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099Y1 -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Google Patents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3099Y1 KR200323099Y1 KR20-2003-0014881U KR20030014881U KR200323099Y1 KR 200323099 Y1 KR200323099 Y1 KR 200323099Y1 KR 20030014881 U KR20030014881 U KR 20030014881U KR 200323099 Y1 KR200323099 Y1 KR 20032309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ttom plate
- tension
- pillar
- retaining wall
- precas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반에 형성되는 저판부재 및 저판부재에 설치되는 기둥부재 사이에 조립식으로 삽입되는 프리캐스트 배면부재를 포함하는 연직벽체를 형성시키고, 상기 저판부재와 연직벽체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긴장부재를 설치하여 옹벽을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옹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긴장부재에 의하여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연직벽체 및 저판부재의 단면의 크기를 줄이면서, 그 내부에 사용되는 철근량을 절감하여 옹벽을 설계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배면부재 등을 프리캐스트화하여 설치함으로서 시공성이 우수하며, 공기를 줄일 수 있는 토류 구조물의 배면토 유동에 의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옹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류구조물의 배면토 유동에 의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옹벽시스템으로서, 지반에 형성되는 저판부재 및 저판부재에 설치되는 기둥부재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배면부재를 포함하는 연직벽체를 형성시키고, 상기 저판부재와 연직벽체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긴장부재를 설치하여 옹벽을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옹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토목공사용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배면토에 의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휨모멘트가 개략적으로 옹벽높이의 3제곱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므로, 필연적으로 상기 휨모멘트에 대항하기 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옹벽 벽체의 단면적과 벽체내부에 배근되는 철근량이 옹벽의 높이에 따라 크게 증가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옹벽의 높이가 통상 8M 미만인 경우에는 역 T자형 옹벽이나 L자형 옹벽을 이용하고, 높이가 8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1과 같이 뒷굽판(1)을 포함하는 저판부재(10)에 연직벽체(20)를 경사방향으로 부벽(30)이 형성된 부벽식 옹벽(100)이 이용되었다.
상기 부벽식 옹벽은 부벽이 연직벽체 및 뒷굽판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항하는 응력(휨모멘트)을 분담하기 때문에 연직벽체와 저판부재, 특히 뒷굽판의 단면크기와 사용철근량을 역 T자형이나 L자형 옹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경사진 부벽을 철근콘크리트 부재로서 현장 타설하여 시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즉, 상기 휨모멘트에 효율적으로 대항하기 위하여 경사진 부벽의 단면구성이 하부는 넓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는 단면구성을 채택하는데, 특히 상부 부벽의 경우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거푸집내부에 밀실하게 채워지도록 하기 위한 다짐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부벽식 옹벽을 완성시키기 위해 거푸집의 조립과 콘크리트 타설 횟수를 여러 차례 나누어 실시해야만 하는 시공상의 난해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를 여러 차례 나누어 타설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효율적인 콘크리트 품질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벽을 형성시키기 위한 비용, 즉 콘크리트 및 고가인 철근량이 많이 소요되어 공사비 증대요인이 되었고, 시공상의 어려움에 의한 하자발생 사례가 많아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시공불량에 의한 옹벽붕괴의 위험이 존재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옹벽에 있어 부벽의 기능을 가지는 부재로서, 연직벽체와 저판부재를 서로 연결하되,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긴장부재를 설치함으로서, 부벽식 옹벽의 특성을 가지되, 연직벽체 및 저판부재의 단면크기 및 사용 철근량을 절감할 수있어 공사비가 절감되고, 연직벽체를 구성하는 기둥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배면부재를 프리캐스트화 하여, 조립식으로 설치함으로서 보다 신속하고,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를 절감할 수 있는 옹벽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부벽식 옹벽을 도시한 것이고,
도2a, 도2b 및 도2c는 기둥부재가 철근콘크리트부재인 경우의 저판부재 및 긴장부재에 따른 본 고안의 옹벽시스템의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2d, 도2e 및 도2f는 기둥부재가 철골부재인 경우의 저판부재, 긴장부재 및 프리캐스트 배면부재에 따른 본 고안의 옹벽시스템의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2g는 본 고안의 옹벽시스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고안의 기둥부재가 철근콘크리트부재 또는 철골부재인 경우에 있어 프리캐스트 배면부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4a 및 도4b는 본 고안의 긴장부재가 기둥부재인 철골부재 또는 철근콘크리트부재에 정착되는 부분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200:저판부재
210,220,230:저판부재의 압굽판,뒷굽판,연결판
300:연직벽체
310:기둥부재
310a,310b:기둥부재인 철근콘크리트부재 및 철골부재
320:프리캐스트 배면부재
400:긴장부재
본 고안은 옹벽에서, 지반에 설치되는 저판부재(200), 상기 저판부재에 형성되는 기둥부재(310) 및 상기 기둥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배면부재(320)를 포함하는 연직벽체(300), 상기 저판부재와 연직벽체에 양 단부가 긴장, 정착되어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는 긴장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긴장부재에 의하여 도입되는 압축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연직벽체와 저판부재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구조적인 효율성을 가지도록 대항하게 함으로서, 연직벽체 및 저판부재의 단면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그 내부에 배근되는 사용 철근량을 절감시킬 수 있고, 연직벽체를 구성하는 기둥부재 사이의 삽입 설치되는 배면부재를 공장에서 일정규격으로 제작, 설치하여 옹벽을 조립식으로 제작할 수 있음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이하 본 고안의 최선의 실시예를 도2 내지 도4를 기준으로 상세히 살펴본다.
도2a,도2b 및 도2c 본 고안의 옹벽시스템에서 기둥부재로서 철근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하고, 저판부재에 따른 긴장부재의 설치위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2c,도2d 및 도2e 본 고안의 옹벽시스템에서 기둥부재로서 철골부재를 이용하고, 저판부재에 따른 긴장부재의 설치위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2f는 본 고안의 옹벽시스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저판부재(200)는 옹벽이 설치될 지반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옹벽배면에 형성되는 배면토의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도2a 및 도2d와 같이 앞굽판(210), 뒷굽판(220), 연결판(2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도2b, 도2c, 및 도2e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하나의 판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현장여건, 설계에 따라 선택하여 제작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3개의 판(앞굽판, 뒷굽판,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저판부재(200)를 도시한 도2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저판부재의 경우 앞굽판, 연결판 및 뒷굽판을 이용하면 내부를 블록 아웃(block out)시킬 수 있어 그 만큼 콘크리트 및 사용 철근량을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재료의 절감에 의해서도 저판부재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충분히 저항하는 강성을 후술되는 긴장부재의 설치에 의하여 확보할 수 있다.
연직벽체(300)를 기준으로 배면토가 형성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부분이 뒷굽판(220)이며, 연직벽체(300)가 형성되는 부분을 편의상 앞굽판(210)이라 하면, 앞굽판에 형성된 연직벽체(300)의 기둥부재(310)의 하부가 뒷굽판에 연결판(230)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판(230)에는 긴장부재(400)의 한쪽 단부가 고정(뒷굽판 또는, 연결판과 뒷굽판 모두에 고정될 수도 있다.)되며, 긴장부재의 타 단부는 상기 기둥부재(310)에 긴장 후 정착되게 된다.
상기 앞굽판(210), 뒷굽판(220), 연결판(230)을 포함하는 본 고안의 저판부재(200)는 현장에서 거푸집 및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기둥부재(310)를 철근콘크리트 부재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저판부재(200)와 기둥부재(310)를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현장에서 저판부재(200)를 먼저 제작하고, 기둥부재(310)를 저판부재의 앞굽판(210)에 별도로 설치해도 상관없으며, 기둥부재(310)를 공장에서 제작(프리캐스트화)한 후, 현장에서 제작된 저판부재(200)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이러한 연결판(230) 또는 뒷굽판 또는 연결판과 뒷굽판에 경사져 설치되는 다수의 긴장부재(400)의 한쪽 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연직벽체(300)는 저판부재(200)에 연직으로 설치되는 기둥부재(310) 및 상기 기둥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프리캐스트 배면부재(3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직벽체는 저판부재에 지지되어 배면토에 의한 토압에 대항하는 구조체이다.
기둥부재(310)는 저판부재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프래캐스트 배면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할 때의 폭과 길이를 고려하여 그 간격 및 높이를 정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러한 기둥부재(310)는 철근콘크리트부재(310a) 또는 철골부재(310b)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재는 모두 공장 제작된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도2a,도2b 및 도2c에는 특히 철근콘크리트부재를 기둥부재로 이용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기둥부재(310)에는 긴장부재의 한 쪽 단부가 저판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 단부가 정착장치에 의하여 긴장 후 정착된다. 이로서 연직벽체와 저판부재가 서로 연결되면서, 압축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이러한 압축 프리스트레스는 구조적으로 연직벽체 및 저판부재가 배면토의 토압과 같은 외력을 상쇄시킬 수 있어 기둥부재를 포함하는 연직벽체 및 저판부재의 제작을 위해 필요한 단면크기 및 사용 철근 량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긴장부재에 의하여 도입되는 압축 프리스트레스의 크기는 긴장부재 설치의용이성, 긴장부재와 연직벽체 제작, 설치비용, 배면토에 작용하는 상재하중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설계, 시공이 가능하도록 정하면 되고, 도입시기, 도입회수(1회 또는 복수회에 걸쳐 도입할 수 있다), 도입량의 크기 및 도입순서 등도, 역시 토압(주동, 수동토압), 현장여건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정하면 된다.
기둥부재로서 철근콘크리트부재(310a)를 이용하는 경우, 프리캐스트화하여 제작, 설치할 수도 있으며, 저판부재를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하여 제작하는 경우에 현장에서 직접 제작할 수 도 있다.
기둥부재로서 철골부재(310b)를 이용하는 경우에 도2c, 도2d 및 도2e와 같이 H형강 또는 I형강과 같은 강재를 사용할 수 있다. 철골부재의 하부가 저판부재(20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때 긴장부재가 철골부재인 기둥부재에 긴장, 정착되는 경우 도입되는 수직방향의 압축 프리스트레스 분력이 철골부재에 작용함으로서, 철골부재가 저판부재를 파고들면서 과도한 응력집중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철골부재의 하부에 도2d와 같이 수평지지부재(311b)를 관통하여 설치하거나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분리하여 수평지지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 배면부재(320)는 기둥부재(310)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부재로서, 기둥부재와 함께 배면토에 의한 토압을 저항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둥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기둥부재와 프리캐스트 배면부재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는 도3a 및 도3b와 같이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3a는 기둥부재(310)로서 철근콘크리트부재(310a)를 이용하는 경우인데, 기둥부재의 전면(도3a에는 전면에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후면도 함께 형성시키는것도 가능하다.)을 양쪽으로 돌출시켜 플랜지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플랜지부에 끼워져 삽입될 수 있도록 역시 프리캐스트 배면부재(320)의 양 단부의 형상을 플랜지부 형상에 대응하여 제작하는 경우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기둥부재 사이에 프리캐스트 배면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기둥부재와 프리캐스트 배면부재의 연결부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배면토의 토압이 배면부재에 작용하는 경우, 배면부재의 양 단부가 기둥부재의 플랜지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기둥부재와 프리캐스트 배면부재가 일체로 상기 토압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도3b는 기둥부재(310)로서 I형강과 같은 철골부재(310b)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경우인데, 별도로 철근콘크리트 부재와 같이 플랜지부를 형성시킬 필요없이, 직육면체 형상의 프리캐스트 배면부재(320)를 철골부재의 플랜지 사이에 간단하게 삽입시켜, 철골부재인 기둥부재와 배면부재가 일체로서 토압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배면부재(320)는 공장에서 소정의 크기 및 단면으로 제작된 철근콘크리트 제품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현장에서는 간단하게 기둥부재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연직벽체(300)를 제작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향상되고, 신속한 연직벽체의 형성이 가능하여 공기절감이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복합재료로 제작된 경량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 중량이 감소하게 되어 운반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패널로서 경량콘크리트패널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콘크리트 제품이 아닌 강재패널의 이용도 가능하다.
긴장부재(400)는 본 고안에서 연직벽체와 저판부재를 서로 연결시키되, 저판부재에 한쪽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연직벽체에 긴장 후 정착됨으로서, 연직벽체 및 저판부재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2g와 같이 저판부재의 연결판(230)의 하부에 긴장부재(400)의 한 쪽 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수단(23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긴장부재가 연결판에 삽입되는 연결관(231a) 및 긴장부재의 한쪽 단부가 앵커헤드(231b) 등으로 고정되는 앵커수용부(231c)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의 다른 고정수단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한쪽 단부가 저판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긴장부재의 타 단부는 기둥부재(310a)에 형성된 저판부재를 관통하여 기둥부재 전면에 정착장치(231d)를 이용하여 긴장 후 정착될 수 있으며, 저판부재의 관통은 도2g와 같이 저판부재 제작시 미리 연결관을 삽입시켜 제작할 수 있으며, 달리 연결관을 설치하지 않고, 미리 관통구멍을 형성시켜도 상관없다. 전면에 정착장치를 노출시키는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정착장치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모르타르 등을 이용하여 마감층(231e)을 형성시키거나 별도의 패널을 부착할 수 있다.
도2a와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각 연결판(230)에 다수의 긴장부재(400)의 한쪽 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기둥부재(310a)의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긴장부재(400)의 타 단부가 정착될 수 있다.
도4a는 철골부재(310b)를 기둥부재(310)로서 이용하는 경우, 긴장부재의 타 단부를 정착시킬 때, 긴장부재의 타 단부를 철골부재에 정착시키는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철골부재의 플랜지 사이에 경사지지판(313)을 따로 제작하여 설치하고, 그 경사지지판 중앙부분에 구멍을 형성시켜, 긴장부재(400)가 철골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한후, 앵커헤드와 같은 정착장치(312b)를 이용하여 긴장부재의 타 단부를 상기 경사지지판에 긴장 후 정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하자면 도입되는 압축 프리스트레스의 수직분력이 철골부재의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도록 하여, 철골부재에 압축 프리스트레스의 수직분력이 편심되어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도4b는 콘크리트 기둥부재(310b)를 기둥부재(310)로 이용하는 경우, 긴장부재의 타 단부를 정착시킬 때, 긴장부재의 타 단부를 콘크리트기둥부재에 정착시키는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소정의 형상으로 긴장부재의 타단부를 정착시킬 수 있도록 정착부위(231d)를 형성시키고, 긴장부재의 타 단부가 기둥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정착부위에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보강판 및 앵커헤드와 같은 정착장치(312b)를 이용하여 긴장부재(400)의 타 단부가 기둥부재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둥부재(310)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배면부재(320)로 구성되는 연직벽체(300)에 긴장부재가 설치됨으로서, 연직벽체 및 저판부재의 단면의 크기 및 사용철근량을 절감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연직벽체의 경우 저판부재에 한쪽 단부가 고정된 캔틸레버 구조물로서 배면토에 의한 주동토압을 저항하게 하는 것이 종래의 설계방법이지만, 본 고안에서는 긴장부재가 각 연직벽체에 상, 하로 각각 설치되어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경우, 배면토에 의한 토압에 저항하므로 연직벽체의 전체 높이가 캔틸레버로 저항하는 것과 비교하여 배면토의 토압에 저항하는 휨모멘트 및 전단력의 크기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연직벽체를 설계할 수 있게 됨으로서, 그만큼 연직벽체의 단면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내부에 배근되는 사용철근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저판부재(200)의 경우도 역시 연직벽체에 한쪽 단부가 고정된 캔틸레버 구조물로서 배면토의 자중 및 상재하중에 의한 수직토압을 저항하게 하는 것이 종래의 설계방법이지만, 본 고안에서는 긴장부재가 각 저판부재에 좌, 우로 설치되어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경우, 배면토의 자중 및 상재하중의 수직토압에 저항하므로 저판부재가 캔틸레버로 저항하는 것과 비교하여 배면토의 자중 및 상재하중에 의한 수직토압에 저항하는 휨모멘트 및 전단력의 크기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저판부재를 설계할 수 있게 됨으로서, 그만큼 저판부재의 단면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내부에 배근되는 사용철근량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2c에는 기둥부재(310)로서 철근콘크리트부재(310a)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배면부재에 정착되는 긴장부재(40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2a 및 도2b와 같이 긴장부재를 철근콘크리트기둥부재인 기둥부재에 설치할 수 있고, 프리캐스트 배면부재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2e에는 기둥부재(310)로서 철골부재(310b)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배면부재에 정착되는 긴장부재(40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2d와 같이 긴장부재를 철골부재인 기둥부재에 설치할 수 있고, 역시 프리캐스트 배면부재에도 설치할 수 있다.
도2e에는 기둥부재(310)로서 철골부재(310b)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배면부재에 정착되는 긴장부재(40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기둥부재(310)인 철골부재(310a) 사이에 프리캐스트 배면부재(320)를 삽입하여 설치하되, 가장 하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진 프리캐스트 배면부재(321)를 먼저 설치한 후, 그 위에는 중간배면부재(322)를 삽입하고, 그 위에 다시 프리캐스트 배면부재(323)를 설치한다. 배면부재를 나누어 설치하는 것은, 배면부재의 높이가 클 경우 운반 및 시공의 편이성을 위한 것이며, 특히 중간배면부재의 경우 도2d와 같이 철골부재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배면부재의 재질, 크기 등은 얼마든지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배면부재(322)에는 긴장부재(400)의 타단부가 정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으로서 긴장부재를 기둥부재뿐 만 아니라, 프리캐스트 배면부재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은 기둥부재의 설치 간격을 넓게 하는 대신, 보다 효과적으로 배면토에 의한 토압에 저항하기 위하여 기둥부재 사이사이에 긴장부재를 추가로 설치한다든지, 기둥부재에는 긴장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배면부재에만 긴장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방식이다.
본 고안은 기둥부재 사이에 프리캐스트 배면부재가 설치된 연직벽체와 저판부재가 긴장부재로 연결되어, 연직벽체와 저판부재에 작용하는 배면토의 토압과 같은 외력을 상기 긴장부재에 의하여 옹벽에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가 상쇄시켜 줌으로서, 연직벽체 및 저판부재의 단면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 내부에 배근되는 철근량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옹벽의 제작, 설치가 가능하고, 배면부재, 기둥부재를 프리캐스트화 하여 제작함으로서, 시공성이 향상되고, 공기를 줄일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옹벽 설치가 가능하다.
Claims (7)
- 저판부재 및 연직벽체를 포함하는 옹벽에 있어서,상기 연직벽체는 저판부재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기둥부재 및 기둥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프리캐스트 배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직벽체와 저판부재에 한쪽 단부가 저판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 단부가 연직벽체에 긴장 후 정착되는 긴장부재를 형성시켜, 연직벽체 및 저판부재에 작용하는 외력을 상기 긴장부재에 의해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상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배면부재는 복합재료로 제작된 경량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철근콘크리트 부재로서 현장제작 또는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H형강 또는 I형강인 철골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부재인 기둥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배면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되거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절된 프리캐스트 부재로서, 분절된 프리캐스트 배면부재 사이에 중간배면부재가 형성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인 철골부재의 하부단부에는 수평지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직벽체에 정착되는 상기 긴장부재의 타 단부는 연직벽체의 기둥부재 또는 분절된 프리캐스트 배면부재 사이에 형성된 중간배면부재에 형성되거나 양쪽 모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4881U KR200323099Y1 (ko) | 2003-05-14 | 2003-05-14 |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4881U KR200323099Y1 (ko) | 2003-05-14 | 2003-05-14 |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30254A Division KR100607482B1 (ko) | 2003-05-13 | 2003-05-13 |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3099Y1 true KR200323099Y1 (ko) | 2003-08-14 |
Family
ID=4941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4881U KR200323099Y1 (ko) | 2003-05-14 | 2003-05-14 |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309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67571A (zh) * | 2018-09-17 | 2018-11-23 | 辛振科 | 斜拉坝 |
-
2003
- 2003-05-14 KR KR20-2003-0014881U patent/KR20032309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67571A (zh) * | 2018-09-17 | 2018-11-23 | 辛振科 | 斜拉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18440B2 (en) | Pre-stressed box culvert and methods for assembly thereof | |
KR100549649B1 (ko) | 프리캐스트 조립구조에 의한 교각 구조물 | |
KR100889273B1 (ko) |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1379305B1 (ko) |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 |
KR101301076B1 (ko) |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 |
KR100969586B1 (ko) |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0993777B1 (ko) |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851557B1 (ko) | 리브보강형 프리캐스트 아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US4363200A (en) | Pre-cast building element and method | |
KR101263370B1 (ko) | 거더연결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169460B1 (ko) | 방음벽 기초부가 내부에 형성된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시공방법 | |
KR20100071413A (ko) | 프리캐스트 코핑부를 포함하는 교각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329443B1 (ko) |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연속화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0607482B1 (ko) |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
KR102314546B1 (ko) |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 |
KR101054718B1 (ko) | 부벽과 긴장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41363B1 (ko) | 장지간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107729B1 (ko) | 조립식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0826895B1 (ko) | 배면토 다짐에 유리한 응력저감형 옹벽 | |
KR200323099Y1 (ko) |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 |
KR101878762B1 (ko) |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 |
KR101880813B1 (ko) |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008555B1 (ko) | 지하차도용 복합거더 및 그를 이용한 지하차도 | |
KR102095586B1 (ko) | 듀얼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u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20210128110A (ko) | 2방향 격자형구조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