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459Y1 - 사우나 장치 - Google Patents

사우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459Y1
KR200317459Y1 KR20-2003-0007855U KR20030007855U KR200317459Y1 KR 200317459 Y1 KR200317459 Y1 KR 200317459Y1 KR 20030007855 U KR20030007855 U KR 20030007855U KR 200317459 Y1 KR200317459 Y1 KR 200317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steam
water supply
sau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동
Original Assignee
이정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동 filed Critical 이정동
Priority to KR20-2003-0007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4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4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61H33/067Installations for the inside of such cabins, e.g. 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61H33/065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with steam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8Interfaces to the user freely programmable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속급수가 가능하여 사용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우나를 즐길 수 있고, 증기발생장치의 크기를 줄이면서 예열공간을 확보하여 컴팩트한 크기에 최대의 증기발생량을 얻을 수 있는 사우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지면에 놓여지고 상단은 개방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는 함체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된 의자, 상기 본체 상단을 덮기 위한 덮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발생기를 포함하는 사우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우나 장치{Sauna booth}
본 고안은 가정 등에서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사우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시켜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스팀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사우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우나 장치는 히터에 의해 물을 비등점까지 가열하여 얻어진 증기를 사우나실로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히터와 급수설비를 필요로하여 사우나 장치의 크기가 크고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설비 설치 작업도 복잡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시설하여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사우나 장치는 물을 비등점까지 히터에 의해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히터를 필요로 하며 전력 소모가 큰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실용신안등록 제127503호와 같이 전기분해에 의한 새로운 타입의 증기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사우나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상기한 종래의 장치는 전기분해에 의해 제공되는 증기가 사우나의 원래 목적에 부합되지 않으며, 발생량 또한 소금물이 담기는 증기발생통의 용량에 한정되기 때문에 만족할 만한 사우나 효과를 얻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증기사우나는 고온의 증기를 인체에 투사하거나 또는 피부를 통하여 체내에 흡수하도록 하므로서 피부미용에 유익하도록 함과 동시에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므로서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인체의 건강을 보강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전기분해에 의해서는 사우나에서 필요로 하는 고온의 증기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러한 증기 사우나시설의 효능은 증기 발생 능력에 따라 정해지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증기 발생기는 증기발생통 안에 일정한 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소금물을 채워넣은 다음 전기분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게 되고, 일정시간 경과후에는 탱크안에 다시 물을 채워넣고 전기분해 작업을 다시 반복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가정용으로 개발된 사우나 장치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비크기가 대단히 커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속급수가 가능하여 사용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우나를 즐길 수 있고, 증기발생장치의 크기를 줄이면서 예열공간을 확보하여 컴팩트한 크기에 최대의 증기발생량을 얻을 수 있는 사우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우나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사우나 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치를 가동하는 메인컨트롤러를 외장형으로 구성하여 습기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사우나 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우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우나 장치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우나 장치의 의자 부분을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우나 장치의 증기발생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우나 장치 11 : 본체
13 : 토출구 14 : 배수구
15 : 물공급구 16 : 힌지축
17 : 고무패드 20 : 덮개
21 : 에어유통구 22 : 에어관
23 : 흡입마스크 24 : 필터
30 : 의자 31 : 팔걸이
32 : 차단벽 40 : 증기발생기
41 : 내통 42 : 외통
43 : 급수관 44 : 배출구멍
45 : 격벽 46 : 월류관
47,52 : 솔레노이드밸브 48 : 전열히터
49 : 플로트스위치 51 : 배수관
60 : 물통 61 : 지지프레임
62 : 안착홈 63 : 연결관
64 : 분기관 65 : 샤워헤드
66 : 공급관 68 : 제트노즐
69 : 연결호스 70 : 메인회로
71 : 펌프 80 : 조작부
82 : 수광소자 90 : 리모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부스를 이루는 사우나 본체와, 본체 저부에 내장설치되어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증기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지면에 놓여지고 상기 증기발생기가 내장되어 내부로 증기를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본체 내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의자가 구비된다.
상기 의자는 본체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본체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본체 상단을 덮는 덮개가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기는 물을 채워넣고 가열하면 증기가 발생하도록 된 증기발생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안에 채워넣은 물을 가열하도록 된 가열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안의 물의 량을 측정하는 수위측정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와 가열부와 수위측정부의 모든 작동사항을 점검하고 측정하여 항상 알맞는 운전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우나 이외에 샤워나 월풀 등과 같은 부가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부가기능부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우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우나 장치의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우나 장치의 의자 부분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의 사우나 장치(10)는 지면에 놓여지고 상단은 개방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는 함체 형태의 본체(11)와, 이 본체(11)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된 의자(20), 상기 본체(11) 상단을 덮기 위한 덮개(20), 상기 본체(11)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11)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13)를 통해 사우나용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발생기(40) 및 상기 본체 내측공간에 설치되는 부가기능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는 내부에서 맺히는 물 등을 배수처리할 수 있도록 저부 일측에 배수구(14)가 형성되고, 본체(11)의 내부 바닥면은 상기 배수구(14)를 향하여하향경사져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본체(11) 일측면에는 본체(11) 내부에 설치된 증기발생기(4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구(15)가 설치되어 물공급호스 등이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의자(20)는 본체(11)와 일체로 성형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자(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팔걸이(31)가 형성되며, 하단 좌우측에는 사우나용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토출구(1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13)로부터 분사되는 고온의 스팀이 의자(20)에 착석한 사용자의 다리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이 분사되는 토출구(13)와 사용자의 다리가 놓여지는 곳과의 사이에 별도의 차단벽(32)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20)는 상기 본체(11)의 상단을 덮어 본체(11)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면이 본체(11) 상단과 힌지축(16)으로 연결 설치되어 회동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덮개(20)의 크기와 그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데, 상기 덮개(20)가 실질적인 출입문 역할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밖을 볼 수 있도록 하고, 본체(11) 상단과 접하는 덮개(20) 하단에는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고무 패드(17)를 설치한다.
한편,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20)는 사우나 도중 사용자가 외기를 흡입할 수 있는 외기유입수단이 더욱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외기유입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에어유통구(21)에 연통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측으로 연장되고 끝단에는 흡입마스크(23)가 설치된 에어관(22)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유통구(21) 외측에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24)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깨끗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에어관(22)은 주름관으로 하여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18)은 본체(11)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본체(11) 상부로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도록 된 계단이다.
또한, 상기 부가기능부는 본체와 커버가 이루는 부스 내에 설치되는 샤워수단과, 월풀(whirlpool)기능을 위한 월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샤워수단은 상기 본체(11)의 물공급구(15)에 연결되고 본체를 지나 커버(20)를 따라 커버의 내측 상단으로 연장되는 분기관(64)과, 이 분기관(64)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의 상단에 장착되어 물을 분사시키기 위한 샤워헤드(65)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분기관(64) 일측에는 차단밸브가 설치되어 분기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필요시에만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샤워공간을 마련할 필요없이 바로 사우나 부스 내에서 샤워까지 마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월풀수단은 강력한 제트기류를 통한 맛사지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1) 내부에 물을 채워넣기 위해 상기 물공급구(15)에 연결설치되고 본체 저부에 설치된 투입구(67)와 연결되는 월풀용 물 공급관(66)과, 본체의 의자(30)에 설치되어 공기혼합물줄기를 분사하기 위한 제트노즐(68),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트노즐(68)에 연결호스(69)를 매개로 연결되어 제트노즐로 공기혼합물줄기를 강제 공급하기 위한 펌프(71), 상기 본체 저부와 펌프를 연결하여 펌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순환호스(72)를 포함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필요시 본체 내에 물을 채워넣고 펌프(71)를 가동시키게 되면 본체 내의 물이 순환호스(72)를 통해 펌프로 유입되며 펌프는 에어가 포함된 고압수를 연결호스를 통해 제트노즐로 공급하게 되고, 따라서 각 제트노즐(68)을 통해 뿜어져나오는 고압의 공기혼합물질기가 의자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다리와 등과 허리 등을 두드리게 되어 시원한 맛사지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트노즐의 설치 위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순한 설계변경에 의해 필요한 경우 다른 곳에 설치할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증기발생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채워넣고 가열하면 증기가 발생하도록 된 증기발생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안에 채워넣은 물을 가열하도록 된 가열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안의 물의 량을 측정하는 수위측정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와 가열부와 수위측정부의 모든 작동사항을 점검하고 측정하여 항상 알맞는 운전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발생부는 이중 탱크로 되어 내부에 설치된 가열부에 의해 물이 직접가열되는 내통(41)과,내통(41) 일측면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어 필요시 내통(4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외통(42), 상기 본체(11) 측면의 물공급구(15)에 연결되고 내통(41) 외측면에서 내통(41)을 관통하여 외통(42)으로 연장되어 외통(42)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증기발생부는 일정한 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 탱크로 이루어지며, 탱크는 내부에 가열부가 설치되어 물이 직접 가열되는 내통(41)과, 내통(41) 외측에 밀착되고 내통(41)으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외통(42)으로 이루어진다.
내통(41) 안에 물을 채워 넣고 열을 가하여 생성되는 증기를 사우나장치의 본체 내로 공급하기 위하여 내통(41)의 상부 또는 측면에 증기 배출구멍(44)을 가공하고, 이 증기 배출구멍(44)은 상기 본체(11)의 의자(30)에 형성된 증기 토출구(13)와 직접 또는 별도의 연결관을 통해 연결 접속한다.
내통(41)과 외통(42)은 탱크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격벽(45)에 의해 구분되며, 격벽(45) 하단에는 월류관(46)이 설치되어 외통(42)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내통(41)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수관(43)은 내통(41) 외측벽을 통해 설치되어 내통(41)을 지나 격벽(45)을 관통하여 외통(42)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솔레노이드밸브(47)가 설치되어 물 공급을 조절하게 된다.
급수관(43)의 내측 선단은 외통(42)에서 하부로 절곡되며 절곡된 급수관(43) 끝단에는 물 공급시 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급수되는 물을 외통(42) 내에분무시키기 위한 분무기(47)가 설치되고 상기 분무기(47)는 표면에 다수의 분사홀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격자망이 내장되어 토출되는 물을 거품형태로 분무시키게 된다.
따라서 급수관(43)으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변화에 관계없이 분무기(47)를 거치면서 부드럽게 외통(42)으로 흘러내리게 되어 외통(42) 내의 물의 유동을 방지하여 수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열부는 내통(41)에 차 있는 물을 가열하여 포화상태로 만듦으로서 포화증기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기열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히터(48)가 많이 사용되며, 전열히터(48)의 전기용량은 내통(41)의 용량에 따라 알맞는 것을 선택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열히터(48)는 두 개가 구비되어 내통(41) 저면에 설치되며,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이에 따라 콘트롤부에 의해 각각 제어작동된다.
이와같이 두 개의 히터(48)가 상황에 따라 교대로 또는 동시에 작동됨으로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데 히터(48)의 작동은 뒤에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수위측정부는 외통(42) 내부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측정함으로서 외통(42)에 채워져 내통(41)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플로트스위치(flot switch;49)와 같은 수위측정기가 장착 사용되며 상기 플로트스위치(49)의 유동범위내에서 물의 수위가 유지하도록 증기발생부 외통(42) 안의 물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 (50)은 내통(41) 상부에 설치되는 압력밸브로서, 내통(41) 내 증기압력이 일정압 이상인 경우 자동 작동되어 압력을 강하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우나 장치는 급수시설이 없는 장소에 설치시에도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물공급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물공급수단은 일정량의 물이 담아지고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 선단에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가 설치된 물통(60)과,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수평설치된 지지프레임(61)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이 끼워지는 안착홈(62), 이 안착홈(62)에 연통되고 상기 급수관(43) 일측에 연결되어 물통의 물을 급수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물을 채운 물통(60)을 뒤집어 마개부분을 지지프레임(61)의 안착홈(62)에 끼워주게 되면 안착홈(62)에 밸브가 눌려 개방되면서 물통의 물이 일정량씩 연결관(63)을 통해 급수관(43)으로 흘려보내 증기발생부의 외통(42)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51)과 (52)는 내통 저부에 연결설치되는 배수관과 배수관을 개폐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증기발생기는 슬림형태로 되어 폭방향 크기에 비해 길이방향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구조를 이룬다. 이는 내장형 뿐아니라 벽면에 부착설치 등과 같이 외장형으로 설치하기에 유리하며, 이 경우 내통과 외통은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가열부는 내통의 저면에 설치된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콘트롤부의 개략적인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콘트롤부는 외통(42) 안의 물의 양과 설정온도와 실내온도 차에 따른 히터(48)의 작동 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각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회로(70)와, 메인회로(70)를 컨트롤하기 위한 조작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작부(80)는 메인회로(70)를 통해 입력된 각 수치를 표시하고, 증기 발생 시간, 온도 등을 설정하여 조작하며, 각 스위치가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밸브(47,52) 및 히터(48)를 온/오프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원격제어가 가능한데, 이를 위해 조작버튼이 구비된 리모콘(90)과 조작부에 설치되어 리모콘(90)에서 발사되는 적외선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소자(82)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거리에서 리모콘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본 장치를 제어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메인회로(70)에는 감지부, 히터(48), 조작부(80)가 회로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에는 각 신호에 따라 히터(48), 밸브(47,52) 등을 조작하기 위한 CPU(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되며, 감지부는 탱크의 수위와 물 온도, 사우나장치의 본체 내부 온도를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신호를 CPU에서 수신하여 급수관(43)의 솔레노이드 밸브(47)와 히터(48)를 제어 조정하도록 하며, 이와 같은 모든 작동상태는 조작부(8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사우나장치는 대단히 적은 면적만을 차지하게 되므로 본체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지면에 놓고, 본체 상단에 힌지축으로 덮개를 설치하는 것으로 간단히 사우나장치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사우나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리모콘(90)이나 조작부(80)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작동시간과 가열온도 등을 적당히 설정 조작하게 되면, 증기발생부의 외통(42)으로 급수관(43)을 통하여 적당한 수위에까지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며, 외통(42)에 채워진 물은 외통(42)과 내통(41) 사이의 격벽(45) 저면의 월류관(46)을 통해 내통(41)으로 공급된다.
수위측정기인 플로트스위치(49)의 최고 수위측정치에까지 물이차면 이의 신호가 메인회로에 송신되며 메인회로의 CPU는 급수관(43)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47)에 전원을 인가하여 급수관(43)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전열히터(48)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열히터(48)를 가열하게 된다.
전열히터(48)의 가열에 의해 물이 가열되면서 포화액 상태가 되어 포화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 포화증기는 내통(41) 상부에 설치된 증기배출관(44)을 통해 본체에 설치된 의자(30)의 토출구(20)를 통해 배출되어 사우나실 내부로 분무된다.
한편, 상기 증기배출관(44)에는 솔레노이드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하여 CPU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함으로서, 증기의 발생량과 압력 상태가 적당한 값에까지 도달한 경우에만 증기를 사우나실로 배출시킴이 바람직하다.
히터(48) 가동에 의해 내통(41)의 물이 가열되면 외통(42)으로 공급되는 물이 예열되는 데, 즉 외통(42)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43)은 내통(41)을 거쳐 외통(42)으로 연결설치됨으로서, 내통(41) 내에서 가열된 고온의 온수가 급수관(43)을 가열하여 급수관(43)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포화증기를 생성하고 배출하는 작동이 계속 되는 동안 증기의 배출량만큼 물의 수위가 떨어져 수위측정기인 플로트스위치(49)의 최저 수위측정치가 감지되면 CPU는 솔레노이드밸브(47)를 개방작동하여 외통(42) 안으로 물을 공급하므로서 증기발생내통(41) 안의 물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증기를 계속 사용하는 동안 외통(42)으로 유입되는 물은 급수관(43)을 거치면서 일단 온도가 어느정도까지 상승되고 또 외통(42)에서 머물면서 격벽(45)을 통해 전달되는 내통(41)의 온도에 의해 더욱 가온되므로, 외통(42)에서 내통(41)으로 물이 공급되더라도 내통(41)의 물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히터(48) 작동을 살펴보면, 사우나실 내부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 이를 감지한 메인회로는 CPU의 신호에 따라 두 개의 히터(48)에 전원을 인가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설정온도와 실온이 일치하게 되면 히터(48)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되고, 실온이 설정온도보다 일정온도 내려간 경우에는 예컨대 5℃ 이하로 내려갈때는 두 개의 히터(48) 중 한 개 히터(48)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켜 일정량의 증기를 발생시키며, 실온이 더욱 내려가 10℃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나머지 히터(48)도 작동시키게 된다.
물론, 본 고안은 전기적 회로구성 즉,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릴레이, LED, 타이머 등의 조합에 의해 히터(40)의 작동과 수위 변동에 따른 물공급, 과열에 따른 작동중단 등의 작용을 자동화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발생된 스팀은 본체(11)와 덮개(20)에 의해 형성되는 사우나장치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게 되어 사용자는 본체의 의자(30)에 앉은 상태에서 스팀 사우나를 즐길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온의 스팀에 의해 호흡 등이 곤란한 경우에는 상기 덮개(20)에 설치된 외기유입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데, 상기 덮개(20) 일측에는 외기가 유통되도록 에어유통구(21)가 형성되고 에어관(22)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덮개 내측으로 연장된 에어관의 에어마스크(23)를 입에 대고 덮개 외부의 공기를 호흡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사우나 부스에 구비되어 있는 부가설비인 샤워헤드를 통해 사용자는 사우나를 마친 후 샤워를 바로 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사우나와 함께 월풀을 이용한 맛사지효과를 통해 혈액순환이나 신진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피하지방을 분해시켜 노폐물을 밖으로 빼내고 뭉치거나 몰린 근육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우나 장치에 의하면,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가정 등에서 손쉽게 설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속급수가 가능하여 사용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우나를 즐길 수 있고, 증기발생기의 크기를 줄이면서 예열공간을 확보하여 전체적인 사우나장치의 크기를 컴팩트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탱크 내부로 공급된 물이 일차적으로 급수관과 외통에서 일정온도로 상승되어 내통으로 투입됨으로서 냉수의 급속 투입에 따른 물의 온도저하를 방지하고 이로 인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증기발생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가적인 설비에 의해 샤워 및 월풀기능을 사우나와 함께 병행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한 이용은 물론 사우나에 의한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지면에 놓여지고 상단은 개방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는 함체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된 의자,
    상기 본체 상단과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를 덮기 위한 덮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발생기
    를 포함하는 사우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하단 좌우측에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토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와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차단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측에 형성되는 에어유통구와, 이 에어유통구에 연통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측으로 연장되는 에어관, 이 에어관 내측 선단에 설치되는 흡입마스크를 포함하는 외기유입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기는 물을 채워넣고 가열하면 증기가 발생하도록 된 증기발생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안에 채워넣은 물을 가열하도록 된 가열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안의 물의 량을 측정하는 수위측정부와, 상기 증기발생부와 가열부와 수위측정부의 모든 작동사항을 점검하고 측정하여 항상 알맞는 운전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발생부는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격벽을 기준으로 가열부가 설치되어 물이 직접 가열되는 내통과, 격벽 하단의 월류관을 통해 내통으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외통으로 이루어지는 일정 용량의 탱크와, 상기 탱크의 측벽에 연결설치되어 내통과 격벽을 지나 외통으로 장입되는 급수관, 급수관 끝단에 설치되어 급수되는 물을 외통 내에 분무시키기 위한 분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일정량의 물이 담아지고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 선단에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가 설치된 물통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평설치된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이 끼워지는 안착홈, 이 안착홈에 연통되고 상기 급수관 일측에 연결되어 물통의 물을 급수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을 포함하는 물공급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물공급구에 연결되고 본체를 지나 커버를 따라 커버의 내측 상단으로 연장되는 분기관과, 이 분기관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의 상단에 장착되어 물을 분사시키기 위한 샤워헤드를 포함하는 샤워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물공급구에 연결설치되고 본체 저부에 설치된 투입구와 연결되는 월풀용 물 공급관과, 본체의 의자에 설치되어 공기혼합물줄기를 분사하기 위한 제트노즐,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트노즐에 연결호스를 매개로 연결되어 제트노즐로 공기혼합물줄기를 강제 공급하기 위한 펌프, 상기 본체 저부와 펌프를 연결하여 펌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순환호스를 포함하는 월풀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장치.
KR20-2003-0007855U 2003-03-17 2003-03-17 사우나 장치 KR200317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855U KR200317459Y1 (ko) 2003-03-17 2003-03-17 사우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855U KR200317459Y1 (ko) 2003-03-17 2003-03-17 사우나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089A Division KR20040081574A (ko) 2003-03-14 2003-03-14 사우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459Y1 true KR200317459Y1 (ko) 2003-06-25

Family

ID=4933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855U KR200317459Y1 (ko) 2003-03-17 2003-03-17 사우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4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926B2 (en) Combined sauna and environmental capsule
US6623511B1 (en) Chromatherapy shower system
KR100951969B1 (ko) 착석식 스팀 족욕 겸용 좌훈 장치
KR100951968B1 (ko) 스팀 분사식 족욕 겸용 좌훈 장치
CN204995308U (zh) 一种智能足浴盆
CN101204351B (zh) 按摩水浴器
KR200406632Y1 (ko) 족욕기
KR101292178B1 (ko) 고령자 및 장애인을 위한 자동 목욕장치
KR200317459Y1 (ko) 사우나 장치
KR20040081574A (ko) 사우나 장치
KR200399659Y1 (ko) 족탕기
CN206529841U (zh) 智能仿真温泉及桑拿沐浴系统、一种沐浴设备
KR200149405Y1 (ko) 한방 사우나기
ITBO20090180A1 (it) Apparecchiatura per il massaggio del corpo mediante liquidi e/o soluzioni liquide
KR200406633Y1 (ko) 족욕기용 가열관
KR200397106Y1 (ko) 족욕기
KR200363503Y1 (ko) 반신욕조 시스템
KR100594426B1 (ko) 외부 제어기 무부착 좌욕 건강비데
CN216652124U (zh) 直入式单盖薰蒸喷淋冲浪浴缸
JP2002191521A (ja) 足浴器
CN207370638U (zh) 一种家庭式水按摩足疗水疗一体浴缸
KR102182265B1 (ko) 좌욕 겸용 족욕기
CN2220275Y (zh) 紫红外线杀菌治疗烘干全方位足浴按摩盆
KR200380615Y1 (ko) 기포 반신욕 시스템
KR970004174Y1 (ko) 화장실용 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