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075Y1 -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075Y1
KR200321075Y1 KR20-2003-0010560U KR20030010560U KR200321075Y1 KR 200321075 Y1 KR200321075 Y1 KR 200321075Y1 KR 20030010560 U KR20030010560 U KR 20030010560U KR 200321075 Y1 KR200321075 Y1 KR 200321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late
horizontal
presen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강현
Original Assignee
윤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강현 filed Critical 윤강현
Priority to KR20-2003-0010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0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0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측에 구비된 지지판재는 건축 바닥용 콘크리트와 함께 매설되며 그 상단부는 일부 노출되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체로 구비된 수직관; 상기 수직관에 대해 나사 결합되는 결합봉이 구비되며 그 상단부에는 상기 결합봉의 상측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장 설치된 수평간; 상기 수평간의 일 측에 일체로 수직으로 연장 구비되며 받침목이 지지되는 지지판이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판과 상응하는 고정판이 배치된 받침목 지지체; 및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목에 대해 길이가 조절되며 밀착 지지하는 고정 볼트와 넛트가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측 벽용 가설물에 대해 정확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공사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작업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Regulation apparatus of horizontality for using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측 벽용 가설물에 대해 정확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공사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작업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건축용 수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본적인 윤곽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초가 되는 바닥공사를 한 후, 다시 그 가장자리(또는 측벽을 세우고자 하는 요소)에 측벽(또는 외벽) 콘크리트 타설 공사를 하게 된다.
즉, 통상적으로 측 벽 또는 외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닥 면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공사를 한 후 그 바닥 면에 대해 측 벽 또는 외벽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의 해당되는 바닥 면에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측 벽용 가설물을 설치하기위한 작업을 한 후 그 상측에 패널이나 유로 폼 등 측 벽용 가설물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측 벽용 가설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은 합판조각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높이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 받침 목을 올려놓은 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받침 목의 수평상태를 확인하곤 했다.
따라서, 측 벽용 가설물에 대해 정확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측 벽용 가설물에 대해 정확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합판조각 등을 쌓아가며 높이를 맞추어야하므로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공기가 연장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측 벽용 가설물에 대해 정확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공사를 용이하게 하는 건축용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측벽용 가설물에 적은 부품수로 정확하게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임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건축용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제1 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제2 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제1 실시 예의 변환 가능한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제1 실시 예의 또 다른 변환 가능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수직관 11;지지판재
12;결합공 20;받침목 지지체
21;결합봉 22;수평간
23;지지판 24;고정판
25;볼트 26;넛트
27;수직편 30,W;받침목
31;결합공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는, 하측에 구비된 지지판재는 건축 바닥용 콘크리트와 함께 매설되며 그 상단부는 일부 노출되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체로 구비된 수직관; 상기 수직관에 대해 나사 결합되는 결합봉이 구비되며 그 상단부에는 상기 결합봉의 상측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장 설치된 수평간; 상기 수평간의 일 측에 일체로 수직으로 연장 구비되며 받침목이 지지되는 지지판이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판과 상응하는 고정판이 배치된 받침목 지지체; 및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목에 대해 길이가 조절되며 밀착 지지하는 고정 볼트와 넛트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건축용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는, 상기 수평간은 그 일 측에서 상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수직 편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3 실시 예는, 상기 수직 편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편이 끼워지는 결합공이 배열된 받침목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상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1,2 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는 건축 바닥용 콘크리트와 함께 매설되며 그 상단부는 일부 노출되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체로 구비된 수직관(10)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서는 수직관(10)의 하측에는 수평하게 지지판재(11)가 연장 구비되고, 그 지지판재(11)에는 피 설치장소에 대해 못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공(12)이 형성된 지지판재(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관(10)에 형성된 나사산에는 받침목 지지체(20)가 결합된다.
상기 받침목 지지체(20)는 상기 수직관(10)에 결합되는 결합봉(21)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봉(21)의 상단부에는 결합봉(21)의 상측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장 설치되는 수평간(22)이 구비된다.
또 상기 수평간(22)의 일 측에는 일체로 수직으로 연장 구비되며 받침목(W)이 지지되는 지지판(23)이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판(23)과 상응하는 고정판(24)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24)에는 상기 받침목(W)에 대해 길이가 조절되며 밀착 지지하는 고정 볼트(25)와 넛트(2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넛트(26)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판(24)의 상단부에 볼트공을 형성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상기 수평간(22)은 그 일 측에서 상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수직 편(27)이 연장 구비되고, 그 수직 편(27)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편(27)이 끼워지는 결합공(31)이 배열된 받침목(3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0은 못이고, 40은 쐐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대략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바닥에 지지판재(11)를 고정 설치한다.
즉, 지지판재(11)는 결합공(12)을 통하여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된 도면표현을 생략한 수평목 등에 고정시킨 후 수직관(10)의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공사가 완료되어 경화되면 그 상단부로 노출된 수직관(10)을 통하여 받침목 지지체(20)의 하단부에 구비된 결합봉(21)을 나사 결합한다.
물론, 받침목 지지체(20)의 하체 기능을 하는 지지판재(11)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배열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지지판(23)과 고정판(24)의 사이에 위치되는 수평간(22)의 상측에 받침목(W)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볼트(25)를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도 5와 같이 수평간(22)의 일측에 돌출 구비된 수직편(27)의 상측에 받침목(30)에 형성된 결합공(31)을 끼운 상태에서 도면 표현을 생략한 수평 측정장치의 측정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며 사용한다.
즉, 수평간(22)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수직관(10)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수평상태를 조절한다.
물론, 수평상태가 조절되면 그 상측에 다수의 목재와 판재 또는 유로 폼을쌓으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가설공사가 진행될 것이다.
따라서, 짧은 시간 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수평상태를 정확히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이에 대한 동작 및 효과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부연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건축용 수평조절장치는 금속으로 제작 가능하지만, 사출성형에 의하여 강도가 강한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측 벽용 가설물에 대해 정확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공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측벽용 가설물에 적은 부품수로 정확하게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임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하측에 구비된 지지판재는 건축 바닥용 콘크리트와 함께 매설되며 그 상단부는 일부 노출되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체로 구비된 수직관;
    상기 수직관에 대해 나사 결합되는 결합봉이 구비되며 그 상단부에는 상기 결합봉의 상측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수평하게 연장 설치된 수평간;
    상기 수평간의 일 측에 일체로 수직으로 연장 구비되며 받침목이 지지되는 지지판이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판과 상응하는 고정판이 배치된 받침목 지지체; 및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목에 대해 길이가 조절되며 밀착 지지하는 고정 볼트와 넛트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건축용 수평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간은 그 일 측에서 상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수직 편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편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편이 끼워지는 결합공이 배열된받침목이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
KR20-2003-0010560U 2003-04-08 2003-04-08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 KR200321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560U KR200321075Y1 (ko) 2003-04-08 2003-04-08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560U KR200321075Y1 (ko) 2003-04-08 2003-04-08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799A Division KR20030040266A (ko) 2003-04-08 2003-04-08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075Y1 true KR200321075Y1 (ko) 2003-07-22

Family

ID=4933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560U KR200321075Y1 (ko) 2003-04-08 2003-04-08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0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330B1 (ko) 2015-08-17 2016-03-24 이준문 거푸집 수평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330B1 (ko) 2015-08-17 2016-03-24 이준문 거푸집 수평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7738B2 (en) Floor drain
US6536717B2 (en) Single post support
JP4491030B2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
US8132774B1 (en) Concrete forming screed aids
US20100281789A1 (en) Elevated Floor Supports
US7475862B1 (en) Stub steel holder
KR200321075Y1 (ko)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
JP4938396B2 (ja) 手摺り支柱の取付構造
KR20030040266A (ko)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
JP2002276167A (ja) 傾斜構造物設置工法用サポート及び傾斜構造物の設置工法
KR200375116Y1 (ko) 천정판 설치용 연결거푸집
KR200215935Y1 (ko) 거푸집 설치용 프레임 셋팅장치
CN214843178U (zh) 一种建筑砌筑工程中检测水平的测量线固定材料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100390059B1 (ko) 미장용 레벨
KR200321076Y1 (ko) 외벽 건축용 수평 조절장치
KR200189886Y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수평 받침구
KR200417985Y1 (ko) 거푸집고정용 받침구
KR200367616Y1 (ko) 거푸집 지지용 수직조절대
KR200182860Y1 (ko) 건축용 거푸집의 고정장치
KR100651130B1 (ko) 건축용 형틀 지지장치
KR20090101031A (ko) 건축용 거푸집 설치용 수평유지구
KR200201558Y1 (ko) 바닥면 시공용 수평 조정판
KR0138377Y1 (ko)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설치를 위한 하부기초장치
KR200161312Y1 (ko) 시멘트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설치를 위한 하부기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