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572Y1 - Odor discharging system for a toilet - Google Patents

Odor discharging system for a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572Y1
KR200320572Y1 KR20-2003-0012221U KR20030012221U KR200320572Y1 KR 200320572 Y1 KR200320572 Y1 KR 200320572Y1 KR 20030012221 U KR20030012221 U KR 20030012221U KR 200320572 Y1 KR200320572 Y1 KR 200320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control signal
opening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22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월드건설 주식회사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드건설 주식회사, 강흥묵 filed Critical 월드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2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57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572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8Built-in suction cleaner installations, i.e. with fixed tube system to which, at different stations, hoses can be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Abstract

건물 내의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이 개시된다. 감지장치는 변기의 소정 반경 내로 인체가 근접됨을 감지하여 인체 근접 신호를 출력한다. 배관부재는 감지장치에 일단이 연결되어 악취의 배출을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개폐장치는 배관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 연결파이프의 바깥 둘레에 끼워지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 파이프의 내부를 개폐하는 밸브판,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밸브판과 축결합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다. 제어부는 감지장치로부터 인체 근접신호를 인가받아 일정시간 유지되는 지를 판단하고, 인체 근접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됨으로 판단되면, 개폐장치의 구동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개폐 제어신호 및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의 컨트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컨트롤러는 개폐장치로부터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의 배관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컨트롤 제어 신호에 따라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이 작동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은 화장실의 좌변기로부터 발생된 악취를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Disclosed is a odor emission system of a toilet seat operated automatically using a suction force of a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in a building. The sensing device detects that the human body i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toilet and outputs a human body proximity signal. One end of the pipe member is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to form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odor. The switchgear includes a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iping member, a base plat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ipe, a valve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ase plate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and a rear surface of the base plate. It consists of a drive motor axially coupled with the valve plate.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receiving the proximity signal from the sensing devic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ignal and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for operating the driving motor of the switching device.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piping line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from the switchgear, and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ntrol signal to generate the suction force. The 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seat can automatically discharge the odor generated from the toilet seat of the toilet by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Description

좌변기용 악취배출시스템{ODOR DISCHARGING SYSTEM FOR A TOILET}Odor discharge system for toilet seats {ODOR DISCHARGING SYSTEM FOR A TOILET}

본 고안은 좌변기용 악취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변기에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 그 신호에 따라 건물에 설치된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을 가동하여 변기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좌변기용 악취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dor discharge system for toilet seats. More particularly,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the odor for toilet seat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operating a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installed in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signal. It relates to an exhaust system.

통상적으로, 좌변기용 악취배출시스템은 화장실의 변기의 사용과 관련하여발생된 암모니아 악취 분자를 포함하는 악취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Typically, a odor discharge system for toilet seats is provided for releasing odor air containing ammonia odor molecules gen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use of the toilet in the toilet.

이러한 종래의 좌변기용 악취배출시스템은 널리 사용되는바, 그 대표적인 것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0-00277599호 (본 출원인에 의해 2002년 5월 27일자로 등록; 좌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 악취배출장치는 하우징, 개폐장치 및 작동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일측이 개구된 중공의 하우징은 변기의 상단 둘레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개폐장치는 변기와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 사이를 개방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다. 작동 스위치는 개폐장치에 의해 중앙집중 청소시스템을 작동시키도록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은 주택이나 상가와 같은 건물에 설치되어 있다.Such a conventional toilet odor discharge system is widely used, the representative one,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0277599 (registered on May 27, 2002 by the applicant; the toilet odor discharge device of the toilet) It is. This malodorous discharge device consists of a housing, a switchgear and an operation switch. The hollow housing having one side opene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ound the upper end of the toilet bowl. The switchgear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open between the toilet and the centralized vacuum system. An actuating switch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housing to operate the centralized cleaning system by means of a switchgear. Here,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is installed in a building such as a house or a shopping mall.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좌변기용 악취배출시스템에 있어서, 좌변기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착석하게 되면, 개폐장치는 변기 시트의 압력에 의해 개방된다. 이어, 개폐장치는 작동 스위치를 눌러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을 가동시킨다. 이에 따라,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의 흡입력은 변기 내에 발생된 악취가 개폐장치를 통과하여 변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좌변기용 악취배출시스템은 변기 시트의 접촉에 의해 작동 스위치 및 개폐장치가 동작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따른 변형에 의해 오작동의 우려가 있다. 게다가, 종래의 좌변기용 악취배출시스템의 고장 발생시 이를 고치기 전까지 악취가 진동하는 실내에서 용변 및 소변을 보야아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odor discharge system for the toilet seat having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to use the toilet seat, the switchgear is opened by the pressure of the toilet seat. The switchgear then presses an actuation switch to start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Accordingly, the suction force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allows the odor generated in the toile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through the switchgear.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odor discharge system for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ration switch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operated by the contact of the toilet seat there is a risk of malfunction due to deformation due to long-term us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stool and urine should be seen in the room where the odor vibrates before fixing the odor discharge system for a conventional toilet.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변기의 착석자를 감지하여 변기 내의 악취를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으로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seat to detect the seat occupant of the toilet and automatically discharge the odor in the toilet to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hav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장 발생시에도 별도의 수동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변기내의 악취를 배출시킬 수 있는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seat that can discharge the odor in the toilet by the operation of a separate manual switch even when a failure occurs.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변기, 상기 변기의 상단 둘레에 설치되는 변기 시트, 및 상기 변기 시트의 개방된 부위를 덮는 시트 커버로 이루어진 좌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odor discharge device of the toilet seat comprising a toilet seat, a toilet seat installed around the top of the toilet seat, and a seat cover covering the open portion of the toilet seat,

상기 변기의 상단 둘레의 일측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변기의 소정 반경 내로 인체가 근접됨을 감지하여 인체 근접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장치;A sensing device that is fitted to one side of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toilet and detects that the human body i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toilet and outputs a human body proximity signal;

상기 감지장치에 일단이 연결되어 악취의 배출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는 배관부재;A pipe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to form a passage for odor emission;

상기 배관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 상기 연결파이프의 바깥 둘레에 끼워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 파이프의 내부를 개폐하는 밸브판,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상기 밸브판과 축결합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개폐장치;A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iping member, a base plate fitted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ipe, a valve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and the base plate.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med of a driving motor axially coupled to the valve plate at a rear surface thereof;

상기 개폐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인체 근접신호를 인가받아 일정시간 유지되는 지를 판단하고, 인체 근접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됨으로 판단되면, 상기 개폐장치의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개폐 제어신호 및 중앙집중진공청소시스템의 컨트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from the sensing devic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drive motor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And

상기 개폐장치로부터 상기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의 배관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 제어 신호에 따라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이 작동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onnected to the pipe line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from the switchgea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by operating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control control signal.

상기 감지장치는 하부에 "U"자형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변기의 상단 둘레에 끼워지고, 전면, 상면 및 배면에 이르기까지 악취의 배출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단 일측에 빔캐쳐의 캐쳐 설치공이 형성되고, 배면에 요입부가 형성되는 센서 커버; 및 상기 캐쳐 설치공과 인접 위치에서 상기 센서 커버의 상기 요입부 내에 설치되고, 상면에 센서가 설치되어 소정 반경 내로 인체가 근접됨을 감지하여 인체 근접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The sensing devi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shaped fixing groove is fitted around the top of the toilet, the body of the odor discharge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front, top and rear; A sensor cover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and having a catcher installation hole of a beam catcher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side thereof, and having a recess i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a sensor bracket installed in the recess of the sensor cove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atcher mounting hole, and having a sensor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o detect proximity of a human body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outputting a human body proximity signal.

상기 감지장치의 상기 몸체와 상기 센서 커버 사이의 공간에는 분리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separator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body of the sensing device and the sensor cover.

상기 감지장치의 상기 몸체와 상기 센서 커버 사이에 형성된 상기 배출통로에는 여과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ilter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formed between the body of the sensing device and the sensor cover.

상기 감지장치의 몸체의 바닥에는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역지변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of the body of the sensing devic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everse displacement for discharging moisture.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의 동작을 개시하고, 감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흡입력을 소정 비율로 감압하기 위한 감압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진공청소시스템의 다수의 콘센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센트에 청소기 호스가 체결될 때, 개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The controller starts the operation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ntrol signal, and performs pressure reduction control for reducing the suction force at a predetermined rate in response to the pressure reducing control signal, and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of the vacuum cleaning system. When the cleaner hose is connected to any one or more outlets,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ignal is outpu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체근접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되고 상기 개폐 제어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컨트롤 제어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 제어신호의 출력을 감지하여 상기 밸브판이 소정 비율의 개구율을 갖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인체근접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되고 상기 개폐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감압 제어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출력하여 상기 감압 제어신호의 출력을 감지하여 상기 밸브판의 개구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when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ignal is input, and outputs the control control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by detecting the output of the control control signal and the When the valve plate controls the driving motor to have a predetermined ratio of opening ratio, and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open / close control signal is not input, the decompression control signal is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o output the decompression control signal.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e motor is controlled so that the opening ratio of the valve plate is detected to be maximum.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에 있어서, 감지장치는 변기의 상단 둘레에 끼워져 인체가 근접됨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어 오작동의 우려가 예방된다. 게다가, 개폐장치의 프론트 케이스에는 수동 스위치를 설치하여 감지장치의 오작동 발생시 개폐장치 및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악취배출 시스템은 건물 자체에 설치된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the 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detection device is fitt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toilet can automatically detect that the human body is close to prevent the risk of malfunction. In addition, a manual switch can be installed in the front case of the switchgear to operate the switchgear and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in the event of a malfunction of the sensing device. Odor emission system can be conveniently used by using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installed in the building itself.

도 1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악취배출시스템의 적용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odor discharge system for the toi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좌변기용 악취배출시스템과 중앙집중 진공청소 시스템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FIG. 2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odor discharge system for the toilet and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서 감지장치, 배관 파이프 및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ing device, a piping pipe and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 FIG. 1;

도 4는 도 3의 A - A 선에 따라 도시된 결합 단면도;4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밸브판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alve plate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10)의 악취배출시스템(100)의 적용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좌변기(10)의 악취배출시스템(100)과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과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감지장치(110), 배관 파이프(150) 및 개폐장치(170)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odor emission system 100 of the toilet seat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odor emission system 100 and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of the toilet 10 shown in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nsing device 110, the piping pipe 15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in FIG. 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0)는 변기(12), 변기(12)의 상단 후방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개폐되는 변기 시트(14)와 변기 커버(16)를 포함한다. 변기(12)의 후방에는 변기(12)내의 오물을 세척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18)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악취배출시스템(100)은 감지장치(110), 배관 파이프(150), 개폐장치(170), 제어부(160) 및 컨트롤러(21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toilet seat 10 includes a toilet seat 12, the toilet seat 14 and the toilet seat cover 16 is hinged to the rear of the top of the toilet seat 12 to rotate. The rear of the toilet 12 is provided with a water tank 18 for storing water for cleaning the dirt in the toilet 12. Odor emission syste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ensing device 110, a pipe pipe 150,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the control unit 160 and the controller 210.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좌변기용 악취배출시스템(100)의 감지장치(110)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장치(110)는 몸체(112)에 센서 브라켓(136)과 센서커버(124)가 결합된다. 게다가, 센서커버(124)에는 빔캐쳐(146)가 설치된다.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의 하부에는 변기(12)의 상부 둘레에 끼워 접촉되도록 "U"자형의 고정홈(114)이 형성된다.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의 고정홈(114)의 일측벽에는 고정 완충체(115)가 부착된다. 고정 완충체(115)는 감지장치(110)가 좌변기(10)의 변기(12)에 설치되었을 때 감지장치(110)의 몸체(112)가 변기(12)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면서, 고정 완충체(115)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감지장치(110)의 몸체(112)가 변기(12)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한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etection device 110 of the bad smell discharge system 100 for the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sensing device 110 has a sensor bracket 136 and a sensor cover 124 coupled to the body 112. In addition, the beam cover 146 is installed in the sensor cover 124.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114 of the "U" shaped to fit in contact with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toilet (12). The fixing buffer 115 is attached to one side wall of the fixing groove 114 of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The fixed buffer 115 is a fixed buffer without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toilet 12 when the sensing device 110 is installed in the toilet 12 of the toilet seat (10).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toilet 1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ieve 115 itself.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의 전면, 상면 및 배면에 이르기까지 악취의 배출통로(116)가 형성된다.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의 바닥에는 역지변(122)이 설치되어 수분을 배출시킨다. 감지장치(110)는 좌변기(10)의 변기(12)와 변기 시트(14) 사이에 위치된다.The discharge passage 116 of the odor is formed up to the front, top and back of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On the bottom of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a reverse finger 122 is installed to discharge moisture. The sensing device 110 is located between the toilet seat 12 and the toilet seat 14 of the toilet seat 10.

센서커버(124)는 몸체(112)의 전면에 결합된다. 센서커버(124)의 전면 상단에는 캐쳐 설치공(128)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요입부(130)가 형성된다.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와 센서커버(124) 사이의 공간에는 분리판(132)이 설치된다. 분리판(132)은 변기(12)로부터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의 배출통로(116)를 따라 이동되어 온 습기 등이 추후에 설명될 센서 브라켓(136)의 회로기판(미도시됨)에 전달되지 않게 한다.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와 센서커버(124) 사이에 형성된 배출통로(116)에는 부직포나 필터와 같은 여과재(134)가 설치된다.The sensor cover 124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ody 112. The catcher mounting hole 128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end of the sensor cover 124, and the recessed part 1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The separating plate 132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body 112 and the sensor cover 124 of the sensing device 110. Separation plate 132 is a circuit board (not shown) of the sensor bracket 136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the moisture and the like moved from the toilet 12 along the discharge passage 116 of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Is not delivered. The discharge passage 116 formed between the body 112 and the sensor cover 124 of the sensing device 110 is provided with a filter material 134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a filter.

센서 브라켓(136)은 캐쳐 설치공(128)과 인접 위치된 센서커버(124)의 요입부(130) 내에 설치된다. 센서 브라켓(136)의 상면에는 센서(138)가 설치되어 소정 반경 내로 인체가 근접됨을 감지하여 인체 근접 신호를 출력한다. 그 한 예로, 센서(138)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140), 소정 반경 내로 인체가 근접됨을 감지하여 인체 근접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142), 및 인체 근접 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14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센서(138)는 인체 감지 센서도 사용될 수 있다. 센서 브라켓(136)의 빔캐쳐(beam catcher)(146)는 센서커버(124)의 캐쳐 설치공(128)에 설치된다.The sensor bracket 136 is installed in the recess 130 of the sensor cover 124 positioned adjacent to the catcher mounting hole 128. The sensor 138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bracket 136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human body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output a human proximity signal. As an example, the sensor 138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140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a light receiving unit 142 for detecting a proximity of a human body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outputting a human body proximity signal,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to the outside ( 144). In addition, the sensor 138 may also be a human body sensor. The beam catcher 146 of the sensor bracket 136 is installed in the catcher mounting hole 128 of the sensor cover 124.

배관 파이프(150)는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에 형성된 고정홈(114)의 일측벽에 일단이 연결된다. 배관 파이프(150)의 중간 부위는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곡선인 장소에 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배관 파이프(150)는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에 형성된 배출통로(116)를 경유한 변기(12)의 악취가 통과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감지장치(110)는 도 2에서 보여준 위치 뿐만 아니라 대향된 방향의 변기(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배관 파이프(150)은 도 3에서 보여지는 방향에서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에 부착되지만, 이와는 정반대 방향으로 부착도 가능하다.The pipe pipe 1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one side wall of the fixing groove 114 formed in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The middle portion of the piping pipe 150 is formed to be flexible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curved place. The piping pipe 150 is formed to be hollow so that the bad smell of the toilet 12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16 formed in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The sensing device 110 may be installed in the toilet 12 in opposite directions as well as the position shown in FIG. 2. At this time, the pipe pipe 150 is attached to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ure 3,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in the opposite direction.

제어부(160)는 감지장치(110)의 센서(138)와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컨트롤러(210)에 연결된다. 제어부(160)는 인체근접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되고 개폐 제어신호가 입력될 경우, 컨트롤 제어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출력하며, 컨트롤 제어신호의 출력을 감지하여 밸브판(178)이 소정 비율의 개구율을 갖도록 구동모터(180)를 제어하고, 인체근접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되고 개폐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감압 제어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출력하여 그 감압 제어신호의 출력을 감지하여 밸브판(178)의 개구율이 최대가 되도록 구동모터(18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160 is connected to the sensor 138 of the sensing device 110 and the controller 210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The controller 160 outputs a control control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n opening / closing control signal is input, and the valve plate 178 detects the output of the control control signal so that the valve plate 178 generates an opening ratio of a predetermined ratio. When the driving motor 180 is controlled to have a control signal, and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signal is not input, the decompression control signal is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o detect the output of the decompression control signal and the valve plate 178. The driving motor 180 is controlled so that the opening ratio of the maximum is maximized.

개폐장치(170)는 일측 표면에 삽지공(176)이 관통된 밸브 안내홈(174)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72), 베이스 플레이트(172)의 밸브 안내홈(174)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삽지공(176)을 개폐하도록 회동되는 밸브판(178), 베이스 플레이트(172)의 배면에서 밸브판(178)을 회동시키도록 축결합되는 구동모터(180), 베이스 플레이트(172)의 삽지공(176)에 끼워져 그 선단이 배관 파이프(150)와 연결되는 소경부(184)와 그 소경부(184)의 후방으로 대경부(186)가 일체로 연장되는 중공의 연결 파이프(182), 베이스 플레이트(172)의 전방에 위치되며 배관 파이프(150)의 타단이 관통되는 프론트 케이스(188),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72), 밸브판(178) 및 구동모터(180)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프론트 케이스(188)와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190)로 이루어진다. 이때, 리어 케이스(190)의 후방에는 연결 파이프(182)의 대경부(186)의 일부가 돌출된다. 여기서, 개폐장치(170)는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배관라인(222)에 연결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valve guide groove 174 of the base plate 172, the base plate 172 is formed with a valve guide groove 174 through which the insertion hole 176 is penetrated to one side surface Valve plate 178 rotated to open and close 176, drive motor 180 axially coupled to rotate valve plate 178 on the back of base plate 172, and insertion hole 176 of base plate 172. The small diameter portion 184, the front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ipe pipe 150, and the hollow connection pipe 182 and the base plate 172 which the large diameter portion 186 integrally extends to the rear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84. The front case 188 is located in front of the () and the other end of the pipe pipe 150, and the front case 188 to surround the base plate 172, the valve plate 178 and the drive motor 180 from the outside. It consists of a rear case 190 coupled with. At this time, a part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86 of the connection pipe 182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rear case 190. Her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is connected to the pipe line 222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see Figs. 1 and 2).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10)는 개폐장치(170)로부터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배관라인(222)에 의해 연결된다. 컨트롤러(210)는 컨트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동작을 개시하고, 감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흡입력을 소정 비율로 감압하기 위한 감압제어를 수행하며, 다수의 콘센트(22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센트(224)에 청소기 호스(도시안됨)가 체결될 때, 개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충분한 진공청소 흡입력으로 가압되게 한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controller 210 is connected by the piping line 222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from the switch 170. The controller 210 starts the operation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ntrol signal, performs a decompression control to depressurize the suction force at a predetermined rate in response to the decompression control signal, and provides a plurality of outlets 224. When the cleaner hose (not shown) is fastened to any one or more outlets 224,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signal is output to be pressurized with sufficient vacuum suction force.

수동 스위치(200)는 프론트 케이스(188)에 설치되며, 개폐장치(170)의 구동모터(180)와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컨트롤러(210)에 각각 회로적으로 연결된다. 수동 스위치(200)는 감지장치(110)의 고장 발생시 개폐장치(170)의 구동모터(180)가 작동되게 하고 컨트롤러(210)에 제어 신호를 보내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을 작동시킨다.(도 1과 도 3참조)The manual switch 200 is installed in the front case 188, and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8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and the controller 210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respectively. The manual switch 200 causes the driving motor 18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to operate when a failure of the sensing device 110 occurs and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r 210 to operate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See Figures 1 and 3)

한편, 센서 브라켓(136)에 일단이 접속된 전선은 감지장치(110)의 몸체(112), 배관 파이프(150), 프론트 케이스(188)를 경유한 후, 베이스플레이트(172)의 전선 구멍(177)을 관통하여 후방에 위치된 제어부(160)에 타단이 접속된다.Meanwhile, the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nsor bracket 136 passes through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the piping pipe 150, and the front case 188, and then the wire hole (of the base plate 172).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located through the through 177.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기술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bad smell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다시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화장실의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10)의 변기(12)에 설치된 변기 시트(14)에 착석하면, 센서 브라켓(136)에 설치된 발광부(140)와 수광부(142)와 같은 센서(138)가 소정 반경 내로 인체가 근접됨을 감지하여 인체 근접 신호를 출력한다.First, referring again to FIGS. 1, 2 and 3, when the user of the toilet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14 installed in the toilet 12 of the toilet 10 to see the toilet, the sensor bracket 136 is installed. A sensor 138 such as the light emitting unit 140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42 detects that the human body i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outputs a human body proximity signal.

이어, 제어부(160)는 인체 근접신호를 인가받아 일정시간 유지되는 지를 판단하고, 인체 근접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됨으로 판단되면, 개폐장치(170)의 구동모터(180)를 동작시키기 위한 개폐 제어신호 및 컨트롤러(2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컨트롤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컨트롤러(210)는 컨트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동작을 개시한다. 컨트롤러(210)는 감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흡입력을 소정 비율로 감압하기 위한 감압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60)에서는 인체근접 신호가 일정 시간 유지되고 개폐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감압 제어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출력하여 그 감압 제어신호의 출력을 감지하여 밸브판(178)의 개구율이 최대가 되도록 구동모터(180)를 제어한다.Subsequently,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160 opens / close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driving motor 180 of the switching device 170. And generates a control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controller 210. The controller 210 initiates the operation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ntrol signal. The controller 210 performs decompression control to decompress suction force at a predetermined rate in response to the decompression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is a case where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and the open / close control signal is not input. Accordingly, the controller 160 outputs the depressurization control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detects the output of the depressurization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driving motor 180 to maximize the opening ratio of the valve plate 178.

이 과정에서, 청소시 사용되는 정상적인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흡입력이 20이라 할 때, 감압된 흡입력은 정상적인 흡입력에 비해 1/20 정도가 된다.이때에는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콘센트(224)에 청소기 호스(도시안됨)가 체결되지 않았을 경우이다.In this process, when the suction power of the normal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used for cleaning is 20, the reduced suction power is about 1/20 of the normal suction power. In this case,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This is the case when the cleaner hose (not shown) is not fastened to the outlet 224.

이렇게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이 동작되어 흡입력을 발생한 상태에서, 좌변기(10)의 변기(12) 내에서 발생된 악취는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흡입력에 의해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에 형성된 배출통로(116)를 따라 배관 파이프(150)를 향하여 이동된다. 이때,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의 배출통로(116)에는 악취 뿐만 아니라 변기(12) 내의 습기 및 물도 함께 이동될 수도 있다. 그 습기 및 물은 배출통로(116)에 설치된 여과부재(134)에 의하여 1차로 여과되며 그 여과된 나머지의 물은 역지변(122)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배관 파이프(150)내로 유입된 악취는 배관 파이프(150)와 배관라인(222)을 따라 이송되어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포집장치(도시안됨)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this state in which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is operated to generate suction power, the odor generated in the toilet 12 of the toilet seat 10 is detected by the suction power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It is moved toward the pipe pipe 150 along the discharge passage 116 formed in the body 112 of the. At this time, the discharge passage 116 of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may move not only bad smell but also moisture and water in the toilet 12. The moisture and water are first filtered by the filtration member 134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116, and the remain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reverse side 122. By this process, the odor introduced into the pipe pipe 150 is transported along the pipe pipe 150 and the pipe line 222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collecting device (not shown)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do.

추가적으로,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은 인체근접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되는, 즉 용변을 보는 것으로 판단되면,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을 자동으로 동작시킨다. 이후, 용변이 끝나고 인체가 좌변기(10)로부터 소정 반경 내를 벗어날 경우에도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은 대략 5 내지 60초 정도 동작이 계속 유지된 다음, 개폐장치(170)의 구동모터(180)를 동작시켜 밸브판(178)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72)의 삽지공(176)을 밀폐시킨다.In addition,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automatically operates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that is, the toilet. Subsequently, even when the toilet is finished and the human body deviate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toilet seat 10,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continues to operate for about 5 to 60 seconds, and then the driving motor of the switching device 170 ( 180 is operated to seal the insertion hole 176 of the base plate 172 by the valve plate 178.

한편, 용변을 보는 중에 다른 사용자가 청소를 위해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다수의 콘센트(224) 중 어느 하나에 청소기 호스(도시안됨)가 체결될때, 컨트롤러(210)은 개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제어부(160)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근접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되고, 개폐 제어신호가 입력될 경우, 컨트롤 제어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출력하여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동작을 개시한다. 이와 아울러, 제어부(160)는 컨트롤 제어신호의 출력을 감지하여 밸브판(178)이 소정비율의 개구율을 갖도록 제어한다. 즉,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흡입력은 청소가 가능하도록 19/20 정도로 유지한다. 그러나, 좌변기(10)의 사용도중 발생되는 악취를 배출하기 위한 흡입력은 1/20 정도로 유지해도 충분히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a cleaner hose (not shown) is fasten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utlets 224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for cleaning by another user while viewing the toilet, the controller 210 generates an open / close control signal. Output Thus, the controller 160 maintains the proximity signal to the human body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open / close control signal is input, outputs the control control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senses the output of the control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valve plate 178 to have an opening ratio having a predetermined ratio. That is, the suction power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is maintained at about 19/20 to enable cleaning. However, the suction force for discharging the odor generated during use of the toilet seat 10 can be sufficiently maintained at about 1/20.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콘센트(224)에 청소기 호스(도시안됨)를 체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흡입력이 20 정도로 유지된다. 반면에, 좌변기(10)의 사용시, 개폐장치(170)의 밸브판(178)은 제어부(160)의 제어 동작에 의해 그 흡입력이 1/20 정도로 유지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72)에 형성된 삽지공(176)을 막아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좌변기(10)로부터 발생된 악취는 1/20 정도의 흡입력만으로 배출시켜 주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개폐장치(170)는 개폐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모터(180)를 작동시키고, 그 구동모터(180)의 작동에 따라 개폐장치(170)의 밸브판(178)은 베이스 플레이트(172)의 밸브 안내홈(174)을 따라 회동되어 삽지공(176)을 개방한다. 이와 동시에, 컨트롤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컨트롤러(210)는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을 작동시켜 흡입력을 발생한다.When a vacuum cleaner hose (not shown) is fastened to the outlet 224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and used, the suction force is maintained at about 20 degrees.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toilet seat 10, the valve plate 178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the insertion hole 176 formed in the base plate 172 to maintain the suction force of about 1/20 by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60 ). In this way, the odor generated from the toilet seat 10 is discharged with only a suction force of about 1/20. In more detail,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operates the driving motor 180 in response to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ignal, and the valve plate 178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is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80. It rotates along the valve guide groove 174 of the plate 172 to open the insertion hole 176. At the same time,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ntrol signal, the controller 210 operates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to generate a suction for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은 사용자가 용변 및 배변을 위해 좌변기의 변기에 설치된 변기 시트에 착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을 동작시켜 자동적으로 악취를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덧붙여서, 용변 이후에도 소정 시간동안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을 동작시켜 화장실 내의 악취를 보다 완전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toilet seat installed in the toilet of the toilet for toilet and bowel movements, it detects this and operates a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to automatically smel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ischarg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dor in the toilet can be more completely discharged by operating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after the toilet.

아울러, 감지장치의 고장 발생시에는 변기의 사용자는 수동 스위치를 조작하여 개폐장치의 밸브를 열고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을 동작시켜 변기 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켜 변기의 사용자가 편안하게 용변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sensing device, the toilet user operates the manual switch to open the valve of the switchgear and operates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to discharge the odor in the toilet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of the toilet can see the toilet comfortably. It works.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상기한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modified or improved within the scope of ordinary knowledge.

Claims (9)

변기(12), 상기 변기(12)의 상단 둘레에 설치되는 변기 시트(14)로 이루어진 좌변기의 악취배출장치에 있어서,In the toilet seat odor discharge device consisting of a toilet seat 12, the toilet seat 14 is install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toilet seat 12, 상기 변기(12)의 상단 둘레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변기(12)의 소정 반경 내로 인체가 근접됨을 감지하여 인체 근접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장치(110);A detection device (110) installed detachably on one side of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toilet (12), and detecting a proximity of a human body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toilet (12) to output a human proximity signal; 상기 감지장치(110)에 일단이 연결되어 악취의 배출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는 배관부재;A pipe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110 to form a passage for discharging of a bad smell; 상기 배관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182), 상기 연결파이프(182)의 바깥 둘레에 끼워지는 베이스 플레이트(172),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72)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 파이프(182)의 내부를 개폐하는 밸브판(178),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72)의 배면에서 상기 밸브판(178)과 축결합되는 구동모터(180)로 이루어진 개폐장치(170);A connecting pipe 18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iping member, a base plate 172 fitted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ipe 182, and rotatabl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ase plate 172 so that the connecting pipe (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consisting of a valve plate 17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ior of the 182, and a drive motor 180 axially coupled to the valve plate 178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plate 172; 상기 개폐장치(170)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장치(110)로부터 인체 근접신호를 인가받아 일정시간 유지되는 지를 판단하고, 인체 근접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됨으로 판단되면, 상기 개폐장치(170)의 상기 구동모터(180)를 동작시키기 위한 개폐 제어신호 및 중압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컨트롤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60); 및It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to determine whether to maintain a certain time by receiving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from the sensing device 1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certain time, the driv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A controller 160 generating an opening / closing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motor 180 and a control control signal of the medium pressure vacuum cleaning system 220; And 상기 개폐장치(170)로부터 상기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배관라인(22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이 작동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러(210)Th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by the pipe line 222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ntrol signal to generate a suction force (210)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11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ing device 110 하부에 "U"자형의 고정홈(114)이 형성되어 상기 변기(12)의 상단 둘레에 끼워지고, 전면, 상면 및 배면에 이르기까지 악취의 배출통로(116)가 내부에 형성되는 몸체(112);A body 112 having a U-shaped fixing groove 114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fitt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toilet 12, and an odor discharge passage 116 is formed therein up to the front, top, and rear surfaces thereof. ); 상기 몸체(112)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단 일측에 빔캐쳐(146)의 캐쳐 설치공(128)이 형성되고, 배면에 요입부(130)가 형성되는 센서 커버(124); 및A sensor cover 124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12 and having a catcher mounting hole 128 of the beam catcher 146 formed at one upper end thereof, and having a recessed portion 130 formed at a rear surface thereof; And 상기 캐쳐 설치공(128)과 인접 위치에서 상기 센서 커버(124)의 상기 요입부(130) 내에 설치되고, 상면에 센서(138)가 설치되어 소정 반경 내로 인체가 근접됨을 감지하여 인체 근접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브라켓(13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It is installed in the concave portion 130 of the sensor cover 124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catcher mounting hole 128, the sensor 138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human body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to detect a human proximity signal 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nsor bracket 136 to outpu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110)의 상기 몸체(112)와 상기 센서 커버(124) 사이의 공간에는 분리판(13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The odor emission system of the toile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separation plate (132)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and the sensor cover (12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110)의 상기 몸체(112)와 상기 센서커버(124) 사이에 형성된 상기 배출통로(116)에는 여과재(13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ischarge passage 116 formed between the body 112 and the sensor cover 124 of the sensing device 110, the 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medium 134 is installed.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110)의 몸체(112)의 바닥에는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역지변(12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3. The 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reverse valve (122) for discharging water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ody (112) of the sensing device (1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38)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140), 소정 반경 내로 인체가 근접됨을 감지하여 인체 근접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142), 및 인체 근접 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14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sensor 138 displays the light emitting unit 140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the light receiving unit 142 for detecting a proximity of a human body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outputting a human body proximity signal, and a human body proximity signal to the outside. 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unit (14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10)는 상기 컨트롤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중앙집중 진공청소시스템(220)의 동작을 개시하고, 감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흡입력을 소정 비율로 감압하기 위한 감압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진공청소시스템(220)의 다수의 콘센트(224)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센트(224)에 청소기 호스가 체결될 때, 개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3. The controller 210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210 initiates the operation of the centralized vacuum cleaning system 220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ntrol signal, and performs decompression control for depressurizing suction force at a predetermined rate in response to the decompression control signal. And, when the vacuum cleaner hose is fastened to any one or more outlets 224 of the plurality of outlets 224 of the vacuum cleaning system 220, outputs a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ignal,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개폐장치(17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체근접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되고 상기 개폐 제어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컨트롤 제어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 제어신호의 출력을 감지하여 상기 밸브판(178)이 소정 비율의 개구율을 갖도록 상기 구동모터(180)를 제어하고, 상기 인체근접 신호가 일정시간 유지되고 상기 개폐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감압 제어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출력하여 상기 감압 제어신호의 출력을 감지하여 상기 밸브판(178)의 개구율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구동모터(18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The control unit 160 is installed insid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and when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ignal is input, and outputs the control control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control signal When the valve plate 178 is detected to control the driving motor 180 to have an opening ratio of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 human body proximity signal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open / close control signal is not input, the decompression control And outputting a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ense the output of the depressurization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drive motor (180) to maximize the opening ratio of the valve plate (17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170)의 상기 프론트 케이스(188)에는 수동 스위치(2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The front case (188)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the 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al switch 200 is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170)는 프론트 케이스(188)와 리어 케이스(190)가 더 포함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188)와 상기 리어 케이스(19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72), 상기 밸브판(178) 및 상기 구동모터(180)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악취배출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70 further includes a front case 188 and the rear case 190, the front case 188 and the rear case 190 is the base plate 172, Odor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wrap the valve plate 178 and the drive motor 180 from the outside.
KR20-2003-0012221U 2003-04-21 2003-04-21 Odor discharging system for a toilet KR20032057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221U KR200320572Y1 (en) 2003-04-21 2003-04-21 Odor discharging system for a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221U KR200320572Y1 (en) 2003-04-21 2003-04-21 Odor discharging system for a toi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572Y1 true KR200320572Y1 (en) 2003-07-22

Family

ID=4941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221U KR200320572Y1 (en) 2003-04-21 2003-04-21 Odor discharging system for a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572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82A1 (en) * 2015-06-02 2016-12-08 신해란 Toilet seat based deodorizer
KR20210002517U (en) * 2020-05-08 2021-11-17 김성훈 Bad smell removing device for chamber pot
KR200495719Y1 (en) * 2021-11-04 2022-08-02 문기선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82A1 (en) * 2015-06-02 2016-12-08 신해란 Toilet seat based deodorizer
KR20210002517U (en) * 2020-05-08 2021-11-17 김성훈 Bad smell removing device for chamber pot
KR200494789Y1 (en) * 2020-05-08 2021-12-27 김성훈 Bad smell removing device for chamber pot
KR200495719Y1 (en) * 2021-11-04 2022-08-02 문기선 Odor removal device for toilet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5069U (en) Automatic cleaning device
CA2262747A1 (en) Triggering of a cleaning, ventilation, and or disinfection process
KR200320572Y1 (en) Odor discharging system for a toilet
JP2008240495A (en) Remote control for restroom and remote control system
JP2005168719A (en) Toilet apparatus
KR101023764B1 (en) non-power auto-flush device for fresh valve direct water type using human body sensor unit
JP2007321543A (en) Automatic flushing apparatus of urinal
KR20040037290A (en) Chamber pot the has of function a smell compulsion removal
JP6483045B2 (en) Flush toilet
KR200306436Y1 (en) Chamber pot the has of function a smell compulsion removal
JPH09192052A (en) Human body sensor for toilet
JPH08319648A (en) Private part washer
JPH10195957A (en) Toilet seat device
JP7449725B2 (en) toilet device
JP2021141962A (en) Toilet bowl device
JPH06128996A (en) Deodorizing closet seat device
KR200229668Y1 (en) Deodorization seat for toilet bowl
JP4292681B2 (en) Flush toilet
JP2523158B2 (en) Toilet equipment
JP7461759B2 (en) Toilet equipment
JP2008025171A (en) Toilet bowl
JP2003138623A (en) Western style flush toilet without tank
JP2769668B2 (en) Deodorizing toilet seat device
KR200165613Y1 (en) Suction device for toilet bowl
JPH0626605Y2 (en) Flush toilet with automatic exhaus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