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711B1 - 코 건조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코 건조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711B1
KR101955711B1 KR1020160113399A KR20160113399A KR101955711B1 KR 101955711 B1 KR101955711 B1 KR 101955711B1 KR 1020160113399 A KR1020160113399 A KR 1020160113399A KR 20160113399 A KR20160113399 A KR 20160113399A KR 101955711 B1 KR101955711 B1 KR 101955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ostril
nose
passage
inspi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6260A (ko
Inventor
준상 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티
Priority to KR102016011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7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에 삽입되는 형태의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여 코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 건조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는,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에 포함된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제1 유닛; 상기 하나의 콧구멍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과 들숨이 이동하는 통로인 제1 통로부; 다른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에 포함된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제3 유닛; 상기 다른 하나의 콧구멍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4 유닛; 상기 제3 유닛과 제4 유닛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과 들숨이 이동하는 통로인 제2 통로부; 상기 제2 유닛과 제4 유닛을 연결하고 콧구멍 중앙을 덮으면서 전체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 및 제3 유닛 각각에는, 상기 들숨이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자의 코가 건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 건조 방지 장치{A DRY PREVENTION APPARATUS FOR NOSE}
본 발명은 코 건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에 삽입되는 형태의 간단한 구조로 코가 건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코 건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시에는 공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많은 먼지와 오염물질이 존재한다. 그 가운데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립자 형태의 미세 먼지들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몸 속에 들어가서 인체에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중금속은 인체에 들어가면 배출되지 않고 축적되어서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한다.
또한, 최근에는 중국의 사막 등으로부터 불어오는 강한 황사가 어린이나 노약자 그리고 실외에서 활동하는 많은 사람들에 게 호흡기 장애를 일으키고 있다.
더욱이, 중금속을 다량 함유한 강한 황사는 사람들의 실외 활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경제 활동 등에 크게 악영향을 주고 있다.
이렇게 공해가 심한 도심이나 강한 황사가 있는 환경에 처해 있는 사람, 예를 들면 도심에서 많은 시간을 운전하는 사람, 실외에서 활동하는 사람, 분진 발생이 많은 각종 공사장에서 일하는 사람, 도장작업을 하는 사람, 농약살포 작업을 하는 사람 등의 경우에는 먼지나 도료분진, 농약, 자동차 배기가스, 황사, 대기 중의 중금속 등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그러한 유해물질들이 몸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마스크를 착용한다.
보통 마스크는 호흡기관인 코와 입을 모두 가리도록 만들어진 마스크와 간단히 코만을 가리도록 만들어진 코 마스크가 있다.
그 가운데 코 마스크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휴대가 편리하고 간단히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코 마스크는 등록실용신안 20-0285213, 등록특허 10-0539119, 등록실용신안 20-0321104, 등록실용신안 20-0321571 등에 여러 형태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코 마스크들은 보통 2∼3개 이상의 부품을 조립한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막힘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또 청결유지를 위해 자주 세척해야 하는 등 취급이 불편하고 착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무엇보다도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위생적으로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상기 먼지 등의 이물질 이외에도 기본적으로 환경적인 요인으로 코가 쉽게 건조되어 비염 등의 질병이 현대인에게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건조 현상을 쉽게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또는 기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상기 먼지 등의 오염 물질의 코 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타입의 코 보호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인위적으로 코 내부에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거나, 수분을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결국,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코 내부의 습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고, 먼지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코 보호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코에 삽입되는 형태의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여 코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 건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는,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에 포함된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제1 유닛; 상기 하나의 콧구멍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과 들숨이 이동하는 통로인 제1 통로부; 다른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에 포함된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제3 유닛; 상기 다른 하나의 콧구멍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4 유닛; 상기 제3 유닛과 제4 유닛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과 들숨이 이동하는 통로인 제2 통로부; 상기 제2 유닛과 제4 유닛을 연결하고 콧구멍 중앙을 덮으면서 전체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 및 제3 유닛 각각에는, 상기 들숨이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유닛 및 제4 유닛은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닛 및 제3 유닛에 형성되는 홈은, 상기 들숨이 상기 콧구멍 내부로 이동하도록 외부 절개 부분이 내부 절개 부분보다 면적이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콧등에 부착되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걸림 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유닛 및 제4 유닛 각각에는, 상기 콧구멍 내부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걸림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걸림 유닛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된 작동 수단에 의해 상기 콧구멍 내부에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닛 및 제3 유닛의 내주면에는, 항균 코팅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닛 및 제3 유닛의 외주면에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는,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에 포함된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일부로 이루어진 제1 유닛; 다른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에 포함된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일부로 이루어진 제3 유닛; 상기 제1 유닛 및 제3 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두 콧구멍 입구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5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 및 제3 유닛 각각에는, 상기 두 콧구멍의 들숨이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닛 및 제3 유닛은, 각 중심 반경이 이루는 면적이 상기 콧구멍 입구 면적의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 유닛의 중앙부는, 사용자의 인중에 부착되도록 상기 인중 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자의 코가 건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도 탈착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에도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의 사용자 착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2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1)는, 코 속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앞쪽의 반원 모양은 코 밖으로 나와서 위치하고 숨을 쉴 때 따뜻한 공기가 코 안쪽에 머무를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의 기술과 비교했을 때, 상기에서 언급한 다른 코 마스크 관련 특허들과는 달리 필터가 부착된 구조가 아닌, 숨을 쉴 때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코 속이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습한 상태도 유지시킬 수 있어서 코 속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1)는 제1 유닛(100), 제1 통로부(120), 제2 유닛(130), 제3 유닛(200), 제2 통로부(220), 제4 유닛(230) 및 연결부(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130)은 하나로 결합된 구조이고, 제3 유닛과(200)과 제4 유닛(230)도 하나로 결합된 구조이다. 그리고 제2 유닛(130)과 제4 유닛(230)은 연결부(10)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제1 유닛(100)은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에 포함된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구 형상을 이루면서 구비된다. 그리고 제3 유닛(200)은 다른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에 포함된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구 형상을 이루면서 구비된다.
또한, 제2 유닛(130)은 하나의 콧구멍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4 유닛(230)은 다른 하나의 콧구멍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또한, 제2 유닛(130) 및 제4 유닛(230)은 콧구멍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 사용자 착용감을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통로부(120)는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130) 사이에 형성되어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과 들숨이 이동하는 통로이다. 특히, 본 장치(1)의 사용자의 날숨이 외부로 빠져나 갈 수 있는 공기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날숨이 제1 유닛(100)의 내주면에 1차적으로 머물면서 코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머물게 되고, 2차적으로 날숨이 제1 통로부(12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또한, 연결부(10)는 제2 유닛(130)과 제4 유닛(230)을 연결하면서 콧구멍 중앙을 덮으면서 장치(1)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부(10)는 제2 유닛(130)과 제4 유닛(230)을 연결하는 1차적 기능 이외에도 2차적으로 본 장치(1)가 사용자 코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연결부(10)는 탄성이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재질적 특성과 함께 콧구멍 사이의 경계 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100)과 제3 유닛(200) 각각에는 소정의 홈(110, 210)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110, 210)은 외부에서 사용자의 코로 유입되는 들숨이 효과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통로부(120) 및 제 2 통로부(220)를 통해서도 들숨이 이동하나, 제1 유닛(100)과 제3 유닛(200)에 형성된 홈(110, 210)은 들숨이 특히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들숨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110, 210)은 반구 형상의 제1 유닛(100) 및 제3 유닛(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개 부분이 내주면에 형성된 절개 부분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홈(110, 210)은 본 장치(1)의 사용자가 들숨을 쉴 때에는 들숨이 사용자 코 내부로 들어오기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날숨을 쉴 때에는 날숨이 제1 유닛(100) 및 제3 유닛(200)을 통해 1차적으로 갇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통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들숨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필터링할 수 있으면서도, 날숨이 제1 통로부(120) 및 제2 통로부(220)로 대부분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어서 본 장치(1)의 사용자 코 내부에 수분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유닛(100) 및 제3 유닛(200)의 외주면에는 추가적으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르기 위한 필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홈(110, 210)의 필터 기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제1 유닛(100) 및 제3 유닛(200)의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에 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이 설치되거나 코팅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부는 부직포, 섬유 등의 이물질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에 대해 도 3 내지 도 4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일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1)는, 상기 실시예와 달리 추가적으로 제1 걸림 유닛(11, 13) 및 제2 걸림 유닛(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걸림 유닛(11, 13)은 연결부(10)에 구비되며 콧등에 부착되어 본 장치(1) 전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제1 걸림 유닛(11, 13)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전체가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1 걸림 유닛(11, 13)의 끝 부분이 콧등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1 걸림 유닛(11, 13)의 끝 부분이 패드(pad)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걸림 유닛(11, 13)는 제2 유닛(130) 및 제4 유닛(23)이 콧구멍 내부에 삽입됨으로 인해서 본 장치(1)가 사용자의 코에 장착되는 1차적 결합력을 보조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걸림 유닛(140, 240)은 추가적으로 본 장치(1)의 사용자 코에 대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2 유닛(130) 및 제4 유닛(230)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사용자 콧구멍 내부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이 사용자 콧구멍 내부 방향으로 인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 유닛(140. 240)은 제2 유닛(130) 및 제4 유닛(230)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가 연결부(10)에 구비된 작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콧구멍 내부 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1)는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면서도 사용자의 코 내부에 습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에 대해 도 5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의 사용자 착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는, 상기 실시예와 달리 제1 유닛(100), 제3 유닛(200) 및 제5 유닛(3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전에 살펴본 실시예들과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는, 사용자의 콧구멍 속에 삽입되는 타입이 아니고, 사용자의 콧구멍의 입구 쪽에 설치 및 착용되어 사용자의 콧구멍 내부에 습도 및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타입으로 실시된다.
이 때,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에는 각각 홈(110, 210)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사용자 두 콧구멍의 들숨이 이동하도록 하는 동시에, 각 홈(100, 200)은 콧구멍 내부를 향하는 면의 홈 면적이 더 넓도록 이루어지게 하여 들숨 때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을 거를 수 있다. 이는 상기 먼저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홈의 효과와 같다.
또한, 제1 유닛(100) 및 제3 유닛(200)의 각 중심 반경이 이루는 반원 또는 반타원의 면적은 사용자의 콧구멍 반경이 이루는 면적의 50%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콧구멍 면적의 반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 건조 방지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일상적인 호흡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콧구멍 내부의 습도 및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코 내부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5 유닛(300)은 제1 유닛(100) 및 제3 유닛(200)을 지지하고, 두 개의 콧구멍 입구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 유닛(300)은 사용자의 인중 근처의 콧구멍 입구 쪽에 부착될 수 있는데, 보다 견고한 부착을 위해서 인중 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되어 보다 부착이 용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제5 유닛(300)은 사용자의 코 아래에 본 장치가 효과적으로 부착되기 위해 사용자의 코 아래의 모양에 따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코 건조 방지 장치 10 : 연결부
11, 13 : 제1 걸림 유닛
100 : 제1 유닛 110 : 홈
120 : 제1 통로부 130 : 제2 유닛
140, 240 : 제2 걸림 유닛
200 : 제3 유닛 210 : 홈
220 : 제2 통로부 230 : 제4 유닛
300 : 제5 유닛

Claims (11)

  1.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에 포함된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제1 유닛;
    상기 하나의 콧구멍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유닛;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과 들숨이 이동하는 통로인 제1 통로부;
    다른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에 포함된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제3 유닛;
    상기 다른 하나의 콧구멍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4 유닛;
    상기 제3 유닛과 제4 유닛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콧구멍의 날숨과 들숨이 이동하는 통로인 제2 통로부;
    상기 제2 유닛과 제4 유닛을 연결하고 콧구멍 중앙을 덮으면서 전체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닛 및 제3 유닛 각각에는, 상기 들숨이 이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건조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 및 제4 유닛은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건조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 및 제3 유닛에 형성되는 홈은, 상기 들숨이 상기 콧구멍 내부로 이동하도록 외부 절개 부분이 내부 절개 부분보다 면적이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건조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콧등에 부착되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걸림 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건조 방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 및 제4 유닛 각각에는, 상기 콧구멍 내부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 걸림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건조 방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 유닛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된 작동 수단에 의해 상기 콧구멍 내부에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건조 방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 및 제3 유닛의 내주면에는, 항균 코팅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건조 방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 및 제3 유닛의 외주면에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건조 방지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13399A 2016-09-02 2016-09-02 코 건조 방지 장치 KR101955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399A KR101955711B1 (ko) 2016-09-02 2016-09-02 코 건조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399A KR101955711B1 (ko) 2016-09-02 2016-09-02 코 건조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260A KR20180026260A (ko) 2018-03-12
KR101955711B1 true KR101955711B1 (ko) 2019-03-07

Family

ID=6172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399A KR101955711B1 (ko) 2016-09-02 2016-09-02 코 건조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7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04Y1 (ko) 2003-04-17 2003-07-22 고경용 코 필터
KR100679351B1 (ko) 2005-11-11 2007-02-12 한기언 비강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46B1 (ko) * 2006-02-03 2008-07-07 (주)국제이엔티 일회용 슬림형 가습밴드
KR101434255B1 (ko) * 2012-09-20 2014-08-27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04Y1 (ko) 2003-04-17 2003-07-22 고경용 코 필터
KR100679351B1 (ko) 2005-11-11 2007-02-12 한기언 비강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260A (ko) 201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487B1 (ko) 기능성 마스크
KR100878072B1 (ko) 방진마스크
KR100821342B1 (ko) 마스크
KR101627973B1 (ko) 다용도 마스크
KR100828240B1 (ko) 방진마스크
KR101619494B1 (ko) 흡입부 분리형 기능성 마스크
KR20190032897A (ko)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KR100887496B1 (ko) 코 마스크
KR101455070B1 (ko) 탈착 가능한 마스크 패드가 구비된 두건
WO2016204455A1 (ko) 마스크
KR20070042720A (ko) 방진마스크
KR20110009769U (ko) 소형 코마스크
KR20160089185A (ko) 성애 방지형 마스크
KR102093517B1 (ko)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CN202445175U (zh) 新风防尘口罩
KR200492269Y1 (ko) 초미세 여과성능과 마스크 교환 및 교체 사용성이 개선된 고성능 노즈 필터 마스크
CN101558912A (zh) 防尘口罩
KR101955711B1 (ko) 코 건조 방지 장치
KR102286176B1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20200016922A (ko) 마스크
KR102327702B1 (ko) 광물 미세분말을 도포한 교체형 필터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CN215270751U (zh) 一种带有软骨鼻梁结构的口罩
WO2004066765A1 (en) Protective garment with filtering and/or sanitising element
CN213077273U (zh) 一种呼吸分离型口罩
WO2007097479A1 (en) Filter for nasal ca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