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409Y1 -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409Y1
KR200319409Y1 KR20-2003-0011617U KR20030011617U KR200319409Y1 KR 200319409 Y1 KR200319409 Y1 KR 200319409Y1 KR 20030011617 U KR20030011617 U KR 20030011617U KR 200319409 Y1 KR200319409 Y1 KR 200319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expansion pipe
sprinkler
pi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범
장영석
최규탁
Original Assignee
김종범
장영석
최규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범, 장영석, 최규탁 filed Critical 김종범
Priority to KR20-2003-0011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의 신축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행배관의 상측에 신축배관의 일측을 연결하고 하부로 상기 신축배관을 연장하여 그 말단에 노즐을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신축배관의 주행배관과의 결합측에 위치하며 신축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고정되는 제1클램프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신축배관의 하부로 연장된 측에 다수개가 위치하며 신축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고정되는 제2클램프와 봉형상을 이루며 양측말단이 각각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배관을 고정하게 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따라 좁은 공간내에서도 간단하게 스프링클러의 설치 및 고정이 이루어져 작업이 용이하며 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a sprinkler system}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배관에 클램프를 다수개 결합하고 상기 클램프사이를 고정대로 연결하여 고정하게 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는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시 하부로 물을 분사하여 진화하는 장치이다. 상기 스프링클러를 천정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정과 평행하며 내부에 물이 흘러가는 주행배관을 먼저 설치하고 상기 주행배관에 맞대기식 용접으로 연장배관을 결합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높이, 거리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으므로 작업이 어려워지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해결하기 위해 상기 주행배관의 상면에 변형이 가능한 신축배관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신측배관의 타측은 노즐을 설치한 후 상기 천정의 마감재에 결합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상기 신축배관은 작동시 수압에 의해 진동을 하게 되는 등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단단히 고정을 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배관(1)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주행배관(2) 주위에 격자형상의 지지구조(3)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조(3)와 상기 신축배관(1)에 구비된 클램프를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천공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는 작업이 곤란하다는문제점이 있다. 또한 격자를 이루는 사각철관형상의 지지구조를 구비해야 하므로 비용과 공사기간이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사각철관형상의 지지구조를 설치하지 않아도 신축배관이 용이하게 고정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 : 종래의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방법을 표시한 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1클램프의 사시도
도3 :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2클램프의 형태들을 표시한 사시도
도4 :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대의 형태들을 표시한 사시도
도5 :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방법을 표시한 사시도
도6 :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방법을 표시한 사시도
도7 :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방법을 표시한 사시도
도8 :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배관과 제2클램프의 결합방법을 표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제1클램프 20 : 제2클램프
30 : 고정대 40 : 신축배관
50 : 주행배관 60 : 노즐
본 고안은 주행배관의 상측에 신축배관의 일측을 연결하고 하부로 상기 신축배관을 연장하여 그 말단에 노즐을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원통형상을 이루며 세로로 절단되고 상기 절단된 양측 말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양측 상기 돌출부에는 체결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신축배관의 주행배관과의 결합측에 위치하며 신축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고정되는 제1클램프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신축배관의 하부로 연장된 측에 다수개가 위치하며 신축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고정되는 제2클램프와 봉형상을 이루며 양측말단이 각각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배관을 고정하게 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클램프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대 결합부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상기 제2클램프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대 결합부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클램프는, 힌지결합된 고정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신축배관을 삽입한 후 상기 고정레버를 회전시켜 고정레버의 말단을 상기 신축배관 측으로 돌출시켜 고정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의 고정대 삽입부에 삽입된 후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의 고정대 삽입부에 구비된 고정레버에 의해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는 제1클램프(10)와 제2클램프(10)와 고정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먼저 제1클램프(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클램프는 신축배관(40)의 주행배관(50)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1클램프(10)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일측이 세로방향으로 절단되며 절단부의 양측이 외측으로 돌출되어있다. 양측 돌출 부위에는 서로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 상기 제1클램프(10)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클램프(10)의 소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클램프(10)의 외주면에는 고정대 결합용 관통공이 형성된 삽입부(1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부설되어 후술하게될 고정대(30)가 삽입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2클램프(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클램프(20)는 상기 신축배관(40)의 노즐(60)이 있는 측에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제2클램프(20)는 내부가 빈 원통형을 이루며 상기 제1클램프(10)와 유사하게 외주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삽입부(2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클램프(10)의 삽입부(11)에 일측 말단이 삽입결합된 고정대(30)의 타측말단을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2클램프(20)에는 힌지결합된 고정레버(2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레버는 신축배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망치등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레버(22)의 일측 말단이 신축배관(40)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신축배관을 눌러 신축배관과 제2클램프(20)를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신축배관과 제2클램프(20)의 고정레버(22)사이에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고정부재(23)를 삽입하여 보다 단단히 결합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고정대(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대(30)는 상기 제1클램프(10)와 제2클램프(20)에 돌출 형성된 삽입부(11,21)에 양측 말단이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 신축배관(5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상기 고정대(30)는 봉형상(31)을 이루거나 중앙에 용수철을 구비(32)하거나 사각기둥형(33) 또는 사다리형(34)등 다양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고정대와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의 삽입부(11,21)에 삽입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클램프와 신축배관의 결합시 사용하는 고정레버와 동일한 구조를 상기 삽입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주행배관(50)의 일측 상면에 신축배관(40)의 일측말단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배관(40)을 'U'자로 절곡시켜 타측 말단을 하부로 연장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신축배관(40)의 주행배관측에 상기 제1클램프(10)의 절단부를 벌려 끼운후 상기 절단부의 관통공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제1클램프(10)를 신축배관(40)에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신축배관(40)을 제2클램프(20)에 삽입한 후 상기 신축배관의 말단에 노즐(60)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클램프(10)와 제2클램프(20)의 양측 삽입부에 봉형상의 고정대(30)를 평행하게 삽입하여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클램프(20)를 하나만 설치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와 같이 두개이상의 제2클램프(20)를 설치하여 고정대(30)를 삽입고정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고정대를 평행하게 설치하는 대신 'X'자 형태로 엇갈리게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후 상기 제2클램프(2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레버(22)를 망치로 때려 상기 제2클램프(20)와 신축배관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따라 상기 신축배관이 고정되어 스프링클러의 작동시 수압에 의한 진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에 의하면 신축배관의 고정이 용이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주행배관의 상측에 신축배관의 일측을 연결하고 하부로 상기 신축배관을 연장하여 그 말단에 노즐을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원통형상을 이루며 세로로 절단되고 상기 절단된 양측 말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양측 상기 돌출부에는 체결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신축배관의 주행배관과의 결합측에 위치하며 신축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고정되는 제1클램프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신축배관의 하부로 연장된 측에 다수개가 위치하며 신축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고정되는 제2클램프와;
    봉형상을 이루며 양측말단이 각각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배관을 고정하게 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대 삽입부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대 삽입부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는,
    힌지결합된 고정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신축배관을 삽입한 후 상기 고정레버를 회전시켜 고정레버의 말단을 상기 신축배관 측으로 돌출시켜 고정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신축배관 고정장치.
  5. 제1항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의 고정대 삽입부에 삽입된 후 상기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의 고정대 삽입부에 구비된 고정레버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신축배관 고정장치.
KR20-2003-0011617U 2003-04-15 2003-04-15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 KR200319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617U KR200319409Y1 (ko) 2003-04-15 2003-04-15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617U KR200319409Y1 (ko) 2003-04-15 2003-04-15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409Y1 true KR200319409Y1 (ko) 2003-07-10

Family

ID=4941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617U KR200319409Y1 (ko) 2003-04-15 2003-04-15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4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31269B2 (ko)
JP6692203B2 (ja) トンネル用段取り筋構造および覆工コンクリート用鉄筋の設置方法
KR101019588B1 (ko)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KR200319409Y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고정장치
KR100686385B1 (ko) 거푸집용 지지대
KR102420849B1 (ko)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KR200209862Y1 (ko) 건축용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
CN117480302A (zh) 展开式套筒、地脚螺栓及成套锚栓
KR20090008585U (ko) 배관 고정 장치
KR101122349B1 (ko) 배관 고정장치
KR101997401B1 (ko) 연결부재로 결속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KR200245679Y1 (ko) 건축배관 지지장치
KR200393432Y1 (ko) 거푸집용 지지대
JP2008297825A (ja) 基礎補強金具
KR100641713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고정장치
KR20180119437A (ko) 앙카 펀치
KR102307075B1 (ko) 전산볼트가 고정되어진 공동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 및 이의 앙카시공방법
KR100641715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고정장치
CN219775004U (zh) 一种管路固定卡
KR20050108748A (ko) 건축용 마감재 조립체
JP7256424B2 (ja) 地中設置物の支持装置、及び支持装置の製造方法
CN117772867A (zh) 一种木模上布消防监测线道的施工方法
KR200262845Y1 (ko) 앵커
JP3382194B2 (ja) 構築用インサート
KR20010002009U (ko) 콘크리트 옹벽의 치장벽돌을 조적하기 위한 연결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