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256Y1 - 장식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에 있어서 장식물부착판 착설구조 - Google Patents

장식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에 있어서 장식물부착판 착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256Y1
KR200316256Y1 KR20-2003-0008854U KR20030008854U KR200316256Y1 KR 200316256 Y1 KR200316256 Y1 KR 200316256Y1 KR 20030008854 U KR20030008854 U KR 20030008854U KR 200316256 Y1 KR200316256 Y1 KR 200316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endar
decorative plate
plate
coil wire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박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진 filed Critical 박태진
Priority to KR20-2003-0008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걸이용 카렌다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노출구를 이용하여 각종 그림이나 사진 또는 캐릭터가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착설되는 장식물 부착판의 착설구조에 관한 것으로 장식물 부착판의 양쪽에 형성된 취부판의 상면에 경사면과 걸림턱을 구비한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끼움돌기를 카렌다의 코일와이어의 넓은 간격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착설 작업이 손쉽고 장식물 부착판은 카렌다 상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장식물 부착판의 노출구 보다 2배 정도 넓게 구성하기 위하여 장식물 부착판의 취부판을 중심으로 상부에 장식판을 연장 형성시킴으로써 카렌다에 형성된 장식물 노출구 2배 정도 크기의 장식물 부착판이 형성되는 것이며 장식물 부착판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카렌다를 걸어 놓거나 카렌다의 월력을 이용하여 걸어 놓을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 상태를 다양화 시킬 수가 있고 장식물 부착판의 전면에는 거울이나 액자 등을 부착시킴으로써 입체적으로 아름다우며 사용이 편리한 카렌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식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에 있어서 장식물 부착판 착설구조{Ornament adhesive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in hanging calendar having decoration plate}
본 고안은 벽걸이용 카렌다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노출구로 장식판이 노출되도록 하는 장식물 부착판을 구비한 카렌다에 있어서,
카렌다의 배면에 착설되는 장식물 부착판과 그 착설구조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 장식물 부착판과 착설구조는 다수의 낱장으로 이루워진 월력을 넘기거나 뜯어 내기가 편리하도록 각 월력의 상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스프링와이어 끼움공을 천공하여 스프링와이어를 끼워 넣은 공지의 카렌다 측면에 장식물 부착면과 광고면을 구비한 장식물 부착판을 착설하는 것이다.
카렌다의 상면 중앙부를 절취하여 노출구를 형성시킨 다음 노출구로 나타나는 장식물 부착면과 노출구 상부로 돌출되는 장식물 부착면에 각종 사진이나 그림 캐릭터 또는 거울 등을 부착하여 카렌다를 볼때 아름다운 시각적 효과나 또는 자신의 얼굴이 비치는 거울로 이용하기 위한 것이 장식물 부착면의 배면을 광고면으로 이용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카렌다의 상면 중앙부에 거울이나 장식물 부착판이 노출될 수 있는 노출구를 구비한 카렌다가 선행기술로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실용신안등록 제284499호 "벽걸이용 달력 겸용 스테인레스 거울"과 본 출원인의 선출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0000386호 "장식물 부착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 의 구조에서 카렌다의 상면 중앙부에 거울이나 장식물 부착판이 노출될 수 있는 노출구를 구비한 구조가 알려져 있으며,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스테인레스 거울이나 장식물 부착판을 카렌다의 코일와이어에 착설시키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선행기술 실용신안등록 제284499호에서는 스테인레스 거울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부를 카렌다의 상면 중앙부를 4각으로 절취하여 형성시킴으로써 카렌다의 지면을 넓게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거울을 장착시킬 때 코일와이어 사이로 끼워 넣는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인이 선출원 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0000386호는 장식물 부착판의 양쪽으로 형성된 취부판에 코일와이어 끼움공을 천공하여 코일와이어에 끼워 넣게 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코일와이어를 취부판의 끼움공에 일일이 끼워 넣기가 매우 곤란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장식물부착판의 취부판을 간단하게 코일와이어에 끼워 넣을 수가 있으며 끼원진 장식물 부착판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장식물 부착판은 취부판을 중심으로 하부 부착면과 상부 부착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장식물 부착면, 광고면이 효과적으로 확대되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카렌다의 배면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장식판을 코일와이어에 끼워 넣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 장식판이 코일와이어에 끼워진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장식판이 코일와이어에 끼워진 상태의 전체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 카렌다의 정면부를 보인 것으로 월력을 넘겨 놓은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종단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카렌다 1: 월력
2: 코일와이어의 끼움공 10: 코일와이어
11: 넓은간격부 12: 좁은간격부
20: 장식물 부착판노출구 30: 장식물 부착판
30': 장식물 상부부착면 30": 장식물 하부부착면
31: 취부판 100: 끼움돌기
110: 경사면 120: 걸림턱
130: 끼움공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다수의 월력(1)으로 이루워진 카렌다(a)의 상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코일와이어끼움공(2)과 상기 끼움공(2)으로 넓은 간격부(11)와 좁은 간격부(12)를 구비한 코일와이어(10)를 끼워 넣고 상기 카렌다(a)의 상면 중앙부를 소정 크기로 절취 된 장식물 부착판의 하부 노출구(20)와 상기 코일와이어(10)에 끼워지는 취부판(31)을 양쪽에 구비한 장식물 부착판(30)을 갖는 공지의 카렌다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 부착판(30)의 양쪽 취부판(31)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부 부착면(30') 및 하부 부착면(30")과 상기 취부판(31)의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돌기(100)와 상기 끼움돌기(100)의 양쪽으로 형성되는 경사면(110)과 상기 경사면(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코일와이어 걸림턱(120)과 상기 코일와이어걸림턱(120) 하부로 형성되는 코일와이어끼움공(13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50)은 장식물 부착판에 천공 된 카렌다걸이공, (151)은 카렌다에 천공된 걸이공을 보인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워진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 장식물 부착판(30)을 코일와이어(10)에 끼워 넣고 있는 상태를 보인것으로 코일와이어(10)의 넓은 간격부(11) 사이로 장식물 부착판(30)의 취부판(31)에 형성된 끼움돌기(100)를 밀어 넣으면 끼움돌기(100)의 양쪽 경사면(110)과 코일와이어(10)의 넓은 간격부의 코일와이어에 밀착되면서 끼움돌기(100)의 경사면(110)이 코일와이어(10)의 내측 코일와이어를 좁은 간격부(12) 쪽으로 밀게 되면 넓은 간격부(11)가 더욱 넓어 지면서 코일와이어가 끼움돌기(100)의 걸림턱(120)을 넘어서면서 코일와이어끼움공(130)으로 끼워져 걸림턱에 걸리게 된다.
이와같이 끼움돌기(100)의 걸림턱(120)이 코일와이어에 걸린 상태에서는 장식물 부착판(30)의 앞면에는 각종 그림이나 사진 또는 좋아하는 캐릭터 등을 부착할 수가 있어서 카렌다를 보면서 항시 즐겁게 접할 수가 있으며 장식물 부착판(30)의 뒷면에는 각종 광고물을 부착하거나 인쇄하여 카렌다가 투명 포장지에 포장된 상태이거나 카렌다를 사용하기 위하여 포장을 제거하였을 때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장식물 부착판(30)이 상부 부착면(30')과 하부 부착면(30")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하부 부착면(30")은 하부 노출구(20)로 노출되며 상부 부착면(30')은 카렌다의 상부로 돌출되어 입체적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게 되며 장식물 부착판(30)이 상하부 부착면(30')(30")로 형성됨으로 넓은 장식물 부착면과 광고면을 활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장식물 부착판(30)에 천공된 걸이공(150)을 이용하여 카렌다를 걸어 놓을 수가 있으며 카렌다의 하부에 천공된 걸이공(151)을 이용하여 카렌다를 걸어 놓울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되는 본 고안은 장식물 부착판을 코일와이어에 착설함에 있어서 장식물 부착판의 양쪽에 형성되는 취부판에 경사면과 걸림턱이 형성된 끼움돌기를 이용하여 코일와이어의 넓은 간격부에 간단하게 끼워 넣음으로써 장식물 부착판의 착설이 용이한 이점과 장식물 부착판이 상부 부착면과 하부 부착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넓게 활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월력(1)으로 이루워진 카렌다(a)의 상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코일와이어끼움공(2)과 상기 끼움공(2)으로 넓은 간격부(11)와 좁은 간격부(12)를 구비한 코일와이어(10)를 끼워 넣고 상기 카렌다(a)의 상면 중앙부를 소정 크기로 절취 된 장식물 부착판의 하부 노출구(20)와 상기 코일와이어(10)에 끼워지는 취부판(31)을 양쪽에 구비한 장식물 부착판(30)을 갖는 공지의 카렌다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 부착판(30)의 양쪽 취부판(31)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부 부착면(30') 및 하부 부착면(30")과 상기 취부판(31)의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돌기(100)와 상기 끼움돌기(100)의 양쪽으로 형성되는 경사면(110)과 상기 경사면(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코일와이어 걸림턱(120)과 상기 코일와이어걸림턱(120) 하부로 형성되는 코일와이어끼움공(13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에 있어서 장식물 부착판 착설구조.
KR20-2003-0008854U 2003-03-25 2003-03-25 장식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에 있어서 장식물부착판 착설구조 KR200316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854U KR200316256Y1 (ko) 2003-03-25 2003-03-25 장식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에 있어서 장식물부착판 착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854U KR200316256Y1 (ko) 2003-03-25 2003-03-25 장식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에 있어서 장식물부착판 착설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233A Division KR100502576B1 (ko) 2003-06-02 2003-06-02 장식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에 있어서 장식물 부착판착설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256Y1 true KR200316256Y1 (ko) 2003-06-11

Family

ID=4933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854U KR200316256Y1 (ko) 2003-03-25 2003-03-25 장식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에 있어서 장식물부착판 착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2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07341S1 (en) Fragrance dispenser with replaceable wicks for hanging towels
US8146280B2 (en) Decorative frame assembly and method
USD491484S1 (en) Voice message holiday ornament
KR200316256Y1 (ko) 장식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에 있어서 장식물부착판 착설구조
KR100502576B1 (ko) 장식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에 있어서 장식물 부착판착설구조
USD447760S1 (en) Viewer shade for camera
USD485104S1 (en) Hanging shower caddy
USD530418S1 (en) Pleated pediatric medical mask with selectively formable metal strip insert for conforming to nose
USD514834S1 (en) Seat frame
KR200309816Y1 (ko) 장식물 부착판을 구비한 벽걸이용 카렌다
JP2010502260A (ja) 携帯用アクセサリー
USD472059S1 (en) Robe hook
USD498630S1 (en) Wall-mounted hook
USD516109S1 (en) Liquid crystal projector
KR200439897Y1 (ko) 거울 기능을 갖는 액자
KR200242022Y1 (ko) 장식용 액자
KR200412654Y1 (ko) 이중 액자
KR100588834B1 (ko) 탁상용 카렌다의 장식판 착설구조
USD499769S1 (en) Transparent display holder for suspended ceilings
USD520759S1 (en) Frame displaying two impressions and a graphic
KR200278087Y1 (ko) 다용도버튼
KR200253471Y1 (ko) 액자
GB2353470A (en) Display device with removable fascia
KR200420998Y1 (ko) 경량액자
JP3058208U (ja) 室内飾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