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040Y1 -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040Y1
KR200324040Y1 KR20-2003-0016447U KR20030016447U KR200324040Y1 KR 200324040 Y1 KR200324040 Y1 KR 200324040Y1 KR 20030016447 U KR20030016447 U KR 20030016447U KR 200324040 Y1 KR200324040 Y1 KR 200324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eering
oil
oil pump
pressure
reli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복
Original Assignee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6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0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0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in the form of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일펌프(6)와, 상기한 오일펌프(6)로부터 입력되는 유압을 이용하여 파워 스티어링 동작을 하는 파워 스티어링(1)과, 상기한 오일펌프(6) 및 파워 스티어링(1)에 최고압 발생시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최고압 완화장치인 릴리프 밸브(51~56)가 자체내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 하우징(5)과,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오일 저장조(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최고압 완화장치인 릴리프 밸브를 오일펌프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파워 스티어링의 밸브 하우징의 유입 입구쪽과 출구쪽의 사이에 부착함으로써 오일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오일온도 상승으로 인한 작동불능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Power steering for a car}
이 고안은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최고압 완화장치인 릴리프 밸브(relief valve)를 오일펌프(oil pump)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파워 스티어링의 밸브 하우징(valve housing)의 유입 입구쪽과 출구쪽의 사이에 부착함으로써 오일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오일온도 상승으로 인한작동불능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한 장치를 말하며, 조작기구, 기어기구, 링크기구의 3가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파워 스팅어링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스티어링 장치를 운전자가 조작하는데 있어서, 유압을 이용하여 한층 더욱 수월하게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오일펌프(3)가 작동하게 되면, 파워 스티어링(1)이 오일펌프(3)로부터 일정유량의 오일을 공급받아서 작동하게 되는데, 핸들의 좌우회전에 의해 파워 스티어링(1)이 좌우 회전되는 경우에 파워 스티어링(1)의 내부 및 오일펌프(3)의 압력이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현상 및 동작이 불규칙적으로 시행된다.
한편, 이와 같은 핸들의 좌우회전에 의해 파워스티어링(1)과 오일펌프(3)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 구간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한 파이프 구간에 발생된 압력이 파워스티어링(1) 및 오일펌프(3)의 설계 최고압력인 조정압력에 이르게 될 경우에 파워 스티어링(1) 및 오일펌프(3)에 최고압의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와같이 파워 스티어링(1) 및 오일펌프(3)에 최고압의 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일펌프(3)내에 최고압 완화장치인 릴리프 밸브를 부착한다.
상기한 오일펌프(3)내에 부착되어 있는 릴리프 밸브는 파이프에 최고압이 발생할 경우에 오일 저장조(4)에서 공급되는 오일을 파워 스티어링(1)으로 보내지 않고, 오일펌프(3)의 자체의 바이패스부(점선 참조)를 통해 오일펌프(3)내에서 오일이 계속해서 순환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최고압이 파이프에서 수십초 이상 반복적으로 수차에 걸쳐서 발생할 경우에 오일펌프내에서 계속순환하게 되는 오일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오일펌프의 과부하 발생으로 인한 작동불능을 유발할 수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오일펌프내 오일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파워스티어링 내부의 오링, 실링, 오일실부가 온도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파워스티어링 내외부의 누유로 인하여 작동불능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고압 완화장치인 릴리프 밸브를 오일펌프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파워 스티어링의 밸브 하우징의 유입 입구쪽과 출구쪽의 사이에 부착함으로써 오일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오일온도 상승으로 인한 작동불능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파워 스티어링 2, 5 : 밸브하우징
3, 6 : 오일펌프 4 : 오일 저장조
51 : 입력관 52 : 출력관
53 : 스프링 54 : 서포터
55 : 볼 56 : 스크류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일펌프(6)와, 상기한 오일펌프(6)로부터 입력되는 유압을 이용하여 파워 스티어링 동작을 하는 파워 스티어링(1)과, 상기한 오일펌프(6) 및 파워 스티어링(1)에 최고압 발생시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최고압 완화장치인 릴리프 밸브(51~56)가 자체내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 하우징(5)과,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오일 저장조(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릴리프 밸브(51~56)는, 상기한 오일펌프(6)와 연결되어 있는 입력관(51)과, 상기한 입력관(51)을 개폐하기 위한 볼(55)과, 상기한 볼(55)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54)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한 서포터(54)를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53)과, 상기한 스프링(53)의 스프링 상수를 조절하기 위한 스크류(57)와, 상기한 오일 저장조(4)와 연결되어 있는 출력관(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와 기능 및 역할이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파워 스티어링(1)이 오일펌프(6)로부터 일정 유량의 오일을 공급받아서 작동을 하는 도중에, 최고압이 파이프에 수십초 이상 반복적으로 수차에 걸쳐 발생할 경우에, 밸브 하우징(5)내의 최고압 완화장치인 릴리프밸브(51, 52)는 최고압 오일을 오일 저장조(4)로 바로 바이패스시켜 흘러내려보냄으로써 오일의 압력을 완화시킨다.
이 경우에 오일 저장조(4)로 곧바로 바이패스되는 최고압의 오일이 공랭되면서 오일온도가 급격히 낮추어짐으로써 파워스티어링 내부의 오링, 씰링, 오일씰 등의 경화를 방지하여 누유 및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오일펌프(6)는 오일만 공급하고 최고압은 조정하지 않게 됨에 따라 오일온도 상승을 유발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밸브 하우징(5)의 자체내에 설치되어 있는 릴리프 밸브(51~56)는, 입력관(51)을 통하여 입력되는 오일의 압력이 스프링(53)의 스프링상수값보다 큰 경우에 볼(55)이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바이패스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오일압력이 완화되도록 하는데, 상기한 스프링(53)의 조정압력은 스프링 상수값에 따라 변하므로 임의로 조정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릴리프 밸브의 스프링(53)의 밑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류(56)를 죄면 스프링 상수가 증가하여 조정압력이 올라가고, 반대로 스크류(56)를 풀면 스프링 상수가 낮아져 조정압력이 내려감으로써 임의로 릴리프밸브의 조정압력을 조정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고안은, 최고압 완화장치인 릴리프 밸브를 오일펌프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파워 스티어링의 밸브 하우징의 유입 입구쪽과 출구쪽의 사이에 부착함으로써 오일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오일온도 상승으로 인한 작동불능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일펌프(6)와,
    상기한 오일펌프(6)로부터 입력되는 유압을 이용하여 파워 스티어링 동작을 하는 파워 스티어링(1)과,
    상기한 오일펌프(6) 및 파워 스티어링(1)에 최고압 발생시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최고압 완화장치인 릴리프 밸브(51, 52)가 자체내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 하우징(5)과,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오일 저장조(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릴리프 밸브(51~56)는,
    상기한 오일펌프(6)와 연결되어 있는 입력관(51)과,
    상기한 입력관(51)을 개폐하기 위한 볼(55)과,
    상기한 볼(55)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54)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한 서포터(54)를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53)과,
    상기한 스프링(53)의 스프링 상수를 조절하기 위한 스크류(57)와,
    상기한 오일 저장조(4)와 연결되어 있는 출력관(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2003-0016447U 2003-05-27 2003-05-27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0324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47U KR200324040Y1 (ko) 2003-05-27 2003-05-27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47U KR200324040Y1 (ko) 2003-05-27 2003-05-27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040Y1 true KR200324040Y1 (ko) 2003-08-19

Family

ID=4941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447U KR200324040Y1 (ko) 2003-05-27 2003-05-27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0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2335B2 (ja) 圧力供給弁
US6745792B2 (en) Hydraulic relief valve
US20100221126A1 (en) Variable Displacement Variable Pressure Vane Pump System
JP5059103B2 (ja) 油圧装置用ショックバルブ
US6415815B1 (en) Pressure relief valve
FR2849485B1 (fr) Vanne de commande a etancheite amelioree pour circuit de circulation de fluide
US7640735B2 (en) Auxiliary pump for hydrostatic transmission
AU2008275830A1 (en) A non-return valve
EP0063376A1 (en) A belt type power transmitting system
KR200324040Y1 (ko)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WO2002012766A1 (fr) Dispositif de soupape et systeme de pipeline
US20240019047A1 (en) Shower system
KR200340661Y1 (ko) 릴리프밸브의 플러그 내장형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6871494B2 (en) Hydraulic type brake apparatus
JP2011038543A (ja) 設定圧可変式のリリーフ弁
KR100646920B1 (ko)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누유방지 및 유격량 조정장치
KR200314117Y1 (ko) 다단(3단)제어형 완폐역지변
RU2237208C2 (ru) Гидрообъемная передача
KR100707001B1 (ko)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소음방지구조
US20070151236A1 (en) Total power controller
RU2084741C1 (ru) Дросс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24078707A (ja) 流体動力伝達装置および流体動力発生源の低圧側調整器
KR960005903B1 (ko) 자동차의 능동형 현가장치용 페일 세이프(Fail Safe) 유압회로
KR960005904B1 (ko) 자동차용 능동형 현가장치의 차고조정 및 페일 세이프(Fail Safe) 유압회로
KR20060134353A (ko) 차량용 유압펌프의 유량조절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