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840Y1 - Tree-Tomb - Google Patents

Tree-Tom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840Y1
KR200322840Y1 KR20-2003-0014579U KR20030014579U KR200322840Y1 KR 200322840 Y1 KR200322840 Y1 KR 200322840Y1 KR 20030014579 U KR20030014579 U KR 20030014579U KR 200322840 Y1 KR200322840 Y1 KR 200322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planting
tree
present
dece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57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경찬
Original Assignee
민경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찬 filed Critical 민경찬
Priority to KR20-2003-0014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84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840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목을 이용한 화단 구성의 한 부분에 시신을 화장한 유골을 안치시킴으로서 환경친화적인 화장문화에 기여하는 수목 장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ssuary graves, and more particularly, to tree seedlings that contribute to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remation culture by placing the remains of cremated bodies in a part of the flower bed.

본 고안의 수목장묘는 지름과 깊이를 각각 약 50㎝이상으로 형성하고 주목을 식재하여 이루어진 주목 식재부와 ; 상기 식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25㎝이내 영역을 30㎝ 깊이로 파고 유골을 매장한 납골부와 ; 상기 납골부의 주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내부로의 출입을 제한하는 경계부와 고인의 이력이 새겨진 비석으로 이루어진다.The tree seed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diameter and a depth of about 50 cm or more, respectively, and the yew planting part formed by planting the yew; Ossuary part which dug an area within 25 cm from the edge of the planting part to a depth of 30 cm and buried the ashes; It is formed around the ossuary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limit the entry into the interior and the history of the deceased is made of a monument engraved.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납골부와 경계부 사이에 완충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완충부에 가족 또는 친척의 유골이 안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묘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urther forming a buffer portion between the ossuary portion and the boundary portion, the buffer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one or more seedlings for placing the remains of family members or relatives.

Description

수목장묘{Tree-Tomb}Tree Nursery {Tree-Tomb}

본 고안은 수목장묘(樹木葬墓)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목을 이용한 화단 구성의 한 부분에 시신을 화장한 유골을 안치시킴으로서 환경친화적인 화장문화에 기여하는 수목장묘 및 구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e nurs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ee nursery and construction method that contributes to an eco-friendly makeup culture by placing the remains of cremated bodies in a part of the flower bed. will be.

유교사상이 지배적인 우리나라의 장묘 방법은 매장방법이 70%정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행으로 현재 분묘가 전국토의 1%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여의도면적의 3배인 20만여 기가 추가되고 있다.In Korea, where the Confucian thought is dominant, the burial method is about 70%. As a result of this practice, tombs now account for 1% of the country's soil, and about 200,000 more are added each year, three times the size of Yeouido.

이와같은 매장방법은, 묘지 1기의 면적이 평균 15평인데 비해 국민 1인당 주택면적은 4.3평으로서 주거면적이 묘지면적의 1/3밖에 되지 않아 산사람의 주거면적보다 죽은 사람의 묘지면적이 훨씬 큰 모순점이 내재되어 있다.This burial method has an average area of 15 pyeong, while the average per-capita housing is 4.3 pyeong, and the residential area is only one third of the cemetery's area. There is a great contradiction inherent.

또한, 상기 매장방법은 국토잠식문제와, 장마철의 묘지분실문제, 일부부유층의 대형호화분묘로 인한 국민전체의 위화감을 조성하며, 명당자리를 얻기 위해 무분별한 산림훼손을 가져와 산사태의 원인을 제공하고 법적 매장기간인 60년이 끝난 후 유공 및 묘지 처리에 번거로운 문제를 안고 있다.In addition, the burial method creates a sense of incongruity of the whole nation due to the problem of encroachment of land, the cemetery loss of the rainy season, and the large-scale tomb of some rich people. After the burial period of 60 years, it has been troublesome to process the merit and the cemetery.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을 통한 장묘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매년 그 비율이 소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making funerals through cremation has been proposed, and the ratio is increasing slightly every year.

그러나, 상기 화장방법은 묘지면적을 대폭적으로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지상에 설치되는 납골당의 암묵적 혐오감에 의해 어린이들과 젊은이 및 여성들이 자주 찾아오기 힘들며, 옥내 납골에서 풍겨 나오는 악취, 옥외 납골당 및 탑을 설치하기 위해 중국 등에서 수입하는 석재 및 법적 안치기간이 끝난 후에 유골 등의 처리 문제등 단점이 내재되어 있다.However, the cremation method has a merit of drastically reducing the size of the cemetery, but it is difficult for children, young people and women to visit frequently due to the tacit dislike of the ossuary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odor coming from the indoor ossuary, the outdoor ossuary There are inherent shortcomings such as stone imports from China to install the tower, and disposal problems such as ashes after the legal settlement perio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고인을 상징하는 주목(主木)을 식재하고, 상기 주목의 근접된 둘레에 고인의 유골을 안치하며, 상기 주목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와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완충부를 구비하여 공원조성이 가능하게 하는 수목장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rees planting a symbol of the deceased, planting the remains of the deceased around the adjacent periphery of the deceased, and having a buffer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to protect the spot To provide the nursery.

또한, 상기 완충부를 일정하게 구획하여 후손의 유골이 순차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족 납골 기능을 더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uniformly partitioning the buffer so that the remains of the descendants can be placed in order to provide a family ossuary func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ree nurs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ree nurs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ree nurs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에 설치되는 비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eadstone installed in the tree nurs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ee nurs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에 설치되는 비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dstone installed in the tree nurs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식재부 20 : 납골부10: planting department 20: ossuary

30 : 경계부 40 : 분리부30: boundary part 40: separation part

50 : 완충부 60 : 비석50: buffer 60: zeolite

61 : 명패삽입홈 63 : 명패61: nameplate insert groove 63: nameplate

70 : 가묘부70: cat hea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목이 식재되는 주목 식재부와 ; 상기 식재부의 주위에 형성되고 유골이 매장되는 납골부와 ; 상기 납골부의 주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내부로의 출입을 제한하는 경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planting unit of attention planting attention; Ossuary part formed around the planting part and buried ashes; It is formed by a tree plant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ossuary portion to form a boundary that restricts access to the inside.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납골부와 경계부 사이에 상기 납골부와 외부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와, 완충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분리부는 납골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30㎝ 폭으로 키 작은 나무를 식재하여 구성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분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0㎝폭 이하로 잔디를 식재하여 구성하며, 상기 완충부에 가족 또는 친척의 유골이 안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묘부를 형성함에 의해 이루어진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eparation portion for separating the crypt and the outside between the crypt and the boundary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buffer, the separator is planting a short tree about 30 cm wide from the edge of the crypt And the buffer part is formed by planting grass less than about 100 cm wide from the edge of the separating part, and the buffer part is formed by forming one or more seedlings for placing the remains of family members or relatives.

더욱이,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완충부에는 고인의 이력이 새겨진 비석이 더 설치에 의해 이루어진다.Moreo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the installation of the headstone further engraved history of the deceased in the buffer portion.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xample of the tree nurs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에 설치되는 비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에 설치되는 비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ree nurser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tree nurser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one of the tree nurser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eadstone installed in the tree nurs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ee nurs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dstone installed in the tree nurs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樹木葬墓)는 식재부(10)와 납골부(20)를 갖추고 있다.As shown in the tree nursery (樹木 葬 墓)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anting part 10 and the ossuary part 20.

상기 식재부(10)는 고인을 기리는 주목(11)이 심어지는 공간으로서 소정의 공간을 주목(11)의 뿌리가 충분히 묻힐 수 있는 깊이인 50㎝이상으로 굴착하고 굴착된 구멍의 저부에는 퇴비층을 형성하고 상기 퇴비층 상부에 소정 두께로 흙을 복토하여 이루어진다.The planting part 10 is a space in which the attention 11 in honor of the deceased is planted,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excavated to a depth of 50 cm or more at which the root of the attention 11 is sufficiently buried, and the compost lay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xcavated hole. Forming and covering the soil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op of the compost layer.

상기 식재부(10)에 심어지는 주목(11)은 고인과 인연이 깊은 나무나 고인을 대변할 수 있는 수종의 나무로서 다양한 수종이 이용될 수 있으나, 수령이 길고 사계절 항상 변함없이 푸른 상록수를 이용하여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같은 수종의 식재는 납골부(20)에 묻힐 사람이 사망하기 전에 기 식재되거나 사망 후 식재될 수 있다.Attention 11 planted in the planting part 10 may be a variety of species as a tree that can represent the deceased and the deep or the deceased, but a variety of species can be used, the age is long and always uses blue evergreen trees without change It is preferable to plant the plants, and such plantings may be planted before the death of a person buried in the ossuary part 20 or after planting.

또한, 상기 식재부(10)의 면적이 너무 넓어지면 장묘(葬墓)를 조성하는 데 너무 많은 역역이 소모되므로 식재부(10)가 차지하는 영역은 반경 25㎝ 이내로 조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f the area of the planting portion 10 is too large, too much reverse area is consumed to form the nursery (葬 墓), so the area occupied by the planting portion 10 is preferably set within a radius of 25 cm.

상기 식재부(10) 주위에는 납골부(20)가 구성된다.The ossuary portion 20 is configured around the planting portion 10.

상기 납골부(20)는 고인의 시신을 화장(火葬)한 후 남은 유골이 안치되는 영역으로 상기 식재부(10)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25㎝ 정도의 폭으로 형성하며, 상기 안치하는 방법으로는 유골을 뿌리거나, 함에 담아 묻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ossuary portion 20 is a region where the remains of the deceased remains after the cremation of the deceased body is formed in a width of about 25 cm from the edge of the planting portion 10, and the method of placing the ashes Can be sprayed or encased.

상기 납골부(20)의 깊이는 외부로부터 납골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다소 깊은 것이 바람직하나 지면으로부터 약 30㎝ 정도가 적당하다.The depth of the ossuary portion 20 is preferably a little deep in order not to affect the ossuary from the outside, but about 30 cm from the ground is suitable.

상기 납골부(20)는 상기한 식재부(10)와 같이 최초에 묘지 조성시 소정의 영역을 표시하여 구성되고 이후 납골시 상기한 깊이로 굴착한 후 납골하고 그 위에 흙을 복토하여 이루어진다.The ossuary part 20 is configured by marking a predetermined area when the graveyard is initially formed, such as the planting part 10, and then excavating to the above-depth at the time of the ossuary, ossuary and covering soil thereon.

상기 납골부(20)의 가장자리에는 그 내부로 사람이나 짐승이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묘지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게 하는 경계부(30)가 구성되어 있다.At the edge of the ossuary portion 20, a boundary portion 30 is formed to prevent a person or a beast from entering and to distinguish an area of a graveyard.

상기 경계부(30)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울타리로서 묘지 내부로 짐승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너무 높으면 그 내부에 구성된 묘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음으로 약 30㎝ 정도의 울타리를 형성함 바람직하다.The boundary part 30 may be formed as a height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o prevent the beast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cemetery, but if it is too high, the cemetery formed therein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about 30 cm It is preferable to form a fence.

도 3에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의 일예를 단면으로 도시하였다.3 shows an example of a tree nurser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cross section.

도시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폭이나 깊이를 달리 하거나 한정할 수 있으나 이는 지역적 조건이나 지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이것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width or depth may be varied or limited,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or geology, and this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경계부(30)의 일측에는 비석(60)이 설치된다.On one side of the boundary portion 30 is a monument 60 is installed.

상기 비석(60)은 고인의 이력이나 업적을 기록한 통상의 비문이 새겨진 판으로서 정면을 향하여 설치된다.The tombstone 60 is a plate engraved with the usual inscription recording the history and achievements of the deceased is installed toward the front.

도 6에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하였다.6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the tree nurser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목장묘의 경계부(30)와 납골부(20) 사이에는 분리부(40)를 더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the separation portion 40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boundary portion 30 and the ossuary portion 20 of the tree nurser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분리부(40)를 형성하므로서 납골부(20)가 경계부(30)와 너무 인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납골부(20)가 보다 청결한 상태가 되게 유지할 수 있다.By forming the separation part 40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ssuary portion 20 from adjoining the boundary portion 30 too much, thereby keeping the ossuary portion 20 in a cleaner state.

상기 분리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계부(30)와 납골부(20)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기 위한 공간으로서 너무 넓으면 전체 묘지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므로 30㎝ 정도의 폭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작은 수목을 식재함으로서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The separation part 40 is a space for spaced apart from the boundary 30 and the ossuary part 20 as described above. Preferably, by planting a small tree can be aesthetically beautiful.

또한, 상기 분리부(40)와 경계부(30) 사이에는 완충부(5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buffer unit 50 may be formed between the separation unit 40 and the boundary unit 30.

상기 완충부(50)는 이후 또 다른 납골을 위한 여유 공간으로서 잔디 등의 초본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The buffer unit 50 may then be planted with herbaceous plants such as grass as a free space for another ossuary.

상기 완충부(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의 납골부(20)에 안치된 고인의 일가 또는 친척이 매장되는 공간으로서 이들을 납골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갖추고 있어야 함으로 그 폭이 100㎝ 이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후술되는 가묘부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80~100㎝로 형성하는 것이다.The buffer unit 50 is a space in which a family member or relatives of the deceased settled in the central ossuary part 20 as described above should have sufficient space for the ossuary of them. This is preferable, and most preferably, it is formed in 80-100 cm in order to provide space for the drawing part mentioned later.

또한 상기 완충부(50)에는 다수의 가묘부(70)를 형성하여 미리 납골할 영역을 설정해 놓음으로서 이후 안치될 납골을 예측할 수 있으며, 각 가묘부(70) 사이에는 작은 수목을 식재함으로서 서로 다른 가묘부(70)와의 경계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unit 50 may be formed in advance by setting a plurality of seedlings 70 to set the area to be ossuated in advance, thereby predicting the ossuary to be settled later, and by planting a small tree between each seedling 70 It may form a boundary with the seedling portion 70.

상기와 같이 완충부(50)에 다수의 가묘부(70)를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상기한 비석(6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명패(63)를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urality of seedlings 70 are formed in the buffer unit 50 as described above, the tombstone 60 is configured to install a plurality of name pads 63.

상기 비석(6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다수의 명패삽입홈(61)을 형성하여 다수의 명패(63)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묘지의 내부에 안치되는 각 고인의 이력을 따로 기록할 수 있다.The tombstone 60 can separately record the history of each deceased placed inside the graveyard by forming a plurality of nameplate inserting grooves 61 on the front surface so as to be detachably installed. have.

상기 비석(60)에 설치되는 명패(63)는 합성수지나 나무 또는 돌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보존성을 감안하여 돌을 사용하고 그 안에 고인의 이력을 새기는 것이바람직하며, 최하단에 설치되는 명패(63)는 지면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설치함으로서 바닥의 물이나 흙등이 비에 의해 튀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The nameplate 63 installed on the monument 6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or wood or stone, but in view of preserv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stone and inscribe the history of the deceased therein, and the nameplate 63 installed at the bottom By installing it far enough from the ground, water and soil on the flo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plashed and polluted by rain.

또한 상기 비석(60)은 고인의 종교 등을 고려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십자가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상기한 명패와 동일 유사한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nument 6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ross as shown in Figure 6 in consideration of the religion of the deceased, the material is preferably used the same material as the nameplate.

상기 비석(60)에 설치되는 명패(63)를 나무나 합성수지등 수분에 의해 쉽게 노후되는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비석(60)의 상단에 지붕을 설치하여 명패(63)가 비에 젖지 않게 하거나 외부에 투명 판재로 만들어진 문을 설치할 수 있다.When using the nameplate 63 installed on the headstone 60 is easily aged by moisture such as wood or synthetic resin, the roof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headstone 60 so that the nameplate 63 does not get wet in the rain or outside. Can be installed doors made of transparent plates.

상기에서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의 크기를 수치로 한정한 바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형상 또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인 것을 하나의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size of the tree nurs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numerical value,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 is also shown as an example of a circular shape in plan view. And described, but this also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수목장묘는 고인을 상징하는 주목의 주위에 납골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납골 자체만으로 수목공원의 조성이 가능하여, 종래 납골당의 정적이고 무거운 분위기를 벗어나 방문자에게 편안한 휴식공간을 제공한다.The tree nurs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the ossuary around the attention symbolizing the deceased, and it is possible to create a tree park by the ossuary itself, thus providing a comfortable resting place for the visitors outside the static and heavy atmosphere of the traditional ossuary.

또한, 본 고안의 수목장묘는 후손이 찾아와 나무를 가꾸는 방식으로 성묘가 이루어지고, 하나의 수목장묘에 다수의 고인을 안치할 수 있는 가족단위의 장묘가가능함으로, 수목 관리비용 또는 납골 공원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고, 식재로 인해 자연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ee nurs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the descendants come to the tree planting method, and the family unit that can place a number of deceased in a single tree nursery, it is possible to plant the family, the cost of managing trees or the ossuary park Reduce natural resources and prevent natural disasters from planting.

Claims (5)

주목이 식재되는 주목 식재부와 ;Attention planting part where attention is planted; 상기 식재부의 주위에 형성되고 유골이 매장되는 납골부와;An ossuary part formed around the planting part and buried with ashes; 상기 납골부의 주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내부로의 출입을 제한하는 경계부 및 ;A boundary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round the ossuary to restrict access to the interior; 고인의 이력이 새겨진 비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A tree nursery, characterized by a monument engraved with the history of the deceas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납골부와 경계부 사이에는 상기 납골부와 외부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와, 완충부가 더 형성되며,Between the ossuary portion and the boundary portion, a separation portion for separating the ossuary portion and the outside, and a buffer portion is further formed, 상기 분리부는 납골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30㎝ 폭으로 키 작은 나무를 식재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분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100㎝폭 이하로 잔디를 식재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And the separating part is formed by planting a short tree about 30 cm wide from the edge of the ossuary part, and the buffer part is planted by planting grass less than about 100 cm wide from the edge of the separating par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식재부는 지름과 깊이를 각각 약 50㎝이상 파고, 저부의 퇴비층과 상기 퇴비층을 덮고 있는 복토층으로 이루어지고,The planting part is digging more than about 50 cm in diameter and depth, and consists of a manure layer covering the bottom of the compost layer and the compost layer, 상기 납골부는 상기 식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25㎝이내에 주위를 30㎝ 깊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The ossuary part of the tree plan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iphery is formed to a depth of 30 cm within 25 cm from the edge of the planting par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완충부는 가족 또는 친척의 유골이 안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묘부들 사이에는 약 30㎝폭으로 키 작은 나무를 식재하여 경계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The buffer part is a tree nursery,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seedlings are formed for the ashes of the family or relatives, and between the seedlings are formed by planting a small tree about 30 cm wi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석은 하나 이상의 다수의 명패를 삽입할 수 있도록 주석의 전면에 다층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미닫이식으로 명패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장묘.The headstone is a plant nursery,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multi-layered groove in the front of the tin so that one or more of the nameplate can be inserted, and to install the nameplate slidingly in this groove.
KR20-2003-0014579U 2003-05-12 2003-05-12 Tree-Tomb KR20032284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579U KR200322840Y1 (en) 2003-05-12 2003-05-12 Tree-Tom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579U KR200322840Y1 (en) 2003-05-12 2003-05-12 Tree-Tomb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337A Division KR100555908B1 (en) 2003-04-29 2003-04-29 Tree-Tom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840Y1 true KR200322840Y1 (en) 2003-08-14

Family

ID=4941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579U KR200322840Y1 (en) 2003-05-12 2003-05-12 Tree-Tom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84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908B1 (en) Tree-Tomb
KR200322840Y1 (en) Tree-Tomb
CN210264135U (en) Terrace ring mountain underground cemetery
KR100990779B1 (en) Nature friendly Ashes grave
CN107327205A (en) A kind of novel solid is buried
KR102040909B1 (en) Gastrodia elata Blume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Gastrodia elata Blume Cultivated building structure
US3722155A (en) Cemetery covered by an artificial turf material
JP7397515B2 (en) Urn burial type cemetery structure
CN101230760A (en) Golgotha of green zoology general cemetery as well as funeral and interment method
KR200404501Y1 (en) A charnel house
KR200392056Y1 (en) Charnel tomb
KR100746490B1 (en) Burial family grave
KR20120138867A (en) The cinerary urn skeletal remains house which there is of a environmental leveling ground nature chapter
KR200224082Y1 (en) Traditional Cemetery and Ossuary
KR200455892Y1 (en) Multistory cinerary facilities installed vertically into underground for all the family line
KR200224083Y1 (en) Cremation and burial family cemetery_
KR20080088689A (en) Stone cemetery establishment
CN201087584Y (en) Farming and fishing integrated ecological cemetery
JP3166281U (en) Grave flower garden and water bowl / flower garden set
JP3027946U (en) Multiple assembled graveyard structure
KR100302628B1 (en) Stone ash box for family unit and ash moving and re-burial system
KR200356530Y1 (en) A Assembling Multy Charnel House for Family
KR200179369Y1 (en) Building structure for charnel house
KR200210575Y1 (en) Charnel tomb
KR200214924Y1 (en) Charnel t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