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511B1 - Desk chair height adjuster - Google Patents

Desk chair height adju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511B1
KR102303511B1 KR1020210098464A KR20210098464A KR102303511B1 KR 102303511 B1 KR102303511 B1 KR 102303511B1 KR 1020210098464 A KR1020210098464 A KR 1020210098464A KR 20210098464 A KR20210098464 A KR 20210098464A KR 102303511 B1 KR102303511 B1 KR 102303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le
guide groove
body portion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희
Original Assignee
선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5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5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47C3/285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with radially expansible clamping elements telescopically engaged in a tub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udent desk chair height adjustor that can not only easily adjust the height of a student desk chair according to a degree of physical development, but also pressurize and release the pressurized state of a fixing shaft used to conveniently adjust the height of the student desk chair through a locking part. The student desk chair height adjus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fixed to an outer leg in a state of accommodating the outer leg among desk chair legs consisting of outer and inner legs; the fixing shaft which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part and is fixed in position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 through-hole of the outer leg and any one height adjusting hole of the inner leg; an elastic part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xing shaft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part; and the locking part for pressurizing and releasing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fixing shaft.

Description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Desk chair height adjuster}Desk chair height adjuster

본 발명은 책걸상의 높낮이를 신체 발육 정도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록킹부를 통해 간편하게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축을 가압 및 가압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chair height adjusting device that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chair according to the degree of physical development, and can pressurize and release the pressurization state of the fixed shaft used to conveniently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chair through the locking part. .

일반적으로, 학교, 강의실 등에서 사용되는 학생용 책걸상은 학생들의 표준 신체 지수를 기준으로 표준 제작되며, 사용이 불가능할 때까지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었다.In general, student desks and stools used in schools, classrooms, etc. are standardly manufactured based on the standard body index of students, and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until it becomes impossible to use.

최근에는 책걸상을 사용할 때 미끄러지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책걸상을 옮길때 책걸상을 쉽게 결합하여 한번에 밀어서 옮길 수 있도록 한 이동이 편리한 책걸상이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1-0041217호로 제안된 바 있다.Recently, when using the desk and stool, it can be used stably without slipping, and when moving the desk and stool, it is easily combined with the desk and stool so that it can be moved by pushing it at once. have.

그러나, 상기 공개번호 제10-2021-0041217호 등으로 제안된 책걸상은 신체 발육 정도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어 성장기의 청소년이 구부정한 자세가 되는 등 신체의 발육정도와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desk and stool proposed in Publication No. 10-2021-0041217, etc.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match the developmental level of the body, such as the height of the desk and chair canno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hysical development, so that adolescents in the growing period are in a bent posture.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1-0041217호Domestic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4121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신체 발육 정도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록킹부를 통해 간편하게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축을 가압 및 가압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not only can the height of the desk and chair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hysical development, but also the fixed shaft used to conveniently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and chair through the locking unit is pressed and press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sk and stool height adjustment device that can be relea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통공이 형성된 외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수의 높낮이 조절공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내측다리로 구성되는 책걸상 다리 중 상기 외측다리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외측다리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측의 내부 상부에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외측다리의 관통공과 상기 내측다리의 어느 한 높낮이 조절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위치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상기 몸체부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측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축을 가압 및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sk chair leg comprising an outer leg having a through-hole formed therein, and an inner leg having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outer leg. a body portion fixed to the outer leg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leg is accommodated therein; a fixed shaft provided movab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outer leg and one of the height adjustment holes of the inner leg to be fixed in position; an elastic part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xed shaf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part; The lower part is shaft-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part, and the upper part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part while the locking part presses the fixed shaft and releases the pressurized state. .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부에 상부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커버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cover plate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has an upper guide groove formed thereon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전측의 내부 상부에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공의 전측에 형성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가이드공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전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의 중간부에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내측에 상기 고정축의 후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부의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축의 돌출턱을 상기 몸체부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guide hole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hole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and the guide groove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groove. A receiving spac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groove and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is formed, a protruding jaw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ixing shaft, and the rear side of the fixing shaft is accommodated inside the elastic part. Preferably, the elastic part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art to elastically support the protruding jaw of the fixed shaf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part.

나아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 전측 상부와 타측면 전측 상부에 각각 일측핀공과 타측핀공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측의 내부 상부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고정축의 전측이 수용되는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홈의 전측에 배치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안내홈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안내공이 형성되며, 전측 하부에 상기 몸체부의 일측핀공 및 타측핀공과 연통되는 핀공이 형성되고, 전측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걸림홈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턱이 후측 상부에 형성되고, 후측 하부에 상기 고정몸체의 핀공과 연통되는 가이드슬릿이 상기 고정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축을 가압 및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록킹몸체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핀공과 상기 록킹몸체의 가이드슬릿, 상기 고정몸체의 핀공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핀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one side pin hole and the other side pin hole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front upper part and the other side front sid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the locking part is fixed to the inner upp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part, and the guide groove in which the front side of the fixed shaft is accommodated inside and a guide hol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groove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groove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groove is formed, and a pin hole communicating with one pin hole and the other pin hole of the body part is formed in the lower front side. and a fixed body in which a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front side; A locking jaw fixed to the locking groove of the fixing body is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and a guide slit communicating with the pin hole of the fixing body on the rear lower part is form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and the lower part is formed a locking body in which the upper part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part as a reference and pressurizes the fixed shaft and releases the pressing state; Preferabl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in member which is fixed in position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pin hole of one side of the body part, the guide slit of the locking body, the pin hole of the fixing body, and the pin hole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더불어, 상기 록킹부의 록킹몸체의 전측 하부에 하부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ower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locking body of the locking part.

아울러, 상기 외측다리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전측의 하부 내부에 보조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보조수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 내부에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는 어느 한 관통공의 하부방향의 다른 관통공을 관통하여 위치고정되는 보조고정축으로 구성되는 보조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outer leg, an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case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of the body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uxiliary fixing part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y accommod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ase and configured as an auxiliary fixing shaft which is fixed in position by passing through another through hole in the lower direction of one of the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fixing shaft passes.

여기서, 상기 보조고정부의 케이스는 후측 하부에 노출구가 형성되고, 전측에 상기 노출구와 연통되는 가이드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관의 내경크기가 상기 노출구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후측케이스와; 상기 후측케이스에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전측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고정축은 상기 후측케이스의 가이드관에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보조고정축의 후측은 반구형상으로 형성 및 상기 노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후측케이스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는 어느 한 관통공의 하부방향의 다른 관통공을 관통하여 위치고정되고, 상기 보조고정축의 전측에 수직지지판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고정부는 상기 보조고정축의 수직지지판을 상기 후측케이스의 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the case of the auxiliary fixing part, an exposure hole is formed on the lower rear side, a guide tube communicating with the exposure hol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inner diameter size of the guide tube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size of the exposure hole. ; and a front case detachably fastened to the front side of the rear case, wherein the auxiliary fixing shaft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guide tube of the rear cas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se, and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has a hemispherical shape Formed and passed through the exposure hole,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ar side of the rear case, the fixed shaft penetrates through the other through hol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ne through hole, and the position is fixed, on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A vertical support plate is formed, and the auxiliary fixing part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ertical support plate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rear case.

그리고, 상기 보조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180°로 반전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의 보조수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fixing portion is separably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of the body portion in a state inverted by 180 degre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몸체부의 후측 상부의 내측에 상기 내측다리가 수용되는 수용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슬릿이 형성되는 상기 몸체부의 후측 상부 내면에 요철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receiving slit for accommodating the inner leg is formed inside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port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on the rear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n which the accommodation slit is formed. desirable.

또한, 상기 몸체부의 후측 상부에 상기 내측다리가 수용되는 수용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후측 상부에 상기 수용슬릿의 후측을 폐쇄 및 상기 수용슬릿의 전후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커버판이 상기 수용슬릿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accommodation slit in which the inner leg is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part, and a cover plate for closing the rear side of the accommodation slit and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accommodation slit is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lit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후측 상부 일측과 후측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수용슬릿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가이드홈 및 타측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판의 전단부 일측과 전단부 타측에 상기 몸체부의 일측가이드홈 및 타측가이드홈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수용슬릿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일측가이드판 및 타측가이드판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one guide groove and the other guide groove extend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receiving slit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ear upper side of the body, respectively, the front end of the cover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It is preferable that one guide plate and the other guide plate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one guide groove and the other guide groove of the body part and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accommodation slit to be fixed in position by a positioning member.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후측 상부 일측면과 후측 상부 타측면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가이드홈 및 타측가이드홈에 수용된 상기 일측가이드판 및 상기 타측가이드판에 밀착고정되는 위치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sition fixing member is screwed to the rear upper side and the rear upper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respectively, the one side guide plate and the other side guide groove accommodated in the one side guide plate and the other side guide plat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position fixing bolt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본 발명은 책걸상의 외측다리의 관통공과, 내측다리의 어느 한 높낮이 조절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고정축을 통해 책걸상의 높낮이를 신체 발육 정도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록킹부를 통해 상기 고정축을 가압 및 가압상태를 해제하여 보다 간편하게 상기 고정축을 상기 외측다리의 관통공과 상기 내측다리의 어느 한 조절공에 순차적으로 삽입 및 삽입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chair according to the degree of physical development through a fixed shaft tha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outer leg of the desk chair and one of the height adjusting holes of the inner leg, as well as pressing the fixed shaft through the locking part And by releasing the pressurized state, there is an effect of sequentially inserting the fixed shaft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outer leg and one of the adjusting hole of the inner leg and releasing the inserted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책걸상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몸체부, 고정축, 탄성부 및 록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록킹부가 고정축을 가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7의 B - B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9는 록킹부가 고정축을 가압해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5는 책걸상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180°로 상하반전된 보조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몸체부 및 180°로 상하반전된 보조고정부가 책걸상의 외측다리에 위치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몸체부의 후측 상부 내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몸체부의 수용슬릿의 전후길이 조절을 위한 커버판의 전후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sk and stool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3 and 4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desk and chair is adjust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dy portion, a fixed shaft, an elastic portion and a locking portion;
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5;
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5;
8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 B of FIG. 7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art presses the fixed shaft;
9 is a coupling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art pressurizes the fixed shaft;
10 to 15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esk and chair,
16 is an isolat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uxiliary fixing part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and inverted up and down by 180°,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of FIG. 16;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of FIG. 17 and the auxiliary fixing unit inverted up and down by 180° are fixed to the outer legs of the desk and chair,
1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neven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and 21 are partially cutaway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cover plat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receiving slit of the body por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책걸상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sk and chair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and Figures 3 and 4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desk and chair is adjus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는 크게, 몸체부(10), 고정축, 탄성부 및 록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 embodiment of the desk chair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made up of a body portion 10, a fixed shaft, an elastic portion and a locking portion.

먼저, 책걸상(3)의 다리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외측다리(31)와, 상기 외측다리(31)의 내측에 상기 외측다리(31)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다리(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legs of the desk chair 3 are large, as shown in FIGS. 1 to 4 , the outer legs 31 and the outer legs 31 ar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uter legs 31 on the inside of the outer legs 31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ner leg (32).

상기 외측다리(31)의 전측에는 1개의 관통공(310) 또는 복수의 관통공(310)이 상기 외측다리(3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One through-hole 310 or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10 may be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leg 31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uter leg 31 .

상기 내측다리(32)의 전측에는 복수의 높낮이 조절공(320)이 상기 내측다리(3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front side of the inner leg 32 ,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holes 32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ner leg 32 .

상기 외측다리(31)의 관통공(310)의 내경크기는 상기 내측다리(32)의 높낮이 조절공(320)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10 of the outer leg 31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eight adjusting hole 320 of the inner leg 32 .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상기 외측다리(31)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외측다리(31)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leg 31 is accommodated in the body portion 10 , the body portion 10 may be fixed to the outer leg 31 .

도 5는 몸체부, 고정축, 탄성부 및 록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결합사시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dy portion, a fixed shaft, an elastic portion and a locking portion, Figure 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ure 5, Figure 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5.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일측면 전측 상부와 타측면 상부에 각각 일측핀공(101)과 타측핀공(102)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 one side pin hole 101 and the other side pin hole 10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10 , respectively.

상기 몸체부(10)의 전측에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판(110)의 수직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7 ,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10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cover plate 110 in various ways such as vertically bolting.

상기 커버판(110)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몸체부(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홈(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111)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A guide groove 111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cover plate 110 , and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groove 111 may be opened.

상기 커버판(110)의 고정력향상을 위해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전측에 2개의 상부끼움홈(10a)이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cover plate 110 , two upper fitting grooves 10a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하부 전측에 2개의 하부끼움홈(10b)이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lower fitting grooves 10b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to the other side.

그리고, 상기 커버판(1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는 상기 몸체부(10)의 2개의 상부끼움홈(10a)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2개의 상기 상부끼움홈(10a)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상부끼움고정돌기(110a)가 상기 커버판(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And, on the upper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cover plate 110, it protrudes for a certain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two upper fitting grooves 10a of the body portion 10, and can be separated into the two upper fitting grooves 10a. The upper fitting fixing protrusions 110a that are tightly fitted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cover plate 110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커버판(110)의 후측 하부에는 상기 몸체부(10)의 2개의 하부끼움홈(10b)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2개의 상기 하부끼움홈(10b)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하부끼움고정돌기(110b)가 상기 커버판(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cover plate 110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two lower fitting grooves 10b of the body portion 10 to be detachably fitted into the two lower fitting grooves 10b. The lower fitting fixing protrusions 110b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cover plate 110 to the other side.

상기 커버판(110)을 상기 몸체부(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상기 고정축(20), 상기 탄성부(30) 및 상기 록킹부(40)를 간편하게 분리 및 교체보수할 수 있게 된다.By separating the cover plate 110 from the body part 10, the fixed shaft 20, the elastic part 30 and the locking part 4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placed from the body part 10. be able to

상기 몸체부(10)의 전측의 내부 상부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공(120), 가이드홈(130) 및 수용공간(140)이 상기 몸체부(10)의 전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10, as shown in FIG. 6, a guide hole 120, a guide groove 130, and a receiving space 140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can

상기 가이드공(120)의 전측에 상기 가이드공(120)과 연통되는 상기 가이드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 130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hole 12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hole 120 .

상기 가이드홈(130)의 내경크기는 상기 가이드공(120)의 내경크기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groove 130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120).

상기 수용공간(140)은 상기 가이드홈(130)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홈(130)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space 14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groove 13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groove 130 .

상기 수용공간(140)은 상기 가이드홈(1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space 140 may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130 .

다음으로, 상기 고정축(20)은 상기 몸체부(10)의 전측의 내부 상부에 상기 몸체부(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평구비되어 상기 외측다리(31)의 관통공(310)과 상기 내측다리(32)의 어느 한 높낮이 조절공(320)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여 위치고정될 수 있다.Next, the fixed shaft 20 is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10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so that the through-hole 310 of the outer leg 31 is provided. And the position can be fixed by sequentially horizontally penetrating any one of the height adjustment holes 320 of the inner leg 32 .

상기 고정축(20)의 후측은 상기 몸체부(10)의 전측의 내부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30)과 가이드공(1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몸체부(10)의 후측 내부로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The rear side of the fixed shaft 2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guide groove 130 and the guide hole 120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10 to enter the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can be introduced into

상기 고정축(20)의 중간부 외면에는 환형의 돌출턱(210)이 일정길이로 수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An annular protruding jaw 210 may be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to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fixing shaft 20 .

다음으로, 상기 탄성부(30)는 상기 고정축(20)을 상기 몸체부(10)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elastic part 30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xed shaft 20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 .

상기 탄성부(30)의 내측에 상기 고정축(20)의 후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가이드홈(130)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축(20)의 돌출턱(210)을 상기 몸체부(10)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ide of the fixed shaft 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elastic portion 30 , the elastic portion 30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130 of the body portion 10 so that the fixed shaft 20 is moved. The protruding jaw 210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

도 8은 록킹부가 고정축을 가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7의 B - B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9는 록킹부가 고정축을 가압해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8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 B of FIG. 7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unit presses the fixed shaft, and FIG.

다음으로, 상기 록킹부(40)의 하부가 상기 몸체부(10)의 전측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40)의 상부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Next, in a state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40 is shaft-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10 ,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40 is the body portion 10 as shown in FIGS. 8 and 9 . can be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40)의 상부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록킹부(40)는 상기 고정축(20)과 접하면서 상기 고정축(20)을 상기 몸체부(10)의 후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part 40 is rotated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 by the user, the locking part 40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shaft 20 and is fixed The shaft 20 may be pressed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40)의 상부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록킹부(40)의 상기 고정축(20) 가압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40 is rot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by the user, the pressing state of the fixed shaft 20 of the locking portion 40 is released. can

상기 록킹부(40)는 일예로, 도 5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몸체(410), 록킹몸체(420) 및 핀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ocking part 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fixed body 410 , a locking body 420 and a pin member 430 , as shown in FIGS. 5 to 9 .

상기 고정몸체(410)가 상기 몸체부(10)의 전측의 내부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공간(140)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몸체(410)의 상부와 하부는 상기 몸체부(10)의 수용공간(1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fixed body 41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40 formed i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10 ,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xed body 410 accommodate the body 10 .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pace 140 may be separably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 fixing, respectively.

상기 고정몸체(410)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상기 고정몸체(410)의 내측에 상기 고정축(20)의 전측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안내홈(411) 및 안내공(412)이 형성될 수 있다.A guide groove 411 and a guide hole 412 in which the front side of the fixed shaft 20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side the fixed body 41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xed body 410 . .

상기 안내홈(411)의 전측에 상기 안내공(412)이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hole 41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groove 411 .

상기 안내공(412)의 내경크기는 상기 안내홈(41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n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412 may be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guide groove 411 .

상기 안내공(412)의 하부방향의 상기 고정몸체(410)의 전측 하부에는 상기 몸체부(10)의 일측핀공(101) 및 타측핀공(102)과 연통되는 핀공(413)이 형성될 수 있다.A pin hole 413 communicating with one pin hole 101 and the other pin hole 102 of the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410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uide hole 412 . .

상기 고정몸체(410)의 전측 상부에는 걸림홈(414)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A locking groove 414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ody 410 .

상기 록킹몸체(420)의 후측 상부에는 걸림고정턱(421)이 형성될 수 있다.A locking jaw 421 may be form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locking body 420 .

상기 걸림고정턱(421)은 상기 록킹몸체(420)의 후측 상부에서 상기 고정몸체(410)의 걸림홈(414)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jaw 42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groove 414 of the fixing body 410 from the upper rear side of the locking body 420 .

상기 걸림고정턱(421)의 하부가 상기 록킹몸체(420)의 걸림홈(414)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jaw 421 may be separably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414 of the locking body 420 .

상기 록킹몸체(420)의 후측 하부에는 상기 고정몸체(410)의 핀공(413)과 연통되는 가이드슬릿(422)이 상기 고정몸체(4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A guide slit 422 communicating with the pin hole 413 of the fixing body 410 may be formed in a lower rear portion of the locking body 420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ing body 410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록킹몸체(420)의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록킹몸체(420)의 상부가 상기 몸체부(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축(20)의 전측을 가압 및 가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body 420,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body 420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to press the front side of the fixed shaft 20 and release the pressing state. have.

상기 록킹몸체(420) 전측 하부에 하부관통공(423)이 형성될 수 있다.A lower through hole 423 may be formed i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locking body 420 .

사용자는 상기 록킹몸체(420)의 하부관통공(423)으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류를 일정길이로 인입시켜 상기 고정몸체(4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상기 몸체부(10)의 수용공간(140)의 상부와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볼트부재(5) 중 상기 고정몸체(410)의 하부를 상기 몸체부(10)의 수용공간(14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볼트부재(5)를 상기 고정몸체(4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The user inserts tools such as a screwdriver to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lower through-hole 423 of the locking body 420 and inserts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xed body 410 into the receiving space 140 of the body 10, respectively. It can be used to detachably fix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body 410 to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space 140 of the body part 10 among the bolt members 5 that can be used to detachably fix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bolt member (5) from the fixed body (410).

상기 핀부재(430)는 상기 몸체부(10)의 일측핀공(101)과 상기 록킹몸체(420)의 가이드슬릿(422), 상기 고정몸체(410)의 핀공(413) 및 상기 몸체부(10)의 타측핀공(102)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The pin member 430 includes a pin hole 101 of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 a guide slit 422 of the locking body 420 , a pin hole 413 of the fixed body 410 , and the body portion 10 . ) of the other side of the pin hole 102 can be fixed in a state in which it sequentially penetrates.

도 10 내지 도 15는 책걸상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0 to 15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esk and chair.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록킹부(40)의 록킹몸체(420)가 상기 몸체부(1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록킹몸체(420)의 걸림고정턱(421)이 상기 고정몸체(410)의 걸림홈(414)으로부터 이탈되면서 걸림해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locking body 420 of the locking part 40 may be rais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 by the user, and at this time, the locking body 420 is caught. The locking jaw 421 may be release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414 of the fixing body 410 .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록킹몸체(420)를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록킹몸체(420)에 가해진 사용자의 외력이 해제되면 수축상태에서 팽창되는 상기 탄성부(30)의 탄성력에 의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20)이 상기 몸체부(10)의 전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축(20)의 후측이 상기 내측다리(32)의 어느 한 높낮이 조절공(320)과 상기 외측다리(31)의 관통공(310)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록킹몸체(420)의 상부가 상기 몸체부(10)의 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록킹몸체(420)의 상기 고정축(20) 가압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s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locking body 420 is released in order for the user to raise the locking body 420, as shown in FIG. As the fixed shaft 20 moves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 the rear side of the fixed shaft 20 has a height adjusting hole 320 of the inner leg 32 and the outer leg 31 . At the same time as being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310 of can

이와 같이 상기 고정축(20)의 후측이 상기 내측다리(32)의 어느 한 높낮이 조절공(320)과 상기 외측다리(31)의 관통공(310)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다리(32)가 승강운동하여 상하위치조절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FIG. 13 by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rear side of the fixed shaft 20 is separated from one of the height adjustment holes 320 of the inner leg 32 and the through hole 310 of the outer leg 31 . As can be seen, the inner leg 32 can be moved up and down to adjust its vertical position.

상기 내측다리(32)의 상하위치조절 후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록킹몸체(420)의 상부가 상기 몸체부(10)의 후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축(20)을 상기 몸체부(10)의 후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축(20)의 후측이 상기 외측다리(31)의 관통공(310)과 상하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32)의 어느 한 높낮이 조절공(320)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Afte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inner leg 32, as shown in FIG. 14,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body 420 is rotated and mov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by the user, and the fixed shaft 20 is rotated. It can be press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whereby the rear side of the fixed shaft 20 is any of the through hole 310 of the outer leg 31 and the inner leg 32 whose vertical position is adjusted. The position may be fixed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one height adjustment hole 320 .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록킹몸체(420)가 하강되면서 상기 록킹몸체(420)의 걸림고정턱(421)이 상기 고정몸체(410)의 걸림홈(414)에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5 by the user, the locking body 420 is lowered and the locking jaw 421 of the locking body 420 is accommodated in the locking groove 414 of the fixing body 410. can be jammed with

도 16은 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180°로 상하반전된 보조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단면도이다.1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xiliary fixing part separated from the body and vertically inverted by 180°, and FIG. 17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6 .

상기 책걸상(3)의 외측다리(31)의 전측에 복수의 상기 관통공(310)이 상기 외측다리(3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상기 몸체부(10)의 전측의 하부 내부에는 보조수용공간(150)이 상기 몸체부(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art ( 10), an auxiliary accommodating space 150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in the lower interior of the front side.

그리고, 상기 보조수용공간(150)에 보조고정부(50)가 분리가능하게 수직으로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fixing part 50 can be separably accommodat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by force fitting vertically i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150 .

상기 보조고정부(50)는 일예로, 도 5, 도 6,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510)와 보조고정축(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fixing unit 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ase 510 and an auxiliary fixing shaft 520 , as shown in FIGS. 5 , 6 , 16 and 17 , for example.

상기 케이스(510)는 상기 몸체부(10)의 보조수용공간(150)에 분리가능하게 수직으로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The case 510 may be accommodat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being separably vertically forced and fix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ng space 150 of the body 10 .

상기 케이스(510)가 훼손된 경우, 훼손된 부위에 해당되는 상기 케이스(510) 부위 및 상기 보조고정축(520)과 후술할 탄성부재(530)의 원활한 교체보수를 위해, 상기 케이스(510)는 후측케이스(511)와 전측케이스(5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case 510 is damaged, for smooth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case 510 part corresponding to the damaged part, the auxiliary fixing shaft 520 and the elastic member 530 to be described later, the case 510 is located on the rear side. It may include a case 511 and a front case 512 .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후측 하부에 노출구(511a)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 an exposure hole 511a may be formed at a lower rear side of the rear case 511 .

그리고,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전측 하부에는 상기 노출구(511a)와 연통되는 가이드관(511b)이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tube 511b communicating with the exposure hole 511a may be horizontally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rear case 511 at the lower front side of the rear case 511 .

상기 가이드관(511b)의 내경크기는 상기 노출구(511a)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An inn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511b may be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exposure hole 511a.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상부에는 보조상부끼움고정홈(511c)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An auxiliary upper fitting fixing groove 511c may b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case 511 to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하부에는 보조하부끼움고정홈(511d)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An auxiliary lower fitting fixing groove 511d may b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rear case 511 to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전측케이스(512)는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The front case 512 may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front side of the rear case 511 .

이를 위해, 상기 전측케이스(51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는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보조상부끼움고정홈(511c)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보조상부끼움고정홈(511c)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보조상부끼움고정돌기(512a)가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upper rear side opposite to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case 512 protrudes for a certain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auxiliary upper fitting fixing groove 511c of the rear case 511, and is separated into the auxiliary upper fitting fixing groove 511c. Auxiliary upper fitting fixing protrusions 512a that can be fitted and fixed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전측케이스(512)의 후측 하부에는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보조하부끼움고정홈(511d)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보조하부끼움고정홈(511d)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보조하부끼움고정돌기(512b)가 형성될 수 있다.And, in the lower rear side of the front case 512, it protrudes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auxiliary lower fitting fixing groove 511d of the rear case 511 and is detachably fitted into the auxiliary lower fitting fixing groove 511d. Auxiliary lower fitting fixing protrusions (512b) may be formed.

상기 보조고정축(520)은 상기 케이스(510)의 후측케이스(511)의 가이드관(511b)의 내측에 상기 케이스(5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auxiliary fixing shaft 520 may be movably accommodated inside the guide tube 511b of the rear case 511 of the case 5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se 510 .

상기 보조고정축(520)의 후측은 상기 케이스(510)의 후측방향으로 볼록한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rear side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520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convex toward the rear side of the case 510 .

상기 보조고정축(520)의 후측은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노출구(511a)를 통과하여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된 상태에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20)이 관통하는 상기 외측다리(31)의 어느 한 관통공(310)의 하부방향의 다른 관통공(310)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축(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내측다리(32)의 다른 높낮이 조절공(320)에 걸림고정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520 passes through the exposure hole 511a of the rear case 511 and is exposed for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side of the rear case 511. The inner leg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20 after passing through another through hole 310 in the lower direction of any one through hole 310 of the outer leg 31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20 passes. The position may be fixed in a state where it is hooked and fixed to the other height adjustment hole 320 of (32).

상기 보조고정축(520)의 전측에 수직지지판(521)이 형성될 수 있다.A vertical support plate 52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520 .

상기 보조고정축(520)의 원활한 전후이동을 위해, 상기 보조고정부(50)는 상기 보조고정축(520)의 수직지지판(521)을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부재(5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smoot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520 , the auxiliary fixing part 50 elastically supports the vertical support plate 521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520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rear case 511 .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530 that can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상기 탄성부재(530)는 상기 보조고정축(520)의 수직지지판(521)을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한 상태로 상기 후측케이스(511)의 가이드관(511b)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530 elastically supports the vertical support plate 521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520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rear case 511, and the inner side of the guide tube 511b of the rear case 511. can be accepted in

다음으로, 상기 책걸상(3) 마다 상기 외측다리(31)의 관통공(310) 사이의 상하간격(도 15의 I1, 도 18의 I2) 및 내측다리(32)의 높낮이 조절공(320) 사이의 상하간격(I1, I2)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Next, the desks and chairs (3), each height adjusting hole (320 of the through hole 310, vertical interval between (Fig. 15 I 1, I 2 in Fig. 18) and an inner leg (32) of the outer leg (31) ) The vertical spacing between (I 1 , I 2 )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일예로, 책걸상(3) 중 의자의 외측다리(31)의 관통공(310) 사이의 상하간격(I1, I2) 및 내측다리(32)의 높낮이 조절공(320) 사이의 상하간격(I1, I2)은 6cm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vertical spacing between the through holes 310 of the outer leg 31 of the chair among the desk and stool 3 (I 1 , I 2 ) and the vertical spacing between the height adjustment holes 320 of the inner leg 32 ( I 1 , I 2 ) may be 6 cm.

그리고, 책걸상(3) 중 책상의 외측다리(31)의 관통공(310) 사이의 상하간격(I1, I2) 및 내측다리(32)의 높낮이 조절공(320) 사이의 상하간격(I1, I2)은 4cm일 수 있다. And, the vertical spacing (I 1 , I 2 ) between the through-holes 310 of the outer leg 31 of the desk of the desk chair 3 and the vertical spacing between the height adjustment holes 320 of the inner leg 32 (I) 1 , I 2 ) may be 4 cm.

도 18은 도 17의 몸체부 및 180°로 상하반전된 보조고정부가 책걸상의 외측다리에 위치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of FIG. 17 and the auxiliary fixing unit inverted up and down by 180° are fixed to the outer legs of the desk and chair.

이에 따라, 도 16 내지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고정부(50)는 상기 책걸상(3)의 상기 외측다리(31)의 관통공(310) 사이의 상하간격(도 15의 I1, 도 18의 I2) 및 내측다리(32)의 높낮이 조절공(320) 사이의 상하간격(I1, I2)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상하방향으로 180°로 반전되어 상기 보조고정축(520)의 상하위치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10)의 보조수용공간(150)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6 to 18 , the auxiliary fixing part 50 has a vertical spacing between the through holes 310 of the outer leg 31 of the desk and chair 3 (I 1 in FIG. 15 , FIG. According to the vertical spacing (I 1 , I 2 ) between the height adjustment hole 320 of the 18 I 2 ) and the inner leg 32 ), as shown in FIG. 18 by the us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It is inverted by 180° and can be separably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150 of the body 10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520 is adjusted.

상기 내측다리(32)의 상하위치조절 과정 중 상기 내측다리(32)의 높낮이 조절공(320)에 걸림고정되는 상기 보조고정부(50)의 보조고정축(520)의 걸림현상 및 걸림현상에 따른 소리를 통해 복수의 상기 높낮이 조절공(320)의 상하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한 후 상기 고정축(20)을 통해 상하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32)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Dur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inner leg 32, the auxiliary fixing shaft 520 of the auxiliary fixing part 50 that is caught and fixed in the height adjusting hole 320 of the inner leg 32 is caught and caught. After more easily confirming the vertical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holes 320 through the accompanying sound, the position of the inner legs 32 whose vertical positions are adjusted through the fixing shaft 20 can be fixed.

도 19는 몸체부의 후측 상부 내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uneven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다음으로, 도 8, 도 9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후측 상부의 내측에는 상기 내측다리(32)가 수용되는 수용슬릿(160) 및 상기 외측다리(31)가 수용되는 수용되는 수용홈(161)이 상기 몸체부(10)의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8, 9 and 19 , the receiving slit 160 in which the inner leg 32 is accommodated and the outer leg 31 are accommod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 Receiving grooves 161 to be accommodated may be sequential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

상기 수용슬릿(160)의 전후길이는 상기 수용홈(161)의 전후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receiving slit 160 may be short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receiving grooves 161 .

여기서, 상기 내측다리(32)의 급격한 승강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슬릿(160)이 형성되는 상기 몸체부(10)의 후측 상부 내면에는 상기 몸체부(10)의 후측 상부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내측다리(32)의 외면과 접하는 타원형의 요철부(170)가 상기 몸체부(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Here, in order to prevent abrupt lifting and lowering of the inner leg 32 , as shown in FIG. 19 , on the rear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where the accommodation slit 160 is formed, the body portion 10 is A plurality of oval-shaped concavo-convex portions 170 extending along the rear upper inner surface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leg 32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 .

도 20 및 도 21은 몸체부의 수용슬릿의 전후길이 조절을 위한 커버판의 전후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다.20 and 21 are partially cutaway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cover plate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receiving slit of the body portion.

다음으로, 상기 책걸상(3)의 외측다리(31) 및 내측다리(32)의 전후길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0)의 수용슬릿(160)의 전후길이를 조절 및 상기 수용슬릿(160)의 후측을 폐쇄하기 위한 커버판(180)이 상기 몸체부(10)의 후측 상부에 상기 수용슬릿(16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outer legs 31 and the inner legs 32 of the desk and stool 3,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accommodation slit 160 of the body portion 10 are adjusted and the length of the accommodation slit 160 is adjusted. A cover plate 180 for closing the rear sid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part 10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lit 160 .

일예로, 도 20 및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후측 상부 일측과 후측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수용슬릿(16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가이드홈(103) 및 타측가이드홈(104)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0 and 21 , one guide groove 103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receiving slit 160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of the rear upper side and the other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respectively, and The other guide groove 104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커버판(180)의 전단부 일측과 전단부 타측에 상기 몸체부(10)의 일측가이드홈(103) 및 타측가이드홈(104)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수용슬릿(16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부재(19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일측가이드판 (181)및 타측가이드판(18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n, one side guide groove 103 and the other side guide groove 104 of the body portion 1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cover plate 180 are accommod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receiving slit 160, respectively. One side guide plate 181 and the other side guide plate 182 which are moved to and fixed in position by the positioning member 190 may be formed, respectively.

상기 위치고정부재(190)는 일예로, 상기 몸체부(10)의 후측 상부 일측면과 후측 상부 타측면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가이드홈(103) 및 타측가이드홈(104)에 수용된 상기 일측가이드판(181)의 외면 및 상기 타측가이드판(182)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위치고정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member 190 is, for example, screwed to one side of the rear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one side is accommodated in the one guide groove 103 and the other guide groove 104.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181 and the other side guide plate 182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position fixing bolt that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182).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책걸상(3)의 외측다리(31)의 관통공(310)과, 내측다리(32)의 어느 한 높낮이 조절공(32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상기 고정축(20)을 통해 책걸상(3)의 높낮이를 신체 발육 정도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록킹부(40)를 통해 상기 고정축(20)을 가압 및 가압상태를 해제하여 보다 간편하게 상기 고정축(20)을 상기 외측다리(31)의 관통공(310)과 상기 내측다리(32)의 어느 한 높낮이 조절공(320)에 순차적으로 삽입 및 삽입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fixed shaft 20 tha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10 of the outer leg 31 of the desk and chair 3 and one height adjustment hole 320 of the inner leg 32 . ), not only can the height of the desk and chair 3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hysical development, but also press and release the pressing state of the fixed shaft 20 through the locking part 40 to make the fixed shaft ( 20)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0 of the outer leg 31 and any one of the height adjustment holes 320 of the inner leg 32 and has the advantage of releasing the inserted state.

10; 몸체부, 20; 고정축,
30; 탄성부, 40; 록킹부.
10; body, 20; fixed shaft,
30; elastic part, 40; locking department.

Claims (12)

관통공이 형성된 외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수의 높낮이 조절공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내측다리로 구성되는 책걸상 다리 중 상기 외측다리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외측다리에 고정되고, 일측면 전측 상부와 타측면 전측 상부에 각각 일측핀공과 타측핀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측의 내부 상부에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외측다리의 관통공과 상기 내측다리의 어느 한 높낮이 조절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위치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상기 몸체부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측의 내부 상부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고정축의 전측이 수용되는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안내홈의 전측에 배치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안내홈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안내공이 형성되며 전측 하부에 상기 몸체부의 일측핀공 및 타측핀공과 연통되는 핀공이 형성되고 전측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걸림홈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턱이 후측 상부에 형성되고 후측 하부에 상기 고정몸체의 핀공과 연통되는 가이드슬릿이 상기 고정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축을 가압 및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록킹몸체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핀공과 상기 록킹몸체의 가이드슬릿, 상기 고정몸체의 핀공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핀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핀부재로 구성되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Among the desk and stool legs, the outer leg is accommodated therein, the outer leg having a through-hole formed therein, and the inner leg having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outer leg. a body part fixed to the outer leg and having one pin hole and the other pin hole form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one side and the front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a fixed shaft provided movab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outer leg and one of the height adjustment holes of the inner leg to be fixed in position;
an elastic part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xed shaf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part;
The guide groove is fixed to the inner upper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part and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groov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groove in which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shaft is accommodated, and the inner diameter size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size of the guide groove. A ball is formed, a pin hole communicating with one pin hole and the other pin hol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lower front side, and a fixing body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front side, and a locking jaw that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of the fixed body is on the upper rear side A guide slit that is formed and communicated with the pin hole of the fixed body at the lower rear side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and the upper part rot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dy part based on the lower part while pressing and pressing the fixed shaft A locking body configured to release the state, and a pin member that is fixed in posi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one side pin hole of the body part, the guide slit of the locking body, the pin hole of the fixed body, and the other pin hole of the body part; Desk and stool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외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수의 높낮이 조절공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내측다리로 구성되는 책걸상 다리 중 상기 외측다리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외측다리에 고정되고, 전측의 하부 내부에 보조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측의 내부 상부에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외측다리의 관통공과 상기 내측다리의 어느 한 높낮이 조절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위치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상기 몸체부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측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축을 가압 및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록킹부와;
상기 몸체부의 보조수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 내부에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는 어느 한 관통공의 하부방향의 다른 관통공을 관통하여 위치고정되는 보조고정축으로 구성되는 보조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Among the desk and stool legs comprising an outer leg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erein and an inner leg having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outer leg, the outer leg is accommodated inside a body portion fixed to the outer leg in a state of being, and having an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ide;
a fixed shaft provided movab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outer leg and one of the height adjustment holes of the inner leg to be fixed in position;
an elastic part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xed shaf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part;
a locking part having a lower portion shaft-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locking portion for pressing and releasing the pressurization state of the fixed shaft while the upper portion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case separably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ng space of the body portion, and another through-hole in the lower direction of one through-hole that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se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cas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passes A desk and chair height adjustment device comprising a; auxiliary fixing part consisting of an auxiliary fixing shaft that is fixed through the position.
관통공이 형성된 외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수의 높낮이 조절공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내측다리로 구성되는 책걸상 다리 중 상기 외측다리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외측다리에 고정되고, 후측 상부에 상기 내측다리가 수용되는 수용슬릿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측 상부에 상기 수용슬릿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슬릿의 후측을 폐쇄 및 상기 수용슬릿의 전후길이를 조절하는 커버판과;
상기 몸체부의 전측의 내부 상부에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외측다리의 관통공과 상기 내측다리의 어느 한 높낮이 조절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위치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을 상기 몸체부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측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몸체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축을 가압 및 가압상태를 해제하는 록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Among the desk and stool legs, the outer leg is accommodated therein, the outer leg having a through-hole formed therein, and the inner leg having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movable up and down inside the outer leg. a body portion fixed to the outer leg and having a accommodating slit for receiving the inner leg at an upper rear side;
a cover plate provided movab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lit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to close the rear side of the accommodation slit and adjust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accommodation slit;
a fixed shaft provided movab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outer leg and one of the height adjustment holes of the inner leg to be fixed in position;
an elastic part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xed shaf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part;
The lower part is shaft-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part, and the upper part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part, while a locking part presses the fixed shaft and releases the pressurized stat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부에 상부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커버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esk and chair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late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upper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cover plat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측의 내부 상부에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공의 전측에 형성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가이드공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전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의 중간부에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내측에 상기 고정축의 후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부의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축의 돌출턱을 상기 몸체부의 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guide hole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hole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and the guide groove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groove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extend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is formed,
A protruding jaw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ixed shaft,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ide of the fixed shaft is accommodated inside the elastic part, the elastic part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body part to elastically support the protruding jaw of the fixed shaft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의 록킹몸체의 전측 하부에 하부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Desk and stool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locking body of the locking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고정부의 케이스는 후측 하부에 노출구가 형성되고, 전측에 상기 노출구와 연통되는 가이드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관의 내경크기가 상기 노출구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후측케이스와;
상기 후측케이스에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전측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고정축은 상기 후측케이스의 가이드관에 상기 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보조고정축의 후측은 반구형상으로 형성 및 상기 노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후측케이스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는 어느 한 관통공의 하부방향의 다른 관통공을 관통하여 위치고정되고,
상기 보조고정축의 전측에 수직지지판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고정부는 상기 보조고정축의 수직지지판을 상기 후측케이스의 후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se of the auxiliary fixing part has an exposed hole formed on the lower rear side, a guide tube communicating with the exposure hol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a rear cas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exposure hole;
It consists of; a front case detachably fastened to the front side to the rear case,
The auxiliary fixing shaft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guide tube of the rear cas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se,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passes through the exposure hole and passes through the other through hole in the lower direction of one of the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fixing shaft passes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ide of the rear case is exposed to the outside. fixed,
A vertical support plat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The auxiliary fixing part is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ertical support plate of the auxiliary fixing shaft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rear cas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180°로 반전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의 보조수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uxiliary fixing unit is a desk and stool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separably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in a state inverted by 180 °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측 상부의 내측에 상기 내측다리가 수용되는 수용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슬릿이 형성되는 상기 몸체부의 후측 상부 내면에 요철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 receiving slit in which the inner leg is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part,
A desk and chair height adju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on the rear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where the accommodation slit is form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슬릿이 형성되는 상기 몸체부의 후측 상부 내면에 요철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desk and chair height adju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on the rear upper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where the accommodation slit is form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측 상부 일측과 후측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수용슬릿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가이드홈 및 타측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판의 전단부 일측과 전단부 타측에 상기 몸체부의 일측가이드홈 및 타측가이드홈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수용슬릿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일측가이드판 및 타측가이드판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One guide groove and the other guide groove extending for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receiving slit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rea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rear side, respectively,
One guide plate and the other guide plate are accommodated in one guide groove and the other guide groove of the body on one side of the front end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cover plate, respectively, and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receiving slit to be fixed in position by a positioning member. Desk and stool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forme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후측 상부 일측면과 후측 상부 타측면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가이드홈 및 타측가이드홈에 수용된 상기 일측가이드판 및 상기 타측가이드판에 밀착고정되는 위치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sition fixing member is screwed to the rear upper side and the rear upper other side of the body part, respectively, the one side guide plate and the other side guide groove accommodated in the one side guide plate and the other side guide plate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osition fixing bolt consisting of A desk chair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10098464A 2021-07-27 2021-07-27 Desk chair height adjuster KR1023035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464A KR102303511B1 (en) 2021-07-27 2021-07-27 Desk chair height adju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464A KR102303511B1 (en) 2021-07-27 2021-07-27 Desk chair height adju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511B1 true KR102303511B1 (en) 2021-09-17

Family

ID=7792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464A KR102303511B1 (en) 2021-07-27 2021-07-27 Desk chair height adju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5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428B1 (en) 2022-05-06 2022-07-27 서우산업 주식회사 A device for adjusting hight of desk and ch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949A (en) * 2005-06-17 2005-08-11 백남준 Height adjust for desk and chair
KR102210396B1 (en) * 2019-10-16 2021-02-01 유한플라텍(주) Desk and chair height adjustment device
US20210059399A1 (en) * 2019-08-30 2021-03-04 Inno-Sports Co., Ltd. Adjustable bar, leg assembly and table having same
KR20210041217A (en) 2019-10-07 2021-04-15 김주원 Easily movable desk and 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949A (en) * 2005-06-17 2005-08-11 백남준 Height adjust for desk and chair
US20210059399A1 (en) * 2019-08-30 2021-03-04 Inno-Sports Co., Ltd. Adjustable bar, leg assembly and table having same
KR20210041217A (en) 2019-10-07 2021-04-15 김주원 Easily movable desk and chair
KR102210396B1 (en) * 2019-10-16 2021-02-01 유한플라텍(주) Desk and chair height adjustmen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428B1 (en) 2022-05-06 2022-07-27 서우산업 주식회사 A device for adjusting hight of desk and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511B1 (en) Desk chair height adjuster
KR102092146B1 (en) Hight Control Device for Desk or Chair
KR20220025480A (en) Horizontal moving device of combined exercise equipment
KR100795661B1 (en) Reading unit and notebook computer with large combination stand
KR101019834B1 (en) A Hight Control Device for Desks or Chairs
KR100608273B1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KR200442728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KR20040004345A (en) The high and low regulating equipment of desks and chairs
US10660445B2 (en) Height adjustable chair armrest
CN210643330U (en) Pedal adjusting and locking mechanism
KR200386551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a desk
KR20140057762A (en) Device height adjustable desks and chairs
KR102454708B1 (en) A height adjustable desk chair
KR102637329B1 (en) Height adjuster for desks and chairs
KR200269488Y1 (en) high and low regulating equipment
KR102265113B1 (en)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stool
KR100666507B1 (en) Appratus for adjusting height
KR200413796Y1 (en) The high and low regulating equipment of desk and chair
KR200275534Y1 (en) Chair that feet-prop is included
JPH09327350A (en) Chair for learning desk
KR200392121Y1 (en) Vertically-adjustable device for desks and chairs
KR102340582B1 (en) Desk chair height adjuster
KR102306895B1 (en) Desk for student capable of height control and stool
KR101379961B1 (en) Height control device of a chair and desk
KR200286715Y1 (en) Dcvice for height control of desk and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