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871Y1 - mobile station with support keyboard - Google Patents

mobile station with support key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871Y1
KR200323871Y1 KR20-2003-0016191U KR20030016191U KR200323871Y1 KR 200323871 Y1 KR200323871 Y1 KR 200323871Y1 KR 20030016191 U KR20030016191 U KR 20030016191U KR 200323871 Y1 KR200323871 Y1 KR 200323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upling member
keyboard
auxiliar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1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용순
Original Assignee
권용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순 filed Critical 권용순
Priority to KR20-2003-0016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87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871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1Including a rotatable keypad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조 키보드를 본체에 직접 힌지 결합하지 않고 별도의 결합부재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본체와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보조 키보드의 기능을 필요에 따라서만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는 결합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절첩되도록 하여 기기의 사용을 위해 상기 본체를 펼칠 경우 사용자의 눈이 본체에 갖추어져 있는 액정패널에 자연스럽게 주시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sub-keyboard, and hinge-coupled to a separate coupling member without hinge-bonding the auxiliary keyboard directly to the body, the coupl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body, the user auxiliary keyboard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ively used only as necessary, and the main body is folded in a stat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so that when the user unfolds the main body for use of the device, the user's eyes naturally rest on the liquid crystal panel provided in the main body. It was made possible.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동에 의해 절첩되도록 함과 함께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서로 적층상태를 유지하고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서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2보조 키보드(8)(9)가 하부에 힌지결합된 키보드 결합부재(101)와, 상기 키보드 결합부재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제1,2보조 키보드(8)(9)와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본체 결합부재(102)와, 송,수신상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액정패널(6)을 구비한 본체(1)와, 상기 본체가 본체 결합부재(10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함께 결합상태에서는 본체(1)와 보조 키보드(8)(9)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단자수단으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to be folded to keep each other in a folded state and to be horizontal to each other when in an unfolded state. Hinged-coupled keyboard coupling member 101 and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which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so as to be unfolded or fol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 A main body 1 having a liquid crystal panel 6 so tha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s are displayed, and the main body 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1, and the main body 1 and Auxiliary keyboard (8) (9) is composed of a terminal means for sending and receiving signals to each other.

Description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mobile station with support keyboard}Mobile terminal with secondary keyboard {mobile station with support keyboard}

본 고안은 무선 휴대폰,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PDA), IMT-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에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보조 키보드 기능을 적용시켜 기기의 사용 과정에서 편리성이 확보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mobile terminals, including wireless cellular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IMT-2000 terminals,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the auxiliary keyboard function pre-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to ensure 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using the device.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고,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지역이나 시간 및 공간적인 제약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그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는 물론 관련기술의 개발도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단순한 송,수신기능 이외에 대용량의 정보자료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등의 부가기능을 가지면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해 디스플레이판인 액정패널이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보다 훨씬 큰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become common, and the above-mentio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n be used regardless of region, time, and space constraints, so that the demand of the related technologies is explosive, as well as related technologies. The development is being made rapidly. Among them, the liquid crystal panel, which is a display panel, is much larger than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convenience of use, with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storing or transmitting large amount of information data in addition to sim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s. The deman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is increasing rapidly.

따라서 본 고안 기술은 무선 휴대폰이나 IMT-2000 단말기 등에도 모두 적용 가능하지만 특히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PDA)에 적합한 상태로 적용함에 촛점을 맞추고 있음을 미리 밝히는 바 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a wireless mobile phone or an IMT-2000 terminal, but it will be revealed that the focus is on the application in a state suitable f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먼저 본 고안 출원인은 이동단말기 분야와 관련하여 한정된 갯수의 입력키로서 여러개의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해야 하는 물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체에 두개의 보조 키보드를 절첩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각 보조 키보드에는 복수개의 보조 입력키를 구비시킨 구조의 기술을 여러건 특허출원한 바 있는데, 상기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기술은 특허출원 제2001-20701호(발명의 명칭 : 이동단말기)이다.First, the present applicant has a limited number of input keys related to the field of mobile terminals, and installs two auxiliary keyboards foldably in the main body so as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input several letters or numbers. There have been several patent applications of a technology having a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auxiliary input keys, and the technology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1-20701 (name of the invention: mobile terminal).

또한 본 고안 출원인은 상기 특허출원 제2001-20701호를 토대로 실용신안 제2001-4525호, 제2002-18724호, 제2002-24477호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사실이 있는 바, 상기 각 실용신안은 특허출원 제2001-20701호 중에서도 각 보조키보드를 본체에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장치와 관련된 것이다.In addition,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pplied for and registered the Utility Model Nos. 2001-4525, 2002-18724, and 2002-24477 based on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1-20701. Among the applications 2001-20701, it relates to a device for hinge-folding each auxiliary keyboard to the main body.

상기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 및 실용신안 기술을 종합적으로 하여 선 출원 기술에 대해 참고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atent and utility model technology previously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ference to the prior application technology as follows.

프론트 판넬부(1a)와 백 판넬부(1b)가 서로 합치되어 이루어진 본체(1)에 회전에 의해 절첩 가능한 상태로 폴더(2)가 힌지 결합된 구조로서, 상기 본체(1)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입력키(3)가 갖추어 짐과 함께 송신음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4)가 구비되고, 상기 폴더(2) 또는 본체(1)중 어느 한곳의 적소에는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5)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ront panel portion 1a and the back panel portion 1b are structured in which the folder 2 is hinge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nel portion 1a and the back panel portion 1b are foldable by rotation in a state of being foldable. Two input keys (3) are provided and a microphone (4) for inputting a transmission sound is provided, and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to any one of the folder (2) or the main body (1). The battery 5 is detachably coupled.

상기한 폴더(2)에는 하면인 안쪽면에 각종 정보 및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패널(6)과 함께 수신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리시버)(7)가 각각 갖추어 진다.The folder 2 is provided with a speaker (receiver) 7 for outputting a reception sound together with a liquid crystal panel 6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nd messages on the inner surface, which is a lower surface.

상기 본체(1)를 이루는 백 판넬부(1b)의 하면중 후방 양측 코너부분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제1,2보조 키보드(8)(9)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2보조 키보드가 본체(1)에 전부분이 인입된 상태로 접혀지거나 힌지 결합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본체에서 인출된 상태로 펼쳐지도록 하고,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의 상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보조 입력키(10)(11)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 입력키가 본체(1)의 프론트 판넬부(1a) 상면에 구비된 입력키(3)와 함께 필요한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and 9 are hinged to the rear opposite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 panel part 1b constituting the main body 1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keyboard is folded in the state where the whole part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 or the remaining parts except the hinge coupling part are unfolded from the main body so as to be unfolded, respectively,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respectively. A plurality of auxiliary input keys 10 and 11 are provided so that the auxiliary input keys can input necessary characters or numbers together with the input key 3 provided on the front panel portion 1a of the main body 1. Make sure

이와 같은 구조의 이동단말기는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도 2와 같이 본체(1)를 이루는 백 판넬부(1b)의 하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1보조 키보드(8) 및 제2보조 키보드(9)를 펼친 다음 상기 본체(1)에 갖추어져 있는 복수개의 입력키(3)와 제1,2보조 키보드(8)(9)에 각각 갖추어져 있는 복수개의 보조 입력키(10)(11)중 특정 입력키를 선택하여 이동단말기를 사용하면 되고, 사용후에는 펼쳐져 있는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칠 때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과 같이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가 본체(1)의 하부로 숨어 들어가도록 접으면 되는데,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그 하부면이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그 하부면이 상,하로 단차지도록 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having such a structure is to be used,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an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which are hing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 panel part 1b constituting the main body 1 as shown in FIG. A specific input key among a plurality of input keys 3 provided on the main body 1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input keys 10 and 11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respectively. Select and use a mobile terminal, and after use, rotate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en they are opened, as shown in FIG. (9) is folded so as to hide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9) in the unfolded state, the lower surface to form the same horizontal plane, the first, 2 In the folded state of the secondary keyboard (8) (9)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stepped up and down.

한편 보조 키보드가 설치된 이동단말기를 이용해 상대방과 대화를 할 경우의 송신음은 본체(1)의 프론트 판넬부(1a) 상면에 구비된 마이크(4)를 통해 입력됨과 함께 수신음은 폴더(2)의 하면인 안쪽면에 구비된 스피커(7)를 통해 출력되고, 또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해 상대방과 메시지를 주고 받을 경우의 상기 메시지는 폴더(2)의 하면인 안쪽면에 구비된 액정패널(6)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데, 이때에 필요한 전원공급은 폴더(2)에 결합되어 있는 밧데리(5)를 통해 이루어 짐은 이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nversation is made with the other party us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uxiliary keyboard, the transmission sound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unit 1a of the main body 1, and the reception sound is stored in the folder 2. The messag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7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which is the lower surface, and when the message is exchanged with the other party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message is provid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6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er 2. It is displayed through, it is understood that the power supply required at this time is made through the battery (5) coupled to the folder (2).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이동단말기에서 본체(1)에 힌지 결합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제1,2보조 키보드(8)(9)는 상기 제1,2보조 키보드중 어느 하나의 보조 키보드만을 먼저 회동시켜 펼치거나 접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보조 키보드는 연동에 의해 함께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중 제2보조 키보드(9)는 펼칠 때 상승함과 함께 접을 때 하강하도록 되어 있는데, 그에 따른 구조에 있어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고, 실제로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건에는 이에 대한 부분이 명확히 기재되어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which are hinged to the main body 1 and are expanded or folded are first rotated by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Even if it is unfolded or folded, the other auxiliary keyboard is expanded or folded together by interlocking, an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rises when it is unfolded. It is to be lowered when folded, there may be a variety in the structure accordingly, and the fact that is filed earlier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ly described.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 제1,2보조 키보드를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시켜 필요에 따라 상기 제1,2보조 키보드를 펼쳐 사용하거나 접어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제1,2보조 키보드중 어느 하나의 보조 키보드만을 회전시키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보조 키보드도 연동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제1,2보조 키보드중 제2보조 키보드는 펼칠 때 상승함과 함께 접을 때 하강하도록 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종래 기술을 그대로 적용시키기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are pivot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expand or us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as necessary, and to fol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Even if only the auxiliary keyboard is rotated, the other one of the auxiliary keyboards is rotated together by interlocking, and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is configured to be raised when folded and lowered when folded. I will apply it as it is.

또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동단말기중의 하나인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PDA)의 일반적인 구조와 그에 따른 사용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which is one of the mobile terminals, and its use process will be briefly described to help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같이 프론트 판넬부(1a)와 백 판넬부(1b)가 서로 합치되어 이루어진 본체(1)가 있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입력키(3)가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적소에는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5)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상부면에는 각종 송,수신정보 및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패널(6)이 갖추어져 있다.As shown in FIG. 3, there is a main body 1 formed by the front panel portion 1a and the back panel portion 1b coinciding with each other. A plurality of input keys 3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1 In place of the battery (5)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s detachably couple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he liquid crystal panel (6) for displaying vari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formation and messages Is equipped.

따라서 사용시에는 무선을 통해 상대방과 송,수신하면서 각종 정보를 주고 받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송신하기 위한 정보의 입력은 본체(1)의 상부면에 갖추어져 있는 복수개의 입력키(3)를 통해 이루어짐은 이해 가능하다.Therefore, in use, i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to and from the other party via wireless, and the user inputs and receives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to the other party through a plurality of input keys 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It is understandable.

기기의 사용 과정에서 송신을 위한 정보 및 메시지와 상대방으로 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메시지는 본체(1)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있는 액정패널(6)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는 기기의 사용중에 상기 액정패널(6)을 주시하여야 한다.In the process of using the device, information and messages for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and message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ar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6) You should watch.

한편 이동단말기가 PDA인 경우에도 상기 PDA의 본체(1)에 제1보조 키보드(8)및 제2보조 키보드(9)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에 각각 갖추어져 있는 제1,2보조 입력키(10)(11)를 선택하여 송신정보 및 메시지를 입력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치면 되고, 사용후에는 상기 펼쳐져 있는 제1,2보조 키보드(8)(9)를 접으면 되는데, 상기 제1,2보조 키보드를 펼치거나 접기 위한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Meanwhile,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a PDA,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pivotally hinged to the main body 1 of the PDA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can be rotated as necessary. (9),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input keys 10 and 11 may be selected to input transmission information and a message.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may be used.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and 9 (9) can be folded after use, and the configuration and the effect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for expanding or folding are as described above. .

상기에서 이동단말기가 PDA인 경우에는 본체(1)에 갖추어져 있는 복수개의 입력키(3)가 일부는 액정패널(6) 내에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막대형상의 누름편(도시는 생략함)으로 눌러줌에 따라 선택된 특정 터치스크린에 해당하는 정보가 입력되어 액정패널(6)에 표시되거나 표시후 상대방쪽으로 송신됨은 이해 가능하다.In the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a PDA, a plurality of input keys 3 provided in the main body 1 may be partially provided as a touch screen in the liquid crystal panel 6, and the touch screen may be pressed by a user in a bar shape. It is understood that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ouch screen is input as it is pressed on the side (not shown) and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6 or transmitted to the other side after being displayed.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이 제1,2보조 키보드(8)(9)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제1,2보조 키보드를 펼쳐서 사용하거나 접어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 이동단말기중의 하나인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PDA)에 적용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rotatably provided, so that the technology for expanding or us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as needed is one of the mobile terminals. When applied to an information terminal (PDA)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제1,2보조 키보드가 연동에 의해 동시에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본체에 직접 힌지결합되어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부 사용자의 경우 보조 키보드의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도 이를 분리시킬 수가 없어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의 전체적인 크기 증대 및 무게 증가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다.First, sinc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are directly hing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y can be unfolded or folded at the same time by interlocking, they cannot be separated even if some users do not require the function of the auxiliary keyboard. Increasing the overall size and weight of the personal digital assistant has become uncomfortable.

즉, 사용자가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의 사용시 어떤 경우에는 정보 데이타의 교환을 위해 보조 키보드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필요로 할 때가 있는가 하면 어떤 경우에는 단순하게 보조 키보드의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가 있으나 보조 키보드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종래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에 있어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보조 키보드가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그대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use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 some cases, the function of the auxiliary keyboard may be required for the exchange of information data. In some cases, the auxiliary keyboard may not be simply required. In the conventio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 which is hinged, there is no choice but to use the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keyboar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둘째, 본체는 유동없이 항상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갖추어져 있는 액정패널이 사용자의 자연스런 눈 시야각 범위내에 들지 못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머리를 본체를 향해 완전히 숙여서 액정패널을 주시하여야만 함에 따라 오랜시간 계속해서 기기를 사용하다 보면 눈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거나 신체의 다른 일부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Second, since the main body is always maintained in the same state without flow, the liquid crystal panel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does not fall within the natural viewing angle range of the user. As you continue to use the device for a long time, your eyes will easily feel tired or other parts of your body will feel tired easily.

셋째, 본체에 갖추어져 있는 액정패널은 기기의 사용 유무와는 상관없이 항상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게됨에 따라 상기 액정패널의 보호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일부 사용자에 있어서는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별도의 케이스에 의해 기기를 보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Third, the liquid crystal panel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the use of the device, so that the protect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s not made smoothly. It is in the situation that stores device by cas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조 키보를 본체에 직접 힌지 결합하지 않고 별도의 결합부재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본체와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보조 키보드의 기능을 필요에 따라서만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hinged to a separate coupling member without hinge hinge the auxiliary keyboard directly to the main body, the coupl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detached from the user The purpose is to make the optional keyboard function available only as needed.

또한 본 고안은, 보조 키보드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재와 본체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켜 사용시 본체를 보조 키보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펼칠 경우에는 상기 본체에 갖추어져 있는 액정패널을 사용자의 눈이 편안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주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body hingedly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the main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user when using the liquid crystal panel provided in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condary keyboard when the user's eyes are comfortable Its purpose is to be watched naturally.

도 1은 종래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보조 키보드가 접혀져 있는 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auxiliary keyboard,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keyboard is folded

도 2는 종래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보조 키보드가 펼쳐져 있는 상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auxiliary keyboard,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keyboard is unfolded

도 3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이동단말기중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PDA)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erence to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f a general mobile terminal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가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인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 digital information terminal

도 5a는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가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인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체가 접혀진 상태도Figure 5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 digital information terminal, the main body folded state

도 5b는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가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인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체가 펼쳐진 상태도Figure 5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the main body unfolded

도 6은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가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인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로서, 보조 키보드 및 본체가 펼쳐진 상태도6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keyboard and the main body are unfolded;

도 7은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구성요소중에서 보조 키보드가 연동되는 구성의 일예를 참고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요부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art for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keyboard is interlocke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present invention auxiliary keyboard for reference;

도 8은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구성요소중 단자수단을 나타내기 위한 도 7의 Ⅰ-Ⅰ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7 for illustrating terminal means among components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구성요소중 단자수단을 나타내기 위한 도 7의 Ⅰ-Ⅰ선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7 for illustrating terminal means among components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본체 6. 액정패널1. Main Unit 6. Liquid Crystal Panel

8,9. 보조 키보드 101. 키보드 결합부재8,9. Secondary keyboard 101. Keyboard member

102. 본체 결합부재 103. 끼움편102. Body coupling member 103. Fitting

104. 끼움홈 105,105a. 제1단자104. Fitting grooves 105,105a. Terminal 1

106,106a. 제2단자 107. 돌출편106,106a. Second terminal 107. Protruding piece

108. 걸림홈 109. 걸림편108. Hanging groove 109. Hanging piece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연동에 의해 절첩되도록 함과 함께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서로 적층상태를 유지하고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서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2보조 키보드가 하부에 힌지결합된 키보드 결합부재와, 상기 키보드 결합부재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제1,2보조 키보드와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본체 결합부재와, 송,수신상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액정패널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가 본체 결합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함께 결합상태에서는 본체와 보조 키보드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단자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folded by the interlock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 is hinged to the bottom to maintain the stacked state with each other when in the folded state and horizontally with each other when in the unfolded state A coupling member, a main body coupling member pivotal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to be expanded or fol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and a liquid crystal panel to display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 A main body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and the terminal means for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keyboar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coupled state. Can be achieved by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4 to 9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as follows.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가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인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a 및 5b는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가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인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가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인 상태를나타낸 요부 평면도로서, 보조 키보드 및 본체가 펼쳐진 상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FIGS. 5A and 5B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Fig. 6 is a plan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n auxiliary keyboard and a main body being unfolded.

또한 도 7은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구성요소중에서 보조 키보드가 연동되는 구성의 일예를 참고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요부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구성요소중 단자수단을 나타내기 위한 도 7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구성요소중 단자수단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내기 위한 도 7의 Ⅰ-Ⅰ선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7 is a main portion front view for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keyboard is interlocke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7 to show the terminal means,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7 to show the terminal mean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고안은 연동에 의해 절첩되도록 함과 함께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서로 적층상태를 유지하고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서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2보조 키보드(8)(9)가 하부에 힌지결합된 키보드 결합부재(101)가 구비되고, 상기 키보드 결합부재의 상부에는 제1,2보조 키보드(8)(9)와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본체 결합부재(102)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본체 결합부재에는 송,수신상태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액정패널(6)이 구비된 본체(1)가 단자수단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결합상태에서는 상기 본체(1)가 키보드 결합부재(101)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1,2보조 키보드(8)(9)와 상기 단자수단에 의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hinged to the lower part so as to be folded by interlocking and to keep each other in a folded state and to be horizontal to each other when in an unfolded state.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101 is provided, and the body coupling member 102 is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so as to be unfolded or fol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In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the main body 1 having the liquid crystal panel 6 is detachably coupled by the terminal means so th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is displayed. In the combined state, the main body 1 is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101.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which are hinged to each other, allow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terminal means.

상기에서 제1,2보조 키보드(8)(9)가 연동에 의해 절첩되도록 함과 함께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서로 적층상태를 유지하고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서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키보드 결합부재(101)에 힌지 결합되기 위한 구조는,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종래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에서 제1,2보조 키보드(8)(9)를 본체(1)에 직접 힌지 결합하는 구조와 동일하고, 이러한 구조는 이미밝힌 바와 같이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다수건이 선출원되어 등록된 상태인데, 본 고안에서는 제1,2보조 키보드(8)(9)를 본체(1)가 아닌 별도로 만들어진 키보드 결합부재(101)에 힌지 결합한다는 것만 다를 뿐 그 힌지 결합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하고, 따라서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를 키보드 결합부재(101)에 힌지결합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생략한다.In the abov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folded together by interlocking and the keyboard coupling members 101 are kept in a stacked state with each other when in a folded state and horizontally with each other when in an unfolded state. )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for hinge-bond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directly to the main body (1)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auxiliary keyboard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s , This structure has already been registered and registered in a number of cases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instead of the main body (1),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 Only the hinge coupling to the 101, but the hinge coupl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and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 (8) (9) is hinged coupling to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101 It is omitted without description.

또한 본체(1)가 본체 결합부재(10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함께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1)와 보조 키보드(8)(9)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단자수단은, 상기 본체 결합부재(102)의 중심부분에 돌출 형성된 끼움편(103)과, 상기 본체(1)중 본체 결합부재(102)와 마주볼 중심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가 본체 결합부재(102)에 결합될 때 끼움편(103)이 끼워지는 끼움홈(104)과, 상기 끼움홈 내에 돌출상태로 고정되어 본체(1) 내의 해당 구성요소들과 전원공급 및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제1단자(105)와, 상기 끼움편(103)에 압입고정되어 보조 키보드(8)(9) 내의 해당 구성요소들과 전원공급 및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끼움편(103)이 끼움홈(104)으로 끼워졌을 때 각 제1단자(105)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2단자(106)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and in a coupled state, the terminal means for allowing the main body 1 and the auxiliary keyboard 8 and 9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ilver, the fitting piece 103 protruding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ll facing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of the main body 1, the main body 1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fitting groove 104 into which the fitting piece 103 is fitted when it is coupled to the member 102 and is fixed to the fitting groove in a protruding state to enable power supply and signal transmission with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 the main body 1. The plurality of connected first terminals 105 and the fitting 103 are press-fitted an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 the auxiliary keyboard 8 and 9 so as to supply power and signal, and the fitting 103. When the fitting groove 104 is fitted into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106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terminal 105 It is.

한편 상기 본체 결합부재(102)의 양측에는 본체(1)를 본체 결합부재(102)에 결합시킬 때 상기 본체(1)의 양측을 잡아주도록 돌출편(107)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본체(1)의 양측면중 본체 결합부재(102)에 형성된 각 돌출편(107)과 마주볼 부분에는 걸림홈(108)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결합부재(102)에 형성된 각 돌출편(108)중 본체(1)와 마주볼 부분에는 각 걸림홈(108)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걸림편(109)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both sides of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is formed with a projection piece 107 to hold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 when the main body 1 is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the main body (1) A locking groove 108 is formed in each of the protruding pieces 107 formed in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and opposing ball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of the protruding pieces 108 formed in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The engaging piece 109 is formed in the ball portion facing 1) to be selectively caught in each locking groove 108.

참고적으로 본 고안에서는 제1,2보조 키보드(8)(9)가 연동에 의해 함께 절첩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본 고안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한 여러 실용신안건의 구조(링크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음)를 그대로 적용할 수도 있지만 이와는 별도로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키보드 결합부재(101) 내부에 복수개의 평기어(110)를 수평상태로 배열시켜 상기 각 평기어가 제1,2보조 키보드(8)(9)의 연동작용에 이용되도록 하면 링크를 이용할 때 보다 키보드 결합부재(101)의 높이를 상당부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실시예로 볼 때 도 7과 같이 제1보조 키보드(8)의 힌지축에 하나의 평기어(110a)를 고정하고, 제2보조 키보드(9)의 힌지축에는 다른 하나의 평기어(110b)를 고정하며, 상기 제1보조 키보드(8)의 힌지축에 고정된 하나의 평기어(110a)와 제2보조 키보드(9)의 힌지축에 고정된 다른 하나의 평기어(110b) 사이에는 두개의 또다른 평기어(110c)를 힌지결합시켜 상기 모든 평기어(110)가 좌,우 수평상태로 연속해서 기어물림되도록 하면 된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structured to be folded together by interlocking, and the structure of various utility model items filed and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ostly used (links). ) May be applied as it is, but a plurality of spur gears 110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state inside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101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hinged. When the spur gear is used for the interlocking a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and 9,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ight of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101 can be substantially reduced than when using the link. As shown in FIG. 7, one spur gear 110a is fixed to the hinge axis of the first sub keyboard 8, and another spur gear 110b is fixed to the hinge axis of the second sub keyboard 9. One fixed to the hinge axis of the first secondary keyboard 8 Two other spur gears 110c are hinged between the gear 110a and the other spur gear 110b fixed to the hinge shaft of the second auxiliary keyboard 9 so that all of the spur gears 110 are left. The gears can be continuously engaged in the right horizontal state.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서는 전원공급을 위한 밧데리를 본체에 결합한 상태로서 단자수단이 직접 접촉방식인 유선방식이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단자수단을 간접 접촉방식인 무선방식으로 하여도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상기 무선방식을 위해서는 보조 밧데리를 본체 결합부재(102)나 키보드 결합부재(101)중 어느 한곳에 별도로 추가 결합시켜 키보드 결합부재(101)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1,2보조 키보드(8)(9)가 상기 보조 밧데리로 부터 독자적으로 전원을공급받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 통신용 모듈소자를 사용하여 본체(1)와 제1,2보조 키보드(8)(9)간의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means is a wired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means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for power suppl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re is no problem, for the wireless method, the auxiliary battery is additionally coupled to any one of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and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101,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which are hinged to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101 ( 8) (9) should be supplied with power independently from the auxiliary battery, as well as to enable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main body 1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element. shall.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보조 키보드(8)(9)를 언제든지 본체(1)에 부착하거나 부착된 상태에서 분리시킬 수가 있는데, 만약 사용자가 이동단말기의 사용시 보조 키보드(8)(9)가 필요하다면 키보드 결합부재(101)의 상부에 보조 키보드(8)(9)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는 본체 결합부재(102)로 본체(1)를 결합시키면 되고, 반대로 보조 키보드(8)(9)가 필요 없다면 상기 본체 결합부재(102)에 본체(1)를 처음부터 결합시키지 않거나 결합되어 있을 경우 이를 분리하면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keyboard 8, 9 may be attached to the main body 1 at any time, or detached from the attached state. If the user uses the mobile terminal, the auxiliary keyboard 8, 9 may be detached. If necessary, the main body 1 is coupled to the main body engaging member 102 hinged to be fol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condary keyboard 8, 9 on the upper portion of the keyboard engaging member 101, on the contrary, the auxiliary keyboard If (8) (9) is not necessary, the main body 1 is not coupled to the main body 1 from the beginning or if it is combined, it may be separated.

그럼 이하에서 보조 키보드(8)(9)가 필요할 경우 본체(1)를 본체 결합부재(102)에 결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이후 상기 보조 키보드(8)(9)가 필요 없을 경우 상기 본체(1)를 본체 결합부재(102)에서 분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process of coupling the main body 1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when the auxiliary keyboard (8) (9) is necessary, after which the main keyboard (8) (9) is not necessary Referring to the process of separating (1) from the body coupling member 102 as follows.

먼저 본체(1)를 본체 결합부재(102)에 결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키보드 결합부재(101)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는 본체 결합부재(102)를 상기 본체 결합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편(103)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 결합부재(102)의 상방으로 본체(1)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본체를 본체 결합부재(102)쪽으로 이동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 결합부재(102)에 형성된 끼움편(103)이 본체(1)에 형성된 끼움홈(104)으로 끼워 들어가므로 결국 본체(1)가 본체 결합부재(10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본체(1)가 본체 결합부재(10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 결합부재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107)이 본체(1)의 양측면을 잡아주게 되므로 상기 본체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상기 본체 결합부재(102)에 형성된 돌출편(107)이 본체(1)의 양측면을 잡아주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각 돌출편(107)의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109)이 상기 본체(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08)에 끼워져 걸리므로 이후 기기의 사용 과정에서는 상기 본체(1)의 분리가 어느 정도의 강제적인 힘이 제공되지 않는 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First, the process of coupling the main body 1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will be described. A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rotatably hinged to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101 is formed on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In the state in which the fitting piece 103 is rotated upward, the main body 1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and then the main body is moved toward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At this time, since the fitting piece 103 formed on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04 formed on the main body 1, the main body 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 is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the protruding pieces 107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hold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coupling force of the main body is further improved. Of course, the body coupling portion In the state where the protruding pieces 107 formed on the 102 hold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 the engaging pieces 109 formed on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protruding pieces 107 are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 Since it is caught in the engaging groove 108 is formed in the subsequent use process of the device is not made unless the separation of the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a certain force.

따라서 본체(1)가 결합되어 있는 본체 결합부재(102)가 키보드 결합부재(101)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키보드 결합부재의 하부면에는 제1,2보조 키보드(8)(9)가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사용자는 본체(1)에 갖추어져 있는 입력키(3)와 보조 키보드(8)(9)에 각각 갖추어져 있는 보조 입력키(10)(11)를 선택하여 상대방과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to which the main body 1 is coupled is hinged to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101, and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and 9 are fol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Since it is hinged,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elect the input key 3 provided in the main body 1 and the auxiliary input keys 10 and 11 provided in the auxiliary keyboards 8 and 9, respectively. You will be able to send and receive.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본체 결합부재(102)에 형성된 끼움편(103)이 본체(1)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104)으로 끼워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끼움홈 내에는 복수개의 제1단자(105)가 돌출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끼움편(103)에는 복수개의 제2단자(106)가 압입고정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제1단자(105)는 제2단자(106)에 삽입된 상태로 각각 접속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체(1)를 펼쳐서 상기 본체에 갖추어져 있는 액정패널(6)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다음 상기 본체(1)와 보조 키보드(8)(9)를 동시에 이용하면서 기기를 사용할 때 상기 보조 키보드는 본체(1)로 부터 밧데리(5)의 전원을 공급받게 됨과 함께 본체(1)와 신호전달이 가능하게된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fitting piece 103 formed on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04 formed on the main body 1, and thus,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105 are provided in the fitting groove. Is fixed in the protruding state, and the first terminal 10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erminal 106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106 are press-fitted to the fitting piece 103.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ser unfolds the main body 1 so that the liquid crystal panel 6 provided on the main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n simultaneously uses the main body 1 and the auxiliary keyboard 8 and 9 while When using the auxiliary keyboard is supplied with a power source of the battery (5) from the main body 1 and the signal transmission with the main body (1) is enabled.

이와 같이하여 본체(1)와 제1,2보조 키보드(8)(9)를 동시에 이용하면서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 상태에서는 도 6과 같이 본체(1)는 물론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를 펼쳐서 상기 제1,2보조 키보드에 각각 갖추어져 있는 보조 입력키(10)(11)와 본체(1)에 갖추어져 있는 입력키(3)를 함께 선택하여도 되지만 이와는 달리 도 4 처럼 본체(1)만 펼치고 상기 제1,2보조 키보드(8)(9)는 접어서 상기 제1보조 키보드(8)에 갖추어져 있는 보조 입력키(10)와 본체(1)에 갖추어져 있는 입력키(3)를 함께 선택하여도 되는데, 상기 제1보조 키보드(8)만 펼쳐서 기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만큼 선택기능이 떨어질 것이다.In this manner, the apparatus 1 can be used while simultaneously using the main body 1 and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8 and 9, as shown in FIG. 6, as well as the main body 1 and the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 8) 9 may be unfolded to select the auxiliary input keys 10 and 11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and the input keys 3 provided on the main body 1, respectively. Like the main body 1,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are folded, and the auxiliary input key 10 provided in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and the input keys provided in the main body 1 ( 3) may be selected together, but if the first auxiliary keyboard 8 is opened and the device is used, the selection function will be reduced by that much.

또한 기기의 사용시 본체(1)와 제1,2보조 키보드(8)(9)를 함께 이용하도록 된 상태에서 상기 제1,2보조 키보드가 필요 없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상기 본체(1)를 본체 결합부재(102)에서 분리한 다음 본체(1)에 갖추어진 입력키(3)만을 선택하여 상대방과 각종 정보를 주고 받으면 되는데, 상기 본체(1)의 분리시에는 처음 결합시와 반대되는 쪽인 본체 결합부재(102)와 멀어지는 쪽으로 본체(1)를 힘차게 잡아당기면 되고, 실제로 본체에 본체 결합부재(102)와 멀어지는 쪽으로 힘이 제공될 경우의 어느 순간에는 상기 본체 결합부재(102)의 양측 돌출편(107)에 탄력 설치되어 있는 걸림편(109)이 본체(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08)에서 빠져나와 걸림력이 해제되므로 상기 본체(1)가 본체 결합부재(102)에서 무리 없이 분리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1 and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are to be used together when the device is used, and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are considered unnecessary, the main body 1 may be combined. Separate from the member 102, and then select only the input key (3) provided in the main body 1 to send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with the other party, when the main body 1 when separating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when the first coupling It is sufficient to pull the main body 1 toward the side away from the member 102, and at any moment when the force is actually applied to the main body away from the main body engaging member 102, both protruding pieces of the main body engaging member 102 ( The locking piece 109 elastically installed in the 107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108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locking force is released. It will be separated without.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서는 본체(1)를 본체 결합부재(10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켰을 때 상기 본체(1)와 본체 결합부재(102)간의 전원 공급 및 신호 연결을 위해 상기 본체(1)에 형성된 끼움홈(104)에 복수개의 제1단자(105)를 돌출 고정시키고, 상기 본체 결합부재(102)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편(103)에는 복수개의 제2단자(106)를 압입고정시켜 상기 각 제1단자(105)가 제2단자(106)로 삽입되어 서로 접속되도록 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도 9와 같이 본체(1)에 형성된 끼움홈(104)에 그 접촉부가 평면상태가 되도록 복수개의 제1단자(105a)를 구비시키고, 본체 결합부재(102)에 형성된 끼움편(103)에는 그 접촉부가 평면상태가 되도록 복수개의 제2단자(106b)를 구비시켜 상기 각 제1단자(105)가 제2단자(106)에 삽입됨이 없게 면접촉되도록 하여도 되는데, 상기 각 제1단자(105)와 제2단자(106)는 전원공급 및 신호전달이 가능한 별도의 물질이 본체(1) 및 본체 결합부재(102)를 성형하는 성형물에 포함되어 짐에 따라 구비됨이 바람직 할 것이라 생각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main body 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the main body 1 for power supply and sign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ody 1 and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Protrudingly fixing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105 to the fitting grooves 104 formed in the grooves, and pressing and fixing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106 to the fitting pieces 103 formed on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Each of the first terminal 10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erminal 106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A first terminal 105a is provided, and the fitting piece 103 formed on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106b so that the contact portion thereof is in a planar state. The second terminal 106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terminal 106. It is thought that the second terminal 106 is preferably provided as a separate material capable of supplying power and transmitting signals is included in the molding for forming the body 1 and the body coupling member 102.

한편 본 고안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에서 전원공급을 위한 별도의 보조 밧데리를 키보드 결합부재(101) 및 본체 결합부재(102)중 어느 한곳에 추가 결합시켜 상기 보조 밧데리가 제1,2보조 키보드(8)(9)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 역할을 하도록 하면 실시예 처럼 본체(1)와 제1,2보조 키보드(8)(9)간의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자구성이 필요없게 됨은 이해 가능하고, 신호전달을 위해 무선통신용 모듈소자를 구비시켜 상기 묘듈소자가 본체(1)와 제1,2보조 키보드(8)(9)간의 신호전달 역할을 하도록 하면 이 경우 사용자가 본체(1)를 본체 결합부재(102)에서 분리시켰더라도 상기 본체(1)와 보조 키보드(8)(9)간의 거리가 상기 모듈소자에 의한 신호전달이 가능한 영역내에 만 들어 있다면 상기 본체(1)와 보조키보드(8)(9)를 동시에 이용하여 상대방과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될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auxiliary key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auxiliary battery for power supply is additionally coupled to any one of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101 and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102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It is understood that the terminal configuration for supplying power between the main body 1 and the first and second sub-keyboards 8 and 9, as in the embodiment, can be understood by acting as a power supply for the operation of the 9). In this case, if the module device serves as a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main body 1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8 and 9, the user may move the main body 1 to the main body. Even if separated from the coupling member 102, if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 and the sub keyboard 8, 9 is within the area capable of signal transmission by the module element, the main body 1 and the sub keyboard 8 ) And (9) at the same time It is understandable that information will be exchanged.

그러므로 본 고안 기술이 적용된 이동단말기가 PDA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PDA, there are various effects as follows.

첫째, 본체를 본체 결합부재에 결합시켜 상기 본체와 보조 키보를 동시에 이용하여 상대방과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본체를 본체 결합부재에서 분리시켜 상기 본체만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확보된다.First,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so that various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the other party using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keyboard simultaneously, and the main body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to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with the other party using only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use.

즉, 사용자가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의 사용시 어떤 경우에는 정보 데이타의 원활한 교환을 위해 보조 키보드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필요로 할 때가 있는가 하면 어떤 경우에는 단순하게 보조 키보드의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가 있는데, 보조 키보드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본 고안 개인용 휴대정보 단말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본체와 보조 키보드의 결합 및 분리를 마음데로 할 수가 있어 그만큼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 user use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 some cases, the function of the auxiliary keyboard is required for smooth exchange of information data, and in some cases, the function of the auxiliary keyboard is not simply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personal digital assistant terminal hingedly coupled to the auxiliary keyboard, the user can freely combine and separate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keyboard is as easy to use.

둘째, 사용시 본체는 일반 개인 휴대단말기의 폴더처럼 펼쳐지게 되므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갖추어져 있는 액정패널이 사용자의 자연스런 눈 시야각 범위내에 들지 못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전방을 자연스럽게 주시하면서 기기를 사용하면 됨에 따라 오랜시간 계속해서 기기를 사용하더라도 눈이 쉽게 피로를 느끼거나 신체의 다른 일부가 쉽게 피로를 느끼는 일이 없게 된다.Second, when the main body is opened like a folder of a gener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liquid crystal panel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does not fall within the natural eye viewing angle range of the user, so the user may naturally look forward and use the device for a long time. Continued use of the device will prevent your eyes from fatigue and other parts of your body.

셋째, 본체에 갖추어져 있는 액정패널을 상기 본체를 접었을 때 안으로 숨어 들어가도록 하면 기기의 사용시에만 상기 액정패널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게됨에 따라 상기 액정패널의 보호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부주의에 의한 파손의 위험성도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Third, if the liquid crystal panel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hidden when the main body is folded, the liquid crystal panel is exposed to the outside only when the device is in use. The risk is reduced as well.

Claims (5)

연동에 의해 절첩되도록 함과 함께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서로 적층상태를 유지하고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서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2보조 키보드가 하부에 힌지결합된 키보드 결합부재와,A first and second sub keyboards hingedly coupled to the lower part so as to be folded by the interlock and to be stacked with each other when in a folded state and to be horizontal with each other when in an unfolded state; 상기 키보드 결합부재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제1,2보조 키보드와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본체 결합부재와,A body coupling member pivotal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keyboard coupling member to be expanded or fol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keyboards; 송,수신상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액정패널을 구비한 본체와,A main body having a liquid crystal panel to display transmission and reception states; 상기 본체가 본체 결합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함께 결합상태에서는 본체와 보조 키보드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단자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And the main bod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and in the engaged state, the main body and the sub keyboard comprise terminal means configured to exchange signals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본체가 본체 결합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함께 결합된 상태에서는 본체와 보조 키보드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단자수단은,The terminal means for allowing the main body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and allowing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keyboard to exchange signals with each other, 상기 본체 결합부재의 중심부분에 돌출 형성된 끼움편과,A fitt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상기 본체중 본체 결합부재와 마주볼 중심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본체 결합부재에 결합될 때 끼움편이 끼워지는 끼움홈과,A fitting groov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facing the main body engaging member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tting piece is fitted when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engaging member; 상기 끼움홈 내에 돌출상태로 고정되어 본체 내의 해당 구성요소들과 전원공급 및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제1단자와,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fixed in the fitting groove in a protruding state an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 the main body to enable power supply and signal transmission; 상기 끼움편에 압입고정되어 보조 키보드 내의 해당 구성요소들과 전원공급 및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끼움편이 끼움홈으로 끼워졌을 때 각 제1단자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2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And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which are press-fitted to the fitting pieces to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 the auxiliary keyboard so as to supply power and signal, and connected to each first terminal when the fitting pieces ar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s. A mobile terminal having a secondary keyboar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본체가 본체 결합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함께 결합된 상태에서는 본체와 보조 키보드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단자수단은,The terminal means for allowing the main body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and allowing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keyboard to exchange signals with each other, 상기 본체 결합부재의 중심부분에 돌출 형성된 끼움편과,A fitt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상기 본체중 본체 결합부재와 마주볼 중심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본체 결합부재에 결합될 때 끼움편이 끼워지는 끼움홈과,A fitting groov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facing the main body engaging member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tting piece is fitted when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engaging member; 상기 끼움홈 내의 적소에 그 접속부가 평면상태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본체 내의 해당 구성요소들과 전원공급 및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제1단자와,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provided at a position in the fitting groove so as to form a planar state an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 the main body to enable power supply and signal transmission; 상기 끼움편의 외부 적소에 그 접속부가 평면상태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보조 키보드 내의 해당 구성요소들과 전원공급 및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제2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A mobile terminal having an auxiliary keyboard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 the auxiliary keyboard to enable power supply and signal transmission in the planar state at an external location of the fitting pie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본체 결합부재의 양측에 돌출편이 형성되어 본체를 본체 결합부재에 결합시킬 때 상기 각 돌출편이 본체의 양측을 잡아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A protruding piec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so that each protruding piece grasps both sides of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본체의 양측면중 본체 결합부재에 형성된 각 돌출편과 마주볼 부분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결합부재에 형성된 각 돌출편중 본체와 마주볼 안쪽 부분에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본체를 본체 결합부재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각 걸림편이 걸림홈으로 끼워져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키보드를 갖는 이동단말기.Engaging grooves are formed in each of the protruding pieces and the opposing ball portion formed on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engaging pieces are formed in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ball and the opposing ball of the protruding pieces formed in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to couple the main body to the main body coupling member.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secondary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iece is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 in the state.
KR20-2003-0016191U 2003-05-24 2003-05-24 mobile station with support keyboard KR20032387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191U KR200323871Y1 (en) 2003-05-24 2003-05-24 mobile station with support key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191U KR200323871Y1 (en) 2003-05-24 2003-05-24 mobile station with support key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871Y1 true KR200323871Y1 (en) 2003-08-21

Family

ID=4933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191U KR200323871Y1 (en) 2003-05-24 2003-05-24 mobile station with support key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87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8089B1 (en) A hinge mechanism for a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i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JP4024043B2 (en) Mobile terminal
EP1686769B1 (en) Handle arrangement for a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KR101641229B1 (en)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CN100546312C (en) Mobile phone with additional keypad
JP4456677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20100120143A (en) Customizable modular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JPH1168896A (en) Portable radio equipment
JPH09247250A (en) Radio device
KR100800827B1 (en) Flip-up type mobile phone
KR101328053B1 (en) Wireless mobile terminal
KR2005001614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plural displays
KR200323871Y1 (en) mobile station with support keyboard
KR200172584Y1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lcd device
JP3746284B2 (en) Mobile phone
KR20020046056A (en) Folder type mobile phone
KR100459559B1 (en) Portable telephone with variable data inputting
JP4187166B2 (en) Foldable mobile terminal
JP4874317B2 (en) Mobile device
KR101155054B1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20060032881A (en) Mobile phone having a pluraility of screens and control method of menu list indication using same
KR200316506Y1 (en) mobile station with support keyboard
JP2003198685A (en) Portable terminal
KR20050068329A (en) Slide type mobile telephone
JP2003198686A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