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614Y1 -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614Y1
KR200323614Y1 KR20-2003-0017187U KR20030017187U KR200323614Y1 KR 200323614 Y1 KR200323614 Y1 KR 200323614Y1 KR 20030017187 U KR20030017187 U KR 20030017187U KR 200323614 Y1 KR200323614 Y1 KR 200323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vehicle
leak
sig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 은 구
Original Assignee
자 은 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 은 구 filed Critical 자 은 구
Priority to KR20-2003-0017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1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concerning gas-producing pla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에서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여 경고하는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가 개시된다.
종래에는 압력 센서 등에 의해 가스 누출을 감지함으로써 가스의 누출이 작을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 중에만 가스 누출을 경고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에서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2)와, 상기 감지센서(32)에서 보내진 신호에 의해 차량의 실내에 부착된 경고등(36) 및 부져(37)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무선 송신부(38)로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35)와, 상기 무선 송신부(38)에서 보내진 신호를 받아 운전자에게 경고를 행하는 수신기(40)를 포함하는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배관 등에서 누출되는 미량의 가스도 감지하여 차량의 주행 중은 물론 주행중이 아닐 경우에도 운전자에게 경고함으로써 가스의 누출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Gas sensing device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화 석유가스 등의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 연료 차량에서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청각적, 시각적으로 경고함으로써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연료에 따라 가솔린 기관, 디젤 기관, 가스 기관 등으로 분류되며, 특히 가스 기관은 프로판과 부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액화 석유 가스(Liquefied Petroleum Gas)를 연료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액화 석유 가스는 옥탄가가 높으므로 노킹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으며, 특히 내열성이 우수하여 베이퍼록 현상 등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체상의 연료로 되어 실린더 내로 공급되기 때문에 각 실린더 내로의 혼합기 분배가 양호하여 가연 범위가 넓은 혼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상술한 액화 석유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의 연료 계통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액화 석유 가스가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된 봄베(10)의 일측에는 개폐밸브(11)와, 이 개폐밸브(11)를 개폐시키기 위한 조작핸들(12)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폐밸브(11)에는 가스관(13)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14)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4)에서 공급된 가스는 프리히터(15)에서 예열된 후 베이퍼라이저(16)에서 가압되어 기체 상태로 기화된 후 적절한 압력으로 조정된다.
상기 베이퍼라이저(16)에서 감압되어 기화된 가스 연료는 믹서(17)에서 공기와 혼합된 후 엔진(18)의 연소실로 공급되어 발화됨으로써 동력을 발생시켜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은 트렁크의 내측에 장착되는 봄베에서 주로 가스의 누출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트렁크의 내부에 저류된 가스가 환기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이 가스는 차량의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승차자에게도 좋지 않는 영향을 미치게 된다.
종래에 이와 같이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각 가스라인의 압력 정보를 가지고 있는 롬(20)과, 상기 롬(20)의 정보를 받아서 비교하는 컨트롤 유닛(21)과, 가스 배관 라인(22)에 설치되어 내부의 가스압을 상기 컨트롤 유닛(21)으로 보내는 압력 센서(23)와, 상기 컨트롤 유닛(21)으로부터 받은 데이터에 의해 구동되어 가스 라인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24)와, 상기 컨트롤 유닛(21)에 연결되어 가스 압력 차이에 의한 누출 발생시 점등되는 램프(25) 및 부져(2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스 배관 라인(22)에서 가스의 누출이 발생될 경우에는 압력 센서(23)에서 감지된 가스의 압력과 미리 기억된 롬(20)의 압력을 컨트롤 유닛(21)에서 비교하여 그 차이가 일정 값 이상으로 되면 누출로 판별하여 램프(25) 및 부져(26)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밸브(24)를 작동시켜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가스의 누출 량이 미미할 경우에는 이를감지하는 것이 어렵고, 이는 누출된 가스가 트렁크 내에 저장될 경우에는 큰 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이 주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가스의 누출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워 안전 사고의 위험이 항상 내재되어 있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스의 누출시 차량의 주행 중은 물론 주행하지 않을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 가스폭발 등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스 연료 차량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2: 감지센서 33: 보호부재
34: 고정끈 35: 제어부
36,42: 경고등 37,43: 부져
38: 무선 송신부 40: 수신기
41: 무선 수신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는,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에서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서 보내진 신호에 의해 차량의 실내에 부착된 경고등 및 부져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무선 송신부로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와, 상기 무선 송신부에서 보내진 신호를 받아 운전자에게 경고를 행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배관 등에서 누출되는 미량의 가스도 감지하여 차량의 주행 중은 물론 주행중이 아닐 경우에도 운전자에게 경고함으로써 가스의 누출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차량의 트렁크실(30) 내에 장착된 봄베(31)의 일측에는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지센서(32)는 도시하지 않은 엔진과의 사이에 형성된 가스 배관(P)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어 누출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3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보호부재(33) 내에 부착되며, 상기 보호부재(33)는 봄베(31)의 일측에 장착된 밸브(31a)를 감싸는 설치되도록 양측에 고정끈(34)이 연장되어 있고, 상기 고정끈(34)에는 탈착이 용이하도록 벨크로화스너(3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지센서(32)에서 일정 농도 이상의 가스가 감지되면 제어부(35)로 보내지게 되며, 상기 제어부(35)에서는 차량의 실내 등에 부착된 경고등(36) 및 부져(37)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에서는 감지센서(32)에서 감지된 가스 누출 정보를 받아서 상기 경고등(36) 및 부져(37)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무선 송신부(38)로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송신부(38)로 보내진 신호는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수신기(40)로 보내져 경고하게 된다.
상기 수신기(40)는 무선 수신부(41)와, 상기 무선 수신부(41)로 보내진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고등(42) 및 부져(4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는, 트렁크실(30)의 내측에 장착된 봄베(31)의 밸브(31a)를 감싸는 상태로 보호부재(33)가 설치되며, 상기 보호부재(33)는 고정끈(33)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고정끈(33)에는 벨크로화스너(34a)가 형성됨에 따라 자유롭게 보호부재(33)를 부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33)의 내측에는 누출된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2)가 부착됨에 따라 더욱 정밀하게 누출된 가스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상기 밸브(31a)의 주변부에서 가스가 누출될 경우에는 누출된 가스가 감싸는 상태로 설치된 보호부재(33)의 내측에 머무르게 되며, 이때 감지센서(32)가 가스 농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32)에서 누출된 가스를 감지하면 제어부(35)로 그 데이터를 보내게 되고, 상기 제어부(35)는 누출된 가스의 농도가 일정 값 이상으로 되면, 차량의 실내에 부착된 경고등(36) 및 부져(37)를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가스의 누출을 감지한 후 필요한 조치, 예컨대 차량을 정지시키고 조치를 취하거나 가까운 정비소에서 정비를 받음으로써 가스의 누출에 의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이 운전중이 아닐 경우에는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수신기(40)로 가스 누출 정보를 보내어 경고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어부(35)로 가스 누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5)에서 무선 송신부(38)로 그 신호를 보내고, 상기 무선 송신부(38)에서는 수신기(40)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차량을 운전중이 아닌 운전자가 가스 누출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무선 송신부(38)에서 수신기(40)의 무선 수신부(41)로 신호를 보내면, 상기 무선 수신부(41)에서 수신기(40) 내의 경고등(42) 및 부져(43)를 작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가스 누출을 인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스 누출에 의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무선 송신부(38)에서 수신기(40)로 보내는 신호는 일정 거리 내에서만 가능케 되며, 일정 거리 이상으로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무선 송신부(38)에서 보내는 신호가 수신기(40)로 수신되지 않게 되며,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기 위하여 차량에 일정 거리 이하로 근접하면 상기 수신기(40)에서 그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배관 등에서 누출되는 미량의 가스도 감지하여 차량의 주행 중은 물론 주행중이 아닐 경우에도 운전자에게 경고함으로써 가스의 누출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가스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에서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2)와, 상기 감지센서(32)에서 보내진 신호에 의해 차량의 실내에 부착된 경고등(36) 및 부져(37)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무선 송신부(38)로 신호를 보내는 제어부(35)와, 상기 무선 송신부(38)에서 보내진 신호를 받아 운전자에게 경고를 행하는 수신기(40)를 포함하는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32)는 복수 개의 고정끈(33)을 갖는 보호부재(33)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40)는 무선 수신부(41)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경고등(42) 및 부져(43)를 포함하는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
KR20-2003-0017187U 2003-06-02 2003-06-02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 KR200323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187U KR200323614Y1 (ko) 2003-06-02 2003-06-02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187U KR200323614Y1 (ko) 2003-06-02 2003-06-02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614Y1 true KR200323614Y1 (ko) 2003-08-19

Family

ID=4941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187U KR200323614Y1 (ko) 2003-06-02 2003-06-02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6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126B1 (ko) * 2012-03-05 2012-11-15 코리아디지탈 주식회사 가스차량용 연료장치의 안전성을 모니터링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
CN108919694A (zh) * 2018-05-28 2018-11-30 天津科技大学 无线气压检测系统及检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126B1 (ko) * 2012-03-05 2012-11-15 코리아디지탈 주식회사 가스차량용 연료장치의 안전성을 모니터링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
CN108919694A (zh) * 2018-05-28 2018-11-30 天津科技大学 无线气压检测系统及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595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afety of a bi-fuel vehicle
CN104373228A (zh) 用于控制双燃料车辆的燃料供应的装置和方法
KR200323614Y1 (ko) 차량용 가스 감지장치
CN103448534A (zh) 一种cng汽车天然气泄露控制装置
CA26291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deactivation of an asset
KR20090124420A (ko) 사고후의 차량 제어방법
KR100494589B1 (ko) Lpg차량용 자동 연료누출 감지 및 차단시스템과 그제어방법
KR102383326B1 (ko) 압축천연가스 바이퓨얼 차량의 연료전환 제어방법
US7216028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engine system
CN204459764U (zh) 一种车用天然气检测装置
KR100811000B1 (ko) 혼유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2275506A (zh) 车用燃气泄漏报警安全控制系统
CN202169869U (zh) 车用燃气泄漏报警安全保护舱
KR100693725B1 (ko) 흡기 시스템의 누설 감지 방법
KR19990021651A (ko) 가스 누출을 방지하는 엘피지 차량의 안전 장치
KR19980046350A (ko) Cng 차량의 화재방지용 가스 배출시스템
KR200380898Y1 (ko) 유류감지장치
KR200397671Y1 (ko) 차량의 혼유 방지 경보장치
KR20000003917U (ko) 가솔린엔진 겸용 엘피가스연료공급장치
KR0161579B1 (ko) 압축천연가스차량의 연료누출 경보장치
KR20140069552A (ko) 자동차 연료 오주입 방지장치
CN104565818A (zh) 一种车用天然气检测装置
KR0184440B1 (ko)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유출 감지장치
KR19990026505U (ko) 자동차의 엘피지 연료 누설 경고 장치
KR100231269B1 (ko) Cng차량의 연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