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104Y1 - 코 필터 - Google Patents

코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104Y1
KR200321104Y1 KR20-2003-0011892U KR20030011892U KR200321104Y1 KR 200321104 Y1 KR200321104 Y1 KR 200321104Y1 KR 20030011892 U KR20030011892 U KR 20030011892U KR 200321104 Y1 KR200321104 Y1 KR 200321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ntact
nose
close contact
na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용
Original Assignee
고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경용 filed Critical 고경용
Priority to KR20-2003-0011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코 필터는, 비강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비강 내에 삽입되어 비강 내벽 전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관통되는 원기둥 형태의 연질 재질로 제작되는 삽입 밀착구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해 상기 삽입 밀착구의 타단 내에 구비되는 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 밀착구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삽입 밀착구의 타단에는 상기 삽입 밀착구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며, 절곡된 상태로 노출되어 콧방울이 사이에 위치하여 감싸지는 형태로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착 절곡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비강 내벽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형태로 제작되어 여과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이 방지되고, 비강 내부에 밀착되는 형태로 착용이 가능하여 외관상의 문제가 해결되는 코 필터를 얻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 필터{Filter}
본 고안은 코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를 구성함에, 비강 내에 삽입되어 비강 내벽 전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관통되는 원기둥 형태의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가루, 황사, 세균 등을 포함하는 먼지가 코나 입을 통해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입부분과 코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는 마스크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는 안면부를 덮는 면적이 넓고 투박하여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착용된 상태에서 코 부분에 씌워진 마스크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외부공기가 여과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유입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비강 내벽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형태로 제작되어 여과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이 방지되고, 비강 내부에 밀착되는 형태로 착용이 가능하여 외관상의 문제가 해결되는 코 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코 필터의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코 필터의 일실시예이며,
도 3 은 도 2의 사용상태도 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코 필터의 다른 일실시예이며,
도 5 는 도 4의 사용상태도 이고,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코필터의 또 다른 일실시예이며,
도 7 은 도 6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삽입 밀착구 20; 밀착 절곡부
14; 연결부 52; 접착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코 필터는, 비강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비강 내에 삽입되어 비강 내벽 전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관통되는 원기둥 형태의 연질 재질로 제작되는 삽입 밀착구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기위해 상기 삽입 밀착구의 타단 내에 구비되는 필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 밀착구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삽입 밀착구의 타단에는 상기 삽입 밀착구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며, 절곡된 상태로 노출되어 콧방울이 사이에 위치하여 감싸지는 형태로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착 절곡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삽입 밀착구의 타단에는, 상기 삽입 밀착구의 타단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 1 결합면과; 상기 제 1 결합면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제 2 결합면으로 구성되는 보조 필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해 코의 바깥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절단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코와 접촉되는 접촉면의 둘레에는 상기 필터부를 코의 바깥 부분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필터부에는 비강 내에 삽입되어 비강 내벽 전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관통되는 원기둥 형태의 연질 재질로 제작되는 삽입 밀착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가리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코 필터(2)는 비강 내에 삽입되어 비강 내벽 전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관통되는 원기둥 형태의 연질 재질로 제작되는 한 쌍의 삽입 밀착구(10)가 있다.
일단을 통해 비강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 밀착구(10)의 타단 내측 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필터(12)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삽입 밀착구(10)는 연결부(14)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삽입 밀착구(10)는 연질의 재질이면 어떤 재질로도 제작이 가능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실리콘 등으로의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밀착구(10)의 타단에는 삽입 밀착구(10)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밀착 절곡부(20)가 구비된다.
이 밀착 절곡부(20)는 삽입 밀착구(10)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곡된 상태로 되어 있는데, 삽입 밀착구(10)가 비강 내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어 콧방울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코(100)에 착용되었을 경우 밀착 절곡부(20)는 콧방울(100a)에 위치하여 콧방울(100a)을 압박하며 필터(2)의 삽입된 상태를 고정하는 보조적인 고정구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밀착 절곡부(20)는 필터(2)의 고정을 위한 보조역할 이외에, 그 형태에 따라서 자기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콧방울(100a)에 위치하여 피어싱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이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형태의 필터로써 도 4와 같은 형태의 필터(2)를 볼 수 있는데, 삽입 밀착구(10)의 타단에 삽입 밀착구(10)의 타단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필터재질로 마련되는 제 1 결합면(40)이 있으며, 제 1 결합면(40)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제 2 결합면(42)으로 구성되는 보조 필터(44)가 구비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삽입 밀착구(10)에 결합된 보조필터(44)는 보조필터(44)를 구성하는 제 1 결합면(40)과 제 2 결합면(42)을 통해 부가적으로 공기를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필터(2)가 착용되었을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밀착구(10)가 비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조필터(44)는 코끝의 윗입술 부분에 위치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코 필터(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필터(2)의 형태를 보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해 코의 바깥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절단된 필터부(5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필터부(50)를 코의 둘레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코와 접촉되는 필터부(50)의 둘레에는 접착부(5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필터부(50)에는 비강 내에 삽입되어 비강 내벽 전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관통되는 원기둥 형태의 연질 재질로 제작되는 삽입 밀착구(1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필터부(50)와 결합되는 삽입 밀착구(10)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통공(10a)이 형성되어 있는데, 전후로 관통되어 있는 삽입 밀착구(10)의 전후부분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둘레에 형성된 통공(10a)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비강 내로 유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코 필터(2)를 착용하였을 경우 도 7과 같은 상태로 되어 삽입 밀착구(10)는 비강내에 삽입되고, 필터부(50)는 필터부(50)의 둘레에 구비된 접착부(52)를 사용하여 코의 바깥부분 전체를 감싸는 상태로 착용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삽입 밀착구(10)의 전후 부분과 둘레에 형성된 통공(10a)을 통해 동시에 호흡을 진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코필터는, 비강 내벽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형태로 제작되어 여과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이 방지되고, 비강 내부에 밀착되는 형태로 착용이 가능하여 외관상의 문제가 해결되는 코 필터를 얻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비강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2)는, 비강 내에 삽입되어 비강 내벽 전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관통되는 원기둥 형태의 연질 재질로 제작되는 삽입 밀착구(10)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해 상기 삽입 밀착구(10)의 타단 내에 구비되는 필터(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밀착구(10)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삽입 밀착구(10)의 타단에는 상기 삽입 밀착구(10)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며, 절곡된 상태로 노출되어 콧방울이 사이에 위치하여 감싸지는 형태로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착 절곡부(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밀착구(10)의 타단에는, 상기 삽입 밀착구(10)의 타단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제 1 결합면(40)과; 상기 제 1 결합면(40)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제 2 결합면(42)으로 구성되는 보조 필터(4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4.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해 코의 바깥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절단된 필터부(50)와; 상기 필터부(50)의 코와 접촉되는 접촉면의 둘레에는상기 필터부(50)를 코의 바깥 부분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부(5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50)에는 비강 내에 삽입되어 비강 내벽 전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양단이 개구되어 관통되는 원기둥 형태의 연질 재질로 제작되는 삽입 밀착구(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필터.
KR20-2003-0011892U 2003-04-17 2003-04-17 코 필터 KR200321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92U KR200321104Y1 (ko) 2003-04-17 2003-04-17 코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892U KR200321104Y1 (ko) 2003-04-17 2003-04-17 코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104Y1 true KR200321104Y1 (ko) 2003-07-22

Family

ID=4941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892U KR200321104Y1 (ko) 2003-04-17 2003-04-17 코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1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255B1 (ko) 2012-09-20 2014-08-27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
KR20180026260A (ko) * 2016-09-02 2018-03-12 주식회사 지엘티 코 건조 방지 장치
KR200490897Y1 (ko) 2019-07-22 2020-01-20 안영섭 미세먼지 제거용 코 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255B1 (ko) 2012-09-20 2014-08-27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
KR20180026260A (ko) * 2016-09-02 2018-03-12 주식회사 지엘티 코 건조 방지 장치
KR101955711B1 (ko) 2016-09-02 2019-03-07 주식회사 지엘티 코 건조 방지 장치
KR200490897Y1 (ko) 2019-07-22 2020-01-20 안영섭 미세먼지 제거용 코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5359A (en) Nose plug structure with filter
KR101889372B1 (ko) 헤드폰 타입 공기청정기
US6050262A (en) Overpressure ventilation device for a gas mask
US20040079373A1 (en) Respiration protecting apparatus
US20070272248A1 (en) Elastic nonwoven face mask
WO2001052675A3 (en) Air filtration system including a helmet assembly
JP2010121263A (ja) 保護用ヘッドギア装置、支持用ヘッドギア装置およびレンズ
US20140123982A1 (en) Nostril Filtration Assembly
KR200321104Y1 (ko) 코 필터
KR100876489B1 (ko) 방진마스크
JP2793664B2 (ja) 人工肛門用カップリング
KR200409856Y1 (ko) 마스크 탈 부착형 모자
JP3123780U (ja) 鼻用フィルタ
KR200434575Y1 (ko) 코 마스크
KR102165908B1 (ko) 공기기층이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마스크 제조방법
JP3153554U (ja) 鼻マスク及びケース
KR200149401Y1 (ko) 콧구멍에 삽입하는 마스크대용 공기여과기
KR20100003042U (ko) 코걸이 코마스크
KR20180030308A (ko) 건강 마스크
KR200321571Y1 (ko) 코 마스크
KR20100008250U (ko) 보안경 겸용 마스크
KR102280232B1 (ko) 입과 코를 가리는 위생 마스크
US11911637B2 (en) Mask
KR200183943Y1 (ko) 보조재 삽입홈이 있는 코마스크
KR200495241Y1 (ko) 귀 덮개용 마스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