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554Y1 - 개인용 추진장치 - Google Patents

개인용 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554Y1
KR200320554Y1 KR20-2003-0011993U KR20030011993U KR200320554Y1 KR 200320554 Y1 KR200320554 Y1 KR 200320554Y1 KR 20030011993 U KR20030011993 U KR 20030011993U KR 200320554 Y1 KR200320554 Y1 KR 200320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earing
propulsion device
screw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학
Original Assignee
박무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학 filed Critical 박무학
Priority to KR20-2003-0011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554Y1/ko
Priority to PCT/KR2004/000893 priority patent/WO2004091736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5/00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 A63B35/08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with propeller propulsion
    • A63B35/10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with propeller propulsion operated by the swimm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5/00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 A63B35/08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with propeller propulsion
    • A63B35/12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with propeller propulsion operated by a mo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류가 구비된 추진장치를 인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수영 및 잠수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수중에서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개인용 추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체의 허리 및 둔부부분에 선택적으로 착용되어 고정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하측에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소정 동력을 인가 받아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류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개인용 추진장치{A SCREW PROPELLER FOR PERSON}
본 고안은 개인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가 구비된 추진장치를 인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스크류를 구동시킴에 따라 그 추진력에 의해 수중에서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개인용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바다 등의 수중에서는 오락이나 레저, 소정의 작업 및 임무수행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영 및 잠수 등을 행하게 되는데, 특히 수중에서 해산물을 얻기 위한 해녀들의 수산물 채취작업 및, 해군이나 해병들의 임무수행을 위한 작전 시에는 짧은 시간동안 보다 신속하게 원활한 이동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수중에서 보다 신속하고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 발에 오리발 등의 장비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영 및 잠수 등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발에 오리발 등의 장비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영 및 잠수 등을 행하는데 있어서는 수중에서의 신속한 이동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오리발 등의 장비는 인체로부터 임의로 이탈하여 수중에서 분실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오리발 등의 장비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영 및 잠수 등을 행할 시에는 그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발차기 등을 행해야만 하므로, 체력의 소모가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장시간에 걸쳐 수영 및 잠수 등을 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류가 구비된 추진장치를 인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수영 및 잠수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수중에서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개인용 추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개인용 추진장치는, 인체의 허리 및 둔부부분에 선택적으로 착용되어 고정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하측에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소정 동력을 인가 받아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착용부는, 인체의 허리부분에 그 길이를 조절하면서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벨트부재 및, 상기 벨트부재의 하측에 위치하여 인체의 둔부부분이 안착되며 그 전방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벨트부재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안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착용부재의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양측에 상호 180°의 각도를 이루도록 쌍으로 설치되는 패달부 및, 착용자가 상기 패달부의 패달을 가압함에 따라 그 힘을 상기 스크류부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트의 내부에 다수 개의 평기어 및 베벨기어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기어부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구동부는,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착용부재의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충전되거나 건전지 등이 수납되어 장치에 소정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브라켓트의 내부에 구성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한편 그 회전축은 상기 스크류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부 및,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구동모터부에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치 및 상기 구동모터부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버튼 등이 구비된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착용부에는 어깨끈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어깨끈 및 상기 구동부의 외면에는 각각 고정부재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휴대시에는 상기 구동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어깨끈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착용부를 이용하여 인체의 허리 및 둔부부분에 개인용 추진장치를 착용한 후, 구동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스크류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그 추진력에 의해 수중에서 보다 신속하고 원활한 이동을 행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의 휴대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착용부, 12: 벨트부재,
14: 안착부재, 16a,16b: 결합부재,
20: 어깨끈, 22,36: 고정부재,
24: 파지끈, 26a,26b: 밸크로 테이프,
30: 구동부, 32: 브라켓트,
34: 기어부, 38: 나사,
40: 패달부, 42: 패달,
44: 링크, 46: 링크축,
50: 전원부, 52: 구동모터부,
54: 조작부, 60: 스크류부,
62: 회전축.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의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의 휴대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는 대략 인체의 허리 및 둔부부분에 착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착용부(10)와, 상기 착용부(10)의 하측에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0) 및, 상기 구동부(3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30)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류부(6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착용부(10)는 착용시 인체의 허리부분에 위치하는 벨트부재 (12) 및 인체의 둔부부분에 위치하는 안착부재(14)로 이루어져 대략 기저귀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기 벨트부재(12)는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한 상태로 이루어져 인체의 허리부분에 벨트 형태로 착용되는 한편, 상기 안착부재(14)는 그 후단부가상기 벨트부재(12)의 후측 하단에 일체로 결합됨과 아울러 그 전단부에는 결합부재(16b)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16b)를 상기 벨트부재(12)의 앞쪽 하단에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부재(16a)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에 따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0)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착용부(10)의 안착부재(14) 하면에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브라켓트(32)가 나사(38)가 체결됨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32)의 양측면에는 착용자가 패달(42)을 밟음에 따라 일정 힘의 가압력을 인가받기 위한 한 쌍의 패달부(40)가 링크(44)를 통하여 상호 180°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32)의 내부에는 상기 패달부(40)를 통하여 인가된 힘을 상기 브라켓트(32)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크류부(60)에 전달하기 위한 다수 개의 평기어 및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기어부(34)가 구성되는데, 상기 기어부(34)는 먼저 상기 패달부(40)의 링크축(46)에 설치되어 상기 패달부(40)의 패달(42) 가압에 따른 회전력을 상기 링크(44) 및 링크축(46)을 통하여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기어부(34a)가 설치되고, 상기 제 1기어부(34a)의 상측에는 상기 제 1기어부(34a)와 맞물려 회전하는 소경기어 및 상기 소경기어와 연동하는 대경기어로 이루어져 고감속비를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 2기어부(34b)가 설치되며, 상기 제 2기어부(34b)의 하측에는 상기 제 2기어부(34b)의 대경기어와 맞물려 다시 고감속비를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 3기어부(34c)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3기어부(34c)의 하측에는 상기 제 3기어부(34c)와 맞물려 회전하는 평기어 및 상기 평기어와 연동하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제 4기어부(34d)가 설치되고, 상기 제 4기어부(34d)의 하측에는 상기 제 4기어부(34d)와 맞물려 회전하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제 5기어부(34e)가 설치되며, 상기 제 5기어부(34e)의 직각방향으로는 상기 스크류부(60)의 회전축(62)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제 5기어부(34e)로부터 인가된 회전력을 통하여 상기 스크류부(60)를 회전시키기 위한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제 6기어부(34f)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기어부(34)를 구성하는 각종 기어의 크기 및 종류, 개수 등은 상기 패달부(40)로부터 인가된 힘을 상기 스크류부(60)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상기 패달부(40)의 링크축(46)에 구동스프로켓(도시안됨)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부(60)의 회전축(62)에는 종동스프로켓(도시안됨)을 설치한 후, 상기 구동스프로켓 및 종동스프로켓을 체인(도시안됨)을 통하여 연결하여 상기 패달부(40)로부터의 가압력이 상기 스크류부(60)에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30)를 구성하는 상기 브라켓트(32)는 상기 스크류부(60)의 회전시에 상기 스크류부(60)가 인체의 하체부분에 의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체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됨과 더불어, 수중에서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 방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또, 상기 브라켓트(32)의 하측 외면에는 상기 브라켓트(32)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파지끈(24)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지끈(24)의 단부 및 상기 파지끈(24)의 단부와 대응되는 지점의 상기 브라켓트(32) 외면에는 상기 파지끈(24)을 선택적으로 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크로 테이프(26a,26)가 각각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의 착용부(10)에는 상기 개인용 추진장치를 사용자의 어깨부분에 걸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어깨끈(20)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어깨끈(20) 및 상기 브라켓트(32)의 일측 외면에는 각각 고정부재(22,36)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트(32)를 상기 착용부(10)의 안착부재(14)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22,36)를 통하여 상기 브라켓트(32)를 어깨끈(20) 주위에 고정시킨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개인용 추진장치의 구동부(30)를 구성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착용부(10)의 안착부재(14) 하측에 설치되는 브라켓트(32)의 내부 및 외부에 상기 스크류부(60)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원부(50)와 구동모터부(52) 및 조작부(54) 등을 내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상기 전원부(5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전원을 저장하는 충전배터리로 구성되거나 다수 개의 건전지가 수납된 상태로 구성되어 일정 전원을 상기 구동모터부(52)에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모터부(52)는 상기 전원부(5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됨과 아울러, 그 회전축에는 상기 스크류부(60)의 회전축(62)이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부(6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32)의 일측면에는 상기 전원부(50)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구동모터부(52)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 및 상기 구동모터부(52)의 회전속도나 회전방향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조작버튼 등이 구비된 조작부(54)가 형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를 수중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인용 추진장치에 구비된 착용부(10)의 벨트부재(12)를 적당한 길이로 조절하여 인체의 허리부분에 착용함과 아울러, 인체의 둔부부분을 상기 착용부(10)의 안착부재(14)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재(14)의 전단부 측에 구비된 결합부재(16b)를 상기 벨트부재(12)의 앞쪽 하단에 형성된 결합부재(16a)에 결합시켜 상기 착용부(10)가 인체의 허리 및 둔부부분에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착용부(10)를 인체에 착용한 후 수중에서 소정의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착용부(10)의 안착부재(14) 하측에 형성된 브라켓트(32)양측면에 쌍으로 형성된 패달부(40)의 패달(42)을 양발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그 가압력은 상기 패달부(40)의 링크(44)를 통하여 링크축(46)에 전달되어 상기 링크축(46)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링크축(46)의 회전에 따라 그 회전력은 제 1기어부 내지 제 6기어부(34a,34b,34c,34d,34e,34f)가 상호 맞물린 상태로 구성된 기어부(34)를 통하여 스크류부(60)의 회전축(62)에 전달되어 상기 회전축(62)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인용 추진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스크류부(60)의 회전을 통하여 소정의 추진력을 얻게 되고, 이에 따라 수중에서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동을 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를 수중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착용부(10)를 인체의 허리 및 둔부부분에 착용하고 수중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30)의 조작부(54)에 구비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조작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부(50)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구동모터부(52)에 인가되어 상기 구동모터부(52)를 구동시키게 됨과 더불어, 상기 구동모터부(52)의 구동에 따라 그 회전축에 결합된 상기 스크류부(60)가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소정의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개인용 추진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54)에 구비된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스크류부(60)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 등을 조절하면서, 상기 개인용 추진장치를 그 사용용도 및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시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를 휴대할 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부(10)를 인체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구동부(30)의 브라켓트(32)를 파지끈(24)을 이용하여 상기 안착부재(14)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들어올림과 아울러 상기 착용부(10)의 어깨끈(20) 및 브라켓트(32)의 일측 외면에 각각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고정부재(22,36)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상기 어깨끈(20)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개인용 추진장치를 인체의 어깨부분에 멤으로서, 용이하게 휴대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스크류가 설치된 추진장치를 인체에 착용한 후 수중에서 동작시킴으로서, 수중에서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해녀들의 수중작업이나 해군 및 해병 등의 수중임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개인용 추진장치는 스쿠버 다이빙이나 스노클링을 비롯한 수중에서 행하는 각종 놀이 및 레저활동에 이용할 수가 있으므로, 그 적용범위가 매우 넓음과 아울러, 간단한 조작만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인체의 허리 및 둔부부분에 선택적으로 착용되어 고정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하측에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소정 동력을 인가 받아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추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인체의 허리부분에 그 길이를 조절하면서 착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벨트부재 및,
    상기 벨트부재의 하측에 위치하여 인체의 둔부부분이 안착되며 그 전방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벨트부재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안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추진장치.
  3. 재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착용부재의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양측에 상호 180°의 각도를 이루도록 쌍으로 설치되는 패달부 및,
    착용자가 상기 패달부의 패달을 가압함에 따라 그 힘을 상기 스크류부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트의 내부에 다수 개의 평기어 및 베벨기어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기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추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착용부재의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충전되거나 건전지 등이 수납되어 장치에 소정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브라켓트의 내부에 구성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한편 그 회전축은 상기 스크류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부 및,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구동모터부에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치 및 상기 구동모터부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버튼 등이 구비된 조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추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에는 어깨끈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어깨끈 및 상기 구동부의 외면에는 각각 고정부재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휴대시에는 상기 구동부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어깨끈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추진장치.
KR20-2003-0011993U 2003-04-18 2003-04-18 개인용 추진장치 KR200320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993U KR200320554Y1 (ko) 2003-04-18 2003-04-18 개인용 추진장치
PCT/KR2004/000893 WO2004091736A1 (en) 2003-04-18 2004-04-19 Personal propuls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993U KR200320554Y1 (ko) 2003-04-18 2003-04-18 개인용 추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554Y1 true KR200320554Y1 (ko) 2003-07-22

Family

ID=3329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993U KR200320554Y1 (ko) 2003-04-18 2003-04-18 개인용 추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20554Y1 (ko)
WO (1) WO2004091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E20130001A1 (it) * 2013-01-16 2013-04-17 Donato Terlizzi Swim bike
US9821898B1 (en) * 2015-09-01 2017-11-21 Weston Whatcott Pedal-powered water propul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8598U (ko) * 1978-11-27 1980-05-30
JPS55101155U (ko) * 1979-01-09 1980-07-14
JPS5613098U (ko) * 1979-07-11 1981-02-04
US4289487A (en) * 1979-09-19 1981-09-15 Fattler Karl W Swimm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91736A1 (en)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3813B2 (en) Leg-mounted propulsion device for swimmers and divers
US7207282B1 (en) Propeller driven surfing device
EP1977968B1 (en) Propeller driven surfing device
EP3247472B1 (en) Propulsion system for use by a swimmer
US10556151B1 (en) Self-propelled personal flotation device
US11345453B2 (e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CN107176278A (zh) 一种可穿戴式潜水推进装置
US7223143B1 (en) Inflatable, self-propelled life vest
US6341993B1 (en) Motorized swim fin
US3422787A (en) Propulsion system for swimmers
US3570436A (en) Submersible water bicycle
KR200320554Y1 (ko) 개인용 추진장치
JPH0439193A (ja) 小型潜水機
US5024178A (e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CN108189985B (zh) 一种拖曳式浮潜动力推进装置
CN208053594U (zh) 一种拖曳式浮潜动力推进装置
CN105194842A (zh) 手动游泳推进器
US3090974A (en) Water-borne craft
KR200331690Y1 (ko) 개인용 수상 추진기
CN109045633A (zh) 一种游泳用助力装置
CN209378391U (zh) 一种游泳用助力装置
CN212416887U (zh) 一种背包式水下推进器
JPH01122795A (ja) 小型潜水機
KR200364900Y1 (ko) 수중추진장치
RU22752U1 (ru) Пла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влечения и спор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