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856Y1 - 지피에스신호수신 및 양방향 원격통신을 이용한 가로등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피에스신호수신 및 양방향 원격통신을 이용한 가로등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856Y1
KR200320856Y1 KR20-2003-0012941U KR20030012941U KR200320856Y1 KR 200320856 Y1 KR200320856 Y1 KR 200320856Y1 KR 20030012941 U KR20030012941 U KR 20030012941U KR 200320856 Y1 KR200320856 Y1 KR 200320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street lamp
signal
control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정보
Priority to KR20-2003-0012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8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8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GPS신호수신 및 양방향 원격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과 보안등 및 유사한 사용목적의 옥외조명등의 위치와 점소등과 현재 상태감시 및 고장처리·고장관리와 이력관리를 원격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한 GPS신호수신 및 원격통신 가로등 관리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가로등 또는 보안등 및 이와 유사한 옥외전기시설 등을 관리하는 가로등 관리장치에 있어서, 시스템의 운영프로그램을 내장하고 구동하는 제어컴퓨터와; 상기 제어컴퓨터와 연결 구성되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상호 교환가능한 원격통신부와; 상기 제어컴퓨터와 연결 구성된 상용의 GPS수신기와; 시계를 구동하고 현재시각과 날짜를 운영하는 RTC와; 가로등의 작동조건과 고장정보와 이력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메모리수단과; 가로등의 고장신호를 관리하는 고장관리부와; 신호의 입력과 운영정보를 표시하는 입출력부와;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통제하는 가로등구동부와; 상기 각부에 안정적인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가로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고장을 진단하는 고장처리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가로등전로를 매개체로 고장처리신호를 전송하는 PLC통신부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지피에스신호수신 및 양방향 원격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관리장치{Apparatus for control street lamp by GPS signal receive and bothway telecommunication}
본 고안은 GPS신호수신 및 양방향 원격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과 보안등 및 유사한 사용목적의 옥외조명등의 위치와 점소등과 현재 상태감시 및 고장처리·고장관리와 이력관리를 원격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한 GPS신호수신 및 양방향 원격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통상 가로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단순히 점멸기능의 관점에서 구성함에 따라 가로등이 오작동을 하거나 고장을 일으켜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고장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므로서 위험을 주거나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고, 또한, 가로등의 점·소등을 자동화하거나, 현재시각을 보정하는 시도 또는, 점등을 강제적으로 지속하도록 신호를 발신하는 단순한 시도들이 있었다.
통상, GPS신호 수신은 전기적 기후적 장애 요인이 많은 옥외의 사용여건에서 통신되므로 외부의 전기적인 영향에 의한 오류로 인하여 연속된 통신 중에 일시 인식하지 못하거나 오류코드로 인식되는 근본적인 오류요인을 가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기능만을 우선으로 하여 시도되는 위성신호수신 가로등제어에 있어서 시각정보의 오류를 검증하지 않고 사용하므로서 오히려 정상적인 시스템의 작동을 방해하고 가로등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었다.
지금까지는 가로등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위적으로 찾아다니며 가로등을 확인하고 현황표를 작성하고 가로등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리스트를 관리하였으나 이러한 인위적인 방법으로는 신속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으며, 변동 상황이 발생하거나 현황을 파악하는 경우마다 일일이 방문 조사하여야 하였다.
가로등이 설치된 현장에서 고장을 점검하고 보수하기 위하여 설치정보와 고장정보를 알아내고 정비이력들을 관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지금까지는 인위적인 작업에 의존하므로서 점검과 보수시간이 지체되고 관리 불편을 유발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가로등 수가 적을 때에는 인력에 의하여 가로등을 관리하고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지 않겠지만 가로등의 수량이 많고 설치지역이 방대할 경우 관리에 소요되는 인적 시간적 관리부담이 증가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가로등의 작동상태를 감시하고 고장시 절전 등의 안전한 작동을 취하여 전력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주광(晝光)을 감지하여 날씨 변동으로 인한 주변 밝기를 보상하여 전천후로 가로등을 작동하도록 함과,
둘째, 별도의 장치를 조작하거나 원격 통신을 통하지 않고도 LED를 통하여 고장과 관리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수단으로 근거리에서 가로등의 관리상태를 즉시 판별할 수 있으며, 코드의 오차와 오류를 검증하고 오차를 보정하여 위치오차를 줄이고 정확도를 높이는 작용으로 정확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하며 인접한 가로등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함과,
셋째, 특별한 설정을 하지 않고도 시스템을 가로등과 함께 현장에 설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GPS수신기로부터 사용위치와 정확한 현재시각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오류 없이 정확한 시각에 가로등을 점등하고 소등하는 작용으로 설치와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다수의 가로등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고 신속한 관리를 이룰 수 있고, 근거리용도와 원거리까지 가능한 용도의 양방향 원격통신부를 구성하므로서 원격관리장치와 휴대용관리장치로 구성되는 중앙관리수단과 용도별로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고,
넷째, 가로등의 작동을 감지하여 오작동하거나 깜박임이 발생하는 등의 고장정보를 산출하고 가로등구동부를 통하여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서 전력의 낭비를 막고 가로등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2이상의 가로등이 단일 또는 분기된 회로를 통하여 구성될 때 가로등 고장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집계한 전류와 회로의 전류를 감지하고 서로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고장분석으로 회로와 회로에 연결된 가로등 무리의 작동상태를 비교 할 수 있고,
다섯째, 가로등상태감시부의 신호를 분석하여 고장을 산출하고, 고장정보를 시스템의 날짜별로 메모리수단에 저장하므로서 차후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저장된 고장내용을 조회할 수 있고, 양방향 원격통신부를 통하여 원격송신하며, 양방향 통신부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 메모리수단에 날짜별로 저장된 고장정보를 양방향 원격통신부에 전송하여 고장정보를 원격 확인할 수 있으며,
여섯째, 양방향 원격통신부로부터 수신한 가로등의 설치정보와 부품교체정보와 고장수리정보와 시스템에서 산출한 고장정보를 제어컴퓨터가 운용하는 시스템 클록의 날짜별로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므로서 가로등의 이력을 시스템에 입력하여 시스템에서 필요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있고 또한, 시민박명시각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의 변수로 GPS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위도정보로 가로등의 관리지역을 찾아내고 GPS정보로부터 분석한 현재시각에 따라 스스로 점·소등 시각을 산출하므로서 간편한 가로등의 점소등 관리가 이루어지는 가로등 관리시스템과 그 가로등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가로등 관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인 시각보정기능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b는 시각보정기능의 작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a은 본 고안인 위치정보 산출기능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b는 위치정보 산출기능의 작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인 가로등의 고장처리기능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4b는 가로등의 고장처리기능의 작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인 보안등의 고장관리기능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5b는 보안등의 고장관리기능의 작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의 이력관리기능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6b는 이력관리기능의 작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a는 본 고안인 점소등시각 산출기능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7b는 점소등시각 산출기능의 작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고안인 원격관리기능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8b는 원격관리기능의 작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a는 본 고안인 주광보상기능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9b는 주광보상기능의 작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a는 본 고안인 안전종료기능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10b는 안전종료기능의 작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인 가로등관리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중앙원격관리서버 110 : 휴대용원격관리장치
200 : GPS신호발신장치 210 : GPS수신기
300 : 가로등 410 : 제어컴퓨터
420 : 원격통신부 430 : ID부
440 : EEPROM 450 : 입출력부
460 : 주광감지부 470 : RTC
471 : 충전지 480 : 가로등구동부
490 : 회로전류감지부 500 : 고장처리장치
510 : 마이크로컴퓨터 520 : 상태감지부
530 : 고장처리부 540 : PLC통신부
550 : 전원부 560 : ID부
570 : 설정부 580 : 표시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로등 또는 보안등 및 이와 유사한 옥외전기시설 을 관리하는 관리장치에 있어서,
시스템의 운영프로그램을 내장하고 구동하는 제어컴퓨터와;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제어컴퓨터에 제공하는 GPS수신기와; 상기 제어컴퓨터와 연결 구성되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원격관리장치와 상호 정보교환이 가능한 원격통신부와; 시계를 구동하고 현재시각과 날짜를 운영하는 RCT와; 가로등의 작동조건과 고장정보와 이력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메모리수단과; LCD와 LED 및 키보드를 갖추어 외부 신호를 입력하고 운영정보를 표시하는 입출력부와; 전원공급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가로등과; 전원을 제어컴퓨터의 신호에 의하여 통제하는 가로등구동부와; 외부전원을 수전하여 상기 시스템 각부에 요구되는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RTC에 백업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와; 가로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고장을 처리하는고장처리부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가로등전로를 매개체로 고장처리신호를 전송하는 PLC통신부와; 가로등회로전류 감지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관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인 가로등 관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시스템의 운영프로그램을 내장하고 구동하는 제어컴퓨터(410)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상호 교환가능한 원격통신부(420)와 상용의 GPS수신기(210)가 연결 구성되며, 시스템의 운영프로그램을 내장하고 구동하는 중앙통제소의 중앙원격관리서버(100)와는 상기 원격통신부(420)와 원격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시스템에 제공하는 GPS수신기(210)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어컴퓨터(410)에는 시계를 구동하고 현재시각과 날짜를 운영하는 RTC(470)와 가로등의 작동조건과 고장정보와 이력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메모리수단(440)과 신호의 입력과 운영정보를 표시하는 입출력부(450)와 전원을 제어컴퓨터(410)의 신호에 의하여 통제하여 가로등(300)을 제어하는 가로등구동부(480)와 상기 시스템 각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0)와, 가로등의 작동상태를 파악하여 고장을 처리하는 고장처리장치(500)가 상기 제어컴퓨터(410)와 가로등전로를 매개체로 고장처리신호를 교신하는 PLC통신부(541)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격통신부(420)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상호 교환가능하며 가로등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원격관리장치(110)를 연결 구성하여 사용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전원부(600)에 이상이 있을 때 전원을 대신 공급하도록 하는 예비전원부(610)가 더 연결 설치되어 있고, 외부의 밝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제공하는 주광감지수단(460)과, 개별인식번호를 부여하는 ID부(430)를 더 연결 구성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 상태는 첨부도면 도 1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600)로부터 시스템에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시스템을 초기화하여 운영을 시작하고, 예비전원부(610)를 충전하고 상용전원의 공급여부를 감시한다.
상기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시스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지 않도록 연속하여 예비전원이 공급되어 소정 시간동안 시스템의 작동이 멈추지 않도록 운영을 계속하며, 상용전원의 정전과 소정시간의 비교판단으로 상용전원의 정전이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면 정전기록을 시스템의 날짜와 시각에 따라 EEPROM(440)에 저장하고 원격통신부를 통하여 송출하며 예비전원으로 시스템의 처리작업을 완료한 다음 시스템을 안전하게 종료한다.
한편 시스템이 운영을 시작하면 시스템을 인식하고 RTC(470)를 액세스하고 고유번호를 인식 EEPROM(440)으로부터 구동파라미터를 액세스한다. 그리고 GPS신호발신장치(200)로부터 GPS수신기(210)를 통해 GPS정보를 수신하여 두개의 연속된 좌표를 위도와 경도별 성분으로 구분하여 추출하여 좌표가 분포된 오차를 성분별로 산출하고 성분별 중점을 구하고 축적한다.
상기 축적과정을 소정회수 반복하여 누적합산하고 분포를 구하여 오차를 축소하여 보정된 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를 EEPROM(440)에 저장한다. 외부신호 수신을 대기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GPS정보를 판별하고 GPS정보가 수신되면 2개의 샘플 시각정보를 추출하여 상대시각차이와 샘플링지연시간을 비교하여 오류를 분석하고 오류를 판별하여 오류가 아니면 나중에 수신한 샘플시각정보에 지연시각을 보상하여 현재시각을 산출하고 산출된 현재시각으로 RTC(470)를 보정한다.
EEPROM(440)으로부터 위도좌표를 불러오고 RTC(470)로부터 날짜를 불러와 시민박명시각 산출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아침과저녁의 시민박명시각을 산출한다. 상기 산출된 시민박명시각을 EEPROM(440)의 보정시각 파라미터에 따라 보정하여 점·소등 시각으로 산출한다. 산출된 점·소등시각과 EEPROM(440)에 설정된 회로별 작동조건에 따라 가로등구동부를 구동하며, 가로등구동부(480)를 통하여 가로등(300)에 전원을 공급하고 리턴하여 외부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가로등(300)에 전원이 공급되면 고장처리장치(500)에서 가로등(300)의 점등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설정된 기준에 따라 고장을 판단하고 고장 신호가 산출되면 고장처리부(53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동안 고장가로등의 전원을 차단하여 가로등(300) 고장을 안전하게 처리하고 고장처리 결과를 표시하고 처리결과를 PLC통신부(540)를 통하여 송신한다.
제어컴퓨터(410)가 PLC통신부(541)를 통하여 고장처리 결과를 수신하고 ID 별로 EEPROM(440)에 처리정보를 갱신 저장한다. 고장처리부(440)의 ID별 고장처리 상태를 입출력부(450)를 통하여 표시하고 원격통신부(420)를 통하여 위치좌표와 ID및 실시간과 함께 고장처리 내용을 송신한다.
원격지에서 본 고안인 다수의 가로등관리장치와 교신하여 가로등(300)을 관리하는 중앙의 원격 관리장치 즉, 중앙원격관리서버(100)를 통하여 위치좌표와 ID 및 실시간과 함께 고장처리 내용을 확인한다.
GPS시각정보가 오류로 판별되면 RTC(430)의 현재시각에 따라 시스템을 운용하며, 시민박명시각 산출프로그램 구동과정을 실행한다.
외부 신호가 원격코드일 때, 데이터코드와 요청코드를 판단하여 요청코드이면 원격통신부를 통하여 작동상태와 현재시간과 작동조건과 이력정보와 고장처리 내용을 위치좌표와 ID 및 실시간과 함께 송신한다.
원격통신코드가 데이터코드이면 원격통신부(410)로부터 작동조건과 이력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신호를 EEPROM(440)에 갱신·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작동되는 본 고안의 가로등 관리장치의 가로등 관리방법은 상용의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노이즈와 써어지를 거르고 안정적인 상태로 전원을 변환하여 시스템 각부에 공급하는 제1과정과; 제어컴퓨터가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제어컴퓨터의 시스템 각부를 인식하고 인식된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프로그램을 로딩하고 RTC수단으로부터 날짜와 현재시각을 액세스하고 ID부로부터 개별 고유번호를 액세스하여 운영을 시작하는 제2과정과; 상기와 같이 운용을 시작한 제어컴퓨터가 초기값이 설정된 메모리수단으로부터 프로그램변수를 인식하는 제3과정과; GPS수신기로부터 시각정보를 액세스하여 오류 분석과정과 지연시각을 보상한 시각정보를 RTC의 현재시각으로 보정하는 제4과정과; GPS수신기로부터 위치정보를액세스하고 오류분석과 오차보정을 통하여 분석한 위도와 경도의 위치정보를 메모리수단에 저장하는 제5과정과; 양방향 원격통신부로부터 작동조건과 이력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수단을 갱신하는 제6과정과; 제4과정에서 산출된 시스템의 날짜와 제5과정에서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위도정보를 변수로 하여 시민박명시각을 산출하고 경도차와 지역여건변수를 보정하여 표준 점·소등시각을 산출하는 제7과정과; 제4과정에서 보상된 현재시각과 제7과정에서 산출된 표준 점·소등시각과 제6과정에서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작동조건을 변수로 가로등 작동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출력회로별 작동신호를 산출하는 제8과정과; 제8과정에서 산출된 작동신호를 가로등구동수단에 보내 회로별로 가로등의 작동을 통제하는 제9과정과; 상태감지수단을 통하여 가로등의 작동상태를 감시하고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고장을 판단하고 고장이 출력되면 외부로 표시하며 가로등 전로를 차단하고 전로를 매개체로 하는 PLC통신수단으로 전로 차단상태를 ID와 함께 가로등관리장치에 업로드(up-load)하는 제10과정과; 가로등의 전로차단신호를 가로등관리장치의 PLC통신수단을 통하여 제어컴퓨터에 전달하고 차단상태를 시스템의 시각과 날짜별로 메모리수단에 이력으로 저장하는 제11과정과;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원회로 전류를 인식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컴퓨터에 보내고 가로등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점등의 상한과 하한의 점등인식 전류범위를 설정하고, 수신된 신호의 샘플링주기와 누적도수를 평균하여 감도를 조절하는 샘플링수를 설정하여 신호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고, 상기 수단에 따라 고장을 판단하고, 점등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을 지연하여 출력하고, 고장신호에 따라 가로등구동부를 통하여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서 가로등의 고장을 처리하고 입출력부를 통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제12과정과; 원격통신수단을 통하여 가로등의 작동상태 변화를 이벤트(event)시 마다 송출하고 원격통신부로부터 정보요청코드를 수신하면 ID와 위치정보와 작동상태와 프로그램 운영정보와 설치·보수사항과 고장처리기록 등의 이력정보를 전송하는 제13과정과; 주광신호를 활용하여 가로등을 관리하는 제14과정과;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예비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의 작동을 소정시간동안 운영하여 안전 종료하는 제15과정을 통하여 가로등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작동되는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현재시각 보정기능, 가로등의 위치정보 산출기능, 가로등의 고장처리기능, 이력관리기능, 점·소등시각을 구하는 기능, 운영정보와 이력정보를 설정 변경하는 기능, 주광신호를 활용하여 가로등을 관리하는 기능, 안전종료 기능요소 등으로 대별하여 설명하면, 전원부(600)가 상용의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노이즈와 써어지를 거르고 안정적인 상태로 전원을 변환하여 시스템 각부에 공급하는 제1과정과 제어컴퓨터(410)가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시스템 각부를 인식하고 인식된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프로그램을 로딩하고 RTC(470)으로부터 날짜와 현재시각을 액세스하고 ID부(430)로부터 개별 고유번호를 액세스하여 운영을 시작하는 제2과정 및 상기와 같이 운용을 시작한 제어컴퓨터(410)가 초기값이 설정된 EEPROM(440)으로부터 프로그램변수를 인식하는 제3과정을 수행 후 현재시각 보정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현재시각 보정기능은 가로등 관리방법의 제4과정에 해당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운영프로그램과 시각정보의 오류를 분석하고 처리하며 현재시각을 보정하는 제어컴퓨터(410), 시각정보를 수신하여 시스템에 제공하는 GPS수신기(210), 정전보상용 충전지(471)와 결합된 RTC(470)와, 입출력부(450)가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현재시각 보정기능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1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컴퓨터(410)가 GPS수신기(210)로부터 GPS정보를 액세스하여, GPS시각정보 수신유무를 판단하고 GPS시각정보가 수신되면, 연이어 2개의 시각정보를 수신하여 상대시각차를 산출하고 수신경과시간과 비교하며, 시각차와 경과시간이 같은지를 판단하여 시각차와 경과 시간이 같으면 나중에 수신된 시각정보를 기준으로 지연시각을 보상하여 현재시각으로 산출하고, RTC(430)를 보정하며 오류경과시간 카운트를 리셋하고 리턴한다.
한편, 상기 시각차와 경과시간이 다르면, 수신된 시각정보는 버리고 오류시간을 카운트하며 초기상태로 리턴한다. 만일, 오류 누적시간이 소정시간을 초과하면 GPS정보오류로 표시한다. 만일 GPS정보수신 유무 판단단계에서 GPS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오류시간을 카운트하고 소정시간과 비교하여 오류시간이 소정시간을 초과하면 GPS정보오류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GPS수신기(210)는 일반적으로 GPS신호발신장치(200)로부터 GPS신호를 직접 수신하는 위성 GPS수신기(210)가 사용 되어질 수 있으나 외부시각신호는 휴대전화통신망 등에서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무선시각정보를 수신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원격통신부(541)가 휴대통신수단으로 구성될 때, 휴대통신수단이 GPS정보를 제공하는 시각정보를 함께 제공받도록 할 수 있고, 이때 GPS수신기(210)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휴대통신수단으로 양방향 원격통신부와 GPS수신기(210)를 겸하는 GPS수신기 겸용 양방향 원격통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가로등 관리방법의 가로등의 위치정보 산출기능은 첨부도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운영프로그램과 위치정보의 오류를 분석하고 오차를 보정하는 제어컴퓨터(410)와, 외부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시스템에 제공하는 GPS수신기(210)와, 산출된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EEPROM(440)과, 원격통신부(420)와, 작동상태와 오류를 표시하는 입출력부(450)의 표시부와, 전원부(600)가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가로등의 위치정보 산출기능의 작동은 가로등 관리방법의 제5과정에 해당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1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600)를 통하여 각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하면, 제어컴퓨터(410)가 시스템을 구동하고 운영을 시작하며, 시스템을 통상의 GPS수신기(210)로부터 GPS정보를 액세스하여, GPS위치정보 수신유무를 판단하고 GPS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신호주기에 따라 연이어 2개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위도와 경도성분으로 구분하고 상대위치 차를 산출하고 허용오차범위와 크기를 비교한다.
상대위치차가 허용오차크기를 초과하지 않으면 두 위치정보를 성분별로 구분하여 중점을 산출하고 성분별로 저장하고 오류카운트를 리셋(reset)한다. 이상의 과정을 반복하여 산출된 중점들의 분포를 성분별로 누적합산하고 도수를 카운트한다.
카운트한 도수가 소정회수를 초과하면 합산된 성분별 중점의 분포를 도수로 평균하여 새로운 좌표를 구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위치좌표를 EEPROM(440)에 저장하고.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역의 가로등 점·소등시각을 산출하여 가로등을 작동하고, 위치정보를 표시하며 원격통신부(420)를 통하여 좌표를 송신함과 함께 원격관리장치를 통하여 가로등의 위치를 확인한다.
한편 위치오차가 허용오차를 초과하면 오류데이터는 버리고 오류회수를 카운트한다. 오류회수가 소정회수를 초과하면 GPS오류로 EEPROM(440)에 기록하고 입출력부(450)에 표시하며 리턴하여 GPS정보를 액세스하고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한편, GPS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경과시간을 카운트하고 소정시간과 비교하여 초과하면 GPS정보오류를 EEPROM(440)에 기록하고, 리턴하여 GPS정보를 액세스하고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가로등 관리방법의 가로등의 고장처리기능은 가로등 관리방법의 제10과정에 해당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을 구동하고 고장처리프로그램을 운용하는 마이크로컴퓨터(510), 가로등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마이크로컴퓨터(510)의 입력신호로 변환시키는 상태감지부(520), 마이크로컴퓨터(510)의 신호에 따라 가로등의 전로를 개폐하는 고장처리부(530), 가로등 전로를 매개체로 고장처리신호를 전송하는 PLC통신부(540),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원으로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50), 개별구분인식을 위한 ID부(560), 고장분석과 처리기준을 설정하는 설정부(570), 고장처리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580)가 구비되어가로등고장처리장치(500)를 이루어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가로등의 고장처리기능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관리기능이 점등조건에 따라 가로등구동부(480)를 통하여 가로등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면 동시에 가로등별로 조합된 다수의 고장처리장치(500)에 전원이 공급되어 초기화되고 고장처리장치(500)를 통하여 가로등 전원 회로를 통전상태로 복원하고, 가로등의 종류에 따라 설정부의 설정값을 불러오고 상태감지부(520)를 통하여 가로등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변환한 상태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510)에 보낸다.
방전등이 완전한 방전상태에 달하기까지 기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지연하고 설정값과 비교하여 고장상태를 분석하고, 마이크로컴퓨터(510)가 순간적인 변화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시간이상 동일한 상태가 산출되면 고장으로 인식하는 산출과정을 통하여 고장 신호를 산출하면 고장처리부(530)를 통하여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가로등이 깜박거리거나 안정기에서 불필요한 전원을 소비하지 못하게 하고 전기 위해로부터 안전하게 처리하고, 고장처리결과를 표시부를 통하여 외부로 표시하며 PLC통신부(540)를 통하여 고장처리정보를 ID와 함께 전원선로에 송출한다.
가로등 전원선로와 연결된 가로등관리기능의 제어컴퓨터(210)가 PLC 통신부(541)를 통하여 고장처리정보를 ID와 함께 인식하게 한다.
상기 상태감지부(520)는 가로등(300)의 작동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수단 또는 전구의 불빛을 감지하는 광감지수단으로 구성되며, 가로등(300) 작동상태를 감지하는감지부(520)가 가로등(3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인식하고 변환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마이크로컴퓨터(510)에 보내고 가로등(300)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점등의 상한과 하한의 점등인식 전류범위를 설정하며 점등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을 지연하여 판단하고 수신된 신호의 샘플링주기와 누적도수를 평균하여 감도를 조절하는 샘플링수를 설정하여 신호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여 정상작동과 고장을 분석하며. 상태감지부(520)가 광감지수단으로 구성되면, 가로등(300)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520)가 가로등(300)이 발하는 불빛만을 제한적으로 수광할 수 있도록 하며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컴퓨터(510)에 보내지고 점등으로 인식하는 밝기와 소등으로 인식하는 밝기분별 기준을 설정하고 수신된 신호의 샘플링주기와 누적도수를 평균하여 감도를 조절하는 샘플링수를 설정하여 신호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한다.
상기 가로등 관리방법의 가로등의 고장관리기능은 가로등 관리방법의 제12과정에 해당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을 운용하고 가로등구동부(480)를 작동하고 고장처리신호를 관리하는 제어컴퓨터(410), 시스템의 운용상태를 원격장치에 송신하는 원격통신부(420), 고장처리상태를 기록하는 EEPROM(440), 시스템의 개별 구분인식을 위한 ID부(430), 운용상태를 표시하는 입출력부(450), 출력회로의 전류를 감지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전류감지부(490), 가로등의 전로를 개폐하는 가로등구동부(480),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0)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된다.
상기 가로등의 고장관리기능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전류감지부(490)를 통하여 회로의 도통전류를 감지하고 변환하여 제어컴퓨터(410)에 전달한다. 제어컴퓨터에서 인식된 전류값은 입출력부(450)를 통하여 표시하고 원격통신부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제어컴퓨터(410)는 상기 고장처리기능으로부터 액세스한 처리신호로부터 회로에 연결되어 점등된 가로등수를 파악하고 합산소비전류를 산출하며, 합산된 전류와 미리 설정한 전류 값을 인식된 전류와 비교하여 고장을 판단하고, 고장신호가 산출되면 가로등구동신호를 인터럽트하여 가로등구동부(480)를 통하여 가로등회로의 전기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산출한 고장신호와 고장처리장치(500)의 고장처리신호는 EEPROM(440)에 저장하고 LCD 및 LED등의 입출력부(450)를 통하여 외부로 표시하고 원격통신부(420)를 통하여 송신하여 가로등 고장처리정보를 원격관리장치에서 인식하도록 한다.
상기 가로등 관리방법의 이력관리기능은 가로등 관리방법의 제5과정에 해당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프로그램과 이력관리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제어컴퓨터(410)와, 외부의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시스템에 제공하는 GPS수신기(210), 및 외부로부터 이력정보를 수신하고 원격전송하는 원격통신부(420)와, 현재시각을 구동하는 RTC(470)와,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EEPROM(440)과, 가로등(30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회로전류감지부(490)와, 전원부(600)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작동하게 된다.
상기 이력관리기능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6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시스템을 구동하고 GPS수신기(210)로부터 GPS정보를 액세스하여 시각정보와 위치정보의 오류를 분석하고 GPS정보의 오류를 판별하고 GPS정보가 오류이면 GPS정보 오류를 출력하고 오류가 아니면 추출된 시각정보로 현재시각을 산출하여 RTC(430)를 보정하는 한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위치오차를 분석하고 도수분포를 분석하여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좌표를 산출하고 EEPROM(440)에 저장하며, 원격통신부(420)로부터 이력코드와 함께 가로등의 설치정보와 보수정보를 이력정보로 수신하고 고장처리정보를 수신하고, GPS오류와 수신된 이력정보와 고장처리정보는 RTC(430)와 함께 EEPROM(440)에 저장하여 시스템 자체에서 이력정보를 관리한다.
원격통신부(420)로부터 이력정보 요청코드를 수신하면, RTC(430)의 시각정보와 시스템의 작동정보와 EEPROM(440)의 이력정보와 고장관리정보와 위치좌표를 원격통신부(420)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와 같이 송신된 원격신호를 원격관리장치에서 수신하여 이력사항을 확인하며, 상기 EEPROM(440)은 제어컴퓨터(410)와 주변장치의 구성에 따라서 통상적으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이 제어컴퓨터(410)에 일체화된 형태 또는 별도 소자로 구성되지만, 관리데이터의 용량이 많고 갱신회수가 많을 경우에는 플레쉬메모리(Flash memory)형태의 기억소자를 사용하거나 백업용 전지와 함께 이루어진 RAM소자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등 관리방법의 점·소등시각을 구하는 기능은 가로등 관리방법의 제7과정에 해당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구동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시민박명시각 산출프로그램과 시민박명시각산출변수 생성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제어컴퓨터(410)와, GPS정보를 수신하여 시각정보와 위치정보를 시스템에제공하는 GPS수신기(210)와, 외부 원격관리장치와 교신하는 원격통신부(420)와, GPS수신기(210)로부터 산출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EEPROM(440)과, 시계를 구동하고 현재시각과 날짜를 운영하는 RTC(430)와, 작동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입출력부(450)와 전원부(600)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 되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점·소등시각을 구하는 기능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600)로부터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GPS수신기(210)로부터 신호를 대기하고 수신지연시간을 카운트하고 소정시간을 비교 판단하여 지연시간이 소정시간을 초과하면 GPS오류로 표시하고 소정시간이내에 GPS신호를 수신하면 위도정보를 추출하고 반복하여 또 다른 위도정보를 추출하여 상대오차를 산출하여 오차의 크기한계를 비교하여 오류를 분석하고 판별하여 오류가 아닐 때 위도 좌표의 오차를 산출하여 소정범위 이내의 정보를 취하여 중점을 구하며, 새로운 위도로 EEPROM(440)에 저장하고 위치정보오류를 리셋하고, 소정거리보다 큰 오차가 발생하는 정보는 오류로 판단하여 버리고 표시부에 GPS오류를 표시한다.
원격통신부(420)로부터 외부신호 수신을 대기하고 지역정보코드를 수신하여 EEPROM(440)에 갱신 저장하고, 한편 GPS신호를 대기하고 수신주기를 카운트하고 수신주기가 지연되는 시간을 비교 판단하여 지연시간이 소정시간을 초과하면 GPS오류로 표시하고 소정시간이내 GPS신호를 수신하면 시각정보를 추출하고 반복하여 또 다른 시각정보를 추출하여 상대오차를 산출하여 오차의 크기한계를 수신시각차와 비교하여 오류를 분석하고 판별하여 오류가 아닐 때 수신된 시각정보에 지연시간을 보상하여 현재시각을 산출하고 RTC(430)를 보정함과 아울러 시각정보오류를 리셋하고, RTC(430)의 지속적인 보정을 위하여 GPS신호를 대기하는 단계로 리턴한다.
RTC(430)의 날짜변동을 분석하고 날짜변동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변동시 아침시민박명시각과 저녁시민박명시각을 산출하고 오류가 발생하는 위도오류 정보는 버리고 표시부에 GPS오류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컴퓨터(410)는 RTC(430)로부터 당일의 날짜를 액세스하고 EEPROM(440)으로부터 위도좌표를 액세스하여 시민박명시각 산출프로그램에 변수로 적용하여 시민박명시각을 산출한다.
산출된 시민박명시각을 EEPROM(440)의 지역보정시간으로 보정하여 당일의 점·소등시각을 산출하고, RTC(470)에 의하여 가로등 작동신호를 가로등구동부(480)에 보내서 가로등(300)을 작동한다.
상기 작용의 시민박명시각은 제어컴퓨터(410)가 GPS수신기(21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미리 입력된 시민박명시각 산출프로그램의 변수로 적용하여 가로등의 점·소등 관리시각을 산출함에 있어서,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한 날짜와 시민박명시각의 기준이 되는 태양의 고도와 위도좌표에 대하여 시스템의 위치를 P(lon,lat)라 하고 시스템의 날짜를 date라 하면 시민박명시각 산출 프로그램의 변수는 위도=lat, 날짜=date가 된다.
상기 변수를 태양의 고도가 -6°아침과 저녁 표준시를 구하는 프로그램에 적용하고 산출된 시각은 경도를 0°하는 본초자오선상의 한 위도지점의 시민박명시각에 해당하고 시스템 위치의 시민박명시각은 시스템의 현재시각으로부터 12시정각과 시스템의 위치 P의 남중시각(태양의 중심이 자오선을 통과하는 시각)과 차이를 보상한 시각 또는 별도의 지역여건을 감안한 시간을 보상하므로서 가로등을 작동하는시각이 산출된다. 상기에서 시스템의 현재시각으로부터 12시정각과 시스템의 위치 P지점의 남중시각과 시차는 시스템의 위치 P의 지역의 표준시 12:00-남중시각에 의해 구해진다.
이를 덧붙여 설명하면, 어떤 지역에서 태양의 중심이 자오선을 통과하는 일남중 시각은 동일위도 상에서 다른 지역의 남중시각과 표준시를 기준 하는 경도범위 만큼의 오차범위 이내에서 같아지게 되므로 지역의 표준시각이 그 지역의 경도좌표로 대체되어서 경도좌표를 시민박명시각의 산출변수로 적용하지 않아도 가로등 설치지역의 시민박명시각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경도좌표를 지역표준시로 대체하는 것은, 위도와 경도 값 모두를 변수로 하여 그 지역의 시민박명시각을 산출하여도 그 지역에서 운용하는 표준시각을 기준으로 현재시각이 운용되며, 결과적으로 일남중과 표준시 12시와의 시간차가 발생하게 되며 지형적인 여건에 따라 추가로 시간의 가감이 필요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변수를 하나 더 관리하는 불편이 발생하고 복잡한 과정을 통하여 변수를 산출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되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가로등 관리방법의 제13과정에 해당되는 원격관리기능은 첨부도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을 구동하고 원격신호를 판단하고 처리하는 제어컴퓨터(410)와, 원격신호를 수신하는 원격통신부(420)와, 가로등구동회로의 도통전류를 감지하는 회로전류감지부(490)와,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EEPROM(440)과, 가로등의 고장을 분석하고 처리하는 가로등 고장처리장치(500)와, 가로등의 전로를 개폐하는 가로등구동부(480)와, 시스템 각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0)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격관리기능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600)로부터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컴퓨터(410)가 가로등작동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가로등구동부(480)를 통하여 가로등(300)을 작동하고 가로등 고장처리장치(500)를 통하여 가로등의 고장을 감시하고 처리하며 고장처리 결과를 시스템의 날짜와 시각과 함께 EEPROM(440)에 갱신 저장하고. 고장처리결과를 원격통신부(420)를 통하여 송신한다.
상기 송신된 고장처리정보는 원격장치에서 수신하여 확인되며 전원이 공급되고 가로등(300)을 작동하면 원격통신부(420)로부터 데이터코드 수신을 대기한다. 데이터요청코드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하고 데이터요청코드이면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과 위치좌표와 작동상태와 EEPROM(440)의 고장처리기록과 이력 데이터를 원격통신부(420)를 통하여 외부로 송신한다.
송신된 정보는 원격장치에서 수신하여 확인하며 데이터요청코드가 아니면 이력데이터인지를 판별하고 이력데이터이면 EEPROM(440)에 날짜와 시각을 부가하여 이력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력데이터도 아니면 운영데이터인지를 판별하고 운영데이터코드이면 새로운 데이터를 EEPROM(440)에 저장하고 운영데이터도 아니면 수신된 데이터를 버린다.
상기 원격통신부(420)는 통신여건에 따라 원거리에서 중앙원격관리서버(100)와 교신하기 위하여 원거리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휴대통신수단과 무선전파를 이용하는 무선데이터 통신수단과 통신속도가 빠르고 데이터통신 특성을 가진 무선인터넷 통신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는 선택적 구성과, 유지보수작업과 상태점검용으로 별도 구성되는 휴대용관리기 형태의 원격관리수단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인접한 근거리 통신용 무선 적외선 통신(IR Communication)수단과 무선전파를 이용하는 무선통신(RF Communication)수단 등으로 구성되며, 원거리와 근거리용 통신수단 예컨대 휴대용원격관리장치(110)를 선택하거나 조합하여 적용하므로서 중앙관리수단의 통신여건과 맞추어 교신할 수 있다.
상기 주광신호를 활용하여 가로등을 관리하는 기능은 가로등 관리방법의 제 14과정에 해당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광신호와 위성신호를 처리하는 제어컴퓨터와(410)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수신기(210)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EEPROM(440)과, 외부의 밝기를 감지하는 주광감지부(460)와, 시스템의 현재시각을 구동하는 RTC(470)와, 가로등(300)의 전로를 개폐하는 가로등구동부(480)와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0)가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되게 연결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광신호를 활용하여 가로등을 관리하는 기능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600)로부터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컴퓨터(410)가 시스템을 구동하고 제어컴퓨터(410)가 GPS수신기(210)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오차를 보정하여 새로운 좌표를 구하고 좌표값을 EEPROM(440)에 저장한다. 위성신호를 수신하여 RTC(470)를 보정한다.
상기 RTC(470)의 날짜와 EEPROM(440)의 위치정보를 변수로 하여 일출·몰 주기에 따른 점·소등시간을 매일 산출한다. RTC(470)오류를 판단하여 오류이면 주광센서(46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샘플링(Sampling)시간과 회수를 조절하여 주광신호의 급격한 변화와 일시적인 간섭으로부터 가로등이 안전하게 작동하게 한다.
오류가 아니면 RTC(470)보정이후의 경과시간을 카운트하여 소정시간이상 RTC(470)보정을 하지 못하면 주광신호에 따라 가로등을 작동한다. 한편, 소정시간이내에 RTC(470)를 보정하면 시민박명시각주기의 점·소등시점을 전·후하여 주광신호를 적용하도록 소정의 시간대역을 산출하고 RTC(470)가 점등과 소등시간 전후의 지정한 소정의 시간대역인가를 판단하고 소정시간대역이면 주광신호에 따라 가로등을 작동한다. RTC(470)가 소정의 시간대역이 아닐 때는 리턴하여 초기과정을 이행한다.
상기 가로등 관리방법의 안전종료 기능은 가로등 관리방법의 제 15과정에 해당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구동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전원을 감시하는 제어컴퓨터(410)와 중앙원격관리서버(100)와 교신하는 원격통신부(420), 충·방전이 가능한 예비전원부(610)와 외부전원을 수전하여 시스템각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0)가 유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안전종료 기능의 작동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600)로부터 시스템에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시스템이 구동을 시작하고 예비전원부(610)를 충전하고 상용전원의 공급여부를 감시한다. 상용전원이 차단되면 시스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지 않도록 연속하여 예비전원이 공급되어 시스템의 작동이 전원부의 공급전원차단상태에서 소정시간동안 운영한다.
정전시간을 판단하여 상용전원의 정전이 소정시간 이상 계속되면 예비전원으로 시스템의 처리작업을 완료하고 정전기록을 저장하고 원격송출하며 시스템의 처리가 완료되면 시스템을 안전하게 종료한다.
정전이 소정시간이내에 복구되어 상용전원공급이 재개되면 전원부(600)의 상용전원으로 시스템을 정상 운용하며, 리턴하여 예비전원을 충전하고 상용전원을 감시를 계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고안은 가로등의 작동상태를 감시하고 고장시 절전 등의 안전한 작동을 취하여 전력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날씨보상 관리방법에 의하면, 주광을 감지하여 날씨변동으로 인한 주변밝기를 보상하기 때문에 전천후로 가로등을 작동하도록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 운영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장치를 조작하거나 원격 통신을 통하지 않고도 입출력부를 통하여 고장과 관리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수단으로 근거리에서 가로등의 관리상태를 즉시 판별할 수 있게 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GPS정보로 가로등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의하면, 코드의 오류를 검증하여 정상데이터만을 적용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오작동 요인을 줄이고 정확도를 높이는 작용으로 GPS정보 이용여건을 개선하므로서 가로등이 원활하게작동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GPS정보로 위치정보를 보정·인식하는 방법에 의하면, 코드의 오차와 오류를 검증하고 오차를 보정하여 위치오차를 줄이고 정확도를 높이는 작용으로 정확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하며 인접한 가로등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에 의하면 시스템을 인위적인 특별한 설정을 하지 않고도 시스템을 가로등과 함께 현장에 설치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GPS수신기로부터 사용위치와 정확한 현재시각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오류 없이 정확한 시각에 가로등을 점등하고 소등하는 작용으로 설치와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통신시스템을 통하여 다수의 가로등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고 신속한 관리를 이룰 수 있고, 근거리용도와 원거리까지 가능한 용도의 양방향 원격통신부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므로서 원격관리장치와 휴대용관리장치로 구성되는 중앙관리수단과 용도별로 원활하게 통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이 고장을 처리하는 방법에 의하면, 가로등의 작동을 감지하여 오작동하거나 깜박임이 발생하는 등의 고장정보를 산출하고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서 전력의 낭비를 막고 가로등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고장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의하면 2이상의 가로등이 단일 또는 분기된 회로를 통하여 구성될 때 가로등 고장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집계한 전류와 회로의 전류를 감지하고 서로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는고장분석으로 회로와 고장분석기의 작동상태를 비교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장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의하면, 상태감시부의 신호로부터 고장정보를 산출하고 제어컴퓨터가 운용하는 시스템 CLOCK의 날짜별로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므로서 차후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저장된 고장내용을 조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장정보를 원격 감시하는 방법에 의하면, 가로등상태감시부의 신호를 분석하여 고장을 산출하면, 고장정보를 시스템의 날짜별로 메모리수단에 저장하고, 양방향 원격통신부를 통하여 송신하며, 양방향 통신부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 메모리수단에 날짜별로 저장된 고장정보를 양방향 원격통신부에 전송하여 고장정보를 원격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의하면, 양방향 원격통신부로부터 가로등의 설치정보와 부품교체정보와 고장수리정보를 수신하고, 제어컴퓨터가 운용하는 시스템 클록의 날짜별로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므로서 가로등의 이력을 시스템에 입력하여 시스템에서 필요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가로등 점·소등시각 산출방법에 의하면, 시민박명시각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의 변수로 GPS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위도정보로 가로등의 관리지역을 찾아내고 GPS정보로부터 분석한 현재시각에 따라 스스로 점·소등 시각을 산출하므로서 간편한 가로등의 점소등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과 작용을 조합하거나 다양한 설정으로 목적별로 다양하게 운용할 수 있게 하며, 고장분석과 관리를 능동적으로 처리하며, 유지보수에 필요한 위치정보와 이력 정보를 관리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편리한 관리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원격통신과 GPS수신 가로등 관리장치를 이용한 가로등 관리장치에 있어서,
    시스템의 운영프로그램을 내장하고 구동하는 제어컴퓨터와;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제어컴퓨터에 제공하는 GPS수신기와;
    상기 제어컴퓨터와 연결 구성되어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양방향 교신하는 원격통신부와;
    시계를 구동하고 현재시각과 날짜를 운영하는 RCT와;
    가로등의 작동조건과 고장정보와 이력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메모리수단과;
    제어컴퓨터와 연결되어 신호를 입력하고 운영정보를 표시하는 입출력부와;
    제어컴퓨터의 신호에 의하여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통제하는 가로등구동부와;
    상기 시스템 각부에 요구되는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가로등 전원회로의 통전전류를 감지하여 제어컴퓨터에 제공하는 회로전류감지부; 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신호에 의하여 작동조건을 설정하고 시각정보와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가로등의 점·소등을 관리하며 작동상태와 고장을 관리하고 이력을 관리하며 원격통신을 통하여 원격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통신부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호 정보교환이 가능하며 가로등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원격관리서버와 휴대용 원격관리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시스템의 안전한 종료와 고장관리를 위한 예비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어 개별인식번호를 부여하는 ID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관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외부의 밝기신호를 감지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컴퓨터에 제공하는 주광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관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고장처리프로그램을 운용하는 마이크로컴퓨터, 가로등의작동상태를 감지하고 마이크로컴퓨터의 입력신호로 변환시키는 상태감지부, 마이크로컴퓨터의 신호에 따라 가로등의 전로를 개폐하는 고장처리부, 가로등 전로를 매개체로 고장처리신호를 전송하는 PLC통신부, 가로등에 공급되는 전원으로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개별구분인식을 위한 ID부, 고장분석과 처리기준을 설정하는 설정부, 고장처리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비되어 가로등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고장을 스스로 분석하여 자체처리하며, 처리상태를 표시하고, PLC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고장처리장치와;
    제어컴퓨터와 연결되어 고장처리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와 교신하는 PLC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가로등의 운용상태와 고장처리상태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관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처리장치가 가로등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에 있어이 전구의 불빛을 감지하는 광 감지수단 또는 전류감지수단중의 한가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관리장치.
KR20-2003-0012941U 2003-04-25 2003-04-25 지피에스신호수신 및 양방향 원격통신을 이용한 가로등관리장치 KR200320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941U KR200320856Y1 (ko) 2003-04-25 2003-04-25 지피에스신호수신 및 양방향 원격통신을 이용한 가로등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941U KR200320856Y1 (ko) 2003-04-25 2003-04-25 지피에스신호수신 및 양방향 원격통신을 이용한 가로등관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151A Division KR100490951B1 (ko) 2003-04-21 2003-04-21 지피에스신호수신 및 원격통신 가로등 관리장치와 그가로등 관리장치를 이용한 가로등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856Y1 true KR200320856Y1 (ko) 2003-07-23

Family

ID=4941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941U KR200320856Y1 (ko) 2003-04-25 2003-04-25 지피에스신호수신 및 양방향 원격통신을 이용한 가로등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8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585B1 (ko) * 2006-08-04 2008-03-06 (주)지오넷 가로등 시스템
KR101569815B1 (ko) 2014-01-10 2015-11-18 (주)엠케이 시간대별 조명등 디밍 제어 장치
CN109195293A (zh) * 2018-08-16 2019-01-11 深圳市泰和安科技有限公司 一种在线应急灯具监控方法及在线应急灯具监控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585B1 (ko) * 2006-08-04 2008-03-06 (주)지오넷 가로등 시스템
KR101569815B1 (ko) 2014-01-10 2015-11-18 (주)엠케이 시간대별 조명등 디밍 제어 장치
CN109195293A (zh) * 2018-08-16 2019-01-11 深圳市泰和安科技有限公司 一种在线应急灯具监控方法及在线应急灯具监控系统
CN109195293B (zh) * 2018-08-16 2020-02-07 深圳市泰和安科技有限公司 一种在线应急灯具监控方法及在线应急灯具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1495B2 (en) System for the monitoring and maintenance of remote autonomously powered lighting installations
US10205345B2 (en) System for the monitoring and maintenance of remote autonomously powered lighting installations
US10314147B2 (en) Managing streetlights
US8013718B2 (en) Photoelectric controller for electric street lighting
US7333903B2 (en) Light management system having networked intelligent luminaire managers with enhanced diagnostics capabilities
US9135817B2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US20150025655A1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US10256662B2 (en)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 piece of electrical equipment
KR100490951B1 (ko) 지피에스신호수신 및 원격통신 가로등 관리장치와 그가로등 관리장치를 이용한 가로등 관리방법
KR20050003165A (ko) 컴퓨터 원격 양방향 가로등 종합관리방법과 그 시스템
KR200320856Y1 (ko) 지피에스신호수신 및 양방향 원격통신을 이용한 가로등관리장치
KR19980019408A (ko) 유무선 송수신형 가로등 콘트롤러(Controller for street lamp with transmitting/receiving function through wire or wireless)
KR101011452B1 (ko) 자동 점멸 가로등
KR100458309B1 (ko) 가로등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FR2893197A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e pannes et de surveillance d'eclairage public
KR19980019411A (ko) 역률 조정이 가능한 가로등 콘트롤러(Street lighting controller able to control power factor)
KR100782428B1 (ko) 원격 가로등 절전 콘트롤러
KR200329178Y1 (ko) 컴퓨터 원격 양방향 가로등 종합관리 시스템
KR101702396B1 (ko) 무선 rf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
CN110769578A (zh) 一种城市照明景观综合管控系统
KR100775040B1 (ko) 복합 기능형 배전 방식의 원격 가로등 절전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