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614Y1 -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614Y1
KR200321614Y1 KR20-2003-0011519U KR20030011519U KR200321614Y1 KR 200321614 Y1 KR200321614 Y1 KR 200321614Y1 KR 20030011519 U KR20030011519 U KR 20030011519U KR 200321614 Y1 KR200321614 Y1 KR 200321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ischarge
discharge lamp
bulb
magnet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영
Original Assignee
K.D.G.E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D.G.Eng filed Critical K.D.G.Eng
Priority to KR20-2003-0011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6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스방전램프를 상측을 피벗시켜 하이빔 또는 로우빔을 선택적으로 주사시킴으로써, 전조등의 내부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에 의하면, 소켓(30)내에서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홀더(12)를 상측으로 피벗시켜 로우빔 또는 하이빔을 주시하기 위한 피벗구동수단(4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피벗구동수단(40)은 마그네트 조립체(80)와 솔레노이드(61) 및 리턴스프링(7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 조립체(80)와 솔레노이드(61)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스방전램프(10)의 위치를 상측으로 피벗시켜 로우빔 또는 하이빔을 선택적으로 주사시킴으로써 전조등의 구조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스방전램프(10)의 보빈홀더(12)가 소켓(30)내에서 약간의 상하 피벗만을 하기 때문에 이것이 반복적으로 장기간 작동하여도 고장 발생이 거의 없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하이빔 작동 시 벌브(11)가 들리면서 보다 넓은 빔이 반사되며, 이로 인해 배광도가 향상 결국 하이빔 상태를 보다 더 명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HEADLIGHT WITH GAS DISCHARGING LAMP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광원 즉 가스방전램프를 사용하여 하이빔(High Beam) 및 로우빔(Low Beam)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는 야간에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조등이 장착되는데, 이 전조등은 대향하는 차량과 교차할 때 상대방 운전자에서 눈부심을 주지 않으면서 법령으로 정한 어느 정도의 광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전조등은 운전자의 칼럼 스위치 조작에 의해 멀리까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하이빔과, 교차하는 상대방 운전자에게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로우빔을 선택적으로 주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차량용 전조등은 할로겐램프 또는 가스방전램프와, 이 램프의 후방에 배치되며 알루미늄이 코팅된 반사경과, 전방으로 통과하는 빛을 일정한 배율로 배광시키기 위한 렌즈를 갖추고 있다. 전조등에 사용되는 할로겐램프에는 하이빔을 발생시키기 위한 메인빔용의 필라멘트와, 로우빔을 발생시키기 위한 로우빔용의 하향용 필라멘트가 내장되어 있어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이빔과 로우빔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할로겐램프에는 하이빔과 로우빔을 발생시키기 위해 2개의 필라멘트가 내장되기 때문에, 이의 내부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이며 제조비용 역시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전조등용 가변식 가스방전등을 실용신안등록 출원 및 기술평가청구(실용신안등록 제0223398호)를 신청하여 2001년 9월 19일자로 등록을 유지한다는 기술평가확정등록을 받은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용신안등록 제0223398호에 개시된 전조등용 가변식 가스방전등(1)은 벌브(2) 하측 주변을 원호 형태로 에워싸는 반사경(3)과, 이 반사경(3)을 일정각도 하향 및 복귀시키는 가변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 가변수단은 가스방전등(1)의 벌브(2)가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4)의 하측에 장착된 솔레노이드(5)와, 이 솔레노이드(5)에 의해 회동되며 반사경(3)의 후측 중앙부에서 아래로 처진 고리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레버(6)와, 양단부는 솔레노이드(5)에 장착되며 중앙부는 반사경(3)의 고리 상부에 끼워진 지지핀(7)과, 이 지지핀(7)에 장착되어 반사경(3)의 하측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스프링(8)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5)에 전원을 공급하면 반사경(3)의 고리가 당겨지고 이것에 의해 반사경(3)의 전방부분이 아래로 내려가 하이빔이 주사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5)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면, 스프링(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반사경(3)의 전방부분이 다시 상측으로 올라가 로우빔이 주사된다. 이에 따라 반사경(3)의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가스방전등(1)을 통해 하이빔과 로우빔을 선택적으로 주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가변식 가스방전등에서는 반사경(3)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가변수단 구조가 복잡하며, 반사경(3)의 반복적인 작동으로 인한 고장 발생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반사경은 고정 배치하고 하이빔 또는 로우빔을 선택적으로 주사하도록 자력을 이용하여 가스방전램프 자체를 상측으로 위치 가변시킴으로써, 전조등의 내부구조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스방전램프의 벌브를 직접 동작시켜 이의 초점 조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이빔 상태를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조등용 가변식 가스방전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방전램프 및 보빈작동수단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 - Ⅳ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 - Ⅴ선에 따른 단면도로, 가스방전램프의 내부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방전램프의 로우빔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방전램프의 하이빔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가스방전램프 11..벌브
12..벌브홀더 14..힌지핀
20..구면 반사경 30..소켓
40..피벗구동수단 50..하우징
60..보빈 61..솔레노이드
70.리턴스프링 80..마그네트 조립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벌브홀더에 벌브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가스방전램프와, 이 가스방전램프의 벌브 후방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빛을 전방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구면 반사경과, 이 구면 반사경의 중심부위에 고정되며 가스방전램프의 벌브홀더가 내장되는 소켓과, 이 소켓내에서 가스방전램프의 벌브를 피벗시켜 로우빔 또는 하이빔을 선택적으로 주사하기 위한 피벗구동수단을 갖춘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벌브홀더는 소켓 내부에서 벌브홀더의 중앙부위를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과, 벌브홀더의 후방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내측으로 구배홈이 형성된 연결부를 구비하며,
피벗구동수단은 소켓의 후방에 끼워져 결합되는 통 형상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장되며 선단부에는 연결부의 구배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후 이동하는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후단부에는 솔레노이드가 권선 배치된 보빈과, 이 보빈을 전방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하우징에 내장된 리턴스프링과, 보빈의 후단과 인접하는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보빈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호 작용하여 보빈을 후진시키는 마그네트 조립체를 포함하여,
보빈의 후진 동작에 따라 벌브홀더 및 벌브가 상측으로 소정각도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은 가스방전램프(10)와, 이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11) 후방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구면 반사경(20)과, 이 구면 반사경(20)에 고정되며 내부에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홀더(12)가 상측으로 소정각도 피벗(pivot) 가능하게 내장되는 소켓(30)과, 이 소켓(30)내에서벌브홀더(12)를 피벗시켜 로우빔 또는 하우빔을 선택적으로 주사하기 위한 피벗구동수단(40)을 갖추고 있다.
가스방전램프(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전원공급선(13)이 접속되며 소켓(30) 내부에 여유 있게 내장되는 벌브홀더(12)와, 이 벌브홀더(12)의 선단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벌브(11)를 구비한다. 이러한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11)는 구면 반사경(20)의 중앙부위에 빔의 주사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구면 반사경(20)은 오목한 반사면(21)을 갖도록 대체로 반구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중심부에는 가스방전램프(10)의 설치를 위한 설치구멍(22)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11)는 설치구멍(22)을 통해 구면 반사경(20)의 중앙부위에 위치되게 된다.
또한, 소켓(30)은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홀더(11)가 상측으로 소정각도 피벗 가능하게 내장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소켓(30)의 선단은 구면 반사경(20)의 중앙부위, 즉 설치구멍(22)을 관통하여 구면 반사경(20) 내측에 위치되며, 고정브래킷(미도시)을 매개로 견실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11)는 구면 반사경(20)의 내측에 수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소켓(30)의 후단에는 후술하는 하우징(50)이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피벗구동수단(40)은 마그네트 조립체(80)와 솔레노이드(61)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로우빔 또는 하이빔을 선택적으로 주사하기 위한 것으로, 이의 상세한 구조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벌브홀더(12)는 소켓(30) 내부에서 힌지핀(14)을 통해 상측으로 소정각도 피벗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벌브홀더(12)의 양측면 중앙부에는 한 쌍의 핀홀(15)이 대응하게 마련되며, 이 핀홀(15)과 대응하도록 소켓(30)의 양측부에도 대응하게 한 쌍의 결합구(31)가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결합구(31)에 힌지핀(14)을 끼워 결합하면, 힌지핀(14)의 선단은 핀홀(15)에 삽입되며 이것에 의해 벌브홀더(12)는 소켓(30) 내부에 힌지핀(14)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이러한 벌브홀더(12)의 후단 하부에는 내측으로 구배홈(17)이 형성된 연결부(16)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 연결부(16)는 후술하는 보빈(60)측과 직접 연결되는 부위로, 여기에는 구배홈(17)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배홈(17)은 벌브홀더(12)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소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는데, 여기에는 후술하는 보빈(60)의 걸림돌기(62)가 수용되어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피벗구동수단(40)은 소켓(3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통형상의 하우징(50)과, 이 하우징의(50) 내부에서 상기 벌브홀더(12)와 연결된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장되며 외주에 솔레노이드(61)가 권선 배치된 통상의 보빈(60)과, 이 보빈(60)을 하우징(50) 내부에서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70)과, 이 보빈(60)의 후단과 인접하는 하우징(50)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보빈(60)의 솔레노이드(6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호 작용하여 보빈(60)을 후진시키는 마그네트 조립체(80)를 포함한다.
하우징(50)은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선단은 소켓(30)의 후단개방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이의 후단은 직경이 확관된 확관부(51)로 이루어져 있다. 이 확관부(51)는 마그네트 조립체(80)를 끼워 설치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확곽부(51)에는 탄성 걸림턱(5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보빈(60)은 하우징(50) 내부에 여유 있게 수용 배치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보빈(60)의 선단에는 벌브홀더(12)의 연결부(16) 구배홈(17)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후 이동하는 걸림돌기(62)가 마련되며, 보빈(60)의 후단부 외주에는 솔레노이드(61)가 권선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61)는 전원 인가 시 자력을 형성하여 마그네트 조립체(80)와 상호 작용하도록 보빈(60)의 후단부 외주에 코일이 권선된 것이다. 따라서 솔레노이드(61)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네트 조립체(80)의 자력선과 인력(引力)이 작용하는 자력선을 형성하게 되며, 이로 인해 보빈(60)은 리턴스프링(70)의 탄성 지지력을 이기면서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도 4와 도 5의 화살표 A 방향)되면서 걸림돌기(62)가 벌브홀더(12)의 후방을 내리 누르게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61)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마그네트 조립체(80)와의 상호작용은 해제됨과 동시에 리턴스프링(70)에 의해 보빈(60)이 되돌아가게 된다. 이 솔레노이드(61)의 전원공급 제어는 운전석에 마련된 칼럼스위치(미도시)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리턴스프링(70)은 보빈(60)을 여유 있게 감싸도록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의 선단은 보빈(60)의 중간부위에 지지되고 이의 후단은 하우징(50)의 내벽에 걸려 고정된다. 이를 위해, 보빈(60)의 중간부와 하우징(50) 내벽에는 각각 걸림턱(63)(5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턴스프링(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우징(50) 내부에서 보빈(60)은 전방측으로 탄성 지지되게 된다. 이 때, 리턴스프링(70)은 자화되지 않으면서 탄성력을 장기간 발휘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그네트 조립체(80)는 패킹(81)을 매개로 하우징(50)의 후방부에 압입되는 금속커버(82)와, 이 금속커버(82)에 자력을 통해 부착되는 마그네트(83)와, 마그네트(83)의 후방면에 부착되며 자력선을 솔레노이드(61)측으로 유도하는 금속브래킷(84)을 갖추고 있다.
금속커버(8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무재질의 패킹(81)을 개재하여 하우징(50)의 후방에 형성된 확관부(51)에 탄성 결합방식으로 설치된다. 이 패킹(81)은 금속커버(82)의 억지끼움 시 소켓(5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마그네트(83) 역시 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선단면은 하우징(50)의 확관부(51)에 압입된 금속커버(82)에 자력(磁力)을 통해 부착된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83)의 전방부는 하우징(50)의 확관부(51)내에 수용되며, 이의 후방부는 하우징(50)의 확관부(51)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금속브래킷(84)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83)의 자력선을 솔레노이드(61)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하우징(50)에서 노출된 마그네트(83)의 후방면에 자력(磁力)으로 부착되는 원반형태의 베이스부(84a)와, 마그네트(83)의 내벽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솔레노이드(61)측을 향하도록 베이스부(84a)의 중앙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자력선 유도부(84b)로 정의된다. 이에따라 마그네트(83)에서 형성된 자력선은 솔레노이드(61)측, 도 4와 도 5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유도된다. 또한, 자력선 유도부(84b)에는 솔레노이드(61) 및 가스방전램프(10)측과 접속된 전원공급선(13)이 인출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중공부(84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그네트(83)의 후방부에는 마그네트(83)와 함께 금속브래킷(84)을 감싸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더스트 커버(9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더스트 커버(90)는 마그네트(83)의 후방 외벽을 감싸는 링 형태의 커버프레임(91)과, 이 커버프레임(91)의 후방부에서 탄성력을 갖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금속브래킷(84)을 감싸는 탄성 커버부(92)로 이루어져 있다. 커버프레임(91)의 내면은 수분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나사선과 같은 요철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탄성 커버부(92)의 중앙에는 중공부(84c)와 대응하게 인출구(93)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전원공급선(13)이 인출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작동 및 이에 따른 효과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6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 피벗구동수단(40)의 보빈(60)은 리턴스프링(7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전진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로 인해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11) 초점위치(F)는 구면 반사경(20)내에서 전방측에 위치되어 반사면(21)의 초점과 어긋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스방전램프(10)에 전원이 인가되면, 벌브(11)에서 주사된 빛은 대부분 구면 반사경(20)의 반사면(21) 가장자리를 통해 반사되며 이것에 의해차량의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진 로우빔으로 주사된다.
반면에, 운전자의 칼럼스위치 조작으로 솔레노이드(61)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61) 주변에 자력선이 형성되며 이것이 마그네트(83) 주변에 형성된 자력선과 상호 작용한다. 이때, 상호간의 자력선은 극성이 반대로 인력이 미친다.
이에 따라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61)가 마련된 보빈(60)은 리턴스프링(70)의 탄성 지지력을 이기면서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화살표 A 방향), 이것에 의해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홀더(12) 및 벌브(11)가 구면 반사경(20)내에서 상측으로 소정각도(??) 들려진다. 즉, 보빈(60)의 걸림돌기(62)가 구배홈(17)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벌브홀더(12)는 힌지핀(14)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소정각도(??) 피벗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11) 초점위치(F)는 구면 반사경(20)내에서 로우빔을 주사할 때의 조건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결국 구면 반사경(20)의 반사면(21) 초점과 일치된다.
이 상태에서 가스방전램프(10)에 전원이 인가되면, 벌브(11)에서 주사된 빛은 대부분 구면 반사경(20)의 반사면(21) 중앙부위를 통해 반사되어 차량의 전방측으로 평행한 하이빔으로 주사된다.
그리고 칼럼스위치를 조작하여 솔레노이드(61)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면, 리턴스프링(70)의 탄성 복원력에 하우징(50)내에서 보빈(60)이 초기위치로 되돌아가며,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11) 역시 로우빔 주사위치로 복원된다.
결국, 구면 반사경(20)은 고정 배치하고 마그네트 조립체(80)와솔레노이드(61)와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가스방전램프(10)를 상측으로 소정각도(??) 피벗시켜 로우빔 또는 하이빔 주사위치가 선택적으로 설정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에 의하면, 소켓내에서 가스방전램프의 벌브홀더를 상측으로 피벗시켜 로우빔 또는 하이빔을 주시하기 위한 피벗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피벗구동수단은 마그네트 조립체와 솔레노이드 및 리턴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 조립체와 솔레노이드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스방전램프의 위치를 상측으로 피벗시켜 로우빔 또는 하이빔을 선택적으로 주사시킴으로써 전조등의 구조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스방전램프의 보빈홀더가 소켓내에서 약간의 상하 피벗만을 하기 때문에 이것이 반복적으로 장기간 작동하여도 고장 발생이 거의 없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하이빔 작동 시 벌브가 들리면서 보다 넓은 빔이 반사되며, 이로 인해 배광도가 향상 결국 하이빔 상태를 보다 더 명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벌브홀더(12)에 벌브(11)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가스방전램프(10)와, 상기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11) 후방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빛을 전방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구면 반사경(20)과, 상기 구면 반사경(20)의 중심부위에 고정되며 상기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홀더(12)가 내장되는 소켓(30)과, 상기 소켓(30)내에서 상기 가스방전램프(10)의 벌브(10)를 피벗시켜 로우빔 또는 하이빔을 선택적으로 주사하기 위한 피벗구동수단(40)을 갖춘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벌브홀더(12)는 상기 소켓(30) 내부에서 상기 벌브홀더(12)의 중앙부위를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14)과, 상기 벌브홀더(12)의 후방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내측으로 구배홈(17)이 형성된 연결부(16)를 구비하며,
    상기 피벗구동수단(40)은 상기 소켓(30)의 후방에 끼워져 결합되는 통 형상의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장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연결부(16)의 구배홈(17)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후 이동하는 걸림돌기(62)가 마련되고 후단부에는 솔레노이드(61)가 권선 배치된 보빈(60)과, 상기 보빈(60)을 전방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50)에 내장된 리턴스프링(70)과, 상기 보빈(60)의 후단과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50)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빈(6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호 작용하여 상기 보빈(60)을 후진시키는 마그네트 조립체(80)를 포함하여,
    상기 보빈(60)의 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벌브홀더(12) 및 벌브(11)가 상측으로 소정각도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홀더(12)의 양측 중심부에는 핀홀(15)이 대칭되게 마련되고,
    상기 소켓(30)의 양측부에는 상기 핀홀(15)과 대응하게 결합구(31)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핀(14)의 선단을 상기 결합구(31)를 통해 상기 핀홀(15)에 삽입하여 상기 벌브홀더(12)를 피벗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조립체(80)는,
    상기 하우징(50)의 후방부에 패킹(81)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링 형태의 금속커버(82)와, 상기 금속커버(82)에 자력을 통해 부착되는 링 형태의 마그네트(83)와, 상기 마그네트(83)의 후방면에 부착되며 자력선을 상기 솔레노이드(61)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금속브래킷(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브래킷(84)은 상기 마그네트(83)의 후방면에 부착되는 원반형태의베이스부(84a)와, 상기 마그네트(83)의 내벽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84a)의 중앙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자력선 유도부(8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력선 유도부(84b)에는 전원공급선(13)이 인출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중공부(84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83)의 후방부는 상기 하우징(50)의 후방부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트(83)의 후방부에는 상기 마그네트(83)와 함께 금속브래킷(84)을 감싸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더스트 커버(9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KR20-2003-0011519U 2003-04-15 2003-04-15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KR200321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519U KR200321614Y1 (ko) 2003-04-15 2003-04-15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519U KR200321614Y1 (ko) 2003-04-15 2003-04-15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614Y1 true KR200321614Y1 (ko) 2003-07-31

Family

ID=4941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519U KR200321614Y1 (ko) 2003-04-15 2003-04-15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6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622B1 (ko) 2014-10-20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램프의 더스트 커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622B1 (ko) 2014-10-20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램프의 더스트 커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9244B2 (ja) 走行車両用のすれ違いビーム及び遠方ビームのためのヘッドライト
US6425683B1 (en) Vehicle headlamp
JP3638835B2 (ja) 車両用前照灯
US5938323A (en) Projector light assembly
JP3638846B2 (ja) 車両用前照灯
JPH09330603A (ja) 投影型ヘッドライト
US7600904B2 (en) Vehicle headlamp
US20030231510A1 (en) Vehicle headlamp
KR200321614Y1 (ko)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JP4690526B2 (ja) 自動車のための前照灯
US6866407B2 (en) Vehicle headlight
US6913367B2 (en) Vehicle headlamp
KR200291417Y1 (ko)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JP2000243107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
KR200409506Y1 (ko) 차량용 램프 장치
JP2000251520A (ja) 自動車用ランプ
JP2004146073A (ja) 自動車用灯具
KR200285011Y1 (ko) 가스방전램프를 갖춘 차량용 전조등
JP7404480B2 (ja) 車輌用灯具ユニット
US7144141B2 (en) Self-aim vehicle light device
JP3098812U (ja) ハイビームとロービームの選択照射自在な車両用前照灯
KR200493836Y1 (ko) 차량용 램프
KR200368492Y1 (ko) 스포트 조명
JP3972998B2 (ja) 車両用前照灯
KR100385542B1 (ko) 가스방전등의 선택적인 조사가 가능한 차량용 전조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