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976Y1 -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976Y1
KR200318976Y1 KR20-2003-0010683U KR20030010683U KR200318976Y1 KR 200318976 Y1 KR200318976 Y1 KR 200318976Y1 KR 20030010683 U KR20030010683 U KR 20030010683U KR 200318976 Y1 KR200318976 Y1 KR 200318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red surface
fastening device
pipe
tub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규
Original Assignee
이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규 filed Critical 이태규
Priority to KR20-2003-0010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9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9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각종 유체나 기체 등을 이송하는 관을 상호 연결하는 관 체결장치의 구성을 지극히 간단하게 하면서도 패킹없이 밀폐력을 유지하면서 관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한 구성의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호 관 접속코자 하는 관체(2,3)상에 응력을 극복하고 강제 걸림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클램프(6)와 연결끼움관체(8)를 각각 관체(2,3)상에 형성하되, 상기 관체(2,3)가 관 접속되는 부분은 상호 테이퍼면(2a)과 원호형 테이퍼면(10)으로 구성하여 패킹을 사용치 않고도 접속부위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접속 및 분리작업이 극히 용이하여 관 접속 및 해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킹을 별도로 개재할 필요가 없어 그 수명 또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은 기밀성 유지로 다양한 유체 이송관체에 호환성있게 접목,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One­touch tube coupling apparatus}
본 고안은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각종 유체나 기체 등을 이송하는 관을 상호 연결하는 관 체결장치의 구성을 지극히 간단하게 하면서도 패킹없이 밀폐력을 유지하면서 관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한 구성의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유체나 기체 등을 이송하는 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나사식 연결플렌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관의 연결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그러한 부품의 가공작업도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좌우 레버의 단부에 고정캠을 형성하여 관의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환홈에 선택걸림되도록 한 레버식 관 체결장치도 개시된 바 있으나, 이 역시 밀폐부에는 패킹이 있어야 하고, 좌우의 레버를 각각 조임하여 주어야 하므로 조립작업 역시 번거로움을 완전히 해소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관 체결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유체나 기체를 이송하는 관을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원터치로 간단히 관을 체결할 수 있고, 패킹이 없이도 밀폐력이 우수하여 염가로 신속하게제조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 2,3: 관체
2a: 테이퍼면 2b: 연결플렌지
4: 연결간 5: 연결개구
6: 클램프 7: 걸림턱
8: 연결끼움관체 9: 테이퍼면
10: 원호형 테이퍼면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1)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이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결합상태 측단면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1)는 지렛대 원리 및 현(弦)을 이용한 원터치 체결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관 접속코자 하는 관체(2,3) 중 일측 관체(2)의 내경 부위를 테이퍼면(2a)으로 형성하고, 상기 관체(2)의 단부 연결플렌지(2b)에는 연결간(4)을 일체 형성하여 이의 단부에 개략 U형으로 상부가 개방된 연결개구(5)를 갖는 클램프(6)를 형성한다.
상기 클램프(6)의 연결개구(5)는 접속코자 하는 대응 관체(3)의 외경(φ1)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걸림턱(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체(2)에 대응하여 접속되는 대응 관체(3)에는 연결끼움관체(8)를 연결하되, 연결끼움관체(8)의 외경(φ2)은 관체(3)의 외경(φ1)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끼움관체(8) 양단의 외경부는 각각 테이퍼면(9)과 원호형 테이퍼면(10)으로 구성한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각각 관체(2)의 테이퍼면(2a)과 클램프(6)의 연결개구(5)상에 긴밀하게 클램핑토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1)는 다양한 관체(2,3)를 상호 접속코자 할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의 체결 및 분리방법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관체(2)에 접속되는 대응 관체(3)를 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대응 관체(3)에 연결된 연결끼움관체(8)의 원호형 테이퍼면(10)을 관체(2)의 연결플렌지(2b) 내경부에 형성된 테이퍼면(2a)에 끼움연접시킨 상태에서 연결끼움관체(8)의 타단부를 클램프(6)의 연결개구(5) 상부를 통하여 각운동 시키면서 강제끼움토록 한다.
상기 연결끼움관체(8)의 타단부는 테이퍼면(9)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연결개구(5)를 통해 연결끼움관체(8)의 단부인 테이퍼면(9)을 강제로 눌러주게 되면 테이퍼면(9)이 클램프(6)의 연결개구(5)를 통해 걸림턱(7)에서 응력을 극복하고 클램프(6)에 클램핑되고,
연결끼움관체(8)의 타측부인 원호형 테이퍼면(10)은 관체(2)의 내경 테이퍼면(2a)에 강한 압력으로 끼움접속되면서 관체(2,3) 상호간의 관 접속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관체(3)의 외경(φ1)은 연결끼움관체(8)의 외경(φ2) 보다 작고, 연결개구(5)의 내경 보다도 작게 이루어지므로 연결끼움관체(8)가 클램핑 시에 연결개구(5) 상으로 충분한 유격을 가지고 끼움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관체(2)와 연결끼움관체(8)는 클램프(6)에 의해 강하게 클램핑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양 관체(2,3)는 상호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체(2,3)의 접속 상태는 실질적인 접속면인 관체(2)의 내경 테이퍼면(2a)과 연결끼움관체(8)의 외경 원호형 테이퍼면(10)이 상호 면접촉한 상태로 접속이 이루어져 관접속 부위에 별도의 고무패킹 등이 불필요하며, 지렛대 작용에 의하여 원터치로 관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관체(2,3)의 관 체결상태에서 필요에 의하여 관체(2,3)를 상호 분리코자 할 시는 관체(3)의 접속 후단부를 잡고서 클램프(6)의 연결개구(5) 상방으로 관체(3)를 들어 올리면 연결끼움관체(8)의 테이퍼면(9)을 클램핑하고 있던 클램프(6)로부터 테이퍼면(9)이 응력을 극복하고 벗어나게 되며, 연결끼움관체(8)의 선단부인 원호형 테이퍼면(10)은 걸림압력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역시 걸림접속 상태에서 해제되어 관체(2)의 내경 테이퍼면(2a)으로부터 간단히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1)는 상호 관 접속코자 하는 관체(2,3)상에 응력을 극복하고 강제 걸림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클램프(6)와 연결끼움관체(8)를 각각 관체(2,3)상에 형성하되, 상기 관체(2,3)가 관 접속되는 부분은 상호 테이퍼면(2a)과 원호형 테이퍼면(10)으로 구성하여 패킹을 사용치 않고도 접속부위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접속 및 분리작업이 극히 용이하여 관 접속 및 해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킹을 별도로 개재할 필요가 없어 그 수명 또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은 기밀성 유지로 다양한 유체 이송관체에 호환성있게 접목,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2)

  1. 각종 유체를 이송하는 관체(2,3)를 상호 관 접속 및 분리할 수 있는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관체(2)의 연결플렌지(2b) 내주연에는 테이퍼면(2a)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플렌지(2b)에는 연결간(4)을 일체 형성하여 단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연결개구(5)를 가지며 걸림턱(7)이 형성된 클램프(6)를 형성하며,
    상기 관체(2)에 대응 접속되는 관체(3)에는 연결끼움관체(8)를 연결하되, 상기 연결끼움관체(8) 클램프(6) 걸림면은 테이퍼면(9)으로 형성하고, 관체(2)의 테이퍼면(2a) 접속면은 원호형 테이퍼면(1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끼움관체(8)의 외경(φ2)은 관체(3)의 외경(φ1)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
KR20-2003-0010683U 2003-04-08 2003-04-08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 KR200318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683U KR200318976Y1 (ko) 2003-04-08 2003-04-08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683U KR200318976Y1 (ko) 2003-04-08 2003-04-08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976Y1 true KR200318976Y1 (ko) 2003-07-04

Family

ID=4941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683U KR200318976Y1 (ko) 2003-04-08 2003-04-08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9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1698A (en) Plastic pipe coupler with internal sealer
JP3990204B2 (ja) 柔軟性補強パイプの端部に装着される再使用可能カップリング
TR201810517T4 (tr) Boru elemanlarının birleştirilmesi için rakor.
US4045060A (en) Pipe retainer joints
GB2212235A (en) Compression coupling for plastic pipe
US4606565A (en) Pipe couplings
US6832791B2 (en) Connection means for interconnecting two duct elements
KR101755002B1 (ko)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US20090105692A1 (en) Male luer lock connector
JPH04307193A (ja) 流体コネクターロック機構
JP2004537696A (ja) パイプカップリング
WO2002035128A3 (en) Threaded pipe joint
US6113157A (en) Adjustable ball joint connector
KR200318976Y1 (ko) 원터치형 관 체결장치
KR960706620A (ko) 도관 커플링(conduit coupling)
US20160138738A1 (en) Hose and Tubing Connector Devic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KR200220136Y1 (ko) 파이프 연결구
CN1036629A (zh) 可拆式管棒联接器
JP6910662B2 (ja) 可撓菅及び継手本体の組立体及びその方法
US5833278A (en) Multiple line compression fitting assembly
US5299842A (en) Fluid line clamp
EP2547945B1 (en) Sanitary clamp coupler with radial seal
KR200379077Y1 (ko) 플랜지
KR200413769Y1 (ko) 관 연결장치
TW200307796A (en) Multi-sealing compression fitting for plumbing conn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