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859Y1 - 건축용 모서리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모서리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859Y1
KR200320859Y1 KR20-2003-0013159U KR20030013159U KR200320859Y1 KR 200320859 Y1 KR200320859 Y1 KR 200320859Y1 KR 20030013159 U KR20030013159 U KR 20030013159U KR 200320859 Y1 KR200320859 Y1 KR 200320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panel
plate member
igni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미
Original Assignee
김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미 filed Critical 김영미
Priority to KR20-2003-0013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8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택, 상가 등 건축물 실내의 천장과 벽면 연결부에 형성되는 장식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가 공중상태의 수용부를 구성한 패널에 고정편을 형성시켜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상기 패널 저면측으로 개방부와 함께 양단부에 체결레일을 구성, 뚜껑부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커튼, 조명등을 수용하여 장식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모서리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서리 패널은 목재로 구성되어 화재의 확산에 따른 단점과 형상모양이 단조로운 폐단으로 미감적 기능향상에 커다란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모서리부재가 단순히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정도에 있으므로 커튼 수용부나 조명등을 설치할 때에 또다른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본 고안은 조립방식을 채택함으로 여러 모양을 연출할 수 있는 연출성과 빠른 시공성으로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와,기존의 단순한 마감재에서 여러 기능(블라인드를 고정사용, 형광등 및 네온을 부착 간접등으로도 사용)을 사용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및 소재를 알루미늄으로 발화 및 점화, 화재의 확산을 지연시키며 친화적성과 마감부재를 여러 형상으로 제작하여 모서리부재와 함께 걸이대, 수용부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과를 크게 증대하며 특히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모서리 패널{Edge panel for architecture}
본 고안은 주택, 상가 등 건축물 실내의 천장과 벽면 연결부에 형성되는 장식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가 공중상태의 수용부를 구성한 패널에 고정편을 형성시켜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상기 패널 저면측으로 개방부와 함께 양단부에 체결레일을 구성하여 뚜껑부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커튼, 조명등을 수용하고 또는 장식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모서리 패널에 관한것이다.
건축물의 신축, 리모델링(remodeling)시 혹은 상품 판매 매장 등에서 장식기능을 높이기 위해 천장과 벽면이 교차되는 모서리부재를 구성하거나 또는 커튼레일 수용부 또는 조명등 수용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천장과 맞닿는 직각부에 일정깊이와 길이로 레일수용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주택이나 사무실 또는 매장 등의 시공에서 천장 마감은 일명 코너 마감재라 하는 MDF OR 목재로 된 코너 마감재를 사용해 왔다.
이 마감재의 문제점은 첫째, 필름으로 랩핑되거나 원목으로 모양을 형성한 목재로 구성되므로 화재가 발생될 때에 빠른 연소성으로 인해 화재의 발화를 가속화시키는 단점과 또한 필름의 가연성으로 말미암아 유독가스로 인한 인체에 매우 해로운 가스가 방출되었고, 둘째, 시공상에서 코너 마감재라고는 하나 못 등의 고정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고정 핀이 노출되며 장기간이 지나면 천장으로부터 휘거나 날씨의 변화로 인해 부착된 부분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고, 셋째, 단지 마감재로써의 기능밖에 사용할 수 없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모서리 패널은 목재로 구성되어 화재의 확산에 따른 단점과 형상모양이 단조로운 폐단으로 미감적 기능향상에 커다란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모서리부재가 단순히 모서리부에 부착하는 정도에 있으므로 커튼수용부나 조명등을 설치할때에 또다른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조립방식을 채택함으로 여러 모양을 연출할 수 있는 연출성과 빠른 시공성으로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와,
기존의 단순한 마감재에서 여러 기능(브라인드를 고정사용, 형광등 및 네온을 부착 간접등으로도 사용)을 사용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및 소재를 알루미늄으로 발화 및 점화, 화재의 확산을 지연시키며 친화적성과 마감부재를 여러 형상으로 제작하여 모서리부재와 함께 걸이대, 수용부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과를 크게 증대하며 특히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도 1의 (a)(b)는 본 고안의 제 1, 제 2실시예의 분해된 패널 사시도.
도 2의 (a)(b)(c)(d)(e)(f)(g)는 본 고안의 모서리부재에 체결되는 밑판부재의 측면도.
도 3의 (a)(b)(c)(d)는 본 고안 도 1의 사용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모서리부재 11;체결용 레일 12;끼움홈
13,13-1;돌출판 20;밑판부재 21;체결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속 압출되는 기다란 길이방향의 패널로 형성되고 단면형상이 ""로 이루어진 내측면에 체결용 레일과 장식밑판부재의 끼움홈이 구성되어져 건축물의 모서리부에 스크류 등에 의한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에 의해 체결된 패널에는 커튼레일과, 조명등, 또는 장식품고정고리를 구성하여 커튼의 설치, 조명등에 의한 벽면 등의 간접조명효과 또는 벽면에 그림 등의 장식품을 진열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그 실시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a)(b)는 본 고안의 제 1, 제 2실시예의 분해된 패널 사시도이고 도 2의 (a)(b)(c)(d)(e)(f)(g)는 본 고안의 모서리부재에 체결되는 밑판부재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의 (a)(b)(c)(d)는 본 고안 도 1의 사용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속 압출되는 기다란 길이방향의 패널로 형성되고 단면형상이 ""로 이루워진 모서리부재(10)를 구성한다.
그리고 모서리부재(10)의 내측면에 상향된 돌출편으로 형성되는 체결용 레일(11)과 장식 밑판부재(20)의 끼움홈(12)이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양측의 끼움홈(12)에 체결되는 체결돌기(21)를 구성한 장식 밑판부재(20)를 구성하여 끼움홈(12)에 체결하도록 하는 밑판부재(20)를 함께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도 1의 (b)에서는 상기 모서리부재(10)의 상부측과 전면부측에 체결부를 구성하는 돌출판(13)(13-1)을 일체로 형성하여 체결스크류(31)에 의한 벽면(30)에 체결되고 또는 천장부재(32-1)가 얹혀져 체결되도록 하였다.
미설명부호 30은 벽면, 31은 스크류이고 32는 천장, 32-1은 천장부재이며 35는 커튼이송부재 및 36은 액자,37은 조명등이고 39는 고리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도 3의 (a)에서 표기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면(30)과 천장(32)이 맞닿는 모서리부에 본 고안을 스크류(31)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때에 상면 또는 측면에 각각을 체결하거나 특정부분만을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에서 체결된 본 고안의 모서리부재(10)에 도 2에서 표기되는 밑판부재(20)하나를 선택하여 체결한다.
즉, 모서리부재(10)의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홈(12)에 밑판부재(20)에서 돌출된 체결돌기(21)를 끼워 결합함으로서 모서리부재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밑판부재(2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과 모양이 자유롭게 구성되고 있으며 특히 만곡부 돌출형, 요철(凹凸)부 등으로 형성되어 체결 후에는 모서리부가 현저한 미감적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에 색채를 도포함으로서 시각적 미감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이용하여 미도시된 커튼을 설치할 때를 실시예로 하면 도 3의 (b)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모서리부재(10)에서 밑판부재(20)를 제거하게 한 상태에서 건축물의 벽면(30)과 천장(32)이 맞닿는 모서리부에 본 고안을 스크류(31)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그리고 내측 상단면에 공지의 커튼이송부(35)를 체결한 후 상기 커튼이송부(35)에 공지의 커튼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모서리부재를 이용하여 공지의 커튼을 간단히 설치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도 3의 (c)에서와 같이 상기 모서리부재(10) 내측에 공지의 조명등(37)을 체결하면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판매장 등의 간접조명을 벽면 또는 천장모서리부에 간단히 설치하여 상품의 조명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도 발휘한다.
또한 도 3의 (d)에서는 상기 모서리부재(10)의 체결용레일(11)에 밑판부재(20)가 체결되거나 또는 상기 밑판부재(20)에 고리부재(37)를 형성하여 이 고리부재(37)에 그림액자나 각종 전시물을 걸어 전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37)는 밑판부재(20)에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성한 고리(37-1)를 이용하여 도 3의 (b)(c)상태에서 고리(37-1)를 체결용레일(11)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실내 모서리부의 마감부재를 보다 간단히 제작할 수 있으며 단조로운 천장의 마감재에서 조립방식을 채택함으로 여러 모양을 연출할 수 있는 연출성과 빠른 시공성으로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와 단순한 마감재에서 여러 기능(블라인드를 고정사용, 형광등 및 네온을 부착 간접등으로도 사용)을 사용할 수 있는 복합 기능으로 다양성 및 소재가 알루미늄과 코팅재료로 불소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발화 및 점화, 그리고 화재 확산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인체 친화적인 제품이며 몰딩 마감재를 여러 형태로의 제작성과 교환성의 기능과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용이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기다란 패널과 밑판부재를 구성함으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체결조립에 따른 설치의 편리성과 함께 많은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미감적 기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단조로운 천장의 마감재에서 조립방식을 채택함으로 여러 모양을 연출에 따른 미적기능과 시공의 편리성에 의한 인건비 및 다기능효과와 알루미늄에 의한 화재 확산을 지연하는 등 종래의 문제점을 간단히 개선하여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압출되는 기다란 길이방향의 패널로 형성되고 단면형상이 ""로 이루워진 모서리부재(10)와,
    모서리부재(10)의 내측면에 상향된 돌출편으로 형성되는 체결용 레일(11)과 끼움홈(12)이 길이방향으로 구성함과,
    상기 양측의 끼움홈(12)에 체결되는 체결돌기(21)를 구성한 장식 밑판부재(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모서리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부재에 요철과 곡면으로 조합하여 미감적기능을 향상하여서 되는 밑판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모서리 패널.
KR20-2003-0013159U 2003-04-28 2003-04-28 건축용 모서리 패널 KR200320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159U KR200320859Y1 (ko) 2003-04-28 2003-04-28 건축용 모서리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159U KR200320859Y1 (ko) 2003-04-28 2003-04-28 건축용 모서리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859Y1 true KR200320859Y1 (ko) 2003-07-22

Family

ID=4941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159U KR200320859Y1 (ko) 2003-04-28 2003-04-28 건축용 모서리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8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814B1 (ko) * 2006-01-26 2006-08-2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금성 건축용 천정 몰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814B1 (ko) * 2006-01-26 2006-08-2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금성 건축용 천정 몰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6901A (en) Molding assembly
RU2463418C2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о внутренних работах по отделке помещений
US7114826B1 (en) Light rope crown molding
US20100139210A1 (en) Surface coverings including decorative strips
US10047923B2 (en) Indirect daylighting device
KR101596027B1 (ko) 입체감 구현이 가능한 천장마감시스템
KR100933525B1 (ko) 스크린 루바
US3777138A (en) Post lantern for attachment to structural support member
US8511012B2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KR200320859Y1 (ko) 건축용 모서리 패널
US20120031023A1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KR20130003853U (ko) 스크린 타입 루버의 조립구조
CN211037613U (zh) 样板间硬装连接系统
US20080163985A1 (en) Wall-mounted light-transmissive structure
JP2007010967A (ja) 空間区画用吊下げ看板
EP1451432A1 (en) Aluminium framework system with wooden inner coating
KR200315869Y1 (ko) 건축물 천정용 마감몰딩
CN216076866U (zh) 一种带有薄板的门板结构
KR20040091517A (ko) 픽쳐레일이 장착된 천정용 마감 몰딩
KR101662587B1 (ko) 장식 기능을 갖는 디자인 창호
KR200317815Y1 (ko) 실용적인 천정용 마감몰딩
JP2545289Y2 (ja) 手摺の縦枠固定装置
KR200319324Y1 (ko) 픽쳐레일이 장착된 천정용 마감 몰딩
KR20170051998A (ko) 그림걸이 몰딩
NL1016970C1 (nl) Constructie voor een verlaagd plafond, en sierstrip daarv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