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389Y1 - 이중 동영상 압축 방법을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와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 Google Patents

이중 동영상 압축 방법을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와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389Y1
KR200318389Y1 KR20-2003-0008341U KR20030008341U KR200318389Y1 KR 200318389 Y1 KR200318389 Y1 KR 200318389Y1 KR 20030008341 U KR20030008341 U KR 20030008341U KR 200318389 Y1 KR200318389 Y1 KR 200318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network
camera
video encoder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진
임인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씨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씨앤씨
Priority to KR20-2003-0008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3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네트워크 카메라와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영상 입력에 대하여 고화질 및 고속의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전용 동영상 압축과 고압축률 및 저속의 녹화 전용 동영상 압축을 이중으로 수행하는 이중 동영상 압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 카메라에 동영상 압축용 인코더를 이중으로 내장하여 하나의 영상 입력에 대하여 독립적인 방식으로 이중 압축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서버에서 이를 전송 받아 고화질의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장기 녹화를 위한 고압축률의 저속 녹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럼으로써 영상 감시를 하는데 필수적인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와 장기 녹화라는 두 가지 요구 사항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동영상 압축 방법을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와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UAL VIDEO COMPERSSION METHOD FOR NETWORK CAMERA AND NETWORK DIGITAL VIDEO RECORDER}
본 고안은 네트워크 카메라(Network Camera)와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Network Digital Video Recorder, Network DVR, 이하 ‘네트워크 디브이알’이라 칭하기로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영상 입력에 대하여 고화질 및 고속의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 전용 동영상 압축과 고압축률 및 저속의 녹화 전용 동영상 압축을 이중으로 수행하는 이중 동영상 압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디브이알은 영상 감시의 핵심 장치인 디브이알의 한 범주에 속하며, 이러한 디브이알의 주된 용도는 복수 개의(예를 들어, 4개 또는 16개 채널) 비디오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압축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한 후에 필요할 때 재생, 전송 및 백업해 주는 장치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디브이알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비디오 카메라(10)로 촬영된 영상 신호는 비디오 카메라(10) 내부의 비디오 인코더를 통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케이블(15)을 통해 디브이알(20)에 입력된다. 디브이알(20)에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 칩에 의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nalog-digital conversion; ADC)되고 동영상 인코더(encoder)에 의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압축된 후에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
여기서, 비디오 카메라의 출력 영상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동축 케이블 (15)을 통해 디브이알(20)에 입력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비디오 카메라(10)와 디브이알(20)의 내부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지만, 비디오 카메라 (10)와 디브이알(20) 사이의 케이블(15)에는 아날로그 신호가 전달된다.
그런데, 비디오 카메라(10)와 디브이알(20)을 연결하는 케이블(15)은 아날로그 신호를 전달해야 하므로 반드시 일대일로 연결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설치와 비용상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어떤 대형 빌딩에 비디오 카메라(10)를 1600대 설치한 경우 케이블은 1600 회선이 필요하게 되고 16 채널을 이용할 경우 디브이알은 100대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빌딩 또는 특정 지역을 수백 또는수천 개의 비디오 카메라로 감시하는 경우 이 모든 영상 신호를 중앙 통제 센터(central control center)에 설치되어 있는 디브이알에 전달하기 위하여 각각의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그 수만큼의 케이블을 중앙 통제 센터까지 수십에서 수백 미터씩 배선해야 한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그만큼 배선하는 것은 공간적으로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배선 수와 거리에 비례하여 비용도 증가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디브이알이라는 개념이 도입되게 되었다.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디브이알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네트워크 디브이알에 관한 기술은 국제특허공개 제WO 2002/80033호 및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2-001898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카메라(55)는 비용이 많이 들고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아날로그 케이블을 디지털화 시키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30)과 더불어 동영상 인코더(50)를 자체에 내장하고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30)과 동영상 인코더(5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체형 또는 분리형의 형태를 지닐 수 있다. 일체형 네트워크 카메라인 경우 내장된 카메라 모듈은 직접 동영상 인코더에 디지털 방식으로 연결된다. 반면에, 분리형인 경우 네트워크 카메라는 카메라 모듈을 내장하지 않는 대신에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10)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비디오 디코더 칩이 내장된다. 이러한 분리형 네트워크 카메라는 비디오 카메라(10)와 근접한 곳에 설치되어 수 미터 정도의 비교적 짧은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네트워크 카메라(55)에 내장된 동영상 인코더(50)에 입력된 디지털 영상은 디지털 방식으로 압축되어 비트스트림(bitstream)으로 출력되며, 이 비트스트림 데이터는 대개 이더넷(Ethernet) 방식의 네트워크(70)를 통해 네트워크 디브이알(60)에 전송된다. 그리고, 각각의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동영상 데이터들은 네트워크 디브이알(60)의 모니터에 실시간 디스플레이 되는 동시에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며, 이후에 필요할 때 운영자에 조작에 의하여 재생, 전송 및 백업된다.
이처럼 네트워크 카메라는 영상을 전달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케이블이 아닌 네트워크(70)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더넷 네트워크의 특징인 병렬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70)의 대역폭(bandwidth)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간단하게 병렬로 연결할 수가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카메라와 네트워크 디브이알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용 랜 케이블(70)의 개수는 카메라의 개수에 비하여 현저하게 적어지므로 도1의 종래 기술에 비하여 배선을 위한 공간 절약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디브이알(DVR)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display) 하는 기능과 디지털 방식으로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여 녹화(recording)하는 기능을 둘 다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디브이알(DVR)을 운영할 때, 그 운영자는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실시간 디스플레이의 경우 모든 카메라 영상에 대하여 실시간(NTSC 방식의 경우 초당 30프레임, PAL 방식의 경우 초당 25프레임, 이하 NTSC 기준으로 설명)으로 표시되기를 원한다. 반면에, 녹화의 경우 하드디스크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각 카메라 영상별로 최대 속도가 아닌 1∼8 fps 정도의 저속으로 녹화하기를 원한다.
이는 모든 카메라 영상에 대하여 모니터 상의 디스플레이 속도와 동일한 실시간(즉 초당 30프레임)으로 녹화를 하려면, 저속 녹화에 비하여 및 배의 하드디스크 용량이 소요되고 그에 따른 전체 비용이 대폭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도1의 종래의 디브이알 장치는 비디오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항상 실시간(즉 초당 30프레임)으로 동영상 디스플레이 해주는 실시간 디스플레이 보드(realtime display board)와 카메라당 최대 초당 30프레임 이하에서 운영자가 원하는 속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녹화 전용의 캡쳐 보드(capture board)를 내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디브이알에 대한 이러한 요구 조건으로 인하여 도2에 도시한 네트워크 카메라 및 종래의 네트워크 디브이알의 경우에는 도1에 도시한 일반적인 디브이알 의 경우와 비교하여 기술적인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카메라의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30)에서 촬영한 영상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한 후에 동영상 압축기(50)로 압축하여 네트워크 (70)를 통해 네트워크 디브이알(60)로 압축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 때, 네트워크 디브이알(60)에서는 전송 받은 압축 데이터를 그대로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동시에 이를 복원(decompression, decoding)하여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런데, 엠펙(MPEG)과 같은 고압축률의 동영상 압축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이와 같이 압축 전송을 했을 때 네트워크 디브이알에서의 디스플레이 속도와 녹화 속도가 이론적으로 동일할 수밖에 없다는데 문제가 있다.
엠펙(MPEG)과 같은 동영상 압축 방식은 동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차이(differential)를 기본으로 압축함으로써 압축된 비트스트림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는 알고리즘에 기초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단 정해진 화질과 속도로 압축이 된 후에는 압축을 복원하지 않고서는 그보다 낮은 임의의 화질과 속도로 압축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DVD급 해상도에 초당 30프레임의 속도로 압축된 비트스트림 데이터에서 임의의 저속, 즉 초당 1∼29프레임 속도에 VHS급 해상도의 비트스트림을 추출해 낼 수는 없다.
따라서 도2의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압축된 데이터가 네트워크 디브이알(60)에 전송된 경우에, 운영자가 원하는 실시간의 디스플레이 속도에 맞추어서 고속으로 녹화를 하는 방법과, 운영자가 원하는 저속의 녹화 속도에 맞추어서 저속으로 디스플레이 시키는 방법 중에 선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면 전자의 경우 실시간 디스플레이는 가능하나 고속 녹화에 따른 대용량의 하드 디스크가 소요되어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후자의 경우 하드 디스크 용량은 필요한 만큼만 소요되나 디스플레이 속도가 느려서 운영자가 선호하는 고화질의 부드러운 움직임 표시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실제 상황에서는 비용 절감을 위하여 후자의 경우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엠펙(MPEG)과 같은 동영상 전용 압축 방식 대신에 제이펙(JPEG) 또는 웨이블릿(Wavelet)과 같은 정지 영상 압축 방식을 동영상 압축에 적용하면, 정해진 화질과 속도로 압축된 이후에 화질 변경은 불가능하지만 그보다 낮은 속도의 압축 데이터를 추출할 수는 있으므로 전술한 문제점이 일부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당 30프레임의 속도로 압축된 비트스트림 데이터에서 동일한 화질에 임의의저속, 즉 초당 1∼29프레임 속도의 비트스트림을 추출해 낼 수는 있다. 그러나 여전히 화질 변경은 불가능하고, 또한 제이펙 또는 웨이블릿 압축 방식이 동영상 전용의 엠펙 방식에 비하여 압축률이 열등해서 동일한 화질에 대하여 저장 용량이 2∼3배 정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엠펙 방식과 같이 고압축률의 동영상 전용 압축 방식을 사용하면서도, 모니터상에 고화질로 부드러운 움직임 표시를 하기 위한 고화질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와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절감하여 장기 녹화를 하기 위한 저화질 저속 녹화라는 상반된 두 가지 요구 조건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디브이알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카메라 일체형)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카메라 분리형)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5 : 비디오 카메라
20 : DVR
30 : 카메라 모듈
40 : 디지털 영상 처리 모듈
50 : 동영상 압축기
55 : 일체형 네트워크 카메라
60 :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70 : 이더넷 랜
110 : 디지털 영상 처리 모듈
120 : 제1 동영상 인코더
130 : 제2 동영상 인코더
135 : 동영상 인코더용 메모리
140 : 중앙처리장치(CPU)
141 : 플래시 메모리
150 : 네트워크 칩
175 : 실시간 디스플레이 루틴
176 : 녹화 루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네트워크 카메라와 네트워크 디브이알로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 전용의 제1 동영상 인코더와; 녹화 전용의 제2 동영상 인코더를 이중(dual)으로 내장하고, 입력된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각 동영상 인코더가 독립적으로 동영상 압축하여 네트워크 디브이알롤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카메라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같이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이중으로 압축된 데이터를 전송 받아서, 제1 동영상 인코더의 압축 데이터는 복원하여 모니터상에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를 하고, 제2 동영상 인코더의 압축 데이터는 복원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하여 녹화를 한 후에 필요할 때 재생, 전송 및 백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브이알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도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동영상 압축(dual video compression)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와 네트워크 디브이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이용하면, 제이펙(JPEG)이나 웨이블릿(Wavelet)과 같은 정지 영상 압축(still image compression) 알고리즘 대신에, 압축률이 월등히 높은 엠펙(MPEG), H.263, 또는 차분 웨이블릿(difference wavelet) 등과 같은 동영상 전용의 압축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디브이알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3의 네트워크 카메라는 편의상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분리형 네트워크 카메라를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도3의 네트워크 카메라는 기존의 비디오 카메라(10)로부터 아날로그 영상을 입력 받도록 표시되어 있다.
도3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비디오 카메라(1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네트워크 카메라의 비디오 디코더(110)로 디지털 변환시키고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분기하여 각각 제1 동영상 인코더(120)와 제2 동영상 인코더(130)에 입력시켜서 독립적으로 압축함을 특징으로 한다. 필요할 경우 비디오 디코더(110)도 이중으로 두어 각각 동영상 인코더에 일대일로 비디오 디코더를 연결할 수도 있다.
제1 동영상 인코더(120)는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 전용의 동영상 압축기이다. 네트워크의 대역폭(bandwidth)이 허용하는 한 최고 화질의 부드러운 움직임 표시를 위해서는 최대 속도, 최대 해상도에서 저압축률로 압축하면 된다. 예를 들어 NTSC 표준의 영상인 경우에는 720×480 해상도에 초당 30 프레임, PAL 표준의 영상인 경우에는 720×576 해상도에 초당 25 프레임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압축, 복원된 화질의 정도를 표시하기 위해서 압축률 값보다 이에 반비례하는 비트율(bitrate)값을 실제 많이 사용하는데, MPEG-2 알고리즘의 경우 CBR (Constant Bit-Rate) 제어 방식으로 4∼5Mbps(bits per second, 초당 Megabit) 정도의 비트율로 압축하면 DVD급의 최고 화질을 달성할 수 있다. 물론 네트워크의 대역폭이 부족하다면, 운영자의 판단에 따라 그보다 낮은 해상도, 낮은 속도에 높은 압축률(낮은 비트율)로 압축해도 된다.
반면에, 제2 동영상 인코더(130)는 녹화 전용의 동영상 압축기이다. 일반적으로 하드 디스크 용량과 대역폭을 절감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보다 저화질(고압축률) 저속으로 녹화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MPEG-4 압축 알고리즘을 써서 VBR (Variable Bit-Rate) 제어 방식으로 초당 4프레임씩만 압축한다든지 한다. 물론 어차피 독립적으로 압축하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와 대역폭이 충분하고 운영자가 원한다면, 실시간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화질 및 속도로 압축해도 무방하다.
이와 더불어, 만약 비디오 디코더를 이중으로 두어서 각 동영상 인코더에 개별적으로 연결한 경우에는, 두 개의 비디오 디코더가 서로 다른 해상도 (resolution, image size)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동영상 인코더가 화질 및 속도뿐만 아니라 해상도까지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신에 비디오 디코더 1개 더 추가해야 하므로 그만큼 제조 비용이 다소 상승한다.
한편, 중앙처리장치(CPU; 140)는 전술한 비디오 디코더(110), 제1 비디오 인코더(120) 및 제2 비디오 인코더(130)를 제어하며, 이를 위한 제어용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141)에 저장된다. 그리고 네트워크 전송을 위하여 연결된 이더넷용 네트워크 칩(150) 및 트랜시버(transceiver; 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CPU; 140)는 두 개의 동영상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비트스트림(bitstream)의 패킷(packet)을 TCP/IP 또는 UDP/IP 프로토콜로 이더넷 네트워크(160)를 통하여 네트워크 디브이알 전송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전술한 카메라(10), 비디오 디코더(110) 및 제1 동영상 인코더(120), 제2 동영상 인코더(130), 중앙처리장치(140), 네트워크 칩(150) 등은 필요에 따라 하나의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으로 일체화 시킬 수도 있고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처리 속도가 충분하고 비디오 디코더와 직접 인터페이스 가능하다면 2개의 동영상 인코더를 중앙처리장치에 통합시킴으로써 하드웨어 회로를 간략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 디브이알(170)은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이중으로 압축된 비트스트림 데이터를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아서, 제1 동영상 인코더의 압축 데이터는 복원하여 모니터상에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를 하고(175, 180), 제2동영상 인코더의 압축 데이터는 복원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하여 녹화(176, 181)를 한 후에 필요할 때 운영자의 조작에 의하여 재생, 전송 및 백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도1의 종래의 디브이알과 달리 네트워크 디브이알은 이러한 과정을 모두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므로 하드웨어인 실시간 디스플레이 보드나 캡쳐 보드는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이 단순해진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 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은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네트워크 카메라에 동영상 인코더를 이중으로 내장하여 입력된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이중으로 압축하고, 네트워크 디브이알에서 이를 독립적으로 실시간 디스플레이와 녹화 저장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네트워크 카메라 및 네트워크 디브이알과 마친가지로 병렬 연결이 가능한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전체적인 배선 공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의 일반적인 디브이알에서 기본 사양으로 간주되는 고화질의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와 저화질 저속 녹화라는 요구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 전용의 제1 동영상 인코더와 녹화 전용의 제2 동영상 인코더를 이중(dual)으로 내장하고,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하나의 디지털 영상에 대하여 각 동영상 인코더가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화질과 속도(초당 프레임 수)로 동영상 압축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일체형의 네트워크 카메라.
  2.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 전용의 제1 동영상 인코더와 녹화 전용의 제2 동영상 인코더를 이중으로 내장하고, 별도의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네트워크 카메라의 비디오 디코더로 디지털 변환시키고 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분기(multiplex)하여 각각 제1 동영상 인코더와 제2 동영상 인코더에 입력시켜서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화질과 속도(초당 프레임 수)로 동영상 압축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분리형(카메라 모듈을 내장하지 않은)의 네트워크 카메라.
  3.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를 이중으로 두어서 제1 동영상 인코더와 제2 동영상 인코더에 개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두 개의 비디오 디코더가 서로 다른 해상도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하여 각 동영상 인코더가 화질 및 속도뿐만 아니라 해상도(resolution, image size)까지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 네트워크 카메라.
  4. 복수 개의 일체형 또는 분리형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화질과 속도로 이중 압축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받아서, 제1 동영상 인코더의 압축 데이터는 복원(decompression, decoding)하여 모니터 상에 실시간 동영상 디스플레이를 하고, 제2 동영상 인코더의 압축 데이터는 복원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브이알.
KR20-2003-0008341U 2003-03-20 2003-03-20 이중 동영상 압축 방법을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와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KR200318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341U KR200318389Y1 (ko) 2003-03-20 2003-03-20 이중 동영상 압축 방법을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와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341U KR200318389Y1 (ko) 2003-03-20 2003-03-20 이중 동영상 압축 방법을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와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420A Division KR100537305B1 (ko) 2003-03-20 2003-03-20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동영상 압축 저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389Y1 true KR200318389Y1 (ko) 2003-06-28

Family

ID=4940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341U KR200318389Y1 (ko) 2003-03-20 2003-03-20 이중 동영상 압축 방법을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와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3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405B1 (ko) * 2004-03-26 2005-12-19 코디콤(주) 디브이알의 절약녹화 방법
KR100896292B1 (ko) * 2008-11-07 2009-05-07 렉스젠(주)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405B1 (ko) * 2004-03-26 2005-12-19 코디콤(주) 디브이알의 절약녹화 방법
KR100896292B1 (ko) * 2008-11-07 2009-05-07 렉스젠(주)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305B1 (ko) 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동영상 압축 저장 방법
US5995150A (en) Dual compressed video bitstream camera for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US6038257A (en) Motion and still video picture transmission and display
US20100303436A1 (en) Video processing system, video processing method, and video transfer method
US7593580B2 (en) Video encoding using parallel processors
KR100578297B1 (ko) 보안 감시용의 네트워크 기반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전송시스템 및 하이브리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US9602794B2 (en) Video processing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KR101172389B1 (ko)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카메라
CN104735410A (zh) 一种低于4k/s的窄带宽视频传输方法及系统
US9392214B2 (en) High definition video recorder/player
KR200318389Y1 (ko) 이중 동영상 압축 방법을 적용한 네트워크 카메라와네트워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JP3850015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記録再生装置および伝送装置
KR101429505B1 (ko) 영상 재생장치
KR20060023418A (ko) 하드웨어 mpeg4 코덱 및 v2oip 프로토콜을이용한 실시간 팬/틸트/줌 제어가 가능한 네트워크 카메라시스템
KR200370249Y1 (ko) 하드웨어 mpeg4 코덱 및 v2oip 프로토콜을이용한 실시간 팬/틸트/줌 제어가 가능한 네트워크카메라 시스템
US662870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ressing color video data within a data processing system
KR100778118B1 (ko) 네트워크로의 영상신호 전송기능을 향상한 dvr장치 및그의 영상신호 압축방법
EP0843483B1 (en) A method for decoding encoded video data
JP5131954B2 (ja) ビデオレコーダ並びにカメラシステム
KR100896278B1 (ko) 가정용 방범 기능이 부가된 하드디스크를 이용한 티브이녹화장치
JP2009296135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KR100368759B1 (ko) 동영상 압축 양방향 전송방법
JP5249265B2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KR200352634Y1 (ko) 보안 감시용의 네트워크 기반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전송장치
KR20030019947A (ko) 통합형 디브이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