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220Y1 - 우마용 인큐베이터 - Google Patents

우마용 인큐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220Y1
KR200324220Y1 KR20-2003-0016808U KR20030016808U KR200324220Y1 KR 200324220 Y1 KR200324220 Y1 KR 200324220Y1 KR 20030016808 U KR20030016808 U KR 20030016808U KR 200324220 Y1 KR200324220 Y1 KR 200324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se
mother
manure
incubator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식
최창용
조영무
김남태
손삼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20-2003-0016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생 우마를 어미 우마와 함께 보육하는 우마용 인큐베이터에 관한것으로서, 어미 우마의 전방 이동을 저지하는 울타리가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지붕 및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방에 설치되어 어미 우마의 분뇨를 관통구멍을 통해 바닥판 하부로 투과 배출시키는 분뇨배출부와; 상기 분뇨배출부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어미 우마의 유두로 소독액을 자동 분사하는 유두소독기 및; 상기 바닥판과 이격되어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어미 우마의 수평이동이 저지되도록 어미 우마의 양측 옆구리에 수평상태로 근접설치되어, 어미 우마의 배변이 상기 분뇨배출부에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봉이나 판재형의 배변안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배변안내기에 따라 배변된 분뇨가 분뇨배출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어 분뇨가 어미 우마의 유두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미 우마의 유두를 유두소독기로 자주 소독할 수 있어 설사병 원인균이 유두를 통하여 신생 우마에게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우마용 인큐베이터 {INCUBATOR FOR CALF AND FOAL}
본 고안은 신생 우마를 보육하기 위한 우마용 인큐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모유를 먹는 신생 우마가 어미젖을 통하여 설사병 원인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마용 인큐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생 우마의 설사병 원인균은 어미 우마의 분뇨에 존재하는 로타바이러스나 코로나바이러스, 대장균 등이 대표적이며, 이 설사병 원인균은 주로 유두에 분뇨가 묻은 어미 우마가 새끼에게 포유할 때 유두를 통하여 새끼에게 감염된다.
이러한 원인균 감염에 의한 설사병은 말보다는 바닥에 자주 누워있는 소에게서 특히 빈번하게 발생되며, 생후 6개월 이상의 육성우나 성우에게서는 발병되지 않고 주로 면역력이 미약한 신생 송아지에게만 발병되어, 송아지의 성장을 저해시키거나 심지어 폐사시키기도 한다.
한편, 목축 선진국인 미국이나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는 송아지 설사병의 발병율이 매우 낮은데, 그 이유는 광활한 초지에 가축을 방목하여 사육하므로 축사에서 처럼 분뇨가 퇴적되지 않게되어 분뇨가 어미소의 유두에 묻지 않기 때문이며, 송아지 역시 초지 위에서 분만된 후 생육되므로 분뇨와 접촉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설사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
하지만, 방목되는 송아지와 달리 축사에서 사육되는 송아지는 어미소와 함께 좁은 축사 내에서 사육되므로 배설된 어미소의 분뇨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어미소 역시 분뇨에 노출됨에 따라 유두에 분뇨를 묻히게 되어 설사병 원인균을 포유시 송아지에게 감염시킨다.
여기서, 전술된 설사병으로 인한 송아지의 폐사율에 대한 우리나라의 실정을 살펴보면, 2000년 발표된 전북대 수의학과 교수 권오덕의 논문에 의하면 사육경험이 적은 축산농가의 경우 많게는 약 35~47%의 폐사율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으며, 동년 발표된 축산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사육경험이 10년 이상인 축산농가에서도 그 폐사율이 10.65% 이상이나 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렇게 폐사하는 송아지는 1993년 발표된 미국의 크림슨 대학의 송아지 사망에 관한 연구자료에 의하면, 대부분 생후 1개월 이내에 10%가 폐사하므로 그 폐사율이 매우 높다고 게재하였다.
물론, 이 높은 폐사율로 인하여 축산농가는 상당히 심각한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보고 있음은 당연한 결과이다.
이러한 설사병에 의한 송아지 폐사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축사의 분뇨를 신속하게 제거해 주는 것과, 어미소에게 예방주사제나 예방약을 접종하거나 경구투여 하여 항체가 송아지에게 생성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따라 해외에서는 어미소의 분만 4주전과 2주전에 스커가드-3K라는 주사제를 어미소에게 접종하여 임신말기 모체로부터 태반을 통하여 항체가 이행되도록 하며, 국내에서는 분만 4주전과 2주전에 어미소에게 로코백이라는 주사제를 예방접종하며, 만약 예방접종시기가 경과된 후에는 포유하기 전에 신생 송아지에게 약제를 경구투여한다.
그러나, 예방제를 처방하여도 축사에서 사육되는 어미소와 송아지는 그 사육 특성상 계속 분뇨에 노출되므로 병원균은 어미소의 유두를 통해 반복적으로 송아지에게 유입되어 송아지의 설사병은 지속적으로 발병된다.
즉, 축사에서 송아지를 사육하면 어미소가 분뇨에 계속 노출되므로 병원균이 송아지에게 계속 유입되어 예방접종의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우므로 송아지의 설사병을 예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병원균이 바이러스성이므로 설사병에 걸린 송아지가 주변의 다른 송아지에게 설사병을 전염시키는 문제도 있다.
이렇게 설사병에 걸린 송아지는 계속되는 설사로 인하여 영양이 부족해져 성장 발육이 부진해질 뿐만 아니라, 발병시 마다 계속 치료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치료를 하여도 다시 발병하거나 심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폐사하게 된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송아지의 설사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축사내의 분뇨를 자주 제거해 주고 톱밥을 자주 교체해 주어 축사가 청결해 지도록 하는 것과, 송아지의 설사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해주는 것이 최선책이다.
그러나, 축사를 청결히 하고 설사병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는 자주 축사의 상태를 확인하여 청소하고 송아지의 개체별 건강상태를 확인해 주어야 하지만, 인력이 부족한 축산농가에서는 이러한 일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더우기 사육규모가 큰 농가에서는 그 규모로 인하여 더더욱 불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미 우마와 신생 우마를 함께 격리시켜 사육할 수 있으며, 어미 우마의 배변 분뇨가 배변 즉시 제거될 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어미 우마의 유두가 자동 소독되어, 신생 우마가 설사병 원인균으로부터 감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우마용 인큐베이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뇨배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의 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5 : 울타리
20 : 지붕 30 : 바닥판
40 : 분뇨배출부 42 : 와이어메쉬
44 : 슬라이딩판 50 : 유두소독기
52 : 분사노즐 54 : 소독액공급관
55 : 소독기보호대 60 : 배변안내기
70 : 차별사료조 80 : 보온매트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우마용 인큐베이터는, 어미 우마의 전방 이동을 저지하고, 우마를 격리시키는 울타리(15)가 설치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지붕(20) 및 바닥판(30)과; 상기 바닥판(30)의 후방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상기 어미 우마의 분뇨를 관통구멍을 통해 바닥판(30) 하부로 투과 배출시키는 분뇨배출부(40)와; 상기 분뇨배출부(4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어미 우마의 유두로 소독액을 자동 분사하는 유두소독기(50) 및; 상기 바닥판(30)과 이격되어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어미 우마의 수평이동이 저지되도록 어미 우마의 양측 옆구리에 수평상태로 근접설치되어, 어미 우마의 배변이 상기 분뇨배출부(70)에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봉이나 판재형의 배변안내기(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우마용 인큐베이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뇨배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의 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는 우마를 격리시키는울타리(15)가 둘레를 따라 설치된 조립구성이 가능한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지붕(20) 및 바닥판(30)과, 바닥판(30)의 후방에 설치되어 분뇨가 배출되는 분뇨배출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뇨배출부(40)의 후방 상부측에 설치되어 소독액을 자동으로 분사하는 유두소독기(50)와, 유두소독기(50)의 전방에 설치되어 어미 우마의 둔부가 유두소독기(5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독기보호대(55)를 포함한다.
또한, 바닥판(30)의 양측 상부에 설치되어 어미 우마가 분뇨배출부(70)에서 배변하도록 안내하는 배변안내기(60)와, 바닥판(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어미 우마에게만 차별적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차별사료조(70)를 포함한다.
아울러, 바닥판(30)의 상부면 일측에 포진(布陳)되어 신생 우마의 체온을 유지시키는 보온매트(80)를 포함하며, 이 보온매트(80)는 축열 및 발열과 온도조절이 가능한 전기매트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의 구성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지붕(20)은 자연광에 의하여 인큐베이터의 내부가 소독 및 건조되도록 투명한 아크릴이나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광재로 전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일부분 만을 투광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분뇨배출부(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의 다공이 형성되어 분뇨의 투과가 용이한 와이어메쉬(42) 및, 와이어메쉬(42)의 하부에 설치되어 투과된 분뇨가 지면의 한 곳에 모이도록 슬라이딩시키는 경사진 슬라이딩판(44)으로 구성된다.
이때, 와이어메쉬(42)의 격자, 즉 메쉬는 어미 우마나 신생 우마의 발이 통과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분뇨배출부(40)는 도 2에서 처럼 바닥판(30)의 후방측 일부분에 구멍을 낸 후 그 구멍에 와이어메쉬(42)를 설치하거나, 와이어메쉬(42)가 바닥판(30)의 후단에 연장되도록 설치하여 바닥판(30) 후면 전체가 분뇨배출부(40)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유두소독기(50)는 어미 우마의 둔부에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2)을 말단에 가지며, 미도시된 펌프를 갖는 소독액탱크에서 펌핑된 소독액을 분사노즐(52)로 공급하는 소독액공급관(54)으로 구성된다.
이때, 유두소독기(50)의 분사노즐(52)은 어미소의 유두에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바닥판(30)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어미소의 유두와 근접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소독액공급관(54)은 열선이 내장되어 소독액을 따듯하게 가열할 수 있어 소독액의 분사시 어미 우마가 놀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는 동파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유두소독기(50)의 전방에 설치된 소독기보호대(5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두소독기(50)의 전방에 봉강의 팬스형태로 기립되어 설치되되, 분사노즐(52)과 대응되는 높이로 설치되고, 분사노즐(52)의 전방측 부분은 분사노즐(52)에서 분사된 소독액이 통과되도록 소독액관통구(55a)가 형성되며,소독액관통구(55a) 부분의 봉은 어미 우마의 둔부가 분사노즐(52)과 이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소독기보호대(55)의 설치 높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52)과 대응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하부에 2개월령된 신생 우마가 활보할 수 있도록 신생 우마의 키 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바닥판(30)으로부터 최소 70cm 이상 이격 설치되어야 한다.
다시 계속해서, 배변안내기(60)는 분뇨배출부(40)의 전방 양측 울타리(15)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ㄷ"자형의 가이드봉(62)으로 구성되며, 이 가이드봉(62)은 어미 우마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도록 바닥판(30)의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어 울타리(15)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봉(62)은 켄틸레버와 같이 수평 돌출됨에 따라 어미 우마의 양측 옆구리에 근접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어미 우마는 수평이동이 제한되므로 둔부가 분뇨배출부(40)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한다.
이때, 가이드봉(62)은 어미 우마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도록 키보다는 낮은 위치에서 수평 돌출되되, 신생 우마가 가이드봉(62)의 하부를 자유롭게 활보할 수 있도록 신생 우마 키보다는 높은 위치에서 수평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물론, 배변안내기(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봉이 아닌 판재형이나 막대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울타리(15)에 고정되는 양단에 경사각이 조절되는 힌지를 마련하여 배변안내기(60)가 울타리(15)에 대하여 절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배변안내기(60)의 전방측 울타리(15)는 후방에 설치된 분뇨배출부(40)에서 부터 어미 우마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치되며, 이 울타리(15)에 의하여 어미 우마는 전방 이동이 저지되므로 그 둔부는 자연스럽게 분뇨배출부(40)에 위치된다.
즉, 배변안내기(60)의 전방측 울타리(15)로부터 분뇨배출부(40) 까지의 거리는 어미 우마의 머리로부터 둔부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므로, 어미 우마의 둔부는 분뇨배출부(40)에 위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별사료조(70)는 초가조(72) 및 사료조(74)로 구성하되, 초가조(72)와 사료조(74)의 높이가 신생 우마의 키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여, 신생 우마가 성우용 사료를 섭식할 수 없도록 구성한다.
그러므로, 차별사료조(70)는 어미 우마만이 이용할 수 있으므로, 신생 우마가 어미 우마의 사료섭식을 모방 학습하여 성우용 사료를 섭취함으로써 발생되는 소화불량 등의 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76은 물이 저수된 수조로써 신생 우마의 키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하여 어미 우마와 신생 우마가 모두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는, 울타리(15)의 일측을 개방하여 어미 우마와 신생 우마를 울타리(15) 내부로 넣은 다음, 개방된 울타리(15)를 폐쇄하여 격리시킨 후, 울타리(15)의 양측에 가이드봉(62)을 고정한다.
그러면, 어미 우마는 가이드봉(62)에 의하여 수평이동은 제한되지만 차별사료조(70)를 통한 섭식행동과 수직행동은 할 수 있으며, 수직행동시에도 울타리(15) 및 배변안내기(60)의 구속으로 인하여 항상 둔부는 분뇨배출부(40)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신생 우마는 차별사료조(70)의 이용은 불가능하여도 가이드봉(62)에 제한을 받지않고 그 하부를 통하여 울타리(15) 내부를 자유롭게 활보할 수 있으므로, 포유 및 생육에 지장을 받지않을 뿐만 아니라 날씨가 추울 경우에는 보온매트(80)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변안내기(60)와 울타리(15)로 인하여 어미 우마에서 배변되는 분뇨는 바닥판(30)에 퇴적되지 않고 분뇨배출부(40)로 낙하되며, 낙하된 분뇨는 자중에 의하여 와이어메쉬(42)를 투과한 후 슬라이딩판(44)에 슬라이딩되어 바닥판(30)의 하부 한곳에 퇴적된다.
물론, 퇴적된 분뇨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로우더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퇴적되는 곳에 카트(cart)를 설치하여 카트 내에 분뇨가 퇴적되면 카트를 퇴비장이나 분뇨처리장 등으로 이동시켜 분뇨를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부의 분뇨가 와이어메쉬(42)를 투과하지 못하고 격자망에 걸리는 경우도 간혹 발생되지만, 이러한 미투과된 분뇨는 어미 우마가 평상시 발을 움직일 때 가압되어 투과된다.
한편, 어미 우마가 휴식을 위하여 와이어메쉬(42) 위에 누웠다 일어날 경우, 와이어메쉬(42)에 묻어있는 분뇨 잔유물이 유두에 묻게 되지만, 이럴때는 유두소독기(50)의 분사노즐(52)로 소독액을 분사시켜 유두를 소독한다.
이때, 어미 우마가 소독액의 분사로 놀라서 뒷걸질 하여도 어미 우마의 둔부는 소독기보호대(55)에 의하여 분사노즐(52)과 접촉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분사노즐(52)은 소독기보호대(55)의 소독액관통구(55a)를 통해 소독액을 계속 분사시킬 수 있다.
이렇게 어미 우마의 유두는 소독액으로 소독되기도 하지만 지붕(20)에서 투광되는 자연광에 의해서 소독되기도 하며, 이 자연광에 의하여 우마용 인큐베이터의 내부도 함께 소독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우마용 인큐베이터의 내부를 따듯하게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를 이용하여 한우 송아지를 육성한 결과 체중증가와 육성율증가 및 설사발병율감소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육성 결과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생시 체중이 23kg 정도인 송아지두마리를 준비하여 그 중 한마리는 일반적인 사육장치(이하 '대조구'라함)에서 어미소와 사육하고, 다른 한마리는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이하 '시험구'라함)에서 사육하였으며, 그 결과 1일 증체량의 경우 대조구의 송아지는 0.5kg인 반면, 시험구의 송아지는 0.9kg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2개월령이 되었을때 평균체중을 보면 대조구는 56kg인 반면 시험구는 81kg으로써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약 44.6%의 증체율을 보였으며, 송아지의 육성율에 있어서도 대조구는 91.7%(11/12)인 반면 시험구는 100%(12/12)이므로 완전한 성장이 가능하여 대조구 보다 육성율을 8.3%나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설사병의 발병횟수도 대조구는 1.3회인 반면 시험구는 그 절반도 안되는 0.5회를 나타내었으며, 치료일수에 있어서도 대조구는 3.9일 인 반면 시험구는청결유지와 유두소독이 병행됨에 따라 1.5일이 소요되어 대조구 보다 치료일이 대단히 단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는 어미 우마와 신생 우마를 함께 격리하여 사육할 수 있으며, 배변되는 분뇨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미 우마의 유두를 주기적으로 자주 소독할 수 있으므로, 신생 우마의 주변을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신생우마의 설사병 발생억제 및 설사병 치료일 단축을 실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우마용 인큐베이터의 프레임(10)을 조립하고, 이 프레임(10)에 구성요소들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우마용 인큐베이터가 신축물이 아닌 가설물에 해당되어 축산 농가가 관청에 별도의 신축신고나 허가신청을 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국내의 한우 적정 필요 사육두수는 230만두인데, 2002년에는 140만두였고 2003년에는 136만두이나, 전술된 바와 같은 신생 송아지의 설사병에 의한 폐사와 송아지 육성에 따른 인력부족의 부담으로 인하여 사육기반이 약화되어 필요사육두수의 약 60.8% 만을 충족하는 형편이며, 국내의 분만 가능 한우 암소는 60 만두 내외로써, 향후에는 30% 이상의 자급을 위해서 120 만두 수준까지 지속성장하여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를 이용할 경우 필요 사육두수의 근접 확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급 필요두수도 근접 충족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를 이용하면 전반적으로 55%~90%의 수준인 국내 한우 송아지 육성율을 적어도 5% 이상 개선할 수 있으며, 이를 수치로환산할 경우 600,000×0.05(5%)가 되므로 30,000두의 한우를 더 육성할 수 있고, 금전적으로는 월령 2개월의 송아지의 경우 30,000두×3,000,000원이므로 900억원의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는 국내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와 같이 우마를 축사로 사육하는 일본의 화우와 육우 200만두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세계적인 축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우마용 인큐베이터는, 어미 우마의 분뇨가 배변과 동시에 배출될 뿐만 아니라 어미 우마의 유두를 주기적으로 자주 소독할 수 있어, 신생 우마의 주변이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되므로 신생우마의 설사병 발생이 억제되어 육성 개선과 폐사 예방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설사병 발병시 치료일의 단축도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설사병이 발병되어도 격리 사육됨에 따라 다른 신생 우마로의 설사병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생 우마들의 생력적 사육이 가능하므로 신생우마의 품질향상으로 인한 고소득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분뇨가 신속하게 제거되므로 분뇨를 제거하기 위한 인력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력이 설사병의 조기발견을 위하여 신생 우마를 개체별로 점검하여야 하는 종래의 불편함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포유하는 어미 우마와 신생 우마를 함께 사육하는 사육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미 우마의 전방 이동을 저지하고, 우마를 격리시키는 울타리(15)가 설치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지붕(20) 및 바닥판(30)과;
    상기 바닥판(30)의 후방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상기 어미 우마의 분뇨를 관통구멍을 통해 바닥판(30) 하부로 투과 배출시키는 분뇨배출부(40)와;
    상기 분뇨배출부(4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어미 우마의 유두로 소독액을 자동 분사하는 유두소독기(50) 및;
    상기 바닥판(30)과 이격되어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어미 우마의 수평이동이 저지되도록 어미 우마의 양측 옆구리에 수평상태로 근접설치되어, 어미 우마의 배변이 상기 분뇨배출부(70)에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봉이나 판재형의 배변안내기(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용 인큐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20)은 전체가 투명재로 이루어지거나 일부분이 투명재로 이루어져 자연광이 내부로 투과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용 인큐베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배출부(40)는 상기 분뇨의 투과가 용이하도록 다공을 보유한 와이어메쉬(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용 인큐베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메쉬(42)는 투과된 상기 분뇨가 상기 바닥판(30)의 하부 한 곳에 모이도록 분뇨를 슬라이딩시키는 경사진 슬라이딩판(44);을 하부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용 인큐베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두소독기(50)는 상기 어미 우마의 유두에 근접설치되어 유두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2) 및;
    상기 분사노즐(52)을 말단에 가지며, 소독액탱크에서 펌핑된 소독액을 분사노즐(52)로 공급하는 소독액공급관(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용 인큐베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두소독기(50)는 소독액관통구(55a)를 가지며 상기 분사노즐(52)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어미 우마의 둔부가 분사노즐(52)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독기보호대(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용 인큐베이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액공급관(54)은 열선이 내장되어 공급되는 소독액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용 인큐베이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안내기(60)는 상기 프레임(10)이나 울타리(15)에 착탈되도록 구성되거나, 장착 후 절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용 인큐베이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0)의 전방에는 상기 신생 우마의 키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어미 우마에게만 차별적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차별사료조(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용 인큐베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30)은 상기 신생 우마의 체온을 유지시키는 보온매트(80)를 상부면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용 인큐베이터.
KR20-2003-0016808U 2003-05-29 2003-05-29 우마용 인큐베이터 KR200324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808U KR200324220Y1 (ko) 2003-05-29 2003-05-29 우마용 인큐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808U KR200324220Y1 (ko) 2003-05-29 2003-05-29 우마용 인큐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220Y1 true KR200324220Y1 (ko) 2003-08-21

Family

ID=4933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808U KR200324220Y1 (ko) 2003-05-29 2003-05-29 우마용 인큐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2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426B1 (ko) * 2007-03-13 2007-06-13 박종대 축사용 울타리
KR20220002326U (ko) 2021-03-22 2022-09-29 김동규 축산용 인큐베이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426B1 (ko) * 2007-03-13 2007-06-13 박종대 축사용 울타리
KR20220002326U (ko) 2021-03-22 2022-09-29 김동규 축산용 인큐베이터
KR200497292Y1 (ko) 2021-03-22 2023-09-22 김동규 축산용 인큐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ton et al. Refinements in rabbit husbandry: Second report of the BVAAWF/FRAME/RSPCA/UFAW joint working group on refinement
CA2504651C (en) Hog farrowing system for use in a cold environment and method of use
Vogelnest et al. 7. Macropods
Havenaar et al. Biology and husbandry of laboratory animals
PL197281B1 (pl) System i sposób hodowli zwierząt
CN102308773A (zh) 肉鸡规模化健康饲养技术
Jarvis Methods for capturing, transporting, and maintaining naked mole-rats in captivity
KR200324220Y1 (ko) 우마용 인큐베이터
CN109717149B (zh) 一种生态养猪方法
Tucker Behaviour of cattle.
CN106577321A (zh) 一种能自动喂养的竹鼠养殖笼
Svendsen et al. Intensive (commercial) systems for breeding sows and piglets to weaning
CN210869281U (zh) 一种畜牧业用猪食槽
CN111903543A (zh) 一种竹鼠养殖育苗繁殖装置
CN220630561U (zh) 一种畜牧养殖用畜牧笼
RU2202882C2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телят на спаренном подсосе
Colville-Hyde et al. Husbandry
RU2373699C2 (ru) Бокс родильный для коров
CN210301808U (zh) 奶牛场消毒装置固定座
Bayne et al. Laboratory animal behavior
AU2008200203B2 (en) Hog farrowing box
Keeble et al. Mammals: biology and husbandry
BVAAWF/FRAME/RSPCA/UFAW Joint Working Group on Refinement Refinements in rabbit husbandry
UA151890U (uk) Енергоощадна безвідходна система виробництва органічної свинини
CN112205301A (zh) 一种动物笼舍养殖的防病菌卫生养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