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086Y1 -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086Y1
KR200323086Y1 KR20-2003-0014682U KR20030014682U KR200323086Y1 KR 200323086 Y1 KR200323086 Y1 KR 200323086Y1 KR 20030014682 U KR20030014682 U KR 20030014682U KR 200323086 Y1 KR200323086 Y1 KR 200323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light
pattern
emittin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윤경환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서킷
주식회사 파인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서킷, 주식회사 파인옵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서킷
Priority to KR20-2003-0014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희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발광 램프를 사용한 유희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면에 음각 도안이 형성된 불투명 유연성 판재, 상기 음각 도안의 개구면상에 부착되는 투광성 필름 및 상기 음각 도안내에 부착되어 상기 투광성 필름을 통해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 램프와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를 구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유희 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관찰자의 시각적 만족감, 심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희 기구의 제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AMUSEMENT APPARATUS WITH LIGHTING DEVICE}
본 고안은 유희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발광 램프를 사용한 유희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발광 램프는 사용된 반도체 소자의 물성에 의해 정해지는 특정 파장의 빛을 발광한다. 이러한 반도체 발광 램프는 저전력으로 높은 발광 출력을 내며 긴 수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우 매력적인 조명 기구이다. 특히, 최근 등장한 질화 갈륨계 반도체 소자에 의해 청색 반도체 발광 램프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반도체 발광 램프의 색상 구현의 한계 또한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 램프를 조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함으로써, 인간의 호기심 및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희용 기구의 제작이 가능하다.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03-4839호에서 모자 내부 공간에 꼬마 전구 또는 반도체 발광 램프를 부착함으로써 모자 표면에 형성된 여러 도안을 시각적으로 부각시키는 유희용 모자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꼬마 전구에 비해 반도체 발광 램프는 전력 및 수명에 있어서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반도체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된 광이 갖는 직진성 및 좁은 시야각으로 인해 유희용 기구로의 응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1은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수지 몰드형 반도체 발광 램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발광 램프(100)는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소자(140)가 수지(130) 내부에 몰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소자(140)의 전극에는 한 쌍의 리드(110, 12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리드(110, 120)에는 전원부(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반도체 발광 소자(140)에 전원이 공급된다.
반도체 발광 소자(140)에 전원이 공급되면, 반도체 발광 소자(140)는 사용된 반도체의 물성에 의해 정해지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게 된다. 반도체 발광 램프에서 발광 소자(140)를 둘러싸고 있는 수지(130)는 상기 발광 소자(140)에서 발광되는 광을 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집속 기능의 보강을 위해 수지에는 반구형 상면(132)과 같은 집속 렌즈가 설계되어 있거나, 측면 또는 하부면에는 측광의 반사를 위한 반사경(도시하지 않음)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발광 소자(140)에서 방출된 방사형 광은 수지의 상면을 통해 집속 방출된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 램프(100)를 바라보는 관찰자에게는 좁은 시야각이 제공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점은 반도체 발광 램프를 유희용 기구에 응용하는 데 있어서도 제한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수지에 의해 몰딩되지 않은 칩형 또는 SMD형 반도체 발광 램프의 경우에도 좁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밖에 없다는 한계는 여전히 존재하므로, 이를 개선하여 넓은 면적을 갖는 입체적 도안을 시각적으로 부각시켜 유희용 기구의 조명 장치로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반도체 발광 램프를 이용하여 유희용 기구의 표면에 형성된 다양한 도안을 조명하는 유희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음각 도안 조명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3d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투광성 필름의 일부에 형성된 입체 형상을 도안으로 하는 유희 기구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가면 형상의 판재를 기초로 한 유희 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띠 형상의 판재를 기초로 한 유희 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부채꼴형 판재를 기초로 한 유희 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240, 440, 540, 640, 740 : 반도체 발광 램프
230, 430, 530, 530', 630, 632, 634, 730, 730' : 음각 도안
222 : 입체 형상부
210 : 판재
410, 510, 610, 710 : 상판
412, 512, 612, 712 : 하판
220, 520, 620, 720 : 투광성 필름
260 : 투광성 충진재
570, 670, 770 : 램프 제어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면에 음각 도안이 형성된 불투명 유연성 판재, 상기 음각 도안의 개구면상에 부착되는 투광성 필름 및 상기 음각 도안내에 부착되어 상기 투광성 필름을 통해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 램프와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를 구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유희 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음각 도안은 서로 분리된 복수의 도안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투광성 필름은 일체로 상기 복수의 도안을 커버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판재는 2개의 판재형 수지로 분리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판재형 수지 중 하나는 상기 음각 도안에 대응하는 통공 형태의 도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아무런 도안도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음각 도안이 형성된 불투명 유연성 판재, 상기 판재의 상기 음각 도안을 충진하는 투광성 수지 및 상기 음각 도안내에 부착되어 상기 음각 도안의 개구면을 통해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 램프와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를 구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유희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불투명 유연성 판재, 상기 판재상에 부착되며 상기 판재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판재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입체 구조를 갖는 투광성 필름 및 상기 판재와 상기 투광성 필름이 형성하는 상기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투광성 필름을 통해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 램프와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를 구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판재는 종이 또는 수지를 재질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불투명 유연성 판재는 가면 형상, 띠 형상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자유로이 구현되어, 다양한 유희용 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술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유희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희 기구는 사각형 모양의 판재(210)와 투광성 필름(220) 및 반도체 발광 램프(2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판재(210)는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240)으로부터 발생한 광이 투과하지 않도록 불투명 수지로 제작된다. 상기 판재(210)는 보조적으로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240)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재는 적절한 외력 범위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할 정도의 탄성 또는 가소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의 예로는 우레탄 수지, 합성 고무, SBS 수지 또는 열가소성 올레핀 수지 등이 있으며, 이밖에도 일정한 탄성 또는 가소성을 갖는 수지라면 본 고안의 판재로 사용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판재(210)에는 음각 도안(2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안은 상기 판재(2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각인되어 있다. 도 2에는 꽃 모양의 도안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문자, 기호, 그림 또는 캐릭터가 도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각 도안(230)은 판재에 수작업에 의해 조각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으며, 판재의 사출 진공 성형시 금형에 의해 동시에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음각 도안(230)에는 반도체 발광 램프(24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240)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에 의해 몰딩된 구조를 갖는 통상의 반도체 발광 램프(240)이다. 물론,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240)로 칩형 반도체 발광 램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240)의 리드(도시하지 않음)는 외부 전원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며, 온/오프를 제어한다.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240)가 장착된 음각 도안(230) 상에는 투광성 필름(240)이 부착된다. 상기 투광성 필름은 PVC(polyvinyl chloride) 필름이나, PE(polyethylene) 필름,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PP(polypropylene) 필름 등 일정한 투광성 및 탄성이 보장되는 통상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필름류 등을 사용할 때 인쇄성과 유연성 및 가공 용이성을 위해 통상의 경우 0.5 mm이내의 두께를 갖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필름을 사용하여 임의의 모양 성형을 하는 경우에는, 칼날로 직접 모양을 만드는 도무송 공정 등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성형이 가능하다. 상기 투광성 필름(240)은 상기 판재(210)상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유희 기구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도 3a는 투광성 필름이 존재하지 않을 때, 음각 도안(230)상의 반도체 발광 램프(240)에서 발광된 빛의 진행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발광 램프(240)의 수지(242)에 의해 발광된 빛의 대부분은 주로 램프(240)의 상면을 통해 진행하며(F로 도시), 극히 일부만이 측면 방향으로 진행한다(S로 도시). 따라서, 상기 유희 기구의 전면에 있는 관찰자(도시하지 않음)는 반도체 발광 램프(240)로부터 직접 방출되는 광만을 인지하며, 결국 음각 도안(230)의 형상 및 윤곽에 대한 인식은 거의 할 수가 없게 되어, 음각 도안(230)은 관찰자에게 시각적으로 부각될 수 없다.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음각 도안(230) 상에 투광성 필름(220)이 존재할 때 반도체 발광 램프(240)에서 발광된 빛의 진행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발광 램프(240)로부터 발광된 빛의 일부(252)는 투광성 필름(220)을 투과하여 진행하지만, 일부(254)는 투광성 필름(220)에 의해 음각 도안(230) 방향으로 반사된다. 이 반사광은 관찰자에게 음각 도안(230)의 형상 및 윤곽을 인식 가능하게 한다. 상기 투광성 필름(220)으로 입사하는 광에 대한 투과광과 반사광의 비율은 상기 투광성 필름의 재질에 따라 변하지만, 상기 필름(220)이 투광성을 가지고 있는 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투광성 필름(220)의 표면에서의 효율적인 반사를 도모하기 위해 상기 투광성 필름(220)의 표면에 일련의 코팅재를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투광성 필름(220)의 표면에 금속 입자를 분산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투광성이라 함은 투명, 반투명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상기 투광성 필름(220)은 고유의 색채를 가진 반투명 필름이어도 무방하다.
도 3c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전술한 투광성 필름(220)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 도안(230)은 충진재(260)에 의해 충진되어 있다. 이 충진재(260)는 전술한 투광성 필름(2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충진재(260)는 상기 투광성 필름과 같이 투광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충진재(260)의 표면(262)은 반도체 발광 램프(240)에서 발광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여 음각 도안(230)의 윤곽 및 형상을 관찰자로 하여금 인지 가능하게 한다. 상기 충진재(260)로는 액체 상태로 유입되어 열 또는 빛 기타 방법에 의해 경화 가능한 각종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관찰자와 반도체 발광 램프(240)와의 사이에 공기와는 굴절률이 다른 제2의 투광성 매질을 개재함으로써,공기와 상기 제2의 투광성 매질과의 계면에서 입사광의 반사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투광성 매질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음각 도안에서 재반사되어 관찰자로 하여금 음각 도안의 형상 및 윤곽을 인식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설명은 본 고안의 유희 기구에 하나의 도안 및 하나의 반도체 발광 램프가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복수의 도안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램프가 형성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램프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에 이들을 순차 점등하거나 일시에 점등하는 등의 일정한 동작을 행하여 본 고안의 유희 기구를 오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간단한 콘트롤러에 의해 구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음각 도안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c와는 달리, 도 4에서 판재(410, 412)는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판(420)은 전술한 음각 도안에 대응하는 도안(430)이 형성된 것이며, 하판(410)은 아무런 도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블랭킷 판재이다. 여기에서 상기 도안(430)은 상판(412)에 음각되는 것이 아니라, 상판(412)을 관통한 통공 형태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2) 및 하판(410)을 접착하게 되면, 그 조립체는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b에서 설명한 판재(210)와 같이 음각 도안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구조는 반도체 발광 램프(440)와 전원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는 도선(442)을 시야로부터 은닉하기에 적합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음각 도안(430)상에 전술한 바와같은 투광성 필름을 장착하거나 상기 음각 도안(430)내를 투광성 충진재로 충진함으로써, 본 고안의 유희 기구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판재를 이용하여 통공 형태를 갖는 구조를 제조하거나, 외형을 제조하는 데에는 도무송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무송 공정은 종이, 필름 또는 고무 수지 등의 판재를 일정한 도안을 따라 칼선이 형성된 판으로 가압하여 원하는 형상을 성형하는 방법으로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원하는 도안 또는 외형의 성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판재의 수지 재료로는 발포 수지(foam)이 사용될 수 있다. 발포 수지는 수지의 내부에 기공이 존재하는 재료로서 통상 수지 제조 과정 중에 증기압 등을 이용하여 수지 내부에 기공이 많이 형성된 재료이다. 발포 수지로는 폴리스티렌 발포 수지(extended polystylene)나 발포 우레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발포 수지는 무게가 가볍고 유연성이 뛰어나며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발포 수지는 넓은 면적의 음각 도안을 형성하거나 금형 가공시 일반적인 사출 성형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이 소요된다. 물론, 상기 판재는 발포 재료 외에 우레탄 등의 고무 특성을 갖는 판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설명한 일체형 조명용 유희 기구와는 달리, 도 4의 유희 기구에서는 상판과 하판이 상이한 재질로 만들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판(412)은 투광성 수지로 하판(410)은 불투명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면, 관찰자 입장에서는 투명 필름에 반사된 광을 통해 음각 도안(430)의 형상 식별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440)로부터 입사된 광 중 일부가 상기 투광성 상판(412)을 통해 진행하여 투광성 상판(412)을 조명하는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이 때, 상기 상판(412)이 색채를 띤 반투명 수지로 제조될 경우, 상기 투광성 상판(412)이 갖는 고유의 색채를 은은히 조명하여 유희 기구로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의 유희 기구는 조명하고자 하는 도안이 판재에 음각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유희 기구에서 조명의 대상이 되는 도안은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d는 이러한 측면에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d에서는 불투명 유연성 판재(210)상에 입체 구조가 형성된 투광성 필름(220)이 부착되어 있다. 이 입체 형상(222)은 일정한 도안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것은 전술한 음각 도안에 상응하는 것이다.
상기 투광성 필름의 입체 형상부(222)와 상기 불투명 유연성 판재(210)가 형성하는 공간(224)에는 반도체 발광 램프(2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불투명 유연성 판재(210)로는 수지 뿐만 아니라 종이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투광성 필름이 형성하는 입체적 도안이 조명되는 원리는 전술한 도 3a 내지 도 3c에서 설명한 것과 대동 소이하다. 반도체 발광 램프(240)로부터 발광된 광의 일부(254)는 상기 투광성 필름(220)에 반사되어 상기 투광성 필름의 입체 형상부(222)를 조명한다. 따라서, 관찰자는 상기 투광성 필름이 형성하는 도안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투광성 필름에 입체적 형상을 부여하는 작업은 소위 가열 압착이라고 불리우는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표면에 입체적 형상이 새겨진 금속판으로 필름을 가열 압착하여 금속판의 형상대로 필름의 형상을 성형하는 방법을 말한다. PVC나 PP 또는 PE 등의 수지로 된 필름은 열가소성이 있으므로 가열 압착 공정에 의해 입체적인 형상 성형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투광성 필름을 성형하여 직접 도안을 형성하는 방식은 도안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전술한 방식에 비해 매우 낮은 제조 비용이 소요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매력적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 기구의 몇가지 예를 부가 설명한다.
도 5는 가면 형상의 판재를 기초로 한 유희 기구(5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판재(510, 512)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상판(512)에는 관통형 음각 도안(530, 53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판(510)은 블랭킷 판재이다. 상기 판재(510, 512)는 각각 가면 형상의 외관을 가지고 있다. 판재(510, 512)에는 사람의 안구에 대응하는 두 개의 통공(59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측에는 상기 판재를 사람의 얼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끈의 삽입을 위한 한 쌍의 삽입홈(58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음각 도안(530, 530')에는 여러개의 반도체 발광 램프(54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540)는 동일한 색의 광을 발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달리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 램프(540)는 각각 도선(542)에 의해 램프제어부(570)와 연결되어 있다. 램프 제어부(540)는 제어 스위치(572)를 포함하며, 가면형 판재를 구성하는 상판(512)과 하판(510)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스위치(572)는 용이한 조작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제어 스위치(572)의 동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 램프(540)는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순차 점등하거나 일시 점등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상판(512)상에는 투광성 필름(51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투광성 필름(512)은 반도체 발광 램프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상기 상판(512)에 형성된 음각 도안(530, 530')을 조명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긴 채널 형태로 된 음각 도안(530')의 경우에도 소수의 반도체 발광 램프(540)로 그 형상을 관찰자에게 보다 선명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띠 형상의 판재를 기초로 한 유희 기구(6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도 5의 가면형 판재(510, 512)와는 달리 이 실시예에서는 길쭉한 띠형 판재(610, 612)를 사용하고 있다. 도 5와 마찬가지로 하판(610)은 아무런 문양이 형성되지 않은 블랭킷 판재이며, 상판(612)에는 여러 문양의 음각 도안(630, 632, 6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612) 위에는 투광성 필름(620)이 부착되어 있다는 점, 상기 각 음각 도안(630, 632, 634) 내의 하판(610)상에 반도체 발광 램프(640)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 및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640)를 도선(미도시)으로 연결하여 제어 스위치(672)를 통해 점등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670)가 상판(612) 및 하판(61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는 점 또한 도 5와 동일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하판(610)의 양단에는 상기 유희 기구(600)를 머리띠로 사용하기 위한 결착 수단으로 후크(610, 614)가 장착되어 있다.
도 7은 부채꼴형 판재(701, 712)를 기초로 한 유희 기구(7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판재(710, 712)가 부채꼴 형상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유희 기구와 다를 뿐이며, 하판(710)은 아무런 문양이 형성되지 않은 블랭킷 판재이며, 상판(712)은 여러 문양의 음각 도안(730, 730')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 상기 상판(712) 위에는 투광성 필름(720)이 부착되어 있다는 점, 상기 각 음각 도안(730, 730') 내의 하판(710)상에 반도체 발광 램프(740)가 장착되어 있다는 점 및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740)를 도선(미도시)으로 연결하여 제어 스위치(772)를 통해 상기 램프(740)의 점등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770)가 상판(712) 및 하판(71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는 점은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 부채꼴형 판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접어 접착하게 되면 꼬깔 모자 형태가 되어 머리에 착용할 수 있다.
이상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유희 기구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들에서 투광성 필름(520, 620, 720)은 전술한 투광성 충진재에 의해 용이하게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음각 도안이 형성되는 판재가 상판 및 하판으로 나누어진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판재에 음각 도안이 형성되는 경우 및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투광성 필름 자체에 입체 도안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반도체 발광 램프의 저전력 및 장수명의 장점을 그대로 보유하는 동시에 높은 발광 출력을 통해 관찰자의 시각적 만족감, 심미성 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희 기구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유희 기구에는 상이한 발광색을 갖는 반도체 발광 램프를 사용 가능하여 별도의 색상 구현을 위한 수단없이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어 유희 기구의 오락성을 증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반도체 발광 램프에서 방출되는 광의 직진성을 완화함으로써, 복잡하고 다양한 형상의 도안을 조명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반도체 발광 램프를 유희 기구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의 입체적인 도안을 갖는 필름을 포함하는 유희 기구는 가열 압착에 의해 형성할 수 있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비해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1)

  1. 일면에 음각 도안이 형성된 불투명 유연성 판재;
    상기 음각 도안의 개구면상에 부착되는 투광성 필름; 및
    상기 음각 도안내에 부착되어 상기 투광성 필름을 통해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 램프와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를 구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2. 안구에 대응하는 개공부를 가지고 일면에 음각 도안이 형성된 가면형 불투명 유연성 판재;
    상기 판재의 상기 음각 도안의 개구면상에 부착된 투광성 필름; 및
    상기 판재의 상기 음각 도안내에 부착되어 상기 투광성 필름을 통해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 램프와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를 구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3. 일면에 음각 도안이 형성된 불투명 유연성 띠형 판재;
    상기 판재의 상기 음각 도안의 개구면상에 부착된 투광성 필름;
    상기 띠형 판재의 양단에 형성된 결착 수단; 및
    상기 음각 도안내에 부착되어 상기 음각 도안의 개구면를 통해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 램프와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4. 일면에 음각 도안이 형성된 불투명 유연성 부채꼴형 판재;
    상기 판재의 상기 음각 도안의 개구면상에 부착된 투광성 필름; 및
    상기 음각 도안내에 부착되어 상기 음각 도안의 개구면를 통해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 램프와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음각 도안 조명 가능한 유희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 도안은 서로 분리된 복수의 도안을 포함하며, 상기 투광성 필름은 일체로 상기 복수의 도안을 커버하는 것인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2개의 판재형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재형 수지 중 하나는 상기 음각 도안에 대응하는 도안이 통공 형태로 형성된 것이며, 다른 하나는 블랭킷 판재형 수지인 것인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7. 음각 도안이 형성된 불투명 유연성 판재;
    상기 판재의 상기 음각 도안을 충진하는 투광성 수지; 및
    상기 음각 도안내에 부착되어 상기 음각 도안의 개구면을 통해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 램프와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를 구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2개의 판재형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재형 수지 중 하나는 상기 음각 도안에 대응하는 도안이 통공 형태로 형성된 것이며, 다른 하나는 블랭킷 판재형 수지인 것인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9. 불투명 유연성 하판;
    상기 하판상에 부착되며, 통공 형태로 형성된 도안을 포함하는 투광성 상판;
    상기 상판의 도안이 형성하는 개구면상에 부착되는 투광성 필름; 및
    상기 하판의 도안내에 부착되어 상기 투광성 필름을 통해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 램프와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를 구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10. 불투명 유연성 판재;
    상기 판재상에 부착되며, 상기 판재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판재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입체 구조를 갖는 투광성 필름; 및
    상기 판재와 상기 투광성 필름이 형성하는 상기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투광성 필름을 통해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 램프와 상기 반도체 발광 램프를 구동하는제어부로 구성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재질은 종이 또는 수지인 것인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KR20-2003-0014682U 2003-05-13 2003-05-13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KR200323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682U KR200323086Y1 (ko) 2003-05-13 2003-05-13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682U KR200323086Y1 (ko) 2003-05-13 2003-05-13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086Y1 true KR200323086Y1 (ko) 2003-08-14

Family

ID=4941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682U KR200323086Y1 (ko) 2003-05-13 2003-05-13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0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484460U (zh) 一种图案隐藏式氛围灯
US20040095741A1 (en) Side-illuminated advertisement board
EP3102874B1 (en) Light assembly with light guide
US20040218402A1 (en) Liquid-ornamented article having an illuminating structure
TW201447166A (zh) 發光二極體燈具
JP2009123662A (ja) スイッチ装置
TWM474657U (zh) 車燈導光結構
CN108361653A (zh) 包括具有由有色零件的图像照亮的前表面的遮挡件的照明装置
US7258476B2 (en) Shaped optical fiber ligh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323086Y1 (ko) 조명 장치가 부착된 유희 기구
JP2004361628A (ja) 電飾看板
KR20170073979A (ko) 조명기능이 부가된 거울
JP2006044330A (ja) 発光装置
CN210485582U (zh) 一种使用双层厚壁结构实现均匀发光的后组合灯
KR100541242B1 (ko) 발광장치
KR200487729Y1 (ko) 이동체 부착용 엠블럼 장치
KR200183150Y1 (ko) 점멸문자판 조명부가 구비된 멜로디카드
CN205191251U (zh) 曲面导光灯具
JP2006049385A (ja) 発光装置
CN221076248U (zh) 具有动态点亮效果的汽车外部灯具
KR20060124390A (ko) 테이블
CN216485943U (zh) 一种投影组件及发光鞋
CN212782630U (zh) 一种发光装置及电子设备
JP7223532B2 (ja) 道路の照明、信号の発信、又は、内部照明のための発光デバイス
CN214607363U (zh) 一种木纹内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