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573Y1 - A light weight type pallet - Google Patents

A light weight type pal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573Y1
KR200322573Y1 KR20-2003-0008392U KR20030008392U KR200322573Y1 KR 200322573 Y1 KR200322573 Y1 KR 200322573Y1 KR 20030008392 U KR20030008392 U KR 20030008392U KR 200322573 Y1 KR200322573 Y1 KR 200322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allet
support
lightweight
de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3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춘현
Original Assignee
조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춘현 filed Critical 조춘현
Priority to KR20-2003-0008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57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573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6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 B65D2519/00268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Drain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의 적재 및 운반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물의 운반 및 적재에 필요한 강도를 보유함과 동시에 그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경량구조형 팔레트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cargo,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lightweight structural pallet that can minimize the weight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necessary for transporting and loading cargo.

이에 본 고안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면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과 일치되는 다수개의 상부받침대를 포함하는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하방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격판을 설치하며, 상기 상부받침대의 양측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보강부를 형성하되 그 양측 단부를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에 따라 재품의 생산과정에서 자재비의 절감에 따른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llet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upper pedestals integrally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frames and having a top surface coincided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 space portion opened downwards therein, and a plurality of diaphragms are installed inside the space portion, and a reinforcement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is formed on both lower portions of the upper support but both ends thereof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hereby having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material cost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goods.

Description

경량구조형 팔레트{A light weight type pallet}A light weight type pallet

본 고안은 화물의 운반 및 적재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운반 및 적재할 수 있는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ns for transporting and loading cargo,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llet that can transport and load cargo quickly and easily.

일반적으로 팔레트(pallet)란 각종 화물을 취급하는 창고나 공장등에서 사용되며, 화물 운반시 지게차와 같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대량의 화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운반함과 동시에 안전하게 적재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받침대를 말하는 것이다.In general, pallets are used in warehouses and factories that handle various kinds of cargoes.The pallets are designed to safely and quickly load and store large quantities of cargo using transport means such as forklift trucks. I speak.

종래에도 팔레트 설계시 많게는 수 톤(ton)에 달하는 화물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로 설계함과 동시에, 그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중량을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 및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past, when designing pallets, research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design a certain strength so as to support the weight of a cargo of many tons and to reduce the weight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to be.

이에 따라, 종래에도 철재, 목재, 종이, 합성수지재등 다양한 소재로 제조되된 팔레트가 출시되고 있으나, 철재 팔레트의 경우에는 내구성은 우수하나 경량화에 많은 제약이 있으며, 목재나 종이 팔레트의 경우에는 중량이 가벼운 대신 내구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conventionally, pallet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teel, wood, paper, and synthetic resin have been released. However, in the case of steel pallets, durability is high, but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weight reduction. Instead of this light, there was a problem of weak durability.

또한, 상기와 같은 소재의 채택에 관계없이 팔레트의 설계과정에서 제품의 경량화를 추구하면 강도가 저하되고, 고강도화를 추구하면 중량의 증가와 더불어 원자재의 비용이 상승함으로써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adoption of the above materials, if the product is lighter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pallet, the strength is lowered. If the strength is increased, the weight is increased and the cost of the raw materials is increased, thereby lowering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There was this.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화물의 운반 및 적재에 필요한 강도를 보유함과 동시에 그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경량구조형 팔레트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o provide a lightweight structural pallet that can minimize the weight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required for transporting and loading cargo. hav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받침대의 굽힘강도를 향상시켜 화물의 운반 및 적재과정에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경량구조형 팔레트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weight structural pallet that can prevent deformation from occurring during transportation and loading of goods by improving the bending strength of the upper suppor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받침대를 구비하여 지지프레임 사이의 결속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적재화물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필요시에는 뒤집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경량구조형 팔레트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weight pallet having a lower support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at the same time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load of the load cargo, and also can be used upside down when necessary.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의 증가없이 지지프레임과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경량구조형 팔레트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weight structural pallet which can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ground and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upport frame without increasing the weigh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부받침대가 함께 구비된 경우, 이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 과정에서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경량구조형 팔레트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weight structural pallet that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mol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injection molding wh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is provided together.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프레임상에 함몰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함몰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경량구조형 팔레트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weight pallet that prevents water from accumulating in the depression when the depression is formed on the support fr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면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과 일치되는 다수개의 상부받침대를 포함하는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하방으로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격판을 설치하며, 상기 상부받침대의 양측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보강부를 형성하되 그 양측 단부를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tegrally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frames, the upper surface of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pedestal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In the support frame, a space portion opened downward is formed in the support frame, and a plurality of diaphragms are installed inside the space portion, and a reinforcement portion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in both lower portions of the upper support, but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are supporte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on the side of the frame.

도 1a,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것으로,Figure 1a, b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사시도.1A is a perspective view.

도 1b는 배면 사시도.1B is a rear perspective view.

도 1c는 A-A선 단면도.1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b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Figure 3a, b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사시도.3A is a perspective view.

도 3b는 B부 단면도.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B.

도 4a,b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보인 것으로,Figure 4a, b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배면사시도.4A is a rear perspective view.

도 4b는 A-A선 단면도.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도 5a,b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보인 것으로,Figure 5a, b show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사시도.5A is a perspective view.

도 5b는 B-B선 단면도.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도 6a,b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를 보인 것으로,Figure 6a, b shows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사시도.6A is a perspective view.

도 6b는 B-B선 단면도.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지지프레임10: support frame

11 : 공간부 12 : 격판11: space part 12: diaphragm

20 : 상부받침대20: upper stand

21 : 보강부 22 : 보강리브21: reinforcing part 22: reinforcing rib

23 : 장홈23: long groove

30 : 하부받침대30: lower stand

31 : 보강부31: reinforcement

40,40A : 함몰부40,40A: depression

41,41A : 마찰면 42,42A : 배수공41,41A: Friction surface 42,42A: Drain hol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도 1a,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배면 사시도이며, 도 1c는 A-A선 단면도이다.Figure 1a, b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1b is a rear perspective view, Figure 1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는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면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면과 일치되는 다수개의 상부받침대(20)로 구성됨으로써, 상면에 각종 화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화물적재 후 지게차의 포크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사이로 삽입하여 손쉽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the palle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0 arranged side by side at regular intervals, and integrally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frame 10 and a plurality of upper surfaces are coinciden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Since the upper support 20 is configured, various cargoes can be loa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ork of the forklift truck can be easily transported by inserting the fork of the forklift between the support frames 10 after loading.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부에 하방으로 개방된 공간부(11)를 형성하여 그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11)의 내측에 다수개의 격판(12)을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압축강도가 공간부(11)에 의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weight of the space 11 may be minimized by forming the space 11 opened downward in the support frame 10, and the plurality of diaphragms 12 may be spaced in the space 11. By installing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upport frame 10 from being lowered by the space 11.

또한, 상기 상부받침대(20)의 양측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보강부(21)를 형성하되 그 양측 단부를 지지프레임(1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하면, 화물의 적재 및 운반에 요구되는 굽힘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상부받침대(20)를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중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the reinforcing portion 21 protruding downwardly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upper support 20, but both ends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10, bending required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cargo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upper support 20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weight.

또한, 팔레트의 상면에 널링(knurling)과 같은 요철부를 형성하여 적재된 화물이 운반과정에서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n uneven portion such as knur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llet to prevent the loaded cargo from leaving the position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는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상부받침대(20)의 하면에 보강부(21)의 사이로 다수개의 보강리브(22)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ll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the reinforcing portion 2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

이에 따라, 상기 보강리브(22)에 의해 상부받침대(20)가 보강되어 굽힘강도가 더욱 향상됨으로써, 화물의 운반 및 적재과정에서 상기 상부받침대(20)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pper support 20 is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rib 22 to further improve the bending strength,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upper support 20 during the transportation and loading of the cargo. .

도 3a,b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B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는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상부받침대(2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장홈(23)이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상기 장홈(23)의 하측이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3a and 3b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3b is a sectional view of portion B. FIG. As shown, the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ll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long grooves 2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20, the lower groove The lower side of 23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to protrude downward.

상기와 같은 상부받침대(20)의 단면구조는 수직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로써, 상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상부받침대(20)의 굽힘강도를 더욱 향상시켜, 화물의 운반 및 적재과정에서 상기 상부받침대(20)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upper support 20 as described above is a conventional structure for effectively dispersing the stress generated by the vertical load to prevent breakage due to stress concentration, the upper support 2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By further improving the bending strength of th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upper support 20 during the transport and loading of the cargo.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홈(23)을 상부받침대(20)는 물론 지지프레임(10)의 상면까지 연장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long groove 23 may exte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as well as the upper support 20 as shown.

도 4a,b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4a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4b는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는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지지프레임(10)의 사이로 다수개의 하부받침대(30)를 일체로 구비하되, 이는 상부받침대(20)와 대칭되며 그 하면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면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A and 4B show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A is a rear perspective view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As shown, the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ower supporters 30 integrally between the support frames 10, which is the upper supporter 20 and the upper supporter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is coincid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10)의 상·하측이 각각 상부받침대(20)와하부받침대(30)에 의해 인접 지지프레임과 연결됨으로써, 지지프레임 사이의 결속력이 강화됨과 동시에 적재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뒤집어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frame 10 are connected to the adjacent support frame by the upper support 20 and the lower support 30, respectively, thereby enhancing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rames and at the same time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load. If necessary, it can be used upside down.

또한, 상기 하부받침대(30)의 위치를 상부받침대(20)의 사이 즉, 그 양측면을 상기 상부받침대(20) 사이의 간극 내측에 위치시키면, 팔레트를 금형을 이용한 사출성형방식으로 제조하는 경우, 상기 상·하부받침대(20)(30)가 동일선상에 구비된 경우에 비하여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lower support 30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support 20, that is, both sides of the inner space between the upper support 20, when the pallet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a mol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upper and lower supporters 20 and 30 are provided on the same line, the structure of the mold can be simplified.

도 5a,b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B-B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는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지지프레임(10)의 상면에 다수개의 함몰부(40)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단면이 상기 함몰부(40)에 의해 유(U)자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에 지면과 접하는 마찰면(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a and 5b show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5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As shown, the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ll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orms a plurality of depressions 4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thereby providing A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U-shape by the depression 40 and at the same time a friction surface 41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의 하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 제1실시예에 비해, 중량의 증가없이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 시킬 수 있으며, 화물의 중량에 대한 압축강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is all open, the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weight,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weight of the cargo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함몰부(40)의 저면에 적어도 한개 이상의 배수공(42)이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40)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drain hole 4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40,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accumulating in the depression 40.

도 6a,b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B-B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는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지지프레임(10)의 상면에 다수개의 함몰부(40A)를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단면이 상기 함몰부(40A)에 의해 엠(M)자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에 지면과 접하는 마찰면(4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a and 6b show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6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As shown, the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ll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forms a plurality of depressions 40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and A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M (M) by the depression 40A and at the same time a friction surface 41A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이는, 상술한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중량의 증가없이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화물의 중량에 대한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함몰부(40A)의 형성에 따른 지지프레임(10)의 단면을 엠(M)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5실시예의 유(U)자형 단면에 비해 압축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is i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and increase the compressive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weight of the cargo at the same time without increasing the weight as in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depression 40A ( By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10) in the shape of M (M), the compressive strength can be further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U-shaped cross section of the fifth embodiment.

또한, 상기 제5,6실시예의 적용은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중 어느 한 실시예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는 당업자에게 매우 용이한 실시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which is very eas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물의 운반 및 적재에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그 중량을 최소화시킨 경량구조형 팔레트를 제공함으로써, 재품의 생산과정에서 자재비의 절감에 따른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weight structural pallet that minimizes the weight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necessary for transporting and loading cargo,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due to the reduction of material cost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roduct. Has

또한, 상부받침대에 보강리브 또는 장홈을 형성하여, 적재화물의 하중에 대한 굽힘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화물의 운반 및 적재과정에서 상기 상부받침대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by forming a reinforcing rib or long groove in the upper support, by improving the bending strength for the load of the loa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upper support during the transport and loading of the cargo.

또한, 하부받침대를 구비하여 지지프레임 사이의 결속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적재화물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필요시에는 뒤집어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lower support is provided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at the same time can effectively distribute the load of the load, and when necessary, also has the effect that can be used upside down.

또한, 중량의 증가없이 지지프레임과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슬립(slip)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지지프레임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프레임이 화물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ground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we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unnecessary slip and to improv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upport frame. It has an effect which can prevent deformation by load.

또한, 하부받침대를 상부받침대의 사이에 배치하여, 상·하부받침대가 모두 구비된 팔레트를 사출성형방식으로 제조하는 경우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원가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by placing the lower supporter between the upper supporter, when manufacturing a pallet equipped with both upper and lower supporters by injection molding method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mold,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Has the effect.

또한, 함몰부의 저면에 배수공을 형성하여, 상기 함몰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by forming a drain hole in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water is accumulated in the depression.

Claims (9)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면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면과 일치되는 다수개의 상부받침대(20)를 포함하는 팔레트에 있어서,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0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upper pedestal 20 is provided integrally between the support frame 10 and the top surface is coinciden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In the palette,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내부에 하방으로 개방된 공간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1)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격판(12)을 설치하며, 상기 상부받침대(20)의 양측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보강부(21)를 형성하되 그 양측 단부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구조형 팔레트.A space portion 11 is formed to be opened downward in the support frame 10, and a plurality of diaphragms 12 are installed inside the space portion 11 and both lower portions of the upper pedestal 20. Reinforcing part (21) formed to protrude downward in the light-weight structural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formed integrally on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1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받침대(20)의 하면에 상기 보강부(21)의 사이로 다수개의 보강리브(22)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구조형 팔레트.Lightweight palle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22 between the reinforcing portion 2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2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받침대(2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장홈(23)이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상기 장홈(23)의 하측이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구조형 팔레트.Lightweight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ong grooves (2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20),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2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사이로 상기 상부받침대(20)와 대칭되며 하면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면과 일치되는 다수개의 하부받침대(30)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구조형 팔레트.Light weight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rame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wer pedestals (30) integrally symmetrical with the upper support (20) and the lower surface is consisten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면으로 그 단면이 유자형으로 형성되게 함몰부(40)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40)의 하부에는 지면과 접하는 마찰면(4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구조형 팔레트.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is formed with a depression 40 so that its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U-shap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epression 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 surface 41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formed Lightweight structural pallet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면으로 그 단면이 엠자형으로 형성되게 함몰부(40A)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40A)의 하부에는 지면과 접하는 마찰면(41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구조형 팔레트.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40A) so that its cross section is formed in an M-shape,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ssed portion (40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 surface 41A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formed Lightweight structural pallet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하부받침대(30)를 그 양측면이 상기 상부받침대(20) 사이의 간극 내측에 위치되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구조형 팔레트.Lightweight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pport 30 is provided so that both sides are located inside the gap between the upper support (20).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함몰부(40)의 저면에 적어도 한개 이상의 배수공(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구조형 팔레트.Lightweight structured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rain hole 42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40).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함몰부(40A)의 저면에 적어도 한개 이상의 배수공(42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구조형 팔레트.Lightweight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rain hole (42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ion (40A).
KR20-2003-0008392U 2003-03-20 2003-03-20 A light weight type pallet KR2003225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392U KR200322573Y1 (en) 2003-03-20 2003-03-20 A light weight type pal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392U KR200322573Y1 (en) 2003-03-20 2003-03-20 A light weight type pal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573Y1 true KR200322573Y1 (en) 2003-08-09

Family

ID=4941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392U KR200322573Y1 (en) 2003-03-20 2003-03-20 A light weight type pal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57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2006B2 (en) Pallet
US6041719A (en) Material handling pallet
US20040134390A1 (en) Nestable pallet
US5520121A (en) Plastic pallet
KR101249281B1 (en) Pallet for stacking articles
KR100983828B1 (en) A iron material palette
KR101115606B1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strength in pallet
KR200322573Y1 (en) A light weight type pallet
KR101214792B1 (en) Pallet for stacking articles
KR200400826Y1 (en) Pallet
KR101821149B1 (en) Pallet
KR200417384Y1 (en) The frame of a steel pallet
RU108021U1 (en) PALLET
KR960006695Y1 (en) Pallet
KR200311570Y1 (en) plastic or recycling plastic pallet of corrugated shape
KR100304597B1 (en) Steel pallet
KR20230001375U (en) Hybrid pallet
KR102238873B1 (en) Pallet assembly for holding cargo
KR20190026482A (en) Light palette for teukjjangcha
EP1266835A1 (en) Modular pallet
KR101598550B1 (en) Steel guard wood pallet
KR200306061Y1 (en) Pallet for conveying article
KR200191394Y1 (en) A member used in a palette
KR200263820Y1 (en) Steel pallet
KR200300349Y1 (en) P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