3)는 경사부(106)에 접촉한 후에 경사를 따라 주화 감별 센서(107)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연장부(110c)는 주화(3)의 원호를 따라 이동하며 금속 추(110b)가 포함된 주화 접촉 레버(110)의 무게로 주화(3)를 눌러 바운드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주화 접촉 레버(110)는 축(113)을 중심으로 그 자중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피봇 운동(하강 운동)을 하며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도 3c).
한편, 주화에 끈을 연결하여 다시 주화를 빼내는 행위가 행해질 때에는 원위치로 복귀한 연장부(110c)가 주화의 역이동 경로 상에서 걸림쇠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화가 주화 투입구(104)를 통해 역으로 배출되는 것이 저지되며, 종래와 비교할 때 역이동에 의한 주화 접촉 레버의 파손 가능성도 감소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의 주화 접촉 레버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화 접촉 레버(210)는 수직을 이루는 제 1 부재(210d) 및 제 2 부재(210e)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주화 접촉 레버(210)는 원위치로 복귀할 때 제 1 부재(210d) 및 제 2 부재(210e)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210f)가 커버의 왼쪽 측벽(108; 도 6을 기준으로)과 충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연장부(210c)와 슬롯(111) 끝단과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슬롯(111) 끝단과의 계속적인 충돌에 의한 연장부(210c)의 파손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완충기를 구성하는 주화 접촉 레버의 형상 변경에 의해 주화 접촉 레버의 운동 영역을 줄임으로서, 주화 접촉 레버가 주화 감별 센서의 감별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고, 이에 따라 주화 선별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속적인 주화 투입시에도 주화 접촉 레버가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하게 하여 다음 주화의 완충이 완전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한다.
이 외에도 역방향으로 빼내는 주화를 효과적으로 저지하며, 아울러 사용되는 지역의 주화의 크기에 맞추어 금속 추 또는 연장부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4)

  1. 상부에 주화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부로 연결된 커버; 상기 본체 및 커버에 의하여 한정되는 양 측벽과 상기 주화 투입구 하부의 본체 또는 커버 내부면에 고정된 경사부로 이루어진 주화 통로; 및 상기 본체와 커버 내부면에 설치된 주화 감별 센서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주화 투입구 하부의 본체 또는 커버 내부면에 고정된 축에 일단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본체 또는 커버 내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주화 통로로 연장되어 상기 주화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주화와 접촉하는 연장부가 고정된 주화 접촉 레버; 및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본체와 커버의 내부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와 일정 거리동안 접촉하는 연장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롯으로 구성된 완충기를 더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 접촉 레버는 수직을 이루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선별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레버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금속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선별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 접촉 레버는 상기 축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금속 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 선별기.
KR20-2003-0017537U 2003-06-04 2003-06-04 완충기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 KR200324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537U KR200324817Y1 (ko) 2003-06-04 2003-06-04 완충기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537U KR200324817Y1 (ko) 2003-06-04 2003-06-04 완충기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817Y1 true KR200324817Y1 (ko) 2003-08-27

Family

ID=4941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537U KR200324817Y1 (ko) 2003-06-04 2003-06-04 완충기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8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89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rejecting coins
EP1777662B1 (en) Token handling device
US4782937A (en) Escrow device for coin-operated systems
KR200324817Y1 (ko) 완충기를 포함하는 주화 선별기
KR0156436B1 (ko) 코인 선별장치
EP1659544B1 (en) Coin selector
JP2008117072A5 (ko)
EP0560830B1 (en) Coin guiding device
US5597061A (en) Coin processing apparatus
CN104680640A (zh) 纸币识别装置
EP0466791B1 (en) Coin handling apparatus
US59883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rejecting coins
JP2855469B2 (ja) 硬貨選別装置
JP2504813B2 (ja) 硬貨処理装置
JPH0673148B2 (ja) 2種硬貨選別装置
JPH01311396A (ja) 硬貨選別装置
EP0154525B1 (en) Low power coin routing gate apparatus
AU742127B2 (en) Coin dispensing device
JPH0766465B2 (ja) 硬貨選別装置
KR100319702B1 (ko) 주화 선별기
JP2010097582A (ja) 価値媒体処理装置
JPS6227949Y2 (ko)
EP04391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rejecting coins
JP5651853B2 (ja) コインセレクタ
JP5413147B2 (ja) 硬貨収容カセット及び硬貨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