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205Y1 - Height controller apparatus for legs of desk and chair - Google Patents

Height controller apparatus for legs of desk and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205Y1
KR200316205Y1 KR20-2003-0009092U KR20030009092U KR200316205Y1 KR 200316205 Y1 KR200316205 Y1 KR 200316205Y1 KR 20030009092 U KR20030009092 U KR 20030009092U KR 200316205 Y1 KR200316205 Y1 KR 200316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ing
chair
desk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0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병국
Original Assignee
한국에스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스에스(주) filed Critical 한국에스에스(주)
Priority to KR20-2003-0009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20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205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4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장치는, 관형태로 구성되며, 상부 일측에 통공(36a)이 성형된 하부다리(36)와; 상기 하부다리의 내부로 입설되고, 상판 또는 시트부(32)를 지지하며, 복수개의 위치공(34a)이 길이방향으로 성형된 상부다리(34); 그리고, 상기 하부다리의 상측에 조립되어 상부다리가 입설 가능하도록 성형된 조립구멍(42)과, 상기 조립구멍의 내벽과 연통되는 삽입홀(H1)과, 상기 삽입홀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교차되며 연통되는 고정홀(H2)과, 상기 고정홀에 조립되어 회전가능한 고정체(44)와, 상기 고정체의 회전에 의하여 삽입홀을 통하여 횡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걸림체(46)로 이루어진 고정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고정수단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절된 상태의 높이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desk and a chair.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leg 36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the through-hole 36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 upper leg 34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leg, supports the upper plate or the sheet part 32,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 holes 34a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assembling hole 42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leg and formed to allow the upper leg to enter, the insertion hole H1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wall of the assembling hole, intersects and communicates with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Fixing means consisting of a fixing hole (H2) to be assembled, the fixing body 44 is rotatably assembled in the fixing hole, and the locking body 46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insertion hole by the rotation of the fixing bod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adjust to the desired height, and provides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the desk and chair that can maintain the height of the adjusted state firmly by preventing the fixing means is easily separated by the external impact It becomes possible.

Description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Height controller apparatus for legs of desk and chair}Height controller apparatus for legs of desk and chair}

본 고안은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이나 의자가 다양한 높이를 가지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정한 높이로 조절된 다리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외부의 영향에 의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desk and a chair, and more specifically, the desk or chair can be freely adjusted to have various heights, and by making it possible to firmly fix a leg adjusted to a certain heigh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desk and a chair configured to freely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various user's physical conditions by external influences.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의자는 학교나 학원, 사무실, 가정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책상이나 의자는 대부분 사용자가 하루의 일과를 보내게 되는 중요한 가구이다. 따라서, 상기 책상이나 의자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져야 장시간동안 공부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Generally, desks and chairs are widely used in schools, academies, offices, and homes. Most of these desks and chairs are important furniture for users to spend the day.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the desk or chair should be configured to sui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so as to minimize fatigue in studying or carrying out work for a long time.

상술한 바와 같은, 책상이나 의자를 사용함에 있어서, 올바르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책상이나 의자의 높이가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라도 알고 있는 사실이다. 상기 책상이나 의자의 높이는,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직립되게 구성되는다수개의 다리에 의해 결정되어진다.As mentioned above, in using a desk or chair, it is known that the height of the desk or chair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a correct and comfortable posture. The height of the desk or chair is determined by a number of legs configured to stand upright on the floor.

하지만,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원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책상(10)이나 의자(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6) 및 시트(26)의 하측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12,22)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12,22)를 기준으로하여 양측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다리(14,24)가 이루어진다. 상기 다리(14,24)는 일정한 높이로 고정되어 높낮이의 조절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다리(14,24)를 가지는 책상(10)이나 의자(20)는 다양한 높이를 가지도록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신장이 작은 사용자는 다리(14,24)가 짧은 책상(10)과 의자(20)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신장이 큰 사용자는 다리(14,24)가 긴 책상(10)과 의자(20)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성장이 빠른 청소년들은 자신의 신장에 맞는 책상이나 의자를 수시로 교환하여 사용하거나 불편함을 감수하고 신장에 맞지 않는 책상과 의자를 이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However, the desk 10 and the chair 20 which are generally used in schools, academies, etc., as shown in Figure 1, the support portion 12, 22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6 and the seat 26, respectively It is configured, and both sides are bent downward based on the support (12, 22) to form the legs (14, 24). The legs 14 and 24 are fixed at a constant height, and height adjustment is impossible. The desk 10 and the chair 20 having the legs 14 and 24 are separately manufactured to have various heights. For example, a user with a short height may select and use a desk 10 and a chair 20 with short legs 14 and 24, and a user with a long height may select a desk 10 with a long leg 14 and 24. The chair 20 will be used to select. As a result, the fast-growing youths often use desks and chairs that are suitable for their height, or use the desks and chairs that are not suitable for their kidneys.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높이가 고정되어 있는 책상 및 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리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책상 및 의자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desk and the chair is fixe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object is to provide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desk and chair configured to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legs.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된 다리가 견고하게 견딜 수 있도록 책상 및 의자의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하여 제공하자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desk and chair so that the user can be firmly endured legs adjusted to the desired height.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작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책상 및 의자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desk and a chair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by facilitating operation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도 1은 일반적인 책상 및 의자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desk and chair.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장치를 가지는 의자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장치의 고정수단을 분해한 상태로 우측에서 나타낸 사시도.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right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장치의 고정수단을 분해한 상태로 좌측에서 나타낸 사시도.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left in the state disassembled the fixing means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수단을 가지는 상부다리 및 하부다리의 분리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부분단면도.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separated state of the upper leg and lower leg having a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장치의 횡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4 .... 상부다리 34a ..... 위치공34 .... Upper leg 34a ..... Positioning hole

36 ..... 하부다리 36a ..... 통공36 ..... Lower leg 36a ..... through-hole

40 ..... 고정수단 42 ..... 조립구멍40 ..... Fastening means 42 ..... Assembly holes

H1 ..... 삽입홀 H2 ..... 고정홀H1 ..... Insertion hole H2 ..... Fixing hole

44 ..... 걸림체 44S ..... 나사산부44 ..... Jamming 44S ..... Threaded section

46 ..... 고정체 47 ..... 가이드바아46 ..... Fixture 47 ..... Guide Bar

46d .... 가이드홀 46c ..... 몸체46 d .... guide hole 46 c ..... body

46b ..... 고정리브 W ..... 스프링와셔46b ..... fixed ribs W ..... spring washers

36g ..... 안내리브 34g ..... 안내홈36g ..... Guide ribs 34g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책상 및 의자의 높이조절장치는, 관형태로 구성되며, 상부 일측에 통공이 성형된 하부다리와; 상기 하부다리의 내부로 입설되고, 상판 또는 시트부를 지지하며, 복수개의 위치공이 길이방향으로 성형된 상부다리; 그리고, 상기 하부다리의 상측에 조립되어 상부다리가 입설 가능하도록 성형된 조립구멍과, 상기 조립구멍의 내벽과 연통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교차되며 연통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조립되어 회전가능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회전에 의하여 삽입홀을 통하여 횡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걸림체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desk and chair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ube, the lower leg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on the upper side; An upper leg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leg, supports an upper plate or a sheet portion, and has a plurality of position hol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ssembling hole is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leg and formed so that the upper leg can enter, the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wall of the assembling hole, the fixing hole intersect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ans which is assembled to the fixing hole and is rotatable, and includes a locking body that linearly mov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the insertion hole by the rotation of the fixing body.

그리고, 상기 걸림체의 일부분에는 나사가공된 나사산부가 구성되어 있고, 전방에는 상부다리의 위치공에 삽탈되는 돌기부가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locking body is formed with a threaded threaded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has a protrusion portion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position hole of the upper leg.

그리고, 상기 걸림체를 전후방으로 직선운동시키는 고정체는, 걸림체의 나사산부와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으로 톱니가 성형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가이드바아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바아의 일측은 고정홀의 외벽에 의하여 고정되고, 타측은 몸체의 내측에 성형된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되어 있다.The fixed body for linearly moving the locking body forward and backward includes: a body having teeth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threaded portion of the locking body; The handle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body, the guide bar is assembled on the other side. One side of the guide bar is fixed by the outer wall of the fixing hole, the other side is assembled so as not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body.

또한, 상기 손잡이와 몸체의 연결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리브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리브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홀의 외측 일부분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xing rib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body, and a fixing groove is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fixing hole so that the fixing rib is seated.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부다리 및 하부다리 또는 고정수단에 각각 안내리브 및 안내홈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부다리를 하부다리에 삽탈시키는 것을 이용하게 함은 물론이고, 통공과 위치공을 쉽게 연통시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함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configure the guide ribs and guide grooves in the upper leg and the lower leg or fixing means, respectively. This is to allow the upper leg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leg, as well as to easily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and the position hole to fix using a fixing means.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다리의 위치공을 등간격 또는 점차적으로 이격된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position holes of the upper leg at equal intervals or gradually spaced apart.

본 고안에 의한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 장치는,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지는 사용자 및 성장속도가 빠른 청소년들이 손쉽게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회전버튼 형식의 고정체를 가지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Height adjustment device for desks and ch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having a variety of physical conditions and fast growth rate is composed of a fixing means having a fixed button of the rotary button type that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Able to know.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장치를 가지는 의자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장치의 고정수단을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장치를 가지는 상부다리 및 하부다리가 분리된 상태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air having a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Figure 5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leg and the lower leg is separated state hav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책상 및 의자(30)의 높이조절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에 적용된 실시예를 기초하여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desk and chai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applied to the chair as shown in FIG.

우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하부다리(36) 및 상부다리(34), 그리고 상기 하부다리와 상부다리를 결합시켜 고정하는 고정수단(40)으로구성된다.First,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is composed of a lower leg 36 and the upper leg 3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ixing means 40 for fixing the lower leg and the upper leg by coupling.

상기 하부다리(36)는 관형태로 구성되며, 상부 일측에 통공(36a)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다리(34)는, 상기 하부다리(36)의 내부로 입설되고, 시트부(32)를 지지하며, 복수개의 위치공(34a)이 길이방향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하부다리(36)의 내경보다 상부다리(34)의 외경이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고정수단(40)을 상부다리(34)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하부다리(36)의 외경이 상부다리(34)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보다 안정감을 가지도록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40)을 하부다리(36)에 구성시키고, 상기 상부다리(34)가 하부다리(36)의 내부로 입설되어 상부다리(34)의 외벽과 하부다리(36)의 내벽이 근접되게 구성되어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The lower leg 36 is configured in a tubular shape, the through-hole 36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upper leg 34 is inserted into the lower leg 36 to support the sheet portion 32, and a plurality of position holes 34a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leg 34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leg 36. Of course, when fixing the fixing means 40 to the upper leg 34,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leg 36 can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leg 34. However, in order to assemble to have a more sense of stability,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ixing means 40 is configured on the lower leg 36, and the upper leg 34 is placed inside the lower leg 36, and thus the upper leg. Naturally, the outer wall of the 34 and the inner wall of the lower leg 36 should be constructed in close proximity.

이러한 하부다리(36) 및 상부다리(34)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고정수단(40)은, 상기 하부다리(36)의 상측에 조립되어 상부다리(34)가 입설 가능하도록 성형된 조립구멍(42)과, 상기 조립구멍(42)의 내벽과 연통되는 삽입홀(H1)과, 상기 삽입홀(H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교차되며 연통되는 고정홀(H2)과, 상기 고정홀(H2)에 조립되어 회전가능한 고정체(46)와, 상기 고정체(46)의 회전에 의하여 삽입홀(H1)을 통하여 횡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며 위치공(34a)에 삽탈되는 걸림체(44)로 이루어지게 된다.Fixing means 40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lower leg 36 and the upper leg 34 is assemb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leg 36, the assembling hole 42 formed so that the upper leg 34 can enter ), An insertion hole H1 communicating with an inner wall of the assembly hole 42, a fixing hole H2 intersecting and communicating with an upper side or a low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H1, and the fixing hole H2. Assembled and rotatable fixed body 46 and the locking body 44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hole (34a) while the linear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insertion hole (H1) by the rotation of the fixing body 46 You lose.

그리고, 상기 조립구멍(42)의 내벽에는 걸림턱(42a)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42a)은, 하부다리(36)의 두께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고정수단(40)이 하부다리(36)의 상측에 조립된 상태에서 하중이나 외력에 의하여 하부다리(36)를 따라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 locking jaw 42a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assembly hole 42. The locking step 42a is preferably made of about the thickness of the lower leg 36. This is to prevent the fixing means 40 from being lowered along the lower leg 36 by a load or an external force in an assembled state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leg 36.

한편, 삽입홀(H1)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통공(36a) 및 위치공(34a)을 따라 차례로 삽입 또는 이탈되는 걸림체(44)는, 일부분에는 나사산부(44S)가 가공되어 있고, 전방에는 통공(36a) 및 위치공(34a)에 삽탈되는 돌기부(44R)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나사산부(44S)와 돌기부(44R)의 연결부에는 단턱(4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걸림체(44)가 조립되는 삽입홀(H1)은, 걸림체(44)의 형상과 대응되게 성형된다. 즉, 돌기부(44R)가 위치되는 공간과 나사산부(44S)가 위치되는 공간은 소정의 진입방지턱(ha)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진입방지턱(ha)은 걸림체(44)가 내측으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나사산부(44S)가 고정체(46)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체(46)에 맞물려서 걸림체(44)의 직선운동을 제어받는 나사산부(44S)가 이탈되면, 고정체(46)를 회전시킨다고 하더라도 걸림체(44)가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나사산부(44S)가 진입방지턱(ha)에 의하여 삽입홀(H1)을 통하여 깊숙하게 들어가는 것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책상이나 의자(30)가 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걸림체(44)가 관형태의 상부다리(34) 및 하부다리(36)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나사산부(44S)와 맞물리도록 조립되는 고정체(46)의 회전에 의하여 걸림체(44)가 전후로 이동되어 돌기부(44R)가 통공(36a) 및 위치공(34a)에 삽탈되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ngaging body 44 which is inserted or removed in sequence along the through hole 36a and the positioning hole 34a while being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insertion hole H1 has a threaded portion 44S at a portion thereof, It is comprised by the projection part 44R which inserts and inserts into the through-hole 36a and the position hole 34a. A step 44a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hreaded portion 44S and the protrusion 44R. 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H1 to which the locking body 44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ssembled is mol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cking body 44. In other words, a predetermined entry barrier ha is formed in the space where the protrusion 44R is positioned and the space where the threaded portion 44S is located. The entry prevention jaw (ha) is to prevent the threaded portion 44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46 in the process of the engaging body 44 enters the inside. When the threaded portion 44S, which is engaged with the fixed body 46 and controls the linear movement of the locking body 44, is disengaged, the locking body 44 does not protrude rearward even if the fixing body 46 is rotated. This is to prevent. That is, it is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threaded portion 44S from being deeply enter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H1 by the entry barrier ha. This configuration prevents the locking body 44 from being separated into the upper leg 34 and the lower leg 36 by the impact generated during the fall of the desk or chair 30. It can be seen that. The locking body 44 is moved back and forth by the rotation of the fixing body 46 assembled to engage with the threaded portion 44S, so that the protrusion 44R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6a and the positioning hole 34a. Will be done.

상술한 고정체(46)는,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홀(46d)과, 길이방향으로 성형된 톱니로 구성되어 있는 몸체(46c)와; 상기 몸체(46c)의 일측에는 구성되는 손잡이(46a),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46d)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조립된 가이드바아(4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아(47)의 일측은 고정홀(H2)의 외벽에 의하여 고정되고, 타측은 몸체(46c)의 내측에 성형된 가이드홀(46d)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바아(47)를 고정홀(H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홈형태의 끝단부(47a)에 스프링와셔(W)와 같은 이탈방지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mentioned fixing body 46 includes a body 46c composed of a guide hole 46d having one side opened and a tooth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side of the body 46c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46a is configured, and the guide bar 47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46d) partially assembled. And, one side of the guide bar 47 is fixed by the outer wall of the fixing hole (H2),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46d)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body (46c) is assembled by interference fit so as not to be separated hav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separation preventing means such as a spring washer (W) in the groove-shaped end portion (47a) so that the guide bar 47 is not separated from one side of the fixing hole (H2)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몸체(46c)와 손잡이(46a)의 연결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리브(46b)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리브(46b)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홀(H2)의 외측 일부분에 고정홈(hr)을 구성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xing rib 46b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body 46c and the handle 46a, and a fixing groove is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fixing hole H2 so that the fixing rib 46b can be seate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onstruct (hr).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 및 의자(30)의 높이조절장치의 전체적인 결합관계 및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look at the overall coupling relationship and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desk and chai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장치는, 하부다리(36)의 통공(36a)과 삽입홀(H1)이 연통되도록 고정수단(40)을 조립시킨다. 이 때, 고정체(4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체(44)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하부다리(36)와 고정수단(40)의 조립이 이루어져야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는, 본 고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한 것을 기초로 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고정체(46)의 회전방향에 따른 걸림체(44)의 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체(46)의 회전방향은 고정홀(H2)과 삽입홀(H1)의 위치 및 손잡이(46a)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고정수단(40)이 하부다리(36)에 조립되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수단(40)의 조립구멍(42) 내부에서 걸림턱(42a)을 기준으로 하측내벽(42b)과 하부다리(36)의 외벽이 밀착되어져야함은 물론이다. 이로써, 고정수단(40)이 하부다리(36)의 상측에 조립되면, 다수개의 위치공(34a)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다리(34)를 조립구멍(42)을 통하여 하부다리(36)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ans 40 to assemble so that the through-hole (36a) and the insertion hole (H1) of the lower leg (36) communicate. 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lower leg 36 and the fixing means 40 should be assembled in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body 44 is moved to the rear by rotating the fixing body 46 clockwise. This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body 44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46, for example, based on the drawings shown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xing body 46 depends on the position of the fixing hole H2 and the insertion hole H1 and the position of the handle 46a. In order to prevent the fixing means 40 from being assembled to the lower leg 36 and rotating, the lower inner wall 42b and the lower leg of the fixing means 40 are referred to the locking jaw 42a. Of course, the outer wall of (36) should be in close contact. Thus, when the fixing means 40 is assemb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leg 36, the upper leg 34, whi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 holes 34a, through the assembly hole 42, the inside of the lower leg 36 It becomes possible to insert into.

상기 상부다리(34)를 하부다리(36)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통공(36a)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공(34a)이 일치되어져야 된다. 이는, 고정수단(40)에 의하여 원하는 높이로 조절된 상태의 상부다리(34)와 하부다리(36)를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부다리(34)에 구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위치공(34a)중 원하는 위치공이 통공(36a)과 연통되게 위치시킨 후, 고정체(4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체(44)가 전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걸림체(44)의 돌기부(44R)가 통공(36a) 및 위치공(34a)을 관통하여 삽입된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upper leg 34 into the lower leg 36, the through hole 36a and the desired position hole 34a should be coincident with the user. This is to fix the upper leg 34 and the lower leg 36 in the state adjusted to the desired height by the fixing means (40). To this end, the desired position hole among the plurality of position holes 34a of the upper leg 34 is position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hole 36a, and then the locking body 46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 Advances. For this reason, the projection 44R of the locking body 44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36a and the position hole 34a.

상술한 바와 같이, 통공(36a) 및 위치공(34a)에 삽입된 걸림체(44)가 외부의 영향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체(44)의 직선운동을 제어하는 고정체(46)의 회전을 방지시켜야 되는 것은 자명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체(46)의 손잡이(46a)를 눌러 고정리브(46b)를 고정홈(hr)에 안착시키면 고정체(46)는 더 이상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the locking body 44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6a and the positioning hole 34a from being separated by an external influence, the fixed body controll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locking body 44. It is obvious that the rotation of the 46 should be prevented. To this end, by pressing the handle 46a of the fixing body 46 to seat the fixing rib 46b in the fixing groove hr, the fixing body 46 is no longer rotated.

한편, 상기 고정체(46)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fixture 46 is made as follows.

우선, 상기 고정체(46)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고정홈(hr)에 안착되어 있는고정리브(46b)를 고정홈(hr)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손잡이(46a)를 이용하여 외측으로 당겨준다. 이 때, 상기 고정체(46)의 몸체(46c)는 일부분이 손잡이(46a)에 의하여 고정홀(H2)의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손잡이(46a)가 구성되어 있는 고정홀의 타측에 스프링와셔(W)로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바아(47)는 손잡이(46a)가 당겨진 만큼 가이드홀(46d)에서 벗어나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아(47)와 몸체(46c)가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홈(hr)의 일측으로 돌출된 손잡이(46c)를 잡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몸체(46c)의 톱니에 맞물려 있는 나사산부(44S)가 몸체(46c)의 외주연에 부분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톱니를 따라 회전하면서 걸림체(44)가 전후진하게 되는 것이다.First, in order to rotate the fixing body 46, the fixing rib 46b seated in the fixing groove hr is pulled out by using the handle 46a to escape from the fixing groove hr.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body 46c of the fixing body 46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hole H2 by the handle 46a. Thus, the guide bar 47,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hole in which the handle 46a is configured by the spring washer W, is out of the guide hole 46d as much as the handle 46a is pulled out. The guide bar 47 and the body 46c are kept in a tensioned state. Holding the handle 46c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hr) and rotating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the threaded portion 44S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body 46c is partially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46c. The locking body 44 is moved back and forth while rotating along the teeth formed.

상기 걸림체(55)가 위치공(34a)에서 벗어나면 상부다리(34)를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책상이나 의자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상태에서 손잡이(46a)를 회전시켜 걸림체(44)를 전진시켜 돌기부(44R)가 위치공(34a)을 통과하면, 손잡이(46a)를 눌러 고정리브(46b)가 고정홈(hr)에 안착되게 위치시킨다.When the locking body 55 is out of the position hole 34a, the upper leg 34 can be freely moved up and down. When the user adjusts the desk or chair to a desired height, the handle 46a is rotated to advance the catching body 44 so that the protrusion 44R passes through the positioning hole 34a. 46b is positioned to be seated in the fixing groove hr.

상기 고정리브(46b)가 고정홈(hr)에 안착되는 것에 의하여, 고정체(46)의 회전운동은 불가능하게 되고 돌기부(44R)가 위치공(34a)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 때, 가이드바아(47)가 몸체(46c)의 가이드홀(46d)로 깊숙하게 위치하게 된다.When the fixing rib 46b is seated in the fixing groove hr,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xing body 46 becomes impossible and the protrusion 44R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34a. At this time, the guide bar 47 is located deep into the guide hole 46d of the body 46c.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위치공(34a)은 상부다리(34)의 길이방향으로 구성하되, 등간격이나 점차적으로 이격되는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osition holes 34a may be config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leg 34, and the width of the user's selection may be widened by equipping at equal intervals or gradually spaced intervals or irregular intervals.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부다리(34)와 하부다리(36)에 안내리브(36g) 및 안내홈(34g)을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부다리(34)가 하부다리(36)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통공(36a)과 위치공(34a)이 쉽게 연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guide ribs 36g and guide grooves 34g on the upper leg 34 and the lower leg 36. This is to allow the through hole 36a and the positioning hole 34a to be easily communicated while the upper leg 34 moves along the inner side of the lower leg 36.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수단(40)과 상부다리(34)가 접촉되는 내벽(즉, 조립구멍의 상부)에 안내리브와 안내홈을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guide ribs and guide grooves on the inner wall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hole) in which the fixing means 40 and the upper leg 34 contact.

상술한 바와 같은 안내리브(36g) 및 안내홈(34g)은 상부다리(34)가 이동하는 종방향으로 성형되는 것은 당연하다.Naturally, the guide rib 36g and the guide groove 34g as described above are m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leg 34 move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될 수는 없을 것이고,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well as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interpreted.

이상과 같은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및 의자 높이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desk and chair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desired height.

그리고, 외부의 충격(즉, 넘어뜨리는 경우)이나 사용자의 과중한 체중에 의하여 고정수단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절된 상태의 높이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keep the height of the adjusted state firmly by preventing the fixing means from being easily detached due to external impact (ie, knocking down) or heavy weight of the user.

또한, 상부다리에 다수개의 위치공을 다양한 간격으로 배치함에 따라 높이조절에 있어서 선택의 폭을 넓혀 사용자의 편의성이 매우 향상되는 이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osition holes on the upper leg at various interval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user's convenience will be greatly improved by widening the choice in height adjustment.

Claims (8)

관형태로 구성되며, 상부 일측에 통공이 성형된 하부다리와;The lower leg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the through-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상기 하부다리의 내부로 입설되고, 상판 또는 시트부를 지지하며, 복수개의 위치공이 길이방향으로 성형된 상부다리; 그리고,An upper leg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leg, supports an upper plate or a sheet portion, and has a plurality of position hol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상기 하부다리의 상측에 조립되어 상부다리가 입설 가능하도록 성형된 조립구멍과, 상기 조립구멍의 내벽과 연통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교차되며 연통되며 일측에 고정홈을 가지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조립되어 회전가능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회전에 의하여 삽입홀을 통하여 횡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걸림체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An assembly 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leg and formed to allow the upper leg to enter, an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n inner wall of the assembly hole, and a fixing groove intersecting and communicating with an upper side or a low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and having a fixing groove on one side Desk 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ans composed of a hole, a fixed body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xing hole, and a locking body for the linear moveme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the insertion hole by the rotation of the fixing body Height adjust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공은 등간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The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desk and a chai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holes are configured at equal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공은 점차적으로 이격된 간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holes are gradu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멍은 내벽에 하부다리의 두께에 해당되는 걸림턱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assembly hole is a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the desk 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jaw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lower leg is formed on the inner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 및 고정홀은 각각 걸림체 및 고정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insertion hole and the fixing hole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cking body and the fixing body, respectively.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체는 나사가공된 나사산부와, 상기 나사산부의 전방에는 상부다리의 위치공에 삽탈되는 돌기부, 그리고 상기 나사산부와 돌기부의 연결부위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locking body is a threaded threaded portion, a projec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position hole of the upper leg in front of the threaded portion, and a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hreaded portion and the projections Height adjusting device for the desk and chair.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홀과, 외주연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톱니가 성형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구성된 손잡이와; 상기 몸체와 손잡이의 연결부위에 구성되는 고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홀에는 가이드바아가 조립되고; 상기 고정체는 가이드바아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fixing body, the guide hole is opened on one side, the body is formed with tee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y; A handle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body; A fixed rib configur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body and the handle; A guide bar is assembled to the guide hole; The fixed body is a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desk and chai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ba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아는, 가이드홀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고, 끝단부에 이탈방지수단에 의하여 고정홀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claim 7, wherein the guide bar is assemb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hole by a release preventing means at an end portion of the guide bar.
KR20-2003-0009092U 2003-03-26 2003-03-26 Height controller apparatus for legs of desk and chair KR20031620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092U KR200316205Y1 (en) 2003-03-26 2003-03-26 Height controller apparatus for legs of desk and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092U KR200316205Y1 (en) 2003-03-26 2003-03-26 Height controller apparatus for legs of desk and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205Y1 true KR200316205Y1 (en) 2003-06-12

Family

ID=4940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092U KR200316205Y1 (en) 2003-03-26 2003-03-26 Height controller apparatus for legs of desk and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20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958B1 (en) * 2013-07-09 2015-01-20 정연철 Wind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 Hose
KR20240020214A (en) 2022-08-06 2024-02-14 이제훈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Furni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958B1 (en) * 2013-07-09 2015-01-20 정연철 Wind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 Hose
KR20240020214A (en) 2022-08-06 2024-02-14 이제훈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Furni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17736A1 (en) Adjustable armrest for a seating unit
EP2809202B1 (en) Armrest, in particular for office chairs
US20040231129A1 (en) Office chair
MXPA00005820A (en) Stackable chair.
KR102454363B1 (en) Horizontal moving device of combined exercise equipment
KR20110043307A (en) A lumbar support device for position control
KR200316205Y1 (en) Height controller apparatus for legs of desk and chair
RU2739022C1 (en) Seat module
KR102303511B1 (en) Desk chair height adjuster
KR200292593Y1 (en) a chair's armrest
KR200424403Y1 (en) The chair where the back of chair control and the ball wheel attach
KR100335741B1 (en) Height adjustment member for furniture
KR200331920Y1 (en) Height conditioning apparatus of armrest for chairs
KR102621989B1 (en) Height control device for furniture
CN210783675U (en) Chair seat front and rear adjusting mechanism
KR200342419Y1 (en) A lifting armrest for a chair
KR200199861Y1 (en) Chair having a movable stepping board
CN218528244U (en) Radian-adjustable waist cushion
KR200167532Y1 (en) Height adjustment member for funiture
CN218683115U (en) Combined leisure chair
KR200243683Y1 (en) Chair having a movable stepping board
KR102230157B1 (en) Desk for student capable of height control and stool
KR100666507B1 (en) Appratus for adjusting height
JP3098245U (en) Chair
KR200243559Y1 (en) Base for a chair which is adjusted angle of back of a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