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136Y1 - Interior Garden Structure - Google Patents

Interior Garde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136Y1
KR200317136Y1 KR20-2003-0008517U KR20030008517U KR200317136Y1 KR 200317136 Y1 KR200317136 Y1 KR 200317136Y1 KR 20030008517 U KR20030008517 U KR 20030008517U KR 200317136 Y1 KR200317136 Y1 KR 200317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water
frame member
indoor garden
garde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51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덕호
Original Assignee
양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덕호 filed Critical 양덕호
Priority to KR20-2003-0008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13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136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화초, 인공 조형물, 자연 조형물 또는 이들 2 이상을 설치한 뒤 실내에서 조경하는데 사용되는 화분진열대 또는 실내정원대(이하, "실내 정원 구조물"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 부재, 화분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 부재, 급수시 물이 분산되는 것을 막는 물막이 부재 등을 포함하고 있어서, 화분 등을 소망하는 형태로 배열하거나 정원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조루 등을 사용하여 급수할 때 분사되는 물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내정원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울타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어서, 실내에서도 실외의 정원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실내정원 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display stand or indoor garden st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door garden structure") used for landscaping indoors after installing a flower pot, a flower plant, an artificial sculpture, a natural sculpture, or two or more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he frame member may include a frame member forming a structure, a storage member for placing a flower pot, and a water barrier member for preventing water from being dispersed during water supply. The flower pot may be arranged in a desired shape or configured in a garden shap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oor garden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water sprayed when water is supplied using a water spray or the like to contaminate the surroundings. In addition, in some cases, further includes a fence member, thereby providing an indoor garden structure that can implement the shape of the garden outdoors in the interior.

Description

실내정원 구조물 {Interior Garden Structure}Interior Garden Structure

본 고안은 화분, 화초, 인공 조형물, 자연 조형물 또는 이들 2 이상을 설치한 뒤 실내에서 조경하는데 사용되는 화분진열대 또는 실내정원대(이하, "실내 정원 구조물"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 부재, 화분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 부재, 급수시 물이 분산되는 것을 막는 물막이 부재 등을 포함하고 있어서, 화분 등을 소망하는 형태로 배열하거나 정원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조루 등을 사용하여 급수할 때 분사되는 물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내정원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울타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어서, 실내에서도 실외의 정원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실내정원 구조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display stand or indoor garden st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door garden structure") used for landscaping indoors after installing a flower pot, a flower plant, an artificial sculpture, a natural sculpture, or two or more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he frame member may include a frame member forming a structure, a storage member for placing a flower pot, and a water barrier member for preventing water from being dispersed during water supply. The flower pot may be arranged in a desired shape or configured in a garden shap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oor garden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water sprayed when water is supplied using a water spray or the like to contaminate the surroundings. In addition, in some cases, further includes a fence member, thereby providing an indoor garden structure that can implement the shape of the garden outdoors in the interior.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실내를 장식하거나, 관상용으로 화초를 가꿈에 있어서, 화분 또는 여러 개의 화분을 배치시킬 수 있는 화분 진열대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공 조형물, 자연 조형물, 화초, 화분 등을 이용한 실내 정원이 설치되고 있다.In general, at home, office, etc., in order to decorate an interior or to decorate a flower for ornamental use, the potted plant display stand which can arrange a potted plant or several potted plants is used. In recent years, indoor gardens using artificial sculptures, natural sculptures, flowers, pots and the like have been installed.

그러나, 이들 화분, 화분 진열대, 실내정원 등에 물을 공급 할 때마다 주변이 오염되어 그 전체 또는 일부를 오염관리가 용이한 곳(베란다, 욕실 등)으로 옮겨야 하거나, 또는 이들 장소에 설치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급수시 화분, 화분 진열대, 실내정원 등의 구성물을 옮김에 있어서, 화분의 낙하 위험성이 있고여성 및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많았다.However, whenever water is supplied to these flower pots, flowerpot shelves, or indoor gardens, the surroundings are contaminated and all or part of them must be moved to a place where the pollution control is easy (porch, bathroom, etc.), or installed and managed in these places. have. However, in moving the potted plants, potted display stand, indoor garden, etc. when watering, there is a risk of falling of the potted plants and the inconvenience for use by women and the elderly.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화분의 낙하 위험 방지, 자동급수 장치, 급수시 발생되는 흙을 함유한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고안 내지 발명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들은 급수시 주변의 오염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기에는 미흡하였고, 또한 설치 장소의 한계성을 극복하지 못했다. 또한, 지금까지 알려진 화분 진열대는 그 형상이 고정되어 있어서 다양하고 수려한 조경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devises and invention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the risk of falling of polle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and effectively remove soil-containing water from water supply, but they are insufficient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surroundings at the time of water supply. It did no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installation site. In addition, the flower pot display stand known so far does not meet the user's desire for a variety of beautiful landscaping because of its fixed shap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분진열대 및 실내정원 설치장소에서 주위의 오염 없이 급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양한 화분진열대 및 실내정원 울타리 설치가 용이하게 함으로써, 수려한 조경미를 제공할 수 있는 실내정원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otted display rack and indoor garden installation place to enable the water supply without surrounding pollution, and in some cases, easy to install a variety of flowerpot shelves and indoor garden fe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door garden structure that can provide landscape beauty.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정원 구조물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garden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실내정원 구조물에서 물막이 부재를 사용하는 상태도이고;Figure 2 is a state diagram using a water barrier member in the indoor garden structure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실내정원 구조물에서 울타리 부재를 사용하는 상태도이고;Figure 3 is a state diagram using a fence member in the indoor garden structure of Figure 1;

도 4는 도 2의 실내정원 구조물에 사용된 물막이 부재의 조립단위 상태를 표시한 투시도이고;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unit state of the water blocking member used in the indoor garden structure of Figure 2;

도 5는 도 3의 실내정원 구조물에 사용된 울타리 조립단위의 사용 상태를 표시한 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ence assembly unit used in the indoor garden structure of Figure 3;

도 6은 도 1의 실내정원 구조물에 사용된 배출기의 구조도이고;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jector used in the indoor garden structure of FIG. 1;

도 7은 도 1의 실내정원 구조물에 사용된 또다른 형태의 배출기의 구조도이다.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other type of ejector used in the indoor garden structure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실내정원 구조물100: indoor garden structure

200: 프레임 부재200: frame member

300: 수납 부재300: storage member

400: 물막이 부재400: absent member

500: 울타리 결합대500: fence join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실내정원 구조물은,Indoor gard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A) 구조물의 외형을 형성하고 하기 부재들이 설치되는 프레임 부재;(A) a frame member which forms the outline of the structure and is provided with the following members;

(B)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고, 화분, 화초, 인공 조형물, 자연 조형물 또는 이들 2 이상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 부재; 및,(B) a storage member mounted to the frame member and capable of placing a flower pot, a flower, an artificial sculpture, a natural sculpture, or two or more thereof; And,

(C)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한쪽 부위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차단막을 펼쳐서 그것을 프레임 부재의 대응 부위에 체결하여 급수시 물의 분산을 막는 물막이 부재;(C) a water barrier member installed o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rame member, and spreading the barrier film as necessary and fastening it to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rame member to prevent dispersion of water during water supply;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It is composed to includ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실내정원 구조물은 화분 등을 상기 수납 부재상에 적절한 배열로 올려놓음으로써 실외정원의 조형미를 연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물막이 부재의 차단막을 펼쳐서 물조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급수시, 물이 분산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door gard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the beauty of the outdoor garden by placing a flower pot or the like in an appropriate arrangement on the storage member, and use equipment such as water spraying by unfolding the blocking film of the water blocking member as necessary. When water is su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being dispersed and polluting the surroundings.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수납 부재와 상기 물막이 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위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구조, 원형 구조, 반원형 구조, 오각형 구조 등 다양한 외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진 프레임 부재의 구체적인 예로는, 사각형 모서리를 형성하는 4 개의 모서리 기둥, 상기 모서리 기둥들의 하단에 부착된 밀폐형의 판재, 상기 수납 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수납 부재 체결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의 최하단 또는 판재의 하단에 이동식 바퀴가 설치되어있어서, 실내정원 구조물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를 프레임의 한쪽으로 기울게(예를 들어, 1 ~ 30도) 설치하고 프레임의 해당 부위에 배수구를 설치하여 급수시 또는 화분 등에서 낙하하는 이물들이 용이하게 포집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판재의 상단부에 별도의 물받이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물받이판은, 오목한 형상을 가진 상자형 물받이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판재에서와 같이 프레임의 한쪽으로 기울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출 부위에는 배출구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배출구는 수동식, 반자동식 또는 자동식 배출구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의예시적인 구조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있다. 상기 프레임 부재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금속, 목재,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The frame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accommodating member and the water barrier member may be installed. The frame member may have various external structures such as a rectangular structure, a circular structure, a semicircular structure, and a pentagonal structure. Specific examples of the frame member having a rectangular structure may include four corner pillars forming a rectangular corner, a sealed plate member attached to the lower ends of the corner pillars, an accommodating member fastening member to which the accommodation member may be fastened,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Preferably, since the movable wheel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lumn or the bottom of the plate, it may be configured to easily move the indoor garden structure. Preferably, the plate may be installed at an angle to one side of the frame (for example, 1 to 30 degrees), and a drainage hole may be installed at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rame so that foreign materials falling from water supply or pollen may be easily collected. have. In some cases, a separate drip plate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late. The drip tray may be constituted by a box-shaped drip tray having a concave shape, or may be inclined toward one side of the frame as in the sheet. The discharg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utlet, the outlet can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manual, semi-automatic or automatic outlet. An exemplary structure of the outlet is shown in FIGS. 6 and 7. The material of the frame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wood, and synthetic resin may be used.

상기 수납 부재는 화분, 화초, 인공 조형물, 천연 조형물 등 정원을 구성하는 물품들이 놓이는 곳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물, 이물질 등이 낙하할 수 있는 다수의 공극이 관통되어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수납 부재의 형상은 상기와 같이 물, 이물질 등이 낙하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망상 지지체, 다수의 공극이 관통되어있는 판재 등을 들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망상 지지체상에 부직포 등을 도포한 형태일 수 있다.The storage member is a place where items constituting the garden such as flower pots, flowers, artificial sculptures, and natural sculptures are placed, and a plurality of pores through which water, foreign matters, etc. can fall are penetrated. The shape of such a preferable housing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in which water, foreign matters, etc. can fall as described abov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network support, a plat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voids penetrate, and the like. May be in the form of applying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on the network support.

상기 물막이 부재는, 사용시(예를 들어, 펼쳤을 때) 물의 분산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과, 비사용(예를 들어, 펼치지 않았을 때) 상기 차단막이 감겨져 있는 권취봉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물막이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상에 결합되는 형태이거나, 또는 분리형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프레임 부재상에 체결하는 조립 형태일 수 있다. 물막이 부재가 프레임 부재에 체결된 형태는 수평 체결 형태와 수직 체결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수평 체결 형태"란 차단막이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물막이 부재가 프레임 부재에 체결된 형태를 의미하며, "수직 체결 형태"란 차단막이 수직으로 펼쳐지도록 물막이 부재가 프레임 부재에 체결된 형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에 따른 원리를 구현한 것이라면 기타 다양한 구조도 가능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물막이 부재의 권취봉이프레임 부재에 피벗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어서, 비사용시(차단막을 펼치지 않을 때)에는 물막이 부재가 수평으로 뉘어있고, 사용시(차단막을 펼칠 때)에는 권취봉을 수직으로 직립시킨 뒤 차단막을 수평으로 펼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급수를 하지 않을 때에는 물막이 부재가 실내정원 구조물의 외부에서 볼 수 없으므로, 구조물 전체의 조형미를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차단막은 탄력적 복원력, 인력, 체인 기어 등에 의해 권취봉에 감겨있는 구조로 되어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탄력적 복원력에 의해 권취봉에 감겨있다. 이러한 탄력적 복원력은, 예를 들어, 스프링, 전기구동 모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스프링 구조의 예로는 건물의 셔터 구조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aid water blocking member is comprised by the barrier film for blocking the dispersion | distribution of water at the time of use (for example, when it is unfolded), and the winding rod by which the said barrier film is wound up when it is not used (for example, when it is not unfolded). Such a water barrier member may be in the form of being coupled onto the frame member, or in an assembled form to be fastened onto the frame member as necessary in a detachable manner. The form in which the water barrier member is fastened to the frame member may be both a horizontal fastening form and a vertical fastening form. Specifically, the "horizontal fastening form" means a form in which the water barrier member is fastened to the frame member so that the barrier film is spread horizontally, and the "vertical fastening form" means a form in which the water barrier member is fastened to the frame member so that the barrier film is vertically unfolded. it mea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other structures may be possible as long a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and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winding rod of the water barrier member is fastened to the frame member so that the winding rod can be pivoted horizontally when not in use (when the barrier is not extended), and the winding rod is vertically in use (when the barrier is extended). After standing up, the barrier can be configured to spread out horizontally. Therefore, when not in use, for example, when the water is not supplied, the water blocking member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indoor garden structure, so that the molding beauty of the entire structure is not damaged. The barrier film has a structure wound around the winding rod by elastic restoring force, manpower, chain gear, and the like, preferably wound around the winding rod by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a resilient restoring force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spring, an electric drive motor, and the like, and an example of the spring structure may include a shutter structure of a building, and since such structure is known in the art,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do.

본 고안에 따른 실내정원 구조물은, 실외정원의 조형미를 더욱 부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울타리 조립 단위와, 상기 조립 단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부재에 설치되는 울타리 결합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울타리 조립 단위는 실외 조형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벽돌 블록, 자연석, 인공석, 나무 등과 같은 형상을 가진 조립식 단위 물품들로서, 실내정원 구조물의 외형이 더욱 실외정원의 조형미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울타리 결합대에 울타리 조립단위를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구조는 다양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예시적인 구조가 본 명세서의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있다.The indoor gard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ence assembly units and a fence coupler installed on the frame member so that the assembly units can be detachably coupled so as to further give a molding beauty of the outdoor garden. Can be. The fence assembly units are prefabricated unit articles having shapes such as brick blocks, natural stones, artificial stones, trees, and the like, which are commonly found in outdoor sculptures,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indoor garden structure can exhibit the molding beauty of the outdoor garden. The structure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fence assembly unit to the fence coupler may vary, and one exemplary structure i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상술하지만, 본 고안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에는 상부에 보았을 때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정원 구조물(100)의 사용 상태 사시도가 도시되어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indoor garden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when viewed from the top.

실내정원 구조물(100)은, 그것의 외형을 형성하며 다수의 부재들이 설치되기 위한 장방형의 프레임 부재(200), 프레임 부재(200)의 모서리 기둥(210)에 장착된 상태로 프레임(200)의 내부 중간에 설치된 수납 부재(300), 프레임 부재(200)의 모서리 기둥(210)에 피벗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있는 물막이 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200)의 모서리 기둥(210)에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울타리 결합대(500)가 설치되어있다.The indoor garden structure 100 has a rectangular frame member 200 for forming a plurality of members and is installed on the corner pillar 210 of the frame member 200 to form a plurality of member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using member 300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inside, the water barrier member 400 which is pivotally mounted on the corner pillar 210 of the frame member 200. In addition, the edge pillars 210 of the frame member 20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ence couplers 5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프레임 부재(200)의 하단에는 판재(220)가 위치하고, 판재(220) 위에는 물받이판(230)이 설치되어있다. 물받이판(230)은 그것의 위에서 낙하하는 물, 이물질 등을 프레임 부재(200)의 한쪽으로 포집하기 위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레임 부재(200)의 하부가 공개되어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밀폐된 형태로 되어있을 수 있고, 앞서의 설명과 같이, 물받이판(230)은 물 등을 포집하는 오목한 형상의 분리형 용기 형태일 수도 있다.The plate member 220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member 200, and the drip tray 230 is installed on the plate member 220. The drip tray 23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collect water, foreign matter, and the like falling from the top thereof to one side of the frame member 200. Although the lower part of the frame member 200 is disclo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some cases, it may be in a closed form, and as described above, the drip tray 230 has a concave shape for collecting water or the like. It may also be in the form of a separate container.

프레임 부재(200)의 최하단에는 이동식 바퀴(250)가 설치되어있다.At the bottom of the frame member 200, a movable wheel 250 is installed.

화분(600) 등이 위에 놓이게 되는 수납 부재(300)는 조립식으로 프레임 부재(200)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수납 부재(300)에는 물 등이 용이하게 물받이판(23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310)이 수직으로 관통되어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납 부재(300) 위에 부직포(도시하지 않음) 등을 도포하고, 그러한 부직포 상에 자갈, 모래, 흙 등과 같이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한뒤, 파종, 식목, 이목 등에 의해 관상용 식물을 생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수납 부재(300) 상에 화분(600)만이 놓여 있지만, 보다 실외정원의 조형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자연석, 인공석 등과 같은 자연 및/또는 인공 조형물들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The accommodating member 300 on which the pot 600 is placed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the frame member 200 in a prefabricated manner. A plurality of holes 310 penetrate the storage member 300 vertically so that water or the like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drip tray 230. In some cases, by applying a non-woven fabric (not shown), etc. on the receiving member 300, and creating an environment capable of growing plants such as gravel, sand, soil, etc. on such a non-woven fabric, sowing, planting, planting, etc.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grow ornamental plants. In addition, although only the flower pot 600 is placed on the receiving member 300 in FIG. 1, natural and / or artificial sculptures such as natural stones, artificial stones, etc. may be positioned in order to give more molding beauty of the outdoor garden.

물막이 부재(400)는 프레임 부재(200)의 모서리 기둥(210)에 피벗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있어서, 비사용시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뉘어져있고, 사용시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직립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막이 부재(400)의 더욱 자세한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water barrier member 400 is mounted to the corner pillar 210 of the frame member 200 so as to be pivotable, and is horizontally divided as in FIG. 1 when not in use, and vertically as in FIG. 2 when in use. Can be configured to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water blocking member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는 도 1에 사용된 물막이 부재(400)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있다. 물막이 부재(400)는 프레임 부재의 모서리 기둥(210)에 피벗 가능하도록 설치된 권취봉(410)과, 권취봉(410)에 말려있는 차단막(42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다. 권취봉(410)의 하단은 회전축(411)을 통해 모서리 기둥(210)에 연결되어있어서, 필요에 따라 눕히거나 세울 수 있다. 직립시킨 상태에서 권취봉(410)이 모서리 기둥(21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이들의 접촉부위에 체결돌기(412)와 체결홈(212)이 형성되어있다. 권취봉(410)은 차단막(420)이 감기는 막대상 본체(413)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체(413)의 상부에는 차단막(420)의 대응 단부(421)에 위치하는 체결고리(422)가 끼워지는 체결구(414)가 설치되어있다. 체결구(414)는 비사용시(차단막을 펼치지 않을 때) 같은 물막이 부재(400)의 체결고리(422)가 끼워지고, 사용시(차단막을 펼칠 때) 도 2에서와 같이 다른 물막이 부재(400')의 체결고리(422')가 끼워지게 된다. 차단막(420)을 권취봉(410)에 감는 과정은, 권취봉(410)에 내장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복원력에 의한 반자동식 구조에 의해 실현되거나, 체결구(414) 또는 본체(413)를 손으로 회전시키는 수동식 구조에 의해 실현되거나, 또는 권취봉(410) 또는 권취봉(410)에 기계(체인, 기어 등)적으로 연결된 모서리 기둥(210) 내에 내장된 전기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에 의한 자동식 구조에 의해 실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차단막(420)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투명소재, 반투명소재, 불투명소재 등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차단막(420)의 표면에는 적절한 무늬 또는 그림을 인쇄하여 심미감을 부여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차단막(420)이 급수시의 물 분산을 막는 이외에 일사 조명을 조절하는 부가적 기능을 병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강한 직사광선을 피해야 하는 식물의 경우 차단막을 반투명소재로 만들고, 차단막(420)의 폭(권취봉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을 크게 하는 구조도 가능하다.4 show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water blocking member 400 used in FIG. 1. The water barrier member 4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winding rod 410 installed to be pivotable to the corner pillar 210 of the frame member, and a blocking film 420 rolled up to the winding rod 410. The lower end of the winding rod 410 is connected to the corner pillar 210 through the rotation shaft 411, it can be laid down or standing as needed. A fastening protrusion 412 and a fastening groove 212 are formed at a contact portion thereof so that the winding rod 410 can be easily fixed to the corner post 210 in an upright state. The winding rod 410 includes a rod-shaped main body 413 on which the blocking film 420 is wound, and a fastening ring 422 located at a corresponding end 421 of the blocking film 420 is fit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413. The fastener 414 is installed. The fastener 414 fits the fastening ring 422 of the same barrier member 400 when not in use (when the barrier is not extended), and when used (when the barrier is unfolded), the other barrier member 400 'as shown in FIG. The fastening ring 422 'is fitted. The process of winding the blocking film 420 on the winding rod 410 is realized by a semi-automatic structure by a restoring force of a spring (not shown) embedded in the winding rod 410, or the fastener 414 or the main body 413. Electric motor (not shown), which is realized by a manual structure that rotates by hand, or built into a corner pole 210 that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a winding rod 410 or a winding rod 410 (chain, gear, etc.). Can be realized by an automatic structur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aterial of the blocking film 4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cessary, such as a transparent material, a translucent material, an opaque material,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ropriate pattern or picture may b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blocking film 420 to impart an aesthetic sense. In some cases, the blocking film 42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n additional function of adjusting solar illumination in addition to preventing water dispersion during water supp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plants to avoid strong direct sunlight,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barrier film a translucent material, and to increase the width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winding rod) of the barrier film 420.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실외정원의 조형미를 더욱 구현할 수 있는 울타리 부재가 설치된 구조물의 또다른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Now, with reference to FIG. 3, another use stat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fence member that can further implement the molding beauty of the outdoor garden is described.

도 3에는 각각 2 개의 모서리 기둥(210)들 사이에 수평으로 다수 연결되어있는 울타리 결합대(500)에 울타리 조립단위(510)를 결합한,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정원 구조물(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있다. 도 3의 울타리 결합대(5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울타리 조립단위(510)의 투시도가 도시되어있는 도 5를 참조하여 울타리 조립단위(510)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울타리 조립단위(510)는 벽돌의 형상인 육면체로 이루어져있고, 울타리 결합대(500)와 체결되는 그것의 후면에는 손잡이용 홈(51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있고, 홈(511)을 가로질러 2 개의 결합바(512)가 돌출되어있다. 따라서, 결합바(512) 사이에 울타리 결합대(500)를 삽입하면 울타리 조립단위(510)가 울타리 결합대(500)에 체결되게 된다. 울타리 결합대(500)에 다수의 울타리 결합단위(510)들을 체결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실외정원에 더욱 가까운 조형미를 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울타리 조립단위는 벽돌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울타리 조립단위와 결합대의 체결 방식은 상기와 같은 기계적 방식 이외에, 자석을 이용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식에 의해 구별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3, the indoor garden structur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ence assembly unit 510 is coupled to a fence coupler 500 that is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wo corner pillars 210, respectively. Is a perspective view. The structure of the fence assembly unit 5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in which a perspective view of the fence assembly unit 510 detachably coupled to the fence coupler 500 of FIG. 3 is shown. The fence assembly unit 510 is made of a hexahedron in the shape of a brick, the rear of the fastener coupling table 500 is fastened to the handle groove 511 is formed vertically, across the groove 511 2 Two coupling bars 512 protrude. Therefore, when the fence coupling unit 500 is inserted between the coupling bar 512, the fence assembly unit 510 is fastened to the fence coupling unit 500. When the plurality of fence coupling units 510 are fastened to the fence coupler 500, a molding beauty closer to the outdoor garden can be produced as shown in FIG. 3.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fence assembly unit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brick, and various shapes are possible. In addition, the fastening method of the fence assembly unit and the coupling rod may be distinguished by a method using a magnet or an adhesive in addition to the mechanical method as described above, all of which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는 도 1에서의 판재(220) 또는 물받이판(230)의 가장 아래쪽 기울어진 부위에 설치된 배출기(240)가 도시되어있다. 물받이판(320)의 가장 아래쪽에는 실내정원 구조물(100)의 외부로 통하는 배출구(321)가 형성되어있고, 이러한 배출구(321)의 개폐는 그것의 위쪽에 설치되어있는 배출기(240)에 의해 이루어진다. 배출기(240)는 프레임 부재(200)의 해당 부위에 고정되는 체결부(241), 배출구(321)를 개폐하는 원추형 개폐부(242),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압축 스프링(243)으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보통은 스프링(243)의 압축력에 의해 개폐부(242)가 배출구(321)를 막고 있다가, 배수시 개폐부(242)를 눌러서 개봉하게 된다.FIG. 6 shows an ejector 240 installed at the lowest inclined portion of the plate 220 or the drip tray 230 in FIG. 1. An outlet 32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rip tray 32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indoor garden structure 1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let 321 is made by an outlet 240 installed above it. . The ejector 240 is composed of a fastening portion 241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rame member 200, a conical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4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321, compression spring 243 to interconnect them. Therefore, normall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42 blocks the outlet 321 by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pring 243, and when opening the drai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42 by pressing.

도 7에는 도 1에서의 판재(220) 또는 물받이판(230)의 가장 아래쪽 기울어진 부위에 설치된 또다른 형태의 배출기(260)가 도시되어있다. 도 7의 배출기(260)의 특징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배출버튼(261)을 작동하거나 또는 부력구(262)의 자동적인 작동에 의해 물의 배출이 이루어진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배출튜브(263)를 사용함으로써, 외형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는 점이다. 배출기(260)의 구조를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긴 후면부(261a)를 가진 배출버튼(261)이 움직일 수 있도록 프레임 부재(200)의 해당 부위에는 유입구(264)가 설치되어있다. 부력구(262)의 후면 연장부(262a)는 프레임 부재(200)에 고정되어있는 회전축(265)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배출버튼(261)의 후면부(261a)에 걸쳐있다. 또한, 유입구(264)의 후미에는 압축 스프링(266)이 설치되어있다. 따라서, 배출버튼(261)을 누르지 않을 경우(실선 표시: 휴식 모드)에는 압축 스프링(266)의 힘에 의해 부력구(262)는 배출구(267)를 막게되고, 반대로, 배출버튼(261)을 누를 경우(점선 표시: 작동 모드)에는 부력구(262)가 배출구(267)로부터 이격되어 개방이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입구(264)의 압축 스프링(266) 대신에 부력구(262)의 후면 연장부(262)에 인장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연결하여 상기와 같은 작동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부력구(262)의 소재를 물보다 비중이 낮은 것으로 만들거나 중공 형태로 만들어, 그것의 부력과 압축 스프링(266)의 복원력의 조화에 의해 물의 수위에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배출구(267)를 개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배출구(267)에 설치된 배출튜브(263)는 부위(A)의 자바라 구조로 그것의 나머지 부위(일점 쇄선 표시)가 되어있어서, 필요에 따라 연장과 수축이 가능하다.FIG. 7 illustrates another type of ejector 260 installed at the lowest inclined portion of the plate 220 or the drip plate 230 of FIG. 1. A feature of the discharger 260 of FIG. 7 is that the user can discharge the water by operating the discharge button 261 or by automatic operation of the buoyancy port 262 as needed. In addition, by using the discharge tube 263 tha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as needed,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appearance.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ejector 260 in more detail as follows. An inlet 264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rame member 200 so that the discharge button 261 having the long rear portion 261a can be moved. The rear extension portion 262a of the buoyancy opening 262 extends over the rear portion 261a of the discharge button 261 at an angle by the rotation shaft 265 fixed to the frame member 200. In addition, a compression spring 266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inlet 264. Therefore, when the discharge button 261 is not pressed (solid line display: rest mode), the buoyancy hole 262 blocks the discharge port 267 by the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266, and conversely, the discharge button 261 is pressed. When pressed (dotted line: operating mode), the buoyancy opening 262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267 to open. In some cases, instead of the compression spring 266 of the inlet 264, a tension spring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xtension 262 of the buoyancy port 262 to achieve the above operation effect. .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buoyancy sphere 262 is made of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e water or made into a hollow form, and automatically discharged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a certain level by the balance of its buoyancy force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266 You may want to open (267). 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tube 263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267 is a bellows structure of the portion (A) has a remaining portion (dotted and dashed line) of the portion (A), it is possible to extend and contract as necessary.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정원 구조물의 구조와 사용 상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structure and state of use of the indoor garde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variou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ontents. It will be possible to add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내정원 구조물은, 실내에 여러개의 화분이나 인공조형물, 자연 조형물 등을 배열하여 조경할 수 있고, 화분이나 진열대를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주위의 오염 없이 설치장소에서 간편하게 물을 공급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울타리 부재를 부착하여 실외전원에 더욱 근사한 조형미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gard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ndscaped by arranging several flower pots, artificial sculptures, natural sculptures, etc. in the room, and even without moving the pots or shelves, water at the installation site without any pollution. It can be supplied, and in some cases by attaching a fence member has the advantage of creating a more beautiful molding beauty to the outdoor power source.

Claims (10)

(A) 구조물의 외형을 형성하고 하기 부재들이 설치되는 프레임 부재;(A) a frame member which forms the outline of the structure and is provided with the following members; (B)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고, 화분, 화초, 인공 조형물, 자연 조형물 또는 이들 2 이상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 부재; 및,(B) a storage member mounted to the frame member and capable of placing a flower pot, a flower, an artificial sculpture, a natural sculpture, or two or more thereof; And, (C)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한쪽 부위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차단막을 펼쳐서 그것을 프레임 부재의 대응 부위에 체결하여 급수시 물의 분산을 막는 물막이 부재;(C) a water barrier member installed o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rame member, and spreading the barrier film as necessary and fastening it to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rame member to prevent dispersion of water during water supply;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는 실내정원 구조물.Indoor garden structure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사각형 모서리를 형성하는 4 개의 모서리 기둥, 상기 모서리 기둥들의 하단에 부착된 밀폐형의 판재, 상기 수납 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수납 부재 체결부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는 실내정원 구조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member comprises four corner pillars forming a rectangular corner, a sealed plate attached to the lower ends of the corner pillars, an accommodating member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accommodation member can be fastened, and the like. Indoor garden 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기둥의 최하단 또는 판재의 하단에는 이동식 바퀴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판재는 급수시 또는 화분 등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포함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실내정원 구조물.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ottom of the corner pillar or the bottom of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movable wheel, the plate is inclined to one side of the frame so that it can easily contain foreign matter falling from the water supply or pollen, etc. Garden structur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상단부에는 급수시 또는 화분 등에서 낙하하는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한쪽으로 바닥이 기울어져 있는 물받이판이 설치되어있고, 프레임의 상기 해당 부위에 배출구가 설치되어있는 실내정원 구조물.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drip tray plate inclined to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frame to easily collect the foreign matter falling in the water supply or pots, etc., the outlet portion of the frame Installed indoor garden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 부재는, 사용시(예를 들어, 펼쳤을 때) 물의 분산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과, 비사용(예를 들어, 펼치지 않았을 때) 상기 차단막이 감겨져 있는 권취봉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있는 실내정원 구조물.2. The barrier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rrier member comprises a barrier film for blocking the dispersion of water during use (e.g., when it is unfolded) and a winding rod on which the barrier film is unused (e.g., unfolded). Indoor garden structure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 부재가 프레임 부재에 체결된 형태는 수평 체결 형태 또는 수직 체결 형태인 실내정원 구조물.The indoor garden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block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frame member in a horizontal fastening form or a vertical fastening for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 부재의 권취봉이 프레임 부재에 피벗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어서, 비사용시(차단막을 펼치지 않을 때)에는 물막이 부재가 수평으로 뉘어있고, 사용시(차단막을 펼칠 때)에는 권취봉을 수직으로 직립시킨 뒤 차단막을 수평으로 펼치도록 구성되어있는 실내정원 구조물.The winding rod of claim 5, wherein the winding rod of the barrier member is fastened to the frame member so that the barrier member is horizontally laid when not in use (when the barrier is not extended), and the winding rod is in use (when the barrier is extended). Indoor garden structure, which is configured to erect vertically and spread the barrier horizontall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이 탄력적 복원력, 인력, 체인, 기어 등에 의해 권취봉에 감겨있는 구조로 되어있는 실내정원 구조물.The indoor garde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barrier film is wound around a winding rod by elastic restoring force, attraction force, chain, gear, and the like. 제 1 항에 있어서, 벽돌 블록, 자연석, 인공석, 나무 등과 같은 인공조형물또는 자연조형물로 이루어진 다수의 울타리 조립 단위와, 상기 조립 단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부재에 설치되는 울타리 결합대를 더 포함하고 있는 실내정원 구조물.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fence assembly units made of artificial sculptures or natural sculptures, such as brick blocks, natural stones, artificial stones, trees, and the like, and the fence coupler is installed on the frame member so that the assembly unit can be detachably coupled Indoor garde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수동식, 반자동식 또는 자동식 배출구에 의해 개폐되는 실내정원 구조물.5. The indoor garden structure of claim 4, wherein the outlet is opened and closed by a manual, semi-automatic or automatic outlet.
KR20-2003-0008517U 2003-03-21 2003-03-21 Interior Garden Structure KR20031713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517U KR200317136Y1 (en) 2003-03-21 2003-03-21 Interior Garde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517U KR200317136Y1 (en) 2003-03-21 2003-03-21 Interior Garden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136Y1 true KR200317136Y1 (en) 2003-06-25

Family

ID=4940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517U KR200317136Y1 (en) 2003-03-21 2003-03-21 Interior Garde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136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646B1 (en) 2007-06-25 2009-03-04 김종대 A movable garden plant for indoor and outdoor
KR101047359B1 (en) 2008-07-30 2011-07-07 조규호 Prefab planter
KR200473871Y1 (en) 2011-10-31 2014-08-05 허만철 A flowerbed in door for moisturemaintenan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646B1 (en) 2007-06-25 2009-03-04 김종대 A movable garden plant for indoor and outdoor
KR101047359B1 (en) 2008-07-30 2011-07-07 조규호 Prefab planter
KR200473871Y1 (en) 2011-10-31 2014-08-05 허만철 A flowerbed in door for moisturemainten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2425B2 (en) Portable greenhouse cart
US7676988B2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KR101139614B1 (en) Plant planting apparatus of wall
US20160143234A1 (en) Tubular greening unit
WO2012081945A2 (en) Plant cultivation container for 3d greening and 3d greening system using same
AU2008337673A1 (en) Live plant box
KR200317136Y1 (en) Interior Garden Structure
RU104820U1 (en) MODULAR ELEMENT AND DESIGN OF HYDROPONIC INSTALLATION OF MIXED TYPE FOR VERTICAL GARDENING
CN205755940U (en) A kind of collapsible liana plantation frame
CN205912626U (en) Multifunctional plant planting device
JPH1142151A (en) Solar flower pole and solar planting wall
CN111851653B (en) Intelligence landscape equipment
CN107711157A (en) A kind of integrated gardens flower case
KR100886646B1 (en) A movable garden plant for indoor and outdoor
RU76774U1 (en) MOSS-PEAT BLOCK (OPTIONS) AND HYDROPONIC INSTALLATION ON THEIR BASIS
EP1328147B1 (en) Plant guiding column, assembly comprising a number of such columns, and shelter
KR20080101533A (en) Planting apparatus for decoration
CN2913051Y (en) Hollow framework having animal shape
WO2019207327A1 (en) Floral architecture
TWM586521U (en) Combined floor flowerpot
CN212381746U (en) Flower box for planting garden ornamental plants
CN215533347U (en) Regulation formula municipal view pergola
CN217949971U (en) Landscape fence capable of greening
CN210598275U (en) Landscape corridor frame
CN214403036U (en) Multi-functional gardens guard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