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408Y1 - Joint structure between head member and component of extinguisher - Google Patents

Joint structure between head member and component of extingui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408Y1
KR200319408Y1 KR20-2003-0011466U KR20030011466U KR200319408Y1 KR 200319408 Y1 KR200319408 Y1 KR 200319408Y1 KR 20030011466 U KR20030011466 U KR 20030011466U KR 200319408 Y1 KR200319408 Y1 KR 200319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fire
members
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4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재길
Original Assignee
심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길 filed Critical 심재길
Priority to KR20-2003-0011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40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408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6Dials; Mounting of d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부와 나사산부를 구비하는 너트부가 설치된 소화기 헤드부재와; 상기 소화기 헤드부재에 결합되며, 시트부와 나사산부를 구비하는 볼트부가 일단부에 설치된 소화기 부품과; 상기 두 부재가 나사결합될 때 상기 두 부재의 시트부 사이에 개재되어 시일을 제공하는 시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두 부재의 상기 시트부들 중 하나 이상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들(예를 들면, 소화호스, 압력게이지등) 사이에 견고한 결합성 및 시일성을 유지하면서 상대 회전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provided with a nut portion having a seat portion and a threaded portion; A fire extinguisher component coupled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provided with a bolt portion having a seat portion and a threaded portion at one end thereof;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 comprising a seal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eat portions of the two members to provide a seal when the two members are screwed together, at least one of the seat portions of the two members. Provide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compon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can be adjusted while maintaining a firm coupling and sealing property between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s (for example, fire hose, pressure gauge, etc.).

Description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 사이의 결합구조{JOINT STRUCTURE BETWEEN HEAD MEMBER AND COMPONENT OF EXTINGUISHER}JOINT STRUCTURE BETWEEN HEAD MEMBER AND COMPONENT OF EXTINGUISHER}

본 고안은 소화기의 헤드부재와 소화호스, 압력게이지등과 같은 소화기 부품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a fire extinguisher component such as a pressure gauge, pressure gau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upling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between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component.

종래의 일반적인 소화기(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소화기 본체(10)와, 소화기 본체(10)에 결합되는 소화기 헤드부재(12)와, 소화기 헤드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11)과, 소화기 본체내의 소화약제를 화재발생영역으로 분출하기 위한 소화호스(14)로 이루어지며, 축압식 소화기의 경우에, 소화기 헤드부재(12)의 측면에 부착되어 소화기 본체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게이지(16) 또는 소화기 본체(10)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이하로 떨어진 경우 경보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압력경보계(미도시)등이 추가적으로 부착된다.The conventional general fire extinguisher 1 is basically a fire extinguisher body 10, a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coupled to the fire extinguisher body 10, and a handl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s shown in FIG. And a fire extinguishing hose 14 for ejecting the extinguishing agent in the fire extinguisher main body into the fire-generating area. In the case of the accumulator, it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to indicate the pressure in the fire extinguisher main body. A pressure alarm (not shown) configured to generate an alarm whe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gauge 16 or the fire extinguisher main body 10 falls below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dditionally attached.

상기 소화호스(14)는 일반적으로 일자형의 기다란 원통형 도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화호스의 노즐부(방출부)가 소화기 본체(10)에 설치된 소화호스 걸이(18)에 걸어맞춰져, 소화기 본체(10)의 길이방향 아래쪽으로 고정된다. 소화호스(14)의 노즐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볼트부(24)가 제공되며, O-링을 개재하여 소화기 헤드부재(12)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ire hose 14 is generally made in the form of a straight cylindrical conduit, the nozzle portion (discharge portion) of the fire hose is fitted to the fire hose hanger 18 installed in the fire extinguisher body 10, the fire extinguisher body 10 is fixed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olt portion 24 is provid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nozzle portion of the fire hose 14 and screwed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via an O-r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소화호스(14)와 소화기 헤드부재(12)의 종래의 결합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소화호스(14)의 노즐부에 반대쪽 단부에는 소화기 헤드부재(12)에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볼트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볼트부(24)는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24a)와, 상기 나사산부(24a)의 기단부에 O-링(15)이 안착하는 시트부(seat portion; 24b)로 이루어진다. 한편, 소화호스(14)가 결합되는 소화기 헤드부재(12)의 대향 부분에는 소화기 본체(10)와 연통되고 상기 소화호스(14)의 볼트부(24)와 결합되는 너트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너트부(34)는 마찬가지 방식으로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34a)와, O-링(15)이 안착하는 시트부(34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두 부재의 결합부(볼트부와 너트부) 사이에 O-링(15)이 제공된다.5 shows a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hose 14 and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Referring to the drawings, a bolt portion 24 for screwing in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is formed at the end opposite to the nozzle portion of the fire hose 14. The bolt portion 24 includes a threaded portion 24a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 seat portion 24b on which an O-ring 15 rests on a proximal end of the threaded portion 24a. On the other hand, in the opposite por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to which the fire hose 14 is coupled is formed a nut portion 34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e extinguisher body 10 and coupled with the bolt portion 24 of the fire hose 14. do. The nut 34 is similarly made up of a threaded portion 34a having a thread formed therein, and a seat portion 34b on which the O-ring 15 rests. Then, an O-ring 15 is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bolt portion and nut portion) of the two members.

상기와 같은 형태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소화호스(14)의 볼트부(24)의 나사산부(24a)와 소화기 헤드부재(12)의 너트부(34)의 나사산부(34a)가 서로 나사결합하며, 소화호스(14)의 시트부(24b)가 소화기 헤드부재(12)의 시트부(34b)내로 끼워 맞춰지며, 결합되는 두 부재의 시트부(24b, 34b)사이에 O-링(15)이 두 부재의 시트부와 접촉하면서 단단히 조여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호스 상호간 시일(seal)성능을 유지하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the threaded portion 24a of the bolt portion 24 of the fire hose 14 and the threaded portion 34a of the nut portion 34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are screwed together. The seat portion 24b of the fire hose 14 is fitted into the seat portion 34b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and the O-ring 15 between the seat portions 24b and 34b of the two members to be joined. ) Is firmly tightened in contact with the seat portions of the two members. In this way, a tight coupling is achieved while maintaining the seal performance between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hose.

상술한 종래의 소화기에 있어서, 본원의 고안자는 소화호스를 일자형의 원통형 도관 대신에 L-자형의 원통형 도관을 사용한다면 소화호스를 소화기 본체의 길이방향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소화호스걸이(18)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점수의 감소 및 생산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하였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fire extinguishe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f the fire hose is used in the L-shaped cylindrical conduit instead of the straight cylindrical conduit, the fire hose hanger 18 for directing the fire hose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body It was conceived that it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since it becomes unnecessary.

그러나,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일자형 소화호스의 경우 소화기 헤드부재와 결합할 때에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호스 상호간의 상대 회전위치가 별로 중요하지 않지만, L-자형 소화호스를 사용하는 경우 소화기 헤드부재와 L-자형 소화호스 상호간의 상대 회전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However, in this case, the following problem occurs. That is, in the case of the straight fire hose, the relative rotation position between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hose is not very important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However, when the L-shaped fire hose is used,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L-shaped fire hose are mutually different. It should be able to adjust the relative rotation position of.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 소화호스(14)를 소화기 헤드부재(12)와 결합할 경우, 소화호스(14)는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축선이 소화기 본체(10)의 길이방향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사용상 및 외관상 바람직하다. 따라서, 견고한 결합 및 시일성능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L-자형 소화호스(14)를 소화기 헤드부재(12)에 대해 소정 각도 만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As shown in FIG. 6, when the L-shaped fire hose 14 is combined with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the fire hose 14 has a central axis of the fire extinguisher main body 10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Positioning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eferred in use and in appearanc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otate the L-shaped fire hose 14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while maintaining a firm coupling and sealing performance.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소화기 헤드부재(12)와 소화호스(14)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O-링(15)이 결합되는 두 부재(12, 14)의 나사결합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두 부재(12, 14)의 시트부(24b, 34b)에 의해 형성된 공간내에서 완전히 탄성변형하여 두 부재(12, 14)의 시트부(24b, 34b)와 접촉하게 되는 시점에서, 두 부재(12, 14)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시일성능이 확보된다. 이 상태에서 소화호스(14)를 소화기 헤드부재(12)에 더욱 회전시키고자 하더라도 두 부재(12, 14)의 시트부(24b, 34b)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놓이는 O-링(15)이 더 이상 탄성변형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소화호스(14)를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소화호스(14)를 소화기 헤드부재(12)에 대해 희망하는 상대 회전위치로 위치시킬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소화호스(14)를 소화기 헤드부재(12)에 대해 소망하는 상대 회전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나사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역회전 시켜야 하며, 그렇게 되면 두 부재가 견고하게 맞물리지 않게 되고 두 부재 사이의 시일성능이 보장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두 부재의 견고한 결합성 및 시일성능을 확보하면서 두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and the fire hose 14 as shown in Figure 5, by the screw coupling of the two members (12, 14) to which the O-ring 15 is coupled At the point when the pressing force completely elastically deforms in the space formed by the seat portions 24b and 34b of the two members 12 and 14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at portions 24b and 34b of the two members 12 and 14, Both members 12 and 14 are firmly coupled and seal performance is ensured. In this state, even if the fire hose 14 is further rotated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the O-ring 15 plac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eat portions 24b and 34b of the two members 12 and 14 is further added. Since there is no space for elastic deformation, the fire hose 14 can no longer be rotated. Thus, the fire hose 14 cannot be positioned in the desired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In this case, in order to position the fire hose 14 in the desired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it must be reversed in the direction of loosening the screw, so that the two members are not firmly engaged and between the two members Seal performance is not guaranteed. As such,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the user to position the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between the two members at a desired position while securing the firm coupling property and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two members.

상기 문제점은 압력게이지를 소화기 헤드부재에 결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게이지(16)에는 소화기 본체(10)내의 압력을 표시하는 계기판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계기판상의 눈금이나 기재사항이 바로 선 상태에서 읽을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소화호스(1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상대 회전위치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계기판의 눈금이나 기재사항을 똑바르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same problem occurs when the pressure gauge is coupled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That is, as shown in Figure 6, the pressure gauge 16 is provided with an instrument panel indicating the pressure in the fire extinguisher main body 10, the scale or the description on the instrument panel is placed in a position that can be read in a straight line state It is desirable to lose. However, as in the case of the fire hose 14, the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can not be adjus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position the scale or the description of the instrument panel upright.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들(예를 들면, 소화호스, 압력게이지등) 사이의 상대 회전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mbin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s that can adjust the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between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s (for example, fire hose, pressure gauge, etc.) To provide a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호스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a fire ho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조의 상대 회전위치를 조절하는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호스의 결합구조의 부분단면도,2a and 2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hose for explaining the mechanism for adjusting the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of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헤드부재와 압력게이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pressure gau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소화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eneral fire extinguisher,

도 5는 종래의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호스의 결합구조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a fire hose;

도 6은 종래의 결합구조에 따른 소화기 헤드부재와 L-자형 소화호스 및 압력게이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L-shaped fire hose and the pressure gaug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

*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reference numerals

1; 소화기 10; 소화기 본체One; Fire extinguisher 10; Fire extinguisher body

11; 핸들 12; 소화기 헤드부재11; Handle 12;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4; 소화호스 15; O-링14; Fire hose 15; O-ring

16; 압력게이지 18; 소화호스걸이16; Pressure gauge 18; Fire Hose Hanger

24a, 26a; 볼트부의 나사산부 34a, 36a; 너트부의 나사산부24a, 26a; Threaded portions 34a, 36a of the bolt portion; Thread part of nut part

24b, 26b; 볼트부의 시트부 34b, 36b; 너트부의 시트부24b, 26b; Seat portions 34b and 36b of the bolt portion; Seat of nut part

35; 시일부재 50; 홈35; A seal member 50; ho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르면, 시트부와 나사산부를 구비하는 너트부가 설치된 소화기 헤드부재와; 상기 소화기 헤드부재에 결합되며, 시트부와 나사산부를 구비하는 볼트부가 일단부에 설치된 소화기 부품과; 상기 두 부재가 나사결합될 때 상기 두 부재의 시트부 사이에 개재되어 시일을 제공하는 시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두 부재의 상기 시트부들 중 하나 이상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의 결합구조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provided with a nut part having a seat part and a threaded part; A fire extinguisher component coupled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provided with a bolt portion having a seat portion and a threaded portion at one end thereof;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 comprising a seal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eat portions of the two members to provide a seal when the two members are screwed together, at least one of the seat portions of the two members. Provided i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 the groove.

상기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부품으로서 소화호스, 압력게이지등이 해당되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시일부재는 상기 홈이 형성된 시트부를 향하는 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일부재의 재료는 사람의 손만의 힘보다는 공구를 사용하여 가해지는 회전 가압력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류가 적합하며, 특히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In the coupling structure, the fire extinguisher component, such as a fire hose, pressure gauge, et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 member has a curved surface forming a side facing the groove formed sheet portion.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seal member is suitable plastics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rotational pressing force applied by using a tool rather than the force of the human hand is preferable, in particular polyethylene resin is preferr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 사이의 구체적인 결합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종래의 결합구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종래의 결합구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e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e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호스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결합구조와 마찬가지로, 소화기 헤드부재(12)에는 나사산부(34a) 및 시트부(34b)로 이루어진 너트부(34)가 제공되며, 소화호스(14)의 일단부에는 나사산부(24a)와 시트부(24b)로 이루어진 볼트부(24)가 제공된다. 소화호스(14)의 시트부(24b)의 직경크기는 상기 소화기 헤드부재(12)의시트부(34b)의 직경크기보다 조금 작게 하여 소화기 헤드부재(12)의 시트부(34b) 내로 소화호스(14)의 시트부(24b)가 삽입되어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화호스(14)의 시트부(24b)상에 링 형상의 홈(50)이 형성된다. 또한 두 부재의 결합부(볼트부 및 너트부) 사이에는 링 형상의 시일부재(seal member; 35)가 제공된다. 상기 링 형상의 시일부재(35)의 내경(D0)은 소화호스(14)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부(24)의 나사산부(24a)의 외경에 끼워맞춰지며, 상기 시일부재(35)의 외경(D1)은 소화기 헤드부재(12)의 시트부(34b)에 끼워맞춰지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시일부재(35)는 소화호스(14)의 홈(50)이 형성된 시트부(24b) 측을 향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반대측면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a fire ho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is provided with a nut portion 34 composed of a threaded portion 34a and a seat portion 34b, and one end of the fire hose 14 is provided with a threaded portion 24a. And a bolt portion 24 composed of a seat portion 24b. The diameter of the seat portion 24b of the fire hose 14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at portion 34b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so that the fire hose is inserted into the seat 34b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The sheet portion 24b of 14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fitted. A ring-shaped groove 50 is formed on the seat portion 24b of the fire hose 14. In addition, a ring-shaped seal member 35 is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s (bolts and nuts) of the two members. The inner diameter D 0 of the ring-shaped seal member 35 is fitt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threaded portion 24a of the bolt portion 24 formed at the end of the fire hose 14, and of the seal member 35 The outer diameter D 1 is formed to fit the seat 34b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The seal member 35 has a curved surface on the side facing the seat portion 24b on which the groove 50 of the fire hose 14 is formed, and the opposite side is formed on a flat surface.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두 결합부재를 나사결합시킬 때에, 두 부재의 위치조절이 가능해지는 메카니즘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When screwing two coupling member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 mechanism that enables position adjustment of the two membe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a는 소화기 헤드부재(12)와 소화호스(14)가 견고하게 나사결합된 상태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소화기 헤드부재(12)의 시트부(34b)와 소화호스(14)의 시트부(24b)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 링 형상의 시일부재(35)를 위치시키고, 상기 시일부재(35)의 양 측면이 두 부재의 시트부(24b, 34b)상에 밀착접촉되어 두 부재간 견고한 결합 및 시일성능이 확보될 수 있는 수준까지 두 부재(12, 14)를 나사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소화호스(14)는 소화기 헤드부재(12)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상대 회전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화호스(14)를 상기 소화기 헤드부재(12)에 대해 360도 범위내에서 상대 회전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럴 경우, 도 5의 종래의 결합구조에서는 O-링(15)이 탄성변형될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 소화호스를 더 이상 상대 회전시킬 수 없었으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조에서는 결합되는 두 부재의 시트부(24b, 34b) 사이에 상기 시일부재(35)가 탄성변형할 수 있는 공간 즉, 원형의 홈(5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소화호스(14)를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 시일부재(35)가 상기 홈(50)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소화호스(14)가 회전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의해, 견고한 결합 및 시일성능을 유지하면서 소화호스(14)를 소화기 헤드부재(12)에 대하여 더욱 상대 회전시켜 원하는 상대 회전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Figure 2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and the fire hose 14 is firmly screwed. 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the ring-shaped seal member 35 is plac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seat portion 34b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and the seat portion 24b of the fire hose 14, and Both sides of the seal member 35 are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seat portions 24b and 34b of the two members to screw the two members 12 and 14 to a level at which solid coupling and sealing performance between the two members can be secured. . In this state, the fire hose 14 is in an undesirable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otate the fire hose 14 relative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within a 360 degree range. In this case, in the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 of FIG. 5, since the O-ring 15 does not have a space for elastic deformation, the fire hose could not be rotated anymore, as shown in FIG. 2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upling structure, a space in which the seal member 35 is elastically deformed, that is, a circular groove 50 is formed between the sheet portions 24b and 34b of the two members to be joined. Therefore, when the fire hose 14 is further rotated, the seal member 3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50 to provide room for the fire hose 14 to rotate. As a result, the fire hose 14 can be further rotated relative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while maintaining a firm coupling and sealing performance.

여기서, 홈(50)이 형성된 시트부(24b)를 향하는 상기 시일부재(35)의 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하면 평면의 형태보다 상기 시일부재(35)가 홈(50) 내부로 삽입되는데 보다 유리하다. 또한, 시일부재(35)가 너무 쉽게 탄성변형하는 재료로 만들게 되면, 사람의 손만의 힘으로 용이하게 상대 회전되므로 원하는 상대 회전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손만의 힘 보다는 공구등을 이용하여 소화호스등을 상대 회전시켰을 때 탄성변형되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자의 실험에 의하면, 플라스틱류가 상기 시일부재의 재료로 적합하며, 특히, 폴리에틸렌 수지로 만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side surface of the seal member 35 facing the sheet portion 24b on which the groove 50 is formed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the seal member 35 is more advantageously inserted into the groove 50 than in a planar shape. . In addition, when the sealing member 35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too easily, it can be easily released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at a desired relative rotation position because it is easily rotated relative to the force of a human hand only. Therefore,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fire hose is relatively rotated using a tool or the like rather than a human hand is preferable. According to the inventor's experiment, plastics are suitable as the material of the seal member, and in particular, it is most preferable to make the polyethylene resin.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상기 홈(50)을 소화호스(14)의 시트부(24b)상에 형성하는 대신에 소화기 헤드부재(12)의 시트부(34b)상에 설치하는 구조로 하여도 동일 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결합되는 두 부재의 시트부 양측 모두에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50 is formed on the seat portion 34b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instead of being formed on the seat portion 24b of the fire hose 14. Can bring the same effect. If necessary, groov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eet portions of the two members to be joined.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소화기 헤드부재와 압력게이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에서의 소화호스(14) 대신에 압력게이지(16)를 적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와 사실상 동일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헤드부재와 압력게이지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상호 단단한 결합 및 시일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소화기 헤드부재(12)에 대해 압력게이지(16)의 상대 회전위치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압력게이지(16)의 눈금 및 기재사항을 용이하게 읽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pressure gauge.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at the second embodiment work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pressure gauge 16 is applied instead of the fire hose 14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pressure gau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djusting the relative rotational position of the pressure gauge 16 relative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12 while maintaining a tight coupling and seal performance This allows the user to locate the scale and description of the pressure gauge 16 in an easily readable positio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 사이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을 시일부재를 개재하여 서로 견고하게 나사결합시킨 후에, 소화기 헤드부재에 대한 소화기 부품의 상대 회전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더욱 회전가압하게 되면 시일부재가 시트부 상에 형성된 홈 내부로 탄성변형하여 삽입되므로, 견고한 결합 및 시일성능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간의 상대 회전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 are firmly screwed together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eal member, the relative of the fire extinguisher part with respect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When the rotational pressure is further adjusted to adjust the rotational position, the seal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on the seat to elastically deform. Can be adjusted.

따라서, 이러한 결합구조를 L-자형 소화호스에 적용하는 경우, L-자형 소화호스의 중심축선이 소화기 본체의 길이방향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소화호스걸이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 점수의 감소 및 생산비용의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구조를 압력게이지에 적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압력게이지의 계기판의 눈금 또는 기재사항을 읽을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의 계기판을 위치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applying this coupling structure to the L-shaped fire hose, the central axis of the L-shaped fire hose can be arbitrarily adjusted so as to be directed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of the fire extinguisher, the fire hose hanger is unnecessar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structure is applied to the pressure gauge, the instrument panel of the pressure gauge can be position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ad the scale or the description of the instrument panel of the pressure gauge.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적용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Claims (5)

시트부와 나사산부를 구비하는 너트부가 설치된 소화기 헤드부재와;A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provided with a nut part including a seat part and a threaded part; 상기 소화기 헤드부재에 결합되며, 시트부와 나사산부를 구비하는 볼트부가 일단부에 설치된 소화기 부품과;A fire extinguisher component coupled to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provided with a bolt portion having a seat portion and a threaded portion at one end thereof; 상기 두 부재가 나사결합될 때, 상기 두 부재의 상기 시트부 사이에 개재되어 두 부재 사이의 시일을 제공하는 시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의 결합구조에 있어서,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 comprising a seal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eat portions of the two members to provide a seal between the two members when the two members are screwed together, 상기 두 부재의 시트부들 중 하나 이상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의 결합구조.Combined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component,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seat portions of the two member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홈이 형성된 시트부 측을 향하는 시일부재의 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seal member facing the sheet portion side formed with the groove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일부재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의 결합구조.The seal member i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polyethylene resi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화기 부품은 상기 소화기 본체내의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소화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의 결합구조.The fire extinguisher part i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hose for releasing the extinguishing agent in the fire extinguisher bod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화기 부품은 상기 소화기 본체내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헤드부재와 소화기 부품의 결합구조.The fire extinguisher part i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head member and the fire extinguisher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gauge indicating the pressure in the fire extinguisher body.
KR20-2003-0011466U 2003-04-14 2003-04-14 Joint structure between head member and component of extinguisher KR2003194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466U KR200319408Y1 (en) 2003-04-14 2003-04-14 Joint structure between head member and component of extingui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466U KR200319408Y1 (en) 2003-04-14 2003-04-14 Joint structure between head member and component of extingui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408Y1 true KR200319408Y1 (en) 2003-07-10

Family

ID=4933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466U KR200319408Y1 (en) 2003-04-14 2003-04-14 Joint structure between head member and component of extingui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40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98401A1 (en) Geodesic mounting apparatus
EP0431235A1 (en) Double knuckle joint for a wide-ranged orientation of a liquid distributor with respect to the feeder pipe
WO2007066452A1 (en) Pipe joint locking device
KR102460057B1 (en) Member joint and spray nozzle unit using the same
EP3498926B1 (en) Wall-mounted toilet fixing device
KR200319408Y1 (en) Joint structure between head member and component of extinguisher
US7455261B2 (en) Tightening mechanism for adjustably setting a tape holder to an immovable state on a tape dispenser
JP2006101914A (en) Shower device
JP3725913B2 (en) Ball joint device
JP7121084B2 (en) Drain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and piping structure
KR200413855Y1 (en) ball joint
WO2018155493A1 (en) Nozzle device and nozzle unit
JP4006526B2 (en) Joining device
KR101880402B1 (en) Integrated type socket assembly for sprinkler flexible pipe
AU2008261207B2 (en) Angled spray head holder
JP2004197933A (en) Joint
JP3675238B2 (en) Mounting device
JP2005282102A (en) Shower pipe support structure
US11703164B2 (en) Ratchet fitting, pipe connecting structure and liquid chromatograph
JPH0131831Y2 (en)
JP2002310111A (en) Connecting tool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nnecting tool and joint
JP3293102B2 (en) Handrail connection spacer bracket
CN210135338U (en) Coupling assembling and have its manometer subassembly
JP3293101B2 (en) Handrail connection bracket
JP2007275211A (en) Furniture le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