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166Y1 -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166Y1
KR200323166Y1 KR20-2003-0016875U KR20030016875U KR200323166Y1 KR 200323166 Y1 KR200323166 Y1 KR 200323166Y1 KR 20030016875 U KR20030016875 U KR 20030016875U KR 200323166 Y1 KR200323166 Y1 KR 200323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auxiliary
cam surface
hinge devic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20-2003-0016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166Y1/ko
Priority to CNU2004200591272U priority patent/CN2712053Y/zh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힌지 결합되는 두 부재를 사이에 설치되어 두 부재가 소정각도로 개폐되게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는 서로 힌지결합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서로 소정 각도로 개폐되게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힌지장치는 제 1 부재에 설치되어 제 1 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고정캠과, 제 2 부재에 설치되어 제 2 부재와 함께 회전하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에 의해 제 2 부재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캠과, 고정캠과 가동캠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씩의 산부와 골부를 갖도록 원주방향으로 마련되는 캠면과, 고정캠과 가동캠 중 다른 하나로부터 캠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캠면을 따라 이동하며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소정 각도로 개폐되게 하는 하나의 캠돌기를 구비하여, 고정캠과 가동캠을 일방향으로 축을 중심으로 상대회전시킬 경우에도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여야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캠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두 부재가 다양한 각도로 개폐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힌지 장치{HINGE DEVICE}
본 고안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두 부재가 소정각으로 개폐되게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장치는 힌지 결합되는 두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두 부재가 소정 각도로 개폐되게 하는 장치로써, 핸드폰 등과 같이 두 부재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상대 회전하며 개폐되는 기기에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힌지장치는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고정캠과, 제 2 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제 2 부재에 탄성부재에 의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캠을 구비한다.
가동캠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산부 및 골부가 형성되어 있는 캠면이 형성되며, 고정캠에는 양측에 끝단이 캠면에 지지되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상대 회전운동에 따라 캠면을 따라 이동하며 가동캠을 진퇴이동 시키는 한 쌍의 캠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력을 작용하여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상대 회동시키면 두 캠돌기가 가동캠을 밀어 탄성부재를 탄성변형시키며 캠면의 산부와 골부 사이에 위치하였다가, 외력이 해소되면 탄성부재가 탄성복원되며 그 복원력에 의해 캠돌기가 캠면을 따라 골부로 이동하면서 제 1 부재와 제 2 부재가 소정 각도로 개폐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힌지장치는 가동캠의 진퇴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적어도 대칭되는 두 곳 이상이 동일하게 지지되어야하므로 고정캠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캠돌기가 형성되어야 하며, 가동캠에는 원주방향으로 진행하며 동일한 형태의 산부 및 골부가 두 번 이상 반복되는 형상의 캠면이형성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의 힌지장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힌지 결합되는 두 부재를 다양한 각도로 개폐되게 할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가 적용된 휴대전화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 가동캠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힌지장치 20: 고정캠
21: 캠돌기 22: 보조캠돌기
30: 가동캠 31: 캠면
32: 보조캠면 40: 홀더
50: 탄성부재 M1: 제 1 부재
M2: 제 2 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힌지결합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가 서로 소정 각도로 개폐되게 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제 1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고정캠과, 상기 제 2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부재와 함께 회전하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부재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캠과, 상기 고정캠과 상기 가동캠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씩의 산부와 골부를 갖도록 원주방향으로 마련되는 캠면과, 상기 고정캠과 상기 가동캠 중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캠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캠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가 소정 각도로 개폐되게 하는 하나의 캠돌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고정캠과 상기 가동캠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캠면과 나란하게 원주방향으로 보조산부 및 보조골부가 마련된 보조캠면이 마련되되 상기 보조캠면에 마련된 보조산부 및 보조골부가 상기 캠면의 산부 및 골부와 실질적으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캠과 상기 가동캠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보조캠면과 대응하도록 상기 캠돌기에 비하여 그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보조캠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보조캠돌기는 상기 캠돌기와 원주방향으로 실질적으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캠면은 그 일단이 서로 만나 오목하게 제 1 골부가 형성되게 하는 한 쌍의 제 1 경사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 경사면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 1 경사면과 함께 볼록하게 형성되는 산부를 각각 이루며 그 타단이 서로 만나 오목하게 제 2 골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 2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캠면은 그 일단이 서로 만나 오목하게 제 1 보조골부가 형성되게 하는 한 쌍의 제 1 보조경사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 보조경사면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 1 보조경사면과 함께 볼록하게 형성되는 보조산부를 각각 이루며 그 타단이 서로 만나 오목하게 제 2 보조골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 2 보조경사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골부는 상기 제 2 보조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골부는 상기 제 1 보조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을 갖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골부와 상기 제 2 골부와 상기 제 1 보조골부와 상기 제 2 보조골부에는 상기 캠돌기와 상기 보조캠돌기의 끝단이 걸려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가 일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장치가 휴대전화에 적용되었을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가 적용된 휴대전화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 인쇄회로기판, 송화부 및 키패드 등을 포함하는 제 1 부재(M1)와 액정표시장치(LCD) 및 수화부(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재(M2)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부재와(M1) 제 2 부재(M2)는 힌지장치(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장치(10)를 통해 상대 회전운동하며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10)는 도 2,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M1)에 설치된 고정캠(20)과 제 2 부재(M2)에 설치되어 고정캠(20)과 상호작용하며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가 상대 회전운동할 수 있게 하는 가동캠(30)과, 내부에 가동캠(30)과 가동캠(30)이 진퇴이동할 수 있도록 가동캠(3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0)를 수용하는 홀더(40)를 구비한다.
고정캠(20)은 가동캠(30)을 진퇴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동캠(30)과 대응하는 면에 하나의 캠돌기(2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고정캠(20)의 일측면에는 제 1 부재(M1)로부터 돌출된 고정돌기(미도시)가 끼워져 고정캠(20)이 제 1 부재(M1)와 함께 회동하게 하는 고정홈(23)이 구비되며, 그 타측에는 고정캠(20)이 홀더(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캠축(24)이 구비된다.
캠축(24)에는 그 중앙에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고정캠(20)을 가로지르는 전선설치공(25)이 마련되며, 그 끝단에 고정캠(20)이 홀더(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걸림부(26)가 형성된다. 또한, 가동캠(30)과 홀더(40)에는 캠축(24)이 관통할수 있도록 제 1 관통공(33)과 제 2 관통공(41)이 각각 마련되어, 캠축(24)이 제 1 관통공(33)과 제 2 관통공(41)을 관통한 후 캠축(24)의 걸림부(26)가 홀더(40)의 제 2 관통공(41) 인접부에 지지되어 고정캠(20)이 홀더(4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42"는 걸림부(26)와 홀더(40)의 제 2 관통공(41) 인접부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42)이다.
한편 가동캠(3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캠(20)의 캠돌기(21)와 대응하는 면에 원주방향으로 캠면(31)이 마련되는데, 캠면(31)은 볼록하게 형성된 산부(311)와 오목하게 형성된 골부(312a, 312b)가 교대로 형성되어 캠돌기(21)의 위치에 따라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가 상대회전 하며 소정 각도로 개폐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10)에는 가동캠(30)이 홀더(40)를 내를 안정적으로 진퇴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캠면(31) 및 캠돌기(21)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보조캠면(32)과 보조캠돌기(22)가 구비된다.
보조캠면(32)은 캠면(31)의 반경방향 내측에 캠면(31)과 나란하게 원주방향으로 마련되며, 보조산부(321)와 보조골부(322a, 322b)가 캠면(31)의 산부(311)와 골부와 원주방향으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된다.
보조캠돌기(22)는 보조캠면(32)과 대응할 수 있도록 캠돌기(21)에 비하여 고정캠(20)의 반경반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원주방향으로 캠돌기(21)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캠(20)의 일측은 캠돌기(21)를 통해 캠면(31)에 지지되고 고정캠(20)의 타측은 보조캠돌기(22)를 통해 보조캠면(32)에 지지된다. 이 때, 캠면(31)과 보조캠면(32)은 원주방향으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의 상대회전에 따른 가동캠(30)의 진퇴이동거리는 양측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캠면(31)은 일단이 가동캠(30)의 일측에서 서로 만나 캠면(31)의 제 1 골부(312a)를 이루는 한 쌍의 제 1 경사면(313a)과 한 쌍의 제 1 경사면(313a)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 1 경사면(313a)과 함께 캠면(31)의 산부(311)를 형성하며 가동캠(30)의 타측에서 서로 만나 캠면(31)의 제 2 골부(312b)를 이루는 제 2 경사면(313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조캠면(32)은 일단이 가동캠(30)의 타측에서 서로 만나 보조캠면(32)의 제 1 보조골부(322a)를 이루는 한 쌍의 제 1 보조경사면(323a)과 한 쌍의 제 1 보조경사면(323a)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 1 보조경사면(323a)과 함께 보조캠면(32)의 보조산부(321)를 형성하며 가동캠(30)의 일측에서 서로 만나 보조캠면(32)의 제 2 보조골부(322b)를 이루는 제 2 보조경사면(323b)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캠면(31)의 제 1 경사면(313a) 및 제 2 경사면(313b)은 보조캠면(32)의 제 1 보조경사면(323a) 및 제 2 보조경사면(323b)과 원주방향으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캠면(31)의 제 1 골부(312a)는 보조캠면(32)의 제 2 보조골부(322b)와 동일한 위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캠면(31)의 제 2 골부(312b)는 보조캠면(32)의 제 1 보조골부(322a)와 동일한 위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캠면(31)은 골부(312a, 312b) 및 보조골부(322a, 322b)들을 연결하는선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의 상대 회전운전이 골부(312a, 312b) 및 보조골부(322a, 322b)들을 잇는 선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대칭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캠면(31) 및 보조캠면(32)에 마련된 각 골부(312a, 312b)에는 캠돌기(21)의 끝단이 걸리도록 오목하게 마련되어 일정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질 경우에만 캠돌기(21)가 이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가 개방된 상태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안착홈(34)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골부(312a, 312b)들을 연결하는 선을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캠면에 다양한 형상의 산부 및 골부를 형성하여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가 다양한 각도로 개폐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캠(20)에 캠돌기(21)가 형성되며 가동캠(30)에 캠면(31)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반대로 고정캠에 캠면이 형성되게 하고 가동캠에 캠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조캠면(32) 및 보조캠돌기(22)는 각각 캠면(31)과 캠돌기(21)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나, 역으로 캠면(31)과 캠돌기(21)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의 동작 및 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10)가 설치된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가 겹쳐있는 폐쇄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여 고정캠(20)과 가동캠(30)이 일 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제 1 골부(312a)와 제 1 보조골부(322a)의 안착홈(34)에 각각 안착되어 있던 고정캠(20)의 캠돌기(21) 및 보조캠돌기(22)가 탄성부재(50)를 탄성변형시키며 가동캠(30)의 제 1 골부(312a)와 제 1 보조골부(322a)로부터 각각 이탈한다.
이 때, 가동캠(30) 일측은 캠면(31)에 지지된 캠돌기(21)에 의해 진퇴이동하고 가동캠(30)의 타측은 보조캠면(32)에 지지된 보조캠돌기(22)에 의해 진퇴이동하는데, 캠돌기(21) 및 보조캠돌기(22)에 의한 가동캠(30) 양측의 진퇴이동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질 뿐 아니라고 그 진퇴이동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가동캠(30)의 진퇴이동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가 상대회전하여 캠돌기(21)와 보조캠돌기(22)가 각각 캠면(31)의 산부(311)와 보조캠면(32)의 보조산부(321)를 지난 후 외력이 해소되면, 탄성부재(50)가 탄성복원되며 그 복원력에 의해 가동캠(30)이 고정캠(20)측으로 이동하면서 캠돌기(21) 및 보조캠돌기(22)가 각각 제 2 경사면(313b)과 제 2 보조경사면(323b)을 따라 이동하며 제 2 골부(312b) 및 제 2 보조골부(322b)로 안내되어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가 180도의 각을 이룬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10)의 캠면(31) 및 보조캠면(32)은 골부(312a, 312b) 및 보조골부(322a, 322b)들을 연결하는 선을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도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10)는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를 어느 방향으로든 소정 각도 이상 상대 회전운동시키면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부재(M1)와 제 2 부재(M2)가 180도를 이루며 개방된다.
또한, 이러한 힌지장치(10)에 있어 고정캠(20)과 가동캠(30)을 일 방향으로 360도 상대회전시키면 제 1 골부(312a)에 위치하던 캠돌기(21)는 제 1 경사면(313a)과 제 2 경사면(313b)을 지나 제 2 골부(312b)에 도달한 후, 다시 제 2 경사면(313b)과 제 1 경사면(313a)을 지나 제 1 골부(312a)에 도달하므로,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는 캠면에 하나의 캠돌기만이 지지되어 있어 고정캠과 가동캠을 일방향으로 축을 중심으로 상대회전시킬 경우에도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지 않을 수 있게 되므로 캠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두 부재가 다양한 각도로 개폐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는 캠면의 반경방향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된 보조캠면과, 보조캠면에 지지되어 보조캠면을 따라 이동하는 보조캠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캠의 일측은 캠면을 통해 캠돌기에 의해 진퇴이동하고 가동캠의 타측은 보조캠면을 통해 보조캠돌기에 진퇴이동하므로 가동캠의 진퇴이동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서로 힌지결합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가 서로 소정 각도로 개폐되게 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제 1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고정캠과,
    상기 제 2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부재와 함께 회전하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부재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캠과,
    상기 고정캠과 상기 가동캠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씩의 산부와 골부를 갖도록 원주방향으로 마련되는 캠면과,
    상기 고정캠과 상기 가동캠 중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캠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캠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가 소정 각도로 개폐되게 하는 하나의 캠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과 상기 가동캠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캠면과 나란하게 원주방향으로 보조산부 및 보조골부가 마련된 보조캠면이 마련되되 상기 보조캠면에 마련된 보조산부 및 보조골부가 상기 캠면의 산부 및 골부와 실질적으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캠과 상기 가동캠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보조캠면과 대응하도록상기 캠돌기에 비하여 그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보조캠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보조캠돌기는 상기 캠돌기와 원주방향으로 실질적으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그 일단이 서로 만나 오목하게 제 1 골부가 형성되게 하는 한 쌍의 제 1 경사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 경사면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 1 경사면과 함께 볼록하게 형성되는 산부를 각각 이루며 그 타단이 서로 만나 오목하게 제 2 골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 2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캠면은 그 일단이 서로 만나 오목하게 제 1 보조골부가 형성되게 하는 한 쌍의 제 1 보조경사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 보조경사면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 1 보조경사면과 함께 볼록하게 형성되는 보조산부를 각각 이루며 그 타단이 서로 만나 오목하게 제 2 보조골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 2 보조경사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골부는 상기 제 2 보조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골부는 상기 제 1 보조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골부와 상기 제 2 골부와 상기 제 1 보조골부와 상기 제 2 보조골부에는 상기 캠돌기와 상기 보조캠돌기의 끝단이 걸려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가 일정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20-2003-0016875U 2003-05-30 2003-05-30 힌지 장치 KR200323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875U KR200323166Y1 (ko) 2003-05-30 2003-05-30 힌지 장치
CNU2004200591272U CN2712053Y (zh) 2003-05-30 2004-05-26 铰链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875U KR200323166Y1 (ko) 2003-05-30 2003-05-30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166Y1 true KR200323166Y1 (ko) 2003-08-14

Family

ID=3619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875U KR200323166Y1 (ko) 2003-05-30 2003-05-30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23166Y1 (ko)
CN (1) CN2712053Y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712053Y (zh)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8414B1 (en) Rotary type hinge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439610Y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US20060005356A1 (en) Hinge device having angle hold function and folding electronic appliance using same
KR100346893B1 (ko) 힌지 장치
KR100439744B1 (ko)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US20080064342A1 (en) Swivel hinge for use in handheld device
KR10050414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20090058614A (ko) 회전 힌지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323166Y1 (ko) 힌지 장치
JP3658250B2 (ja) ヒンジ
KR20090052918A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86095B1 (ko) 힌지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1266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KR100259760B1 (ko) 2방향 레버 스위치
KR100600095B1 (ko) 스윙 방식 개폐장치
US20090320238A1 (en) Cam interference assembly of hinge and foldable device
KR20060095310A (ko)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05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20072828A (ko) 힌지장치
KR20020080086A (ko) 힌지장치
KR100721177B1 (ko) 힌지 장치
KR200300602Y1 (ko) 힌지 장치
KR200404171Y1 (ko) 힌지장치
KR200387241Y1 (ko) 힌지 장치
KR100692265B1 (ko) 토션력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로테이팅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