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621Y1 -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621Y1
KR200316621Y1 KR20-2003-0007361U KR20030007361U KR200316621Y1 KR 200316621 Y1 KR200316621 Y1 KR 200316621Y1 KR 20030007361 U KR20030007361 U KR 20030007361U KR 200316621 Y1 KR200316621 Y1 KR 200316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orage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portabl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장연
Original Assignee
광전자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전자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전자정밀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7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6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6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휴대용 저장 장치와 같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명령에 상응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유에스비 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유에스비 플러그, 유에스비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에스비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유에스비 통신부, 명령에 상응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방식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명령에 상응하는 메뉴 상태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명령에 상응하여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 또는 판독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에스비 통신부, 무선 통신부 및 표시부를 유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고안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대방 단말기와의 물리적인 연결없이 편리하게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Portable storage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고안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휴대용 저장 장치와 같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휴대용 저장 장치의 사용 태양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휴대용 저장 장치(120)는 포트에 핀을 맞춰서 연결해야하는 불편함없이, 편리하게 플러그(115) 및 포트(11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반드시 유에스비 포트(110)에 물리적으로 연결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할 때, 반드시 컴퓨터에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를 직접 또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한 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 포트가 컴퓨터 본체 전면에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유에스비 포트가 컴퓨터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컴퓨터의 이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휴대용 저장 장치와 컴퓨터를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할 때, 휴대용 저장 장치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한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의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 장치에 복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데이터 내용을 컴퓨터(150)에 복사한 후, 상기 내용을 다시 다른 휴대용 저장 장치에 복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른 휴대용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입력부 및 표시부를 구성하여,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의 사용 및 작동 상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기존의 휴대용 저장 장치의 사용 태양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의 통신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휴대용 저장 장치
410 : 제어부
415 : 메모리부
420 : 유에스비 통신부
430 : 무선 통신부
440 : 입출력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 연결용 플러그가 구비된 휴대용 저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휴대용 저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명령에 상응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유에스비 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유에스비 플러그, 상기 유에스비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에스비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유에스비 통신부, 상기 명령에 상응하여 데이터 통신을수행하며,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방식 방식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명령에 상응하는 메뉴 상태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 또는 판독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유에스비 통신부, 무선 통신부 및 표시부를 유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방식은 적외선 통신 방식, 블루투스 및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적외선 통신 방식에 상응하여 변조하기 위한 부호화기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적외선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적외선 통신 방식에 상응하여 복호하기 위한 복호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엘시디 드라이버 및 엘시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조작키 및 선택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200)의 일측에는 유에스비 포트 연결용 플러그(21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무선 통신용 송수신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송수신부(220)는 발광부(221) 및 수광부(2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트 연결용 플러그(210)를 통하여 유에스비 방식에 의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무선 송수신부(220)를 통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방식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적외선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200)의 전면에는 표시부(230), 입력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240)는 도2와 같이 조작키(243)와 선택키(247)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 등 임의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키 입력에 상응하는 메뉴 또는 선택 정보는 상기 표시부(230)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230)는 현재 저장 장치의 상태, 예를들면 데이터 판독 중, 데이터 송신 중, 데이터 저장 중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240)를 조작하여 데이터의 저장, 송수신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상태는 표시부(2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이 상기 도면에 도시된 무선 송수신부(220)의 위치, 표시부(230)의 위치, 모양 또는 입력부의(240) 위치, 모양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의 통신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는(200)은 주위의 다른 단말 장치(2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장치(250)는 컴퓨터(250-1), 노트북(250-2), 본 고안에 따른 타 휴대용 저장 장치(250-3),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250-4) 또는 휴대폰(250-5) 등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250)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기존에는 기존의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 장치에 복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데이터 내용을 컴퓨터에 복사한 후, 상기 내용을 다시 다른 휴대용 저장 장치에 복사하는 번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나,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저장 장치간에 케이블 연결없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유에스비 방식은 기존의 방식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고안의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고, 적외선 통신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입력부(240)의 조작을 통하여 적외선 통신 방식을 선택하고, 데이터 송신을 명령하면, 휴대용 저장 장치(200)는 상대방 단말기(250)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한 후, 미리 설정된 적외선 방식의 프로토콜에 상응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휴대용 저장 장치(200)의 송신부에서 송출된 적외선 무선 신호는 상대방 단말기에서 수신된 후, 미리 지정된 방식에 의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서, 상대방 단말기(250)에서 수신된 적외선 무선 신호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증폭기를 통해 원하는 레벨만큼 증폭되어 처리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할 때, 이러한 적외선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 동기 설정 및 에러 체크 절차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송신부는 적외선 엘이디(LED, luminescent diode)를 사용할 수 있고, 수신부는 적외선 감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는 유에스비 통신과 같이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외선 방식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휴대용 저장 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200)는 제어부(410), 메모리부(415), 유에스비 통신부(420), 무선 통신부(430) 및 입출력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430)는 적외선 통신 방식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유에스비 통신부(420)는 플러그(421), 연결 라인(426) 및 유에스비 콘트롤러(427)를 포함하고, 적외선 통신부(430)는 송신부(431), 수신부(435) 및 적외선 통신 콘트롤러(439)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입출력부(440)는 입력부(445) 및 출력부(441)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441)는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드라이버(442) 및 엘시디 디스플레이부(4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부(415)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저장 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메모리부(415)는 플래시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현재 연결 상태 또는 상대방 휴대용 저장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송수신 신호 등을 감지하여 유에스비 통신 또는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고, 이러한 통신을 통하여 송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먼저, 유에스비 통신부(420)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유에스비 통신 방식은 상호접속 (Interconnection)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 통신 규약으로, 새로운 주변기기가 접속되었을 때 재부팅이나 셋업 과정 없이 자동인식으로 최대 127개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을 뿐더러 데이터 전송속도도 최대 12Mbps를 지원하며 5V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인(426)은 4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4개의 라인 중 2개(422, 425)는 전원은 공급하고, 나머지 2개(423, 424)는 데이터용으로 사용된다. 유에스비 콘트롤러(427)는 유에스비 통신 방식에 상응하여 포트 연결을 감지하고, 마스터 슬레이브를 결정하며, 미리 설정된 방식에 상응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200)는 컴퓨터(180)에 전원이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장비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핫플러깅(Hot Plugging)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200)는 컴퓨터에 연결됨으로써, 컴퓨터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다음으로 적외선 통신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외선 통신 방식은 케이블 없이 적외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지칭하며, 사용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려는 장치의 적외선 포트를 서로 대향시키고 입력부를 조작하여 데이터 송신을 명령하며, 기기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통신부는 다른 장치의 적외선 데이터를 수신하고, 변환하는 수신부(435),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송신하는 송신부(431) 및 이러한 송신부(431)와 수신부(435)를 제어하는 적외선 통신 콘트롤러(4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송신부(431)는 전기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수신부(435)는 무선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적외선 통신 콘트롤러(439)는 송신부(431)와 수신부(435)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에 상응하는 적외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유에스비 통신에서는 베이스밴드 방식에 의하여 정보에 따라 변화하는 디지털 신호를 간단하게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으나, 적외선 통신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로는 전파로 방사할 수가 없어 변조 및 복조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시에 부호화기(433)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변조한 후, 발광부(432)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데이터 수신시에는 수광부(436)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복호화기(437)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통신 방식은 전파를 이용한 통신 방식처럼 상호 간섭하거나 다른 기기를 오동작시키는 등 오동작의 발생이 거의 없어, 높은 안정성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통신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200)는 별도의 밧데리를 구비하고, 상기 밧데리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적외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컨트롤러(427, 439)가 별개로 구성되도록 도시되어있으나, 상기 제어부내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의 구성을나타낸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서 제어부를 하나의 칩을 사용하여 구현한 경우이고, 도 5는 복수개의 칩을 이용하여 구현한 경우이다. 여기서, 제어부의 기능을 분할하여 각각의 제어부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며,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 장치에서 복수개의 제어부(410-a, 410-b)로 분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제어부(410-a)는 데이터 통신 제어를 담담하고, 다른 제어부( 410-b)는 입출력부(440)의 제어를 담당하도록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동작 절차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적외선 방식을 중심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이 블루투스, SWAP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타 휴대용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입력부 및 표시부를 구성하여,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의 사용 및 작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무선 통신 접속 장치로서 통신을 필요로 하는 장비와의 물리적인 연결없이 편리하게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휴대용 저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명령에 상응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유에스비 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유에스비 플러그, 상기 유에스비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에스비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유에스비 통신부;
    상기 명령에 상응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방식 방식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명령에 상응하는 메뉴 상태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 또는 판독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유에스비 통신부, 무선 통신부 및 표시부를 유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방식은,
    적외선 통신 방식, 블루투스 및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중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저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를 적외선 통신 방식에 상응하여 변조하기 위한 부호화기 및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적외선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적외선 통신 방식에 상응하여 복호하기 위한 복호화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저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엘시디 드라이버 및 엘시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조작키 및 선택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저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제어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용 저장 장치.
KR20-2003-0007361U 2003-03-12 2003-03-12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 KR200316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361U KR200316621Y1 (ko) 2003-03-12 2003-03-12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361U KR200316621Y1 (ko) 2003-03-12 2003-03-12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621Y1 true KR200316621Y1 (ko) 2003-06-18

Family

ID=4933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361U KR200316621Y1 (ko) 2003-03-12 2003-03-12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6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387B1 (ko) * 2004-01-17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장치간의 적외선 연결을 위한 물리계층 장치
KR100757498B1 (ko) 2006-04-04 2007-09-13 김인동 무선 usb 저장장치
KR200447497Y1 (ko) 2009-04-07 2010-01-26 (주) 이모텔리 유에스비 플래시 메모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387B1 (ko) * 2004-01-17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장치간의 적외선 연결을 위한 물리계층 장치
KR100757498B1 (ko) 2006-04-04 2007-09-13 김인동 무선 usb 저장장치
KR200447497Y1 (ko) 2009-04-07 2010-01-26 (주) 이모텔리 유에스비 플래시 메모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57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pairing of Bluetooth devices
US683681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20060011368A1 (en) Transfer center
US20040003150A1 (en) Appliance with built-in integrated communication port
JP2000155727A (ja) 無線装置と電子装置との間のデ―タ通信方法及びデ―タ通信装置
EP1410571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device identifier block on a second communication link separated from the bluetooth link
KR200360109Y1 (ko) 유에스비 대 유아트 통신용 데이터 통신 케이블
KR200316621Y1 (ko)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저장 장치
US7668231B2 (en) Modular data device
US20080181286A1 (en) Hand-held wireless device with a PCIE interface
KR101002533B1 (ko)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신방법
KR200247709Y1 (ko) 휴대폰용 입력정보 이체장치
KR200341165Y1 (ko) 휴대폰의 데이터 포트를 이용한 유에스비 연결 단자
KR2005010372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듀얼 uart회로
KR101377323B1 (ko) Uart 기반 통신용 동글, 동글 모듈, 동글 어답터 및 이를 이용한 기기 연동 방법
WO2022170861A1 (zh) 电子设备的数据传输方法、电子设备及接口电路
KR20210070804A (ko) 스마트폰과 usb간의 블루투스 연결을 통한 usb 분실 방지 시스템 및 데이터 전달 시스템
CN116466839A (zh) 一种基于触控信号的无线传输装置及方法
KR101935964B1 (ko) 유무선 저장 장치
KR200204529Y1 (ko) 음성통화 기능을 가지는 무선 데이터 통신 장치
KR100789102B1 (ko) 자체전원을 갖지 않는 외부 장치 및 그 외부장치와 이동단말기와의 연동 방법
KR200345556Y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데이터 저장장치
KR20030012078A (ko) 디지털기기의 사용자데이터갱신시스템과 그사용자데이터갱신방법
KR20040005101A (ko) 휴대용 컴퓨터
KR20050110570A (ko) 유에스비 대 유아트 통신용 데이터 통신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