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906Y1 - 골프 스윙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906Y1
KR200323906Y1 KR20-2003-0016771U KR20030016771U KR200323906Y1 KR 200323906 Y1 KR200323906 Y1 KR 200323906Y1 KR 20030016771 U KR20030016771 U KR 20030016771U KR 200323906 Y1 KR200323906 Y1 KR 200323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sensing pin
sens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륜
Original Assignee
정재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륜 filed Critical 정재륜
Priority to KR20-2003-0016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9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9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골프 스윙 연습 장치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복수개의 홈들을 구비하는 바닥과, 홈 내부의 공간 내에 장착되며,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제1 상태 및 골프 클럽 헤드의 타격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누워지는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는 복수개의 감지핀들과, 감지핀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서 대응되는 감지핀의 상태에 따라 점등 여부가 결정되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과, 그리고 감지핀의 상태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클럽 헤드가 감지핀을 타격시 이와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게 함으로서 각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상태로 클럽 헤드의 스윙 경로 및 임팩트 순간의 클럽 헤드 페이스의 상태(목표 방향에 대해 직각, 열림, 닫힘)를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 장치{Apparatus for training golf swing}
본 고안은 골프 스윙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골프 스윙 연습자가 스윙후 본 고안의 각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상태로 클럽 헤드의 스윙 경로 및 임팩트 순간의 목표 방향에 대한 클럽 헤드 페이스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임팩트 순간 클럽 페이스가 목표 방향에 대해 직각이고 스윙 패스가 인사이드 투 인사이드(inside to inside)일 때, 타구의 비행 거리가 길어지고 방향성도 정확해지며, 그 결과로서 페이웨이나 그린 위에 공을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스포츠다. 이와 같은 정확한 골프 스윙을 체득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한데, 실내에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고, 게다가 스윙을 분석할 수 있는 연습 장치가 있다면 비용을 절약하면서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연습이 가능하므로 빠른 시일 내에 정확한 스윙을 체득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골프 연습자들이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스윙 연습이 이루어지도록 골프 연습자들을 돕는 많은 보조 장치들이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한국특허출원 1996-0020518호에는, 실내 골프 스윙 연습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실내 골프 스윙 연습 장치는,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윙 연습 전용 클럽과, 상기 레이저를 수광하여 사용자의 스윙 동작을 표시할 수 있는 자세 컨트롤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실내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경우, 그 목적에 따른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는 하지만, 사용자가 평소에 사용하는 골프 클럽이 아닌 연습용 클럽만을 사용하여 연습해야 한다는 제약이 따르며, 또한 레이저 발생을 위한 제반 장치들, 예컨대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 회로, 온/오프 스위치, 레이저 조사 통공 등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스윙 연습 전용 클럽 구입에 많은 비용을 부담하여야 한다는 문제도 생긴다.
다른 예로서, 미국 특허 등록 번호 제5,839,969호도, 골프 스윙 연습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골프 스윙 연습 장치는, 골프 클럽 상부 표면에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다. 이 하우징 내부에는 한 쌍의 전지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전지들은 하우징 위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광원, 예컨대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킨다. 이 발광된 광원은 상기 클럽을 이용한 스윙을 수행함에 따라 시각적인 빛의 궤적을 만들고, 이 궤적에 의해 사용자가 자신의 스윙을 분석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연습하기 위해서 평소에 사용하던 골프 클럽 대신에 상기 하우징이 부착된 별도의 골프 클럽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그 밖에도 연습시 항상 발광 다이오드가 켜져 있게 해야 하는데, 이 경우 스윙 준비 동작, 즉 클럽이 멈추어져 있는 상황에서도 켜져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력 손상 등의 위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비록 두 개의 예를 들었지만, 이 외에도 별도의 연습용 골프 클럽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는 많은 제안들이 있다. 예컨대 연습용 매트나 매트 위에 설치된 쇠막대에 골프공을 줄로 연결시킨 구조, 골프 클럽의 헤드 부분과 매트 바닥과의 접촉을 감지해 다운 스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 등이 있지만, 이들 구조에 의할 경우 스윙의 일부분에 대해서만 분석이 가능하다는 제약과, 분석 결과에 있어서도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근접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을 연습용 매트에 설치하여 이들 센서로 클럽 해드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스윙을 분석할 수 있는 구조도 있지만, 이 경우 고가의 센서를 다수, 예컨대 20개 이상 사용하므로 가격이 비싼 단점을 가지며, 또한 센서가 클럽 헤드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다운 스윙 여부와 공의 밑부분 가격 여부, 또는 공보다 공의 뒷 부분 바닥을 먼저 가격하는 소위 뒷땅 타격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평소에 사용하던 골프 클럽을 사용하여 연습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골프 스윙 연습자가 스윙후 클럽 헤드의 스윙 경로 및 임팩트 순간의 클럽 헤드 페이스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제2 홈 내부 구조를 제2 감지핀의 서로 다른 상태에 따라 구별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다운 스윙 및 뒷땅 타격 감지 원리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임팩트 순간 클럽 페이스 상태(목표 방향에 대해 직각, 열림, 닫힘) 감지 원리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클럽 헤드의 스윙 패스 감지 원리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제어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제어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복수개의 홈들을 구비하는 바닥; 상기 홈 내부의 공간 내에 장착되며,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제1 상태 및 골프 클럽 헤드의 타격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누워지는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는 복수개의 감지핀들; 상기 감지핀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대응되는 감지핀의 상태에 따라 점등 여부가 결정되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및 상기 감지핀의 상태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서 Y 방향은 전면 방향이고 X 방향은 측면 방향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100)는, 매트 본체(110) 및 이 매트 본체(110)의 상부 표면상에 부착된 인조 잔디(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골프 스윙을 분석할 수 있도록 골프 스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골프 스윙 분석 수단들을 포함한다. 이 골프 스윙 분석 수단은, 감지핀 및 발광 다이오드가 홈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감지핀은 인조 잔디(120)의 표면 위로 돌출되거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며, 골프 클럽 헤드에 의해 타격될 경우에 Y 방향으로 홈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상의 골프공 배치 지점(130)에 인접되는 위치에 각각 제1 홈(210), 제2 홈(220) 및 제3 홈(230)이 배치된다. 그리고 가상의 골프공 배치 지점(130)의 내부에 제4 홈(240) 및 제5 홈(250)이 배치된다. 제1 홈(210)에는 제1 감지핀(211) 및 제1 발광 다이오드(212)가 배치된다. 제2 홈(220)에는 제2 감지핀(221) 및 두 개의 제2 발광 다이오드들(222a, 222b)이 배치된다. 제3 홈(230), 제4 홈(240) 및 제5 홈(250)에는, 제1 홈(210)과 같이, 각각 제3 감지핀(231) 및 제3 발광 다이오드(232), 제4 감지핀(241) 및 제4 발광 다이오드(242), 그리고 제5 감지핀(251) 및 제5 발광 다이오드(252)가 배치된다. 여기서 감지핀들은 홈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발광 다이오드들은 홈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감지핀들 중 제1 내지 제3 감지핀들(211, 221, 231)은 임팩트 순간의 클럽 헤드 페이스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핀들이다. 제2 홈(220)에서의 하나의발광 다이오드(222b)는 제2 감지핀(221)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또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222a)는 제2 감지핀(221)과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발광 다이오드(222a)는 클럽 헤드 페이스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광 다이오드(222b)는 클럽 헤드와 감지핀(221)과의 충돌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상에서, 제1 감지핀(211)과 제2 감지핀(221)이 X 방향으로 따라 동일 선(a)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지핀(211)은 제2 감지핀(221)에 비해 Y 방향으로 다소 더 전진되도록 배치된다. 제3 감지핀(231)은 제1 및 제2 감지핀(211, 221)에 비하여 Y 방향으로 더 전진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4 감지핀(241) 및 제5 감지핀(251)는 X 방향으로 동일 선(b)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특히 점선(b)은 가상의 골프공 배치 지점(o)을 지난다.
이외에도 Y 방향으로 따라 길게 표시되며, 특히 가상의 골프공 배치 지점(o)을 지나는 점선(c) 상에는 제6 홈(260), 제7 홈(270) 및 제8 홈(280)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6 홈(260), 제7 홈(270) 및 제8 홈(280)에는 각각 제6 감지핀(261) 및 제6 발광 다이오드(262), 제7 감지핀(271) 및 제7 발광 다이오드(272), 그리고 제8 감지핀(281) 및 제8 발광 다이오드(282)가 배치된다. 이 제6 내지 제8 감지핀들(261, 271, 281)은, 제1 감지핀(211), 제2 감지핀(221), 제4 감지핀(241) 및 제5 감지핀(251)과 함께, 클럽 헤드의 수직 방향으로의 움직임, 즉 다운 스윙과 뒷땅 타격 여부 및 중간 밑 부분 타격을 감지하기 위한 것들이다.
한편 점선(c)와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나란한 점선(d) 상에는 제9 홈(310), 제10 홈(320) 및 제11 홈(330)이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 점선(d)는 스윙 연습을 하는 사용자와 반대 방향의 지점에 존재한다. 제9 홈(310), 제10 홈(320) 및 제11 홈(330)에는 각각 제9 감지핀(311) 및 제9 발광 다이오드(312), 두 개의 제10 감지핀들(321a, 321b) 및 두 개의 제10 발광 다이오드들(322a, 322b), 그리고 제11 감지핀(331) 및 제11 발광 다이오드(332)가 배치된다. 제10 홈(320)은 가상의 골프공 배치 지점(130)과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9 홈(310)은 제10 홈(3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1 홈(330)은 제10 홈(320)의 전방에 배치되며 제9 내지 제11 홈은 골프 클럽 헤드의 크기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도록 X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 제9 내지 제11 감지핀들(311, 321, 331)은 수평 방향으로의 스윙 패스 분석을 위한 것들이며 이들 감지핀의 상부가 인조 잔디 위로 대략 2 내지 4㎝ 정도 돌출되도록 한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452"는 전원 스위치를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홈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홈(220)에는 두 개의 발광 다이오드(222a, 222b)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다른 홈들과 그 구조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제2 홈(220)을 예로서 홈 내부의 구조를 설명하고, 동시에 다른 홈들의 동일한 내부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내부 구조에 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제2 홈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특히 도 2는 제2 감지핀이 세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제2 감지핀이 누워져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두 개의 제2 발광 다이오드들(222a, 222b)과 함께 제2 감지핀(221)이 매트 본체(110)에 부착된다. 이 중 제2 감지핀(221)은 지지대(223)에 의해 부착되며, 특히 제2 감지핀(221)의 상단 일부는 인조 잔디(120) 표면 위로 돌출된다. 돌출되는 정도는, 제2 감지핀(221)의 상단이 골프공 반지름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정도이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감지핀 상단의 높이를 골프공 반지름 높이보다 높거나 낮게 할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하여 길이가 길거나 짧은 감지핀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감지핀(221)의 돌출되는 정도를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이유는 제2 감지핀(221)에 의해 골프 클럽과 골프공의 충돌 위치 분석을 한층 더 정확히 달성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동일한 목적을 갖는 제1 감지핀(211)의 경우도 동일하다. 그러나 나머지 감지핀들, 즉 제4 감지핀(240), 제5 감지핀(250), 제6 감지핀(260), 제7 감지핀(270) 및 제8 감지핀(280)은 인조 잔디(120) 표면 위로 돌출되지 않으며, 최상부가 인조 잔디(120)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다만 드라이버의 업(up) 스윙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4 내지 제8 감지핀도 감지핀 상단이 인조 잔디 표면위로 돌출이 되도록 길이가 긴 감지핀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의 제4 감지핀(241) 내지 제8 감지핀(281)의 길이를 모두 동일하게 인조 잔디의 표면 위로 대략 1 내지 2㎝ 정도 돌출되도록 하면 감지핀이 타격되지 않은 지점부터 업 스윙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제2 감지핀(221)과 지지대(223)는 서로 다른 길이의 감지핀을 부착할 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지지대(223)의 일부 표면에 배치된 스위치(225)는 매트 본체(110)에 부착된 두 개의 접점들, 즉 제1 접점(410) 및 제2 접점(420)과 접촉된다. 제1 접점(410) 및 제2 접점(420)은 각각 포지티브 극성 및 네가티브 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1 접점(410) 및 제2 접점(420)이 스위치(225)와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1 접점(410) 및 제2 접점(420)이 상호 연결되며,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접점(410) 및 제2 접점(420)이 상호 분리된다.
지지대(223)는 회전축(224)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지지대(223)가 회전함에 따라 제2 감지핀(221)도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함께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는 지지대(223)가 제1 접점(410) 및 제2 접점(420)으로부터 분리된다. 지지대(223)가 제1 접점(410) 및 제2 접점(420)으로부터 분리되면, 제1 접점(410) 및 제2 접점(420)이 상호 분리되며, 이 경우 발광 다이오드(222a)는 발광한다. 상기 제2 감지핀(221)은 골프 스윙 경로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골프 클럽헤드(500)와의 충돌이 발생할 때, 그 충격으로 매트 본체(110) 바닥을 향하여 회전하며,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본체(110) 바닥 위에 누워져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한쪽 모서리에는 별도의 홈(450)이 배치되며, 이 홈(450)에는 발광 다이오드 오프용 감지핀(451)이 배치된다.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이 발광 다이오드 오프용 감지핀(451)은, 홈(450) 표면 위로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경우 내부의 접점과 접촉하게 되어,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여부와는 무관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홈(450) 내부로 수평으로 눕게 되는 경우에는, 내부의 접점과 분리되고, 이에 따라 발광중인 발광 다이오드를 오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이용하여 골프 스윙의 다운 스윙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 "131"로 표시된 점선의 원은 가상의 골프 공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제2 감지핀(221) 및 제5 감지핀(251)은 각각 제1 감지핀(211) 및 제4 감지핀(241)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 가상의 골프 공을 향해 골프 클럽을 스윙하는 경우, 골프 클럽 헤드(500)가 가상의 골프 공 위치를 통과한 후에 어떤 경로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골프 스윙의 다운 스윙을 분석할 수 있다. 즉 클럽 헤드(500)가 참조 부호 "e"로 나타낸 점선과 같은 경로를 갖는다면, 제1 감지핀(211) 및 제2 감지핀(221)과 함께 제4 감지핀(241) 및 제5 감지핀(251)과도 충돌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제1 발광 다이오드(212), 제2 발광 다이오드(222b), 제4 발광 다이오드(242) 및 제5 발광 다이오드(252)가 발광하게 된다. 이 경우는 소위 "뒷땅 타격" 형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클럽 헤드(500)가 참조 부호 "f"로 나타낸 점선과 같은 경로를 갖는다면, 제1 감지핀(211) 및 제2 감지핀(221)과 함께 제6 감지핀(261), 제7 감지핀(271) 및 제8 감지핀(281)과도 충돌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제1 발광 다이오드(212), 제2 발광 다이오드(222b), 제6 발광 다이오드(262), 제7 발광 다이오드(272) 및 제8 발광 다이오드(282)가 발광하게 된다. 이 경우는 클럽헤드(500)가 공 중심 및 밑 부분을 먼저 가격하고 공의 앞쪽 바닥을 가격하는 소위 " 다운 스윙" 형태를 나타낸다.
한편 다운 스윙 형태의 경우, 참조 부호 "g"로 나타낸 점선과 같은 경로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다운 스윙의 경사가 다소 다른 경우로서, 제1 감지핀(211) 및 제2 감지핀(221)과 함께 제8 감지핀(281)에만 충돌이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제1 발광 다이오드(212), 제2 발광 다이오드(222b) 및 제8 발광 다이오드(282)가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제6 발광 다이오드(262), 제7 발광 다이오드(272) 및 제8 발광 다이오드(282)가 모두 발광되는 경우는, 다운 스윙 중 그 경사가 급한 경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8 발광 다이오드(282)만이 발광되는 경우는, 다운 스윙 중 그 경사가 완만한 경우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어느 경우에서나 제1 감지핀(211) 및 제2 감지핀(221)과 골프 클럽 헤드(500)가 충돌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발광 다이오드(212) 및 제2 발광 다이오드(222b)가 발광하지 않으며, 이 경우에는 공의 중심 윗 부분을 타격한 것이 되며, 실제로 이와 같이 스윙하는 경우 골프 공은 뜨지 않고 낮게 굴러가게 되므로 비거리가 나오지 않게 된다.
다음에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이용하여 임팩트 순간의 클럽 헤드 페이스의 상태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 가상의 골프 공 배치 지점을 향해 골프 클럽을 스윙하는 경우, 골프 클럽 헤드(500)의 리딩 엣쥐(510)가 임팩트 순간 어떤 각도인가에 따라 클럽 헤드 페이스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럽헤드(500)가 참조 부호 "h"로 나타낸 점선과 같은 스윙이 이루어진다면, 즉 클럽 헤드의 리딩 엣쥐(510)가 Y축 방향에 대해 직각에 가까운 상태인 경우, 클럽 헤드의 리딩 엣쥐(510)는 제2 감지핀(221)과 먼저 충돌되고, 이어서 제1 감지핀(211) 및 제3 감지핀(231)과 순차적으로 충돌된다. 이 경우에는 제1 발광 다이오드(212) 및 제2 발광 다이오드(222a)만 발광되도록 한다. 다음에 클럽 헤드(500)가 참조 부호 "i"로 나타낸 점선과 같이 비스듬한 정도의 스윙이 이루어진다면, 즉 크럽 헤드의 리딩 엣쥐(510)가 닫혀 있는 상태, 예컨대 Y 방향으로 대략 1.5도 이상인 경우, 클럽 헤드의 리딩 엣쥐(510)는 제2 감지핀(221), 제3 감지핀(231) 및 제1 감지핀(211)의 순서로 충돌된다. 이 경우에는 제1 발광 다이오드(212), 제2 발광 다이오드(222a) 및 제3 발광 다이오드(232)가 모두 발광되도록 한다. 다음에 클럽 헤드(500)가 참조 부호 "j"로 나타낸 점선과 같이 비스듬한 정도의 스윙이 이루어진다면, 즉 클럽 헤드의 리딩 엣쥐(510)가 열려 있는 상태, 예컨대 Y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대략 1.5도 이상인 경우, 클럽 헤드의 리딩 엣쥐(510)는 제1 감지핀(211)과 먼저 충돌되고, 그 다음에 제2 감지핀(221) 및 제3 감지핀(231)과 충돌된다. 이 경우에는 제1 발광 다이오드(212)만 발광되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제1 발광 다이오드(212), 제2 발광 다이오드(222a) 및 제3 발광 다이오드(232) 각각의 발광 여부에 따라서 골프 클럽의 리딩 엣쥐(510) 또는 페이스(511)의 골프공 타격 당시의 각도를 분석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를 이용하여 골프 클럽 헤드의 스윙 패스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골프 클럽을 스윙하는 경우, 골프 클럽 헤드(500)의 스윙 패스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럽 헤드(500)가 참조 부호 "k"로 나타낸 점선과 같은 스윙 패스를 갖는다면, 즉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스윙 패스가 진행하는 경우, 골프 클럽 헤드(500)는 제9 감지핀(311) 및 제10 감지핀(321a)과 충돌되고, 제10 감지핀(321b) 및 제11 감지핀(331)과는 충돌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9 발광 다이오드(312) 및 제10 발광 다이오드(322a)만 발광되도록 한다. 다음에 클럽 헤드(500)가 참조 부호 "l"로 나타낸 점선과 같은 스윙 패스를 갖는다면, 즉 어느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는 스윙 패스를 갖는 경우, 골프 클럽의 헤드(500)는 제10 감지핀(321a)과만 충돌된다. 이 경우에는 제10 발광 다이오드(322a)만 발광되도록 한다. 그리고 클럽 헤드(500)가 참조 부호 "m"으로 나타낸 점선과 같은 스윙 패스를 갖는다면, 즉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스윙 패스가 진행하는 경우, 골프 클럽의 헤드(500)는 제10 감지핀(321a) 및 제11 감지핀(331)과 충돌된다. 이 경우에는 제10 발광 다이오드(322a) 및 제11 발광 다이오드(332)만 발광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제9 발광 다이오드(312), 제10 발광 다이오드(322a) 및 제11 발광 다이오드(332)의 발광 여부에 따라서 골프 클럽 헤드(500)의 골프공 타격 당시의 스윙 패스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제10 감지핀(321b)는 제10 감지핀(321a)로부터 X 방향으로 소정 거리, 예컨대 대략 1㎝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어느 경우에서나 골프 클럽의 헤드(500)가 두 개의 제10 감지핀들(321a, 321b)과 모두 충돌되고, 그 결과 두 개의 제10 발광 다이오드들(322a, 322b)이 모두 발광하게 되는 경우에는, 스윙 패스가 지나치게 바깥쪽으로 치우친 경우로서, 예컨대 클럽 헤드의 페이스(511) 중심부(512)에서 클럽 헤드(500)의 힐 쪽으로 대략 0.5㎝ 이상 떨어진 클럽 헤드의 페이스(511)의 "A" 부위에 공이 타격되었음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골프 클럽의 헤드(500)가 두 개의 제10 감지핀들(321a, 321b)과 모두 충돌되지 않고, 그 결과 두 개의 제10 발광 다이오드들(322a, 322b)이 모두 발광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윙 패스가 지나치게 안쪽으로 치우친 경우로서, 예컨대 클럽 헤드의 페이스(511) 중심부(512)에서 클럽 헤드(500)의 토우 쪽으로 대략 0.5㎝ 이상 떨어진 클럽 헤드의 페이스(511)의 "B" 부위에 공이 타격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발광 다이오드 동작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발광 다이오드(710)의 애노드 단자는 직류 바이어스 전원(Vdd)의 포지티브 단자(+)에 연결되고, 발광 다이오드(710)의 캐소드 단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720)의 컬렉터 단자(C)와 연결된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710)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내지 제11 발광 다이오들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720)는 스위칭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므로, 대신에 모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또는 다른 스위칭 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720)의 에미터 단자(E)는 접지되며, 베이스 단자(B)는 저항(R1)을 통해 반전·기억 회로부(730)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반전·기억 회로부(730)는 제1 OR 게이트(731) 및 제2 OR 게이트(732)를 포함한다. 제1 OR 게이트(731)의 입력 단자에는 각각 제1 및 제2 인버터들(733,734)의 출력 단자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 OR 게이트(732)의 출력 단자에도 각각 제3 및 제4 인버터들(735, 736)의 출력 단자와 연결된다. 제1 인버터(733) 및 제4 인버터(736)의 각각의 입력 단자는 반전·기억 회로부(730)의 입력 단자로서 작용한다. 제2 인버터(734)의 입력 단자 및 제3 인버터(735)의 입력 단자는 각각 제2 OR 게이트(732)의 출력 단자 및 제1 OR 게이트(731)의 출력 단자와 연결된다. 반전·기억 회로부(730)의 출력 단자는 단지 제1 OR 게이트(731)의 출력 단자만이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출력 단자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720)의 베이스 단자(B)에 연결된다.
반전·기억 회로부(730)의 제1 입력 단자, 즉 제1 인버터(733)의 입력 단자는 제1 스위칭부(740)의 제1 접점(741)에 연결되고, 동시에 저항(R2)을 통해 접지된다. 제1 스위칭부(740)의 제2 접점(742)은 외부 바이어스 전원(Vcc)에 연결되며, 스위치(743)에 의해 제1 접점(741)과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접점(741) 및 제2 접점(74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핀과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게 되는 제1 접점(410) 및 제2 접점(420)과 동일한 접점이다. 그리고 스위치(743)는 지지대(223)에 부착된 스위치(225)를 나타낸다.
반전·기억 회로부(730)의 제2 입력 단자, 즉 제4 인버터(736)의 입력 단자는 제2 스위칭부(750)의 제1 접점(751)에 연결되고, 동시에 저항(R3)을 통해 접지된다. 제2 스위칭부(750)의 제2 접점(752)은 외부 바이어스 전원(Vcc)에 연결되며, 스위치(753)에 의해 제1 접점(751)과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되지 않는다. 제2 스위칭부(750)의 구조는 제1 스위칭부(740)의 구조와 동일하며, 단지 상기스위치(753)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다이오드 오프용 감지핀(451)의 지지대에 부착된 스위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 동작 회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제2 스위칭부(750)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제1 스위칭부(743)가 온 상태가 되면, 즉 골프 클럽에 의해 감지핀이 타격되어 감지핀이 홈 내부로 누워지게 됨에 따라 스위치(743)가 제1 접점(741) 및 제2 접점(742)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도 2에 도시된 상태가 되는 경우), 제1 인버터(733)에는 로우(low) 신호가 입력되어 하이(high) 신호가 출력된다. 이 하이 신호는 제1 OR 게이트(731)에 입력되어 제1 OR 게이트(731)로부터 하이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 하이 신호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720)를 턴 온 시키고,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710)는 발광하게 된다. 다음에 제1 스위칭부(743)가 오프 상태가 되면, 즉 홈 내부로 누워진 감지핀이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경우(도 3에 도시된 상태가 되는 경우), 제1 인버터(733)에는 하이 신호가 입력되어 로우 신호가 출력된다. 이 로우 신호는 제1 OR 게이트(731)에 입력된다. 한편 제2 OR 게이트(732)으로부터는 로우 신호가 출력되었으며, 따라서 제2 인버터(734)에는 이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하이 신호가 출력된다. 이 하이 신호는 제1 OR 게이트(731)로 입력되고, 따라서 제1 인버터(733)의 출력으로서 로우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제1 OR 게이트(731)의 출력 신호는 여전히 하이 신호를 유지한다. 이 하이 신호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720)의 상태가 계속 턴 온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음에 제2 스위칭부(750)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이경우는 이미 발광되어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강제로 오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발광 다이오드 오프용 감지핀(도 1의 451)을 타격하여, 발광 다이오드 오프용 감지핀과 내부의 접점들이 서로 분리되는 상태이다. 이 상태가 되면, 제4 인버터(736)로는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하이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제2 OR 게이트(732)의 출력 신호는 로우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바뀌고, 그 결과 제2 인버터(734)로 하이 신호가 입력되어 로우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제1 스위칭(740)는 온 상태이므로 제1 인버터(731)로 하이 신호가 입력되어 로우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제1 OR 게이트(731)의 두 입력 단자에는 모두 로우 신호가 입력되며, 이에 따라 로우 신호가 출력된다. 이 로우 신호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720)를 턴 오프 시키고, 결과적으로 발광 다이오드는 오프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발광 다이오드 오프용 감지핀(451)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더라도, 동일한 동작 원리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의 발광 다이오드 동작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동작 회로는 도 1의 제1 내지 제3 감지핀(211, 221, 231) 및 그 각각의 제1 내지 제3 발광 다이오드(212, 222a, 232) 사이에서만 적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발광 다이오드(212), 제2 발광 다이오드(222a) 및 제3 발광 다이오드(232)는 각각 제1 RS 플립 플랍(810), 제2 RS 플립 플랍(820) 및 제3 RS 플립 플랍(830)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제1 RS 플립 플랍(810)의 S 단자는 제1 감지핀(211)에 연결되고, R 단자는 발광 다이오드 오프용 감지핀(451)와 제2RS 플립 플랍(820) 및 제3 RS 플립 플랍(830)의 R 단자들에 연결된다. 제2 RS 플립 플랍(820)의 S 단자는 NAND 게이트(822)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R 단자는 제1 RS 플립 플랍(810) 및 제3 RS 플립 플랍(830)의 R 단자들에 연결된다. NAND 게이트(822)의 두 입력 단자들은 각각 인버터들(824, 826)의 출력 단자들에 연결된다. 인버터(824)의 입력 단자는 제2 감지핀(221)과 연결되고, 인버터(826)의 입력 단자는 제1 발광 다이오드(212) 및 인버터(836)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제3 RS 플립 플랍(830)의 S 단자는 NAND 게이트(832)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R 단자는 제1 RS 플립 플랍(810) 및 제2 RS 플립 플랍(820)의 R 단자들에 연결된다. NAND 게이트(832)의 두 입력 단자들은 각각 인버터들(834, 836)의 출력 단자들에 연결된다. 인버터(834)의 입력 단자는 제3 감지핀(231)과 연결되고, 인버터(836)의 입력 단자는 제1 발광 다이오드(212) 및 인버터(826)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 동작 회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감지핀(211)이 타격되어 제1 RS 플립 플랍(810)의 S단자로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제1 RS 플립 플랍(810)의 출력 단자는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1 발광 다이오드(212)가 발광됨과 동시에 인버터들(826 및 836)에 입력되는 하이 신호는 로우 신호들로 변환되어 NAND 게이트들 (822 및 832)의 하나의 입력 단자에 각각 입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감지핀(221) 및 제3 감지핀(231)이 타격되어 NAND 게이트들(822 및 832)의 하나의 입력 단자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NAND 게이트들(822 및 832)로부터 하이 신호가 출력되어 제2 RS 플립 플랍(820)과 제3 RS 플립 플랍(830)의 S단자에는 하이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RS 플립 플랍(820)과 제3 RS 플립 플랍(830)의 출력 단자로는 로우 신호가 출력되어 제2 발광 다이오드(222a)및 제3 발광 다이오드(232)는 발광이 되지 않는다. 즉 제1, 제2 및 제3 감지핀(211, 221 및 231)과 제1, 제2 및 제3 발광 다이오드(212, 222a 및 232)를 연결하는 회로는 우선 회로로서, 일단 제1 감지핀(211)이 타격되면, 그 후에 제2 및 제3 감지핀(221, 231)이 타격되어도 이와 연결된 제2 및 제3 발광 다이오드(222a, 232)는 발광이 되지 않고 제1 발광 다이오드(211)만 발광이 되며, 결과적으로 임팩트 순간 클럽 헤드 페이스의 상태는 도 5의 참조부호 j와 같이 Y 방향에 대해 열린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제2 및 제3 감지핀(221, 231)이 제1 감지핀(211)보다 먼저 타격된 경우에는, 제2 RS 플립 플랍(820)과 제3 RS 플립 플랍(830)의 S 단자에 로우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면 제2 RS 플립 플랍(820)과 제3 RS 플립 플랍(830)의 출력 단자로는 하이 신호가 출력되어 제2 및 제3 발광 다이오드(222a, 232)가 발광된다. 이후 제1 감지핀(211)이 타격되어 제2 RS 플립 플랍(820)과 제3 RS 플립 플랍(830)의 S 단자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어도, RS 플립 플랍은 기억회로이므로 제2 RS 플립 플랍(820)과 제3 RS 플립 플랍(830)의 출력 단자는 계속 하이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및 제3 발광 다이오드(222a, 232)의 발광상태도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발광 다이오드(212, 222a, 232) 모두가 발광되므로서 임팩트 순간 클럽 헤드 페이스가 도 5의 참조 부호 i와 같은 닫힌 상태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2, 제1 및 제3 감지핀(221, 211 및 231)의 순서로 타격이 되면 제2 및 제1 발광 다이오드(222a, 212)만 발광이 되어 임팩트 순간 클럽 헤드페이스가 도 5의 참조 부호 h와 같은 직각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스윙 분석이 끝난 후 발광 상태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소등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 오프용 감지핀(451)을 타격하면 제1, 제2 및 제3 RS 플립 플랍(810, 820, 830)의 R 단자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고 제1, 제2 및 제3 RS 플립 플랍(810, 820, 830)의 출력 단자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본 고안의 모든 발광 다이오드는 소등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을 제공한다.
첫째로, 연습자가 스윙 후 각 감지핀들과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들의 발광 여부에 따라 임펙트 순간의 클럽 페이스의 상태 및 다운 스윙 또는 업 스윙 여부와 공의 뒷바닥 가격 여부, 수직 및 수평상의 스윙 패스, 클럽 헤드 페이스의 중심부에 의한 공 타격 여부 등과 같이 골프 스윙의 중요 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둘째로, 골프공의 초기 진행 방향은 스윙 패스에 의해 결정되고 마지막 진행 방향은 클럽 헤드 페이스의 상태에 의해 결정되므로, 발광 다이오드들의 발광 여부에 따라 파악되는 스윙 패스와 클럽 헤드 페이스의 상태에 의해 골프공의 진행 경로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실제 골프공을 본 고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 장치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골프 스윙도 또한 가능하며, 이에 따라 연습 결과와 실제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셋째로, 실제 공프공의 유무와 무관하게 스윙 연습이 가능하고, 손쉽게 휴대가 가능한 일체형이며, 일반 건전지나 충전지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 장소적 제한이 적다. 넷째로 고가의 근접 센서나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감지핀과 발광 다이오드,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간단한 전기 회로로 이루어지므로 제조 원가가 적게 소요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7)

  1.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복수개의 홈들을 구비하는 바닥;
    상기 홈 내부의 공간 내에 장착되며,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제1 상태 및 골프 클럽 헤드의 타격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누워지는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고 높이 조절을 위해 지지대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복수개의 감지핀들;
    상기 감지핀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대응되는 감지핀의 상태에 따라 점등 여부가 결정되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및
    상기 감지핀의 상태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핀들 및 발광 다이오드들은,
    가상의 골프공 위치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한 제1 및 제2 홈에 각각 배치된 제1 감지핀 및 제1 발광 다이오드와 제2 감지핀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2 홈에 인접되게 위치한 제3 홈에 배치된 제3 감지핀 및 제3 발광 다이오드;
    상기 가상의 골프공 내부에 위치한 제4 홈 및 제5 홈에 각각 배치된 제4 감지핀 및 제4 발광 다이오드와 제5 감지핀 및 제5 발광 다이오드;
    상기 가상의 골프공 위치를 지나면서 골프공의 진행 방향을 향한 선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6 감지핀 및 제6 발광 다이오드, 제7 감지핀 및 제7 발광 다이오드, 그리고 제8 감지핀 및 제8 발광 다이오드;
    상기 가상의 골프공 위치의 바깥쪽에서 골프공의 진행 방향을 향한 선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클럽 헤드의 크기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게 사용자 반대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9 감지핀 및 제9 발광 다이오드, 제10 감지핀 및 제10 발광 다이오드, 그리고 제11 감지핀 및 제11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바닥의 일정 모서리에 위치한 홈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 오프용 감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핀 및 제2 감지핀의 상부는 골프공의 반지름 높이 정도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핀, 제1 감지핀 및 제3 감지핀은 골프 스윙 방향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감지핀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의 반전 신호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 오프용 감지핀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의 반전 신호가 각각 S 단자 및 R 단자로 입력되며, 출력은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에 연결되는 제1 RS 플립 플랍;
    상기 제2 감지핀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의 반전 신호 및 상기 제1 RS 플립 플랍의 출력 신호의 반전 신호를 입력받는 제1 NAND 게이트;
    상기 제1 NAND 게이트 출력 신호의 반전 신호 및 상기 제1 RS 플립 플랍 출력 신호의 반전 신호가 각각 S 단자 및 R 단자로 입력되며, 출력은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에 연결되는 제2 RS 플립 플랍;
    상기 제3 감지핀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의 반전 신호 및 상기 제1 RS 플립 플랍의 출력 신호의 반전 신호를 입력받는 제2 NAND 게이트; 및
    상기 제2 NAND 게이트 출력 신호의 반전 신호 및 상기 제1 RS 플립 플랍 출력 신호의 반전 신호가 각각 S 단자 및 R 단자로 입력되며, 출력은 상기 제3 발광 다이오드에 연결되는 제3 RS 플립 플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에 연결된 제1 접점 및 제2 접점; 및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는 스위치 및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핀이 부착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핀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을 상호 분리시키며, 일정 기간 경과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접점, 제2 접점 및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제1 스위칭부;
    발광 다이오드 오프를 위한 제2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를 통과하는 신호가 반전되어 입력되는 제1 OR 게이트;
    상기 제2 스위칭부를 통과하는 신호 및 상기 제1 OR 게이트의 출력 신호가 반전되어 입력되고, 그 출력은 반전되어 상기 제1 OR 게이트에 입력되도록하는 제2 OR 게이트; 및
    상기 제1 OR 게이트의 출력 신호에 의해 스위칭이 이루어져,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20-2003-0016771U 2003-05-29 2003-05-29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200323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771U KR200323906Y1 (ko) 2003-05-29 2003-05-29 골프 스윙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771U KR200323906Y1 (ko) 2003-05-29 2003-05-29 골프 스윙 연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906Y1 true KR200323906Y1 (ko) 2003-08-19

Family

ID=4941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771U KR200323906Y1 (ko) 2003-05-29 2003-05-29 골프 스윙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9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7193A2 (ko) * 2009-04-07 2010-10-14 주식회사 위너골프텍 스크린 골프연습장용 센서장치
KR20180035680A (ko) 2016-09-29 2018-04-06 윤지녕 디봇 검출 골프 스윙 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7193A2 (ko) * 2009-04-07 2010-10-14 주식회사 위너골프텍 스크린 골프연습장용 센서장치
KR101026518B1 (ko) 2009-04-07 2011-04-01 주식회사 위너골프텍 스크린 골프연습장용 센서장치
WO2010117193A3 (ko) * 2009-04-07 2011-04-07 주식회사 위너골프텍 스크린 골프연습장용 센서장치
KR20180035680A (ko) 2016-09-29 2018-04-06 윤지녕 디봇 검출 골프 스윙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1384A (en) Golf swing diagnostic apparatus
US9295897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golf swing analysis and practice system with type of golf shot projection
US6071202A (en) Golf swing training method
US20080207347A1 (en) Golf swing trainer and method of improving a golf swing
US5161802A (en) Golf practice device
JPH07328163A (ja) ゴルフ器具
US6921340B2 (en) Laser equipped golf swing practice device and practice mat
US20070298895A1 (en) Golf swing analyzing/training mat system with ball striking-related feedback
US20090082122A1 (en) Sporting club swing trainer
JPH01104282A (ja) 打球具とその握り及び誘導のプログラミング及び制御を行う装置
US8435130B2 (en) Digital inertially responsive golf club head mounted device for instructing correct club face direction and swing speed
US20030104874A1 (en) Sports swing training apparatus
KR200323906Y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1157584B1 (ko) 스크린 골프의 골프공 동적 정보 측정장치
KR100879642B1 (ko) 골프 연습기
JP2007513735A (ja) パッティング練習キット及び方法
KR20030078625A (ko) 골프 연습 장치
KR100429149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40045260A (ko) 골프 자세 교정 장치가 장착된 골프 클럽
KR100898331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20110119026A (ko) 화상 골프채를 이용한 컴퓨터 골프 게임 시스템
KR20050096658A (ko) 레이저(광선)를 이용한 골프용 퍼터
JPH02503638A (ja) ゴルフパット練習装置
KR100682128B1 (ko)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
KR20100027880A (ko) 골프연습장치 및 타구 패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