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226Y1 - 곡물 냉장고 - Google Patents

곡물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226Y1
KR200318226Y1 KR20-2003-0009246U KR20030009246U KR200318226Y1 KR 200318226 Y1 KR200318226 Y1 KR 200318226Y1 KR 20030009246 U KR20030009246 U KR 20030009246U KR 200318226 Y1 KR200318226 Y1 KR 200318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evaporator
direct
refrigerator
cooling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철
Original Assignee
박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철 filed Critical 박성철
Priority to KR20-2003-0009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2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2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저장부의 단열벽에 증발파이프를 설치할 뿐만 아니라 곡물 저장공간에도 증발파이프를 설치함으로써 곡물이 저장되는 전체공간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도록 하는 곡물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에는 수납용기 내의 곡물 저장부에 곡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곡물을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냉동 싸이클을 형성하는 증발기가 구비된 곡물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곡물 저장부의 곡물 저장공간내에 설치되어 저장된 곡물을 직접 냉각시키는 직냉식 증발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곡물 냉장고{refrigerater for rice}
본 고안은 쌀을 비롯한 곡물을 저온으로 저장하기위한 곡물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저장부의 단열벽에 증발기를 설치할 뿐만 아니라 곡물 저장공간에도 증발기를 설치함으로써 곡물이 저장되는 전체공간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도록 하는 곡물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곡물을 비롯한 곡물이 변질되거나 해충발생을 방지하여 장시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곡물통을 저온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종래 다양한 곡물 냉장고가 연구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에 곡물냉장고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곡물냉장고(100)는 방열장치가 설치되는 하부의 방열부(110)와 방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곡물을 저장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곡물보관부(120)와, 곡물보관부(120)를 덮는 덮개(130)로 이루어지며, 곡물보관부(120)는 곡물통에 설치되는 통상의 개폐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 곡물을 곡물보관부(120)로부터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방열부(110)에는 냉매를 고온, 고압 상태로 압축하는 압축기(111)와,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블로워(112)와, 압축기(111)에서 압축된 냉매를 블로워(112)의 송풍되는 바람에 의하여 저온, 고압의 냉매로 만드는 응축기(113)가 구비된다.
곡물보관부(120)는 외측에 형성된 마감재(123)와 내측에 형성되는 수납부재(122)와 마감재(123)와 수납부재(122)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재(124)로 이루어진 벽체로 이루어진다. 수납부재(122)의 외측과 접하는 단열재(124)내에는 증발기(121)들이 설치되어져 있어 팽창밸브(미도시)를 거친 냉매가 기화상태로 증발기(121)내에 순환됨으로써 증발기가 냉각되어 수납부재(122)에 둘러쌓인 수납공간에 저장된 곡물이 저온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곡물냉장고에서는 증발기(121)가 벽체에 설치되어지기 때문에 곡물 수납공간 중 수납부재(122)에 인접되는 부분이 가장 저온이고, 수납부재로부터멀어지는 중심부는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된다. 특히, 곡물냉장고는 내부에 곡물이 저장되기 때문에 일반 냉장고와 같이 저장공간 내부에서 공기의 대류현상이 극히 제한된다. 따라서 저장공간의 전체에 대하여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현상은 식당등의 영업소에서 사용되는 대형인 경우에 더욱 심화되고 있다.
또한, 곡물냉장고의 중심부까지 저온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를 낮게 제어하는 경우에 증발기가 내장되는 수납부재(122)의 인접부위에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곡물이 손상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곡물 수납공간내부에 특히, 중심에 증발기를 설치하여 수납공간 내부의 저장곡물에 가능한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곡물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균일한 온도 분포를 작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이루도록 함으로써 곡물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저장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곡물냉장고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직냉식 증발기들의 설치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직냉식 증발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수납용기 내의 곡물 저장부에 곡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곡물을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냉동 싸이클을 형성하는 증발기가 구비된 곡물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곡물 저장부의 곡물 저장공간내에 설치되어 저장된 곡물을 직접 냉각시키는 직냉식 증발기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직냉식 증발기는 상기 수납용기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나선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직냉식 증발기는 증발기 수납부에 의하여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증발기 수납부는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재질로 아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증발기 수납부는 원통형상의 밀폐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직냉식 증발기는 다층의 평면상에 복수의 절곡부를 갖으며, 각 층은 상호 연결부로 연결되어져 상기 다층으로 형성된 증발기의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직냉식 증발기는 피복층에 의하여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직냉식 증발기들의 설치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곡물저장부(210)가 내부에 형성된 수납용기(220)의저부에는 방열부(230)가 설치된다. 또한, 수납용기의 벽체 내부에는 보조 증발기(221)가 설치되고, 수납용기의 곡물저장부(210) 중에는 직냉식 증발기가 설치된다. 보조 증발기(221)를 이용하여 곡물저장부(210)의 곡물을 저온 유지시키기 위한 냉동 싸이클을 구성하는 방열부의 각 장치들은 도 1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나 보조 증발기(221)는 직냉식 증발기(240), (250), (260)와 직결되어 냉매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납용기(220) 내에 형성된 곡물저장부(210)에는 중앙에 설치된 직냉식 증발기(250)와 직냉식 증발기(250)와 수납 용기의 벽체 사이에 2개의 직냉식 증발기(240), (260)로 이루어진 3개의 직냉식 증발기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직냉식 증발기들의 크기와 갯수는 곡물 냉장고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는 설계적 사항이다. 또한, 냉매는 보조 증발기(221)의 특정 구간에서 직냉식 증발기(240)로, 직냉식 증발기(240)에서 직냉식 증발기(250)로, 직냉식 증발기(250)에서 직냉식 증발기(260)로, 직냉식 증발기(260)에서 보조 증발기(221)로 복귀되도록 한다. 또한, 냉매의 순환은 중앙에 설치된 직냉식 증발기(250)로 인입되어 직냉식 증발기(240), 직냉식 증발기(260), 보조 증발기(221)를 순차적으로 순환한 뒤 방열부(230)로 복귀될 수 있다.
직냉식 증발기(240), (250), (260)는 다양한 형상과 구성을 할 수 있으며, 보조 증발기 없이 직냉식 증발기만으로 곡물을 저온으로 유지 시킬 수 있으며, 직냉식 증발기의 숫자도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도 3은 그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수납용기의 저면(301)에 수직으로 원통형상의 고정봉(302)이 볼트들(303),(303')에 의하여 체결되고, 고정봉(303)의 주위를 따라서 나선 형상으로 직냉식 증발기(250)가 설치되며, 직냉식 증발기(250)는 고정클립(304)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봉(303)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직냉식 증발기를 하나만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심부의 직냉식 증발기(250)를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직냉식 증발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되는 직냉식 증발기(410)는 수납용기(210)내에 직냉식 증발기를 하나 설치하여 균일한 온도를 유지시키는 데에 적절한 구조이다.
직냉식 증발기(410)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져 각 층은 수납용기(210)내에 넓은 면적에 분포되도록 수평면에서 절곡부를 다수 갖도록하고, 각 층의 단부는 상, 하 층의 단부에 연속되어 냉매가 순환되도록 한다.
직냉식 증발기(410)는 수납용기(210)의 벽체에 고정된 고정구(401)에 설치된다. 고정구(40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직냉식 증발기(401)의 각 층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들이 고정클립(402)에 의하여 고정구(401)에 고정됨으로써 직냉식 증발기(410)가 고정된다.
또한, 직냉식 증발기에는 직냉식 증발기의 냉각에 따른 급한 온도변화에 따른 결빙이나 결로 현상을 막기 위하여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을 수지에 혼합하여 제조한 실리콘관을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직냉식 증발기(501)와 곡물이 직접 접촉함으로써 직냉식 증발기(501)와 접촉되는 곡물에 미량의 수분이 응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냉식 증발기(501)를 증발기 수납부(502) 내부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증발기 수납부(502)는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황토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냉식 증발기(501)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관으로 밀폐 또는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직냉식 증발기(501)는 증발기 수납부(502)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나선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발기 수납부(502)는 직냉식 증발기(501)의 냉기를 발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주를 따라서 주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다른 냉각장치에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냉수기에서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를 직냉식 증발기에 순환시키거나, 일반 냉장고의 냉매를 직냉식 증발기에 순환시킴으로써 곡물을 저온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의 구성과 목적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곡물 냉장고의 내부 공간에 직접 곡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직냉식 증발기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곡물에 의한 대류 현상이 방해됨으로써 발생되는 국부적인 냉각현상에 의한 저장공간 중심의 고온 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

Claims (7)

  1. 수납용기 내의 곡물 저장부에 곡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곡물을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냉동 싸이클을 형성하는 증발기가 구비된 곡물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곡물 저장부의 곡물 저장공간내에 설치되어 저장된 곡물을 직접 냉각시키는 직냉식 증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냉식 증발기는 상기 수납용기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나선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냉식 증발기는 증발기 수납부에 의하여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수납부는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재질로 아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수납부는 원통형상의 밀폐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냉식 증발기는 다층의 평면상에 복수의 절곡부를 갖으며, 각 층은 상호 연결부로 연결되어져 상기 다층으로 형성된 증발기의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7.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냉식 증발기는 피복층에 의하여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냉장고.
KR20-2003-0009246U 2003-03-27 2003-03-27 곡물 냉장고 KR200318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46U KR200318226Y1 (ko) 2003-03-27 2003-03-27 곡물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246U KR200318226Y1 (ko) 2003-03-27 2003-03-27 곡물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092A Division KR100563958B1 (ko) 2003-01-22 2003-03-27 곡물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226Y1 true KR200318226Y1 (ko) 2003-06-27

Family

ID=4933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246U KR200318226Y1 (ko) 2003-03-27 2003-03-27 곡물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2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03B1 (ko) 2006-03-13 2007-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기 전달율 및 확산율을 개선한 곡물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03B1 (ko) 2006-03-13 2007-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기 전달율 및 확산율을 개선한 곡물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624B1 (ko) 냉장고
US20070214823A1 (en) Heat exchang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030004899A (ko) 백커버 겸용 응축기가 구비된 냉장고
KR100730303B1 (ko) 냉기 전달율 및 확산율을 개선한 곡물 냉장고
KR200311024Y1 (ko) 곡물 냉장고
KR100563958B1 (ko) 곡물 냉장고
KR200318226Y1 (ko) 곡물 냉장고
US7788946B2 (en) Refrigerator for grain
JPH10318655A (ja) 冷凍冷蔵庫
KR20130110174A (ko) 축열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JP3326326B2 (ja) 熱交換器
KR100531474B1 (ko) 쌀냉장고를 구비한 정수기
JP2007078282A (ja) 冷蔵庫
KR200309878Y1 (ko) 쌀냉장고를 구비한 정수기
KR20000004490A (ko) 냉장고의 야채보관실 냉각장치
JP2005345060A (ja) 冷蔵庫
US5791154A (en) Energy transfer system for refrigeration components
JP2003207253A (ja) 冷蔵庫
KR100229188B1 (ko) 냉장고
US5720186A (en) Heat exchanger
KR0113761Y1 (ko) 냉장고의 응축기 설치구조
JP2024075862A (ja) 冷蔵庫
JPS6117327Y2 (ko)
WO2010092625A1 (ja) 冷蔵庫
JP2006078054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