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781Y1 - A feed apparatus - Google Patents

A feed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781Y1
KR200315781Y1 KR20-2003-0008787U KR20030008787U KR200315781Y1 KR 200315781 Y1 KR200315781 Y1 KR 200315781Y1 KR 20030008787 U KR20030008787 U KR 20030008787U KR 200315781 Y1 KR200315781 Y1 KR 200315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crew shaft
screw
livestock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7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용대
Original Assignee
권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대 filed Critical 권용대
Priority to KR20-2003-0008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78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781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8Automatic devices with endless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사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사료통의 상부를 이동하면서 점도를 가지는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사료통만 또는 사료통과 물통이 번갈아 배치되는 통상에 축사에 있어서, 사료통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복렬 레일과; 하부에는 상기 복렬 레일을 타고 이동되는 이동수단이 구비되고, 상부에 사료 투입구가 구비되며, 내부 하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전후방의 폭이 좁아지도록 전,후방 경사판이 포함되는 사료 안내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사료 안내공간의 하부에는 일측에 배출부가 구비된 반원통형의 배출관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사료 공급통과; 상기 사료 안내공간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왼쪽방향의 왼 스크류판이 포함되는 제1 스크류축과, 이 제1 스크류축의 전방에 제1 스크류축과 상호 맞물리게 장착되며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이 포함되는 제2 스크류축과, 상기 배출관에 구비되어 사료을 배출하는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이 포함되는 제3 스크류축으로 구성된 정량배출부; 및 상기 제1,2,3 스크류축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estock feeder for supplying quantitatively fed feed having a viscosity while mov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er provided around the livestock house. In a livestock house, Double row rail provided in the upper side of a feed container;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for moving on the double rail, the feed inle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the inner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 feed guide space including the front and rear inclined plate so that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from the upper to the lower side, A feed passage having a semi-cylindrical discharge pip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ion at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 guide spa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screw shaft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feed guide space and includes a left screw plate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right screw plate is mounted in front of the first screw shaft and interlocked with the first screw shaft. A quantitative discharge part comprising a second screw shaft and a third screw shaft including a right screw plate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to discharge the feed; And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w shafts in the same direction.

Description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A feed apparatus}Livestock feeder {A feed apparatus}

본 고안은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축사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사료통의 상부를 이동하면서 점도를 가지는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estock fee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vestock feeder for quantitatively feeding a feed having a viscosity while mov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 container provided around the livestock house.

통상적으로 축사 등에서 사용되는 사료는, 펠릿(pellet) 형태인 고형사료(固形飼料) 및 점도가 있는 가루상태의 농후사료(濃厚飼料)로 나누어지는데, 본 고안은 덩어리 형태로 뭉쳐지는 농후사료의 공급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In general, feed used in livestock houses is divided into solid feed in the form of pellets and thick feed in the form of a powder with a viscosity. You can expect a great effect.

그러나 종래에 농후사료를 공급할 경우에는, 농후사료(이하, 편의상 "점도가 있는 사료"라 칭함)의 특성상 점도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작업자가 대차 등을 이용하여 사료를 이동하고 삽 등을 이용하여 사료통에 일일이 사료를 담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pplying a rich feed conventionally, the worker has to move the feed by using a balance, etc. by using a shovel or the like, as the worker has a viscosi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ch fe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viscous feed for convenience"). Feeding method is widely used.

그러나 최근에는 축산농가의 고령화 현상과 축산농가의 대형화로 인하여 상술한 수동작업을 통한 사료공급방법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recent years, due to the aging of livestock farms and the increase of the size of livestock farms, the above-described manual feeding method has almost impossible problems.

이에, 최근에는 좀더 편리하게 사료를 공급하는 장치들이 여러 알려져 있는데 그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us, in recent years, a number of devices for more convenient feed is known, for example, as follows.

도 8은 통상적인 사료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부에는 투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에는 배출구(201)가 구비되어 있는 사료 공급통(200)과, 상기 사료 공급통(200)의 내부인 배출구(20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료를 배출하는 단일의 배출 스크류(300)로 구성된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eeder, the feeder is provided with an inlet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outlet 201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the outlet (inside) of the feeder (200) ( 201)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ngle discharge screw 300 for discharging the feed.

그러나, 상기 사료 공급통 내부에 채워진 점도가 있는 사료는, 덩어리 형태를 가짐에 따라서 상기 단일의 배출 스크류가 헛도는 경우가 빈번하여 사료의 배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the feed having a viscosity filled in the feed container has a problem that the discharge of the feed is impossible because the single discharge screw is often missed according to the lump form.

또 상기 배출 스크류가 회전될 경우에 사료가 간헐적으로 불규칙하게 배출됨으로서, 사료의 정량 공급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feed is intermittently and irregularly discharged when the discharge screw is rotate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quantitative supply of the feed is impossible.

또 상기 사료 공급통을 500kg 이상의 대형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점도를 가지는 사료의 자체 중량으로 인하여 사료 공급통의 하부에 채워진 사료는 거의 고형상태로 존재함으로서, 상기 단일의 배출 스크류가 아예 회전되지 않게 되어 작동 불능 상태가 야기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feed container is manufactured in a large size of 500kg or more, the feed fi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eed container is almost solid due to the weight of the feed having a viscosity, so that the single discharge screw is not rotated at all.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caused an inoperable state.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점도가 있어 덩어리 형태로 뭉쳐지는 사료를 사료공급통의 상부에서 1차적으로 파쇄하여 이를 사료 공급통의 하부에 위치된 배출 스크류축으로 공급시켜 사료의 배출량을항상 일정하게 하고자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 viscosity, primarily crushing the feed aggregated in the form of lumps at the top of the feed container, and supplying it to the discharge screw shaf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eed contain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vestock feeder that intends to keep a constant discharge of feed.

그리고 상기 파쇄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덩어리 상태의 사료를 사료공급통의 상부에서 순환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파쇄 효율을 최대로 높임으로서, 좀더 안정된 정량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In the crushing process, the pulverized feed is circul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 container to increase the crushing efficiency to the maximum, and has a purpose of enabling a more stable quantitative supply.

또한 사료 공급통을 대용량(500kg 이상)으로 제조하더라도 사료 공급통의 상부와 하부가 각기 분리되게 작동됨으로서, 용량과 관계없이 점도가 있는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if the feed container is manufactured in a large capacity (500kg or mo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eed can be operated separately, which has the purpose of supplying a quantitative feed with a viscosity regardless of the capacity.

또 상부에 위치된 각각의 스크류축 및 하부에 위치한 스크류축의 속도를 달리하여 좀더 안정적인 정량 배출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lso intended to enable more stable quantitative discharge by varying the speed of each screw shaft located at the top and the screw shaft located at the bottom.

또 직선형 또는 곡선형의 사료통의 배열과 관계없이 사료통의 상부를 이동하면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of the straight or curved feed container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feed while moving the top of the feed container.

또 사료통과 물통이 번갈아 배열되어 있는 축사에 있어서, 사료를 사료통에 만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in a barn in which a feed bin and a water tank are alternately arranged, it is also intended to selectively feed feed to the feed bin.

또 사료의 공급후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킴에 따라서 축사의 무인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utomatic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feeding of the feed has the purpose to enable the unmanned livestock hou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사료통만 또는 사료통과 물통이 번갈아 배치되는 통상에 축사에 있어서, 사료통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복렬 레일과; 하부에는 상기 복렬 레일을 타고 이동되는 이동수단이 구비되고, 상부에 사료 투입구가 구비되며, 내부 하측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전후방의 폭이 좁아지도록 전,후방 경사판이 포함되는 사료 안내공간이 구비되고,상기 사료 안내공간의 하부에는 일측에 배출부가 구비된 반원통형의 배출관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사료 공급통과; 상기 사료 안내공간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왼쪽방향의 왼 스크류판이 포함되는 제1 스크류축과, 이 제1 스크류축의 전방에 제1 스크류축과 상호 맞물리게 장착되며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이 포함되는 제2 스크류축과, 상기 배출관에 구비되어 사료을 배출하는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이 포함되는 제3 스크류축으로 구성된 정량배출부; 및 상기 제1,2,3 스크류축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a straight or curved form only a feed bin or a feed bucket and a bucket alternately arranged in a barn, a double row rail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eed bin;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for moving on the double rail, the feed inle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the inner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 feed guide space including the front and rear inclined plate so that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from the upper to the lower side, A feed passage having a semi-cylindrical discharge pip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ion at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 guide spa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screw shaft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feed guide space and includes a left screw plate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right screw plate is mounted in front of the first screw shaft and interlocked with the first screw shaft. A quantitative discharge part comprising a second screw shaft and a third screw shaft including a right screw plate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to discharge the feed; And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w shafts in the same dire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사료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2,3 스크류축과 구동수단을 나타낸 사시 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second, third screw shaft and the driv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이동수단을 도시한 하부에서 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bottom showing the mo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이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하나의 이송부 개략도.Figure 6 is a schematic view of one transfer uni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7 is a front schematic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통상적인 사료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eeding de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복렬 레일1: double row rail

11 : 작동대11: operating table

12 : 돌출 작동대12: protruding operating table

2 : 사료 공급통2: feed container

21 : 이동수단21: means of transportation

211 : 이송부, 212 : 다리, 213 : 회전축, 214 : 롤러,211: conveying part, 212: leg, 213: rotation axis, 214: roller,

215 : 이동모터, 216 : 회전 힌지부215: moving motor, 216: rotary hinge

22 : 사료 투입구22: feed hole

23 : 사료 안내공간23: feed guide space

231 : 전방 경사판, 232 : 후방 경사판231: front inclined plate, 232: rear inclined plate

24 : 배출관24: discharge pipe

241 : 배출부241: discharge part

3 : 정량 배출부3: fixed quantity discharge part

31 : 제1 스크류축31: first screw shaft

311 : 왼 스크류판311: left screw plate

32 : 제2 스크류축32: second screw shaft

321 : 오른 스크류판321: right screw plate

33 : 제3 스크류축33: third screw shaft

331 : 오른 스크류판331: right screw plate

4 : 구동수단4: driving means

41 : 구동모터41: drive motor

411 : 스프로킷411: Sprocket

42 : 연결수단42: connection means

5 : 복귀 스위치5: return switch

6 : 정지 스위치6: stop switch

7 : 구동수단 제어스위치7: drive means control switch

8 : 배출커버8: discharge cover

81 : 실린더81: cylinder

9 : 커버9: cover

100 : 축사100: barn

101 : 사료통, 102 : 물통101: feed bucket, 102: bucke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사료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2,3 스크류축과 구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second, third screw shaft and the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이에 본 고안은,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사료통(101)만 또는 사료통(101)과 물통(102)이 번갈아 배치되는 통상에 축사(100)에 있어서, 사료통(101) 및 물통(102)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복렬 레일(1)과, 상기 복렬 레일(1)을 타고 이동되며 사료가 채워지는 사료 공급통(2)과, 상기 사료 공급통(2)의 내부에 구비되어 덩어리 형태로 공급되는 점도가 있는 사료를 상부에서 순환 파쇄시키고 하부에서 정량으로 배출하는 정량배출부(3), 및 정량배출부(3)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4)으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 container 101 only in a straight or curved form, or in the barn 100 in which the feed container 101 and the water container 102 are alternately arranged, above the feed container 101 and the water tank 102. Viscosity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double rail (1) provided, a feed container (2) which is moved on the double rail (1) and the feed is filled, the feed container (2) is provided in the form of lumps It is composed of a quantitative discharge unit 3 for circulating the feed having a crushed in the upper portion and quantitatively discharged from the lower portion, and a driving means 4 for driving the quantitative discharge portion (3).

그리고 상기 사료공급통(2)은, 하부에 상기 복렬 레일(1)을 타고 이동되는이동수단(21)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 사료 투입구(22)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 하측에 상부에서 하부로 전후방의 폭이 좁아지도록 전,후방 경사판(231,232)이 포함되는 사료 안내공간(2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사료 안내공간(23)의 하부에 일측으로 배출부(241)가 구비된 반원통형의 배출관(24)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And the feed container (2) is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21 to be carried on the double rail (1) at the bottom, the feed inlet 22 is provided at the top, the inner lower side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feed guide space 23 including the front and rear inclined plates (231,232) is provided so that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narrowed, the semi-cylindrical having a discharge portion 241 to one sid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 guide space (23) Discharge pipe 24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정량배출부(3)는, 상기 사료 안내공간(23)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왼쪽방향의 왼 스크류판(311)이 포함되는 제1 스크류축(31)과, 이 제1 스크류축(31)의 전방에 제1 스크류축(31)과 상호 맞물리게 장착되며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321)이 포함되는 제2 스크류축(32)과, 상기 배출관(24)에 구비되어 사료를 배출하는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331)이 포함되는 제3 스크류축(3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etered discharge portion 3, the first screw shaft 31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feed guide space 23 and includes a left screw plate 311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first screw The second screw shaft 32 and the discharge pipe 24 are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24 and the second screw shaft 32 which is mounted in front of the shaft 31 and interlocked with the first screw shaft 31 and includes the right screw plate 321 in the right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third screw shaft 33 including the right screw plate 331 of the discharge direction.

또 구동수단(4)은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사료공급통(2)의 외측에 고정되는 구동모터(41)와, 상기 제2 스크류축(32)보다 상대적으로 제1 스크류축(31)의 회전을 빠르게 하고 제1 스크류축(31)보다 상대적으로 제3 스크류축(33)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41)와 각 스크류축을 연결하는 연결수단(42)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rive means 4 is to rotate the first, second, third screw shafts (31, 32, 33) in the same direction, the drive motor 41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eed container (2), and The drive motor to rotate the first screw shaft 31 relatively faster than the second screw shaft 32 and to make the rotation speed of the third screw shaft 33 relatively faster than the first screw shaft 31. It consists of a connecting means 42 for connecting the 41 and each screw shaft.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작동시킬 경우에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구동수단(4)을 작동시켜 제1,2,3 스크류축(31,32,33)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사료 공급통(2)의 상부를 통해 덩어리 형태의 점도가 있는 사료를 제1 스크류축(31)의 일측으로 투입한다.Therefore, when operating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s 1 to 3, first, by operating the drive means 4 to drive the first, second, third screw shafts (31, 32, 33) While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the feed having a lump-like viscosity is fed to one side of the first screw shaft 31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 container 2.

그러면, 상기 제1,2 스크류축(31,32)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나 각 축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판의 비틀려진 방향이 서로 반대임으로서, 일측으로 투입된 사료는 제1 스크류축(31)에 형성된 왼 스크류판(311)의 회전을 통해 사료공급통(2)의 상부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파쇄된다.Then, the first and second screw shafts 31 and 32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but the twisted directions of the screw plates formed on the respective shafts are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feed fed to one side is the first screw shaft 31. Through the rotation of the left screw plate 311 formed in the crushed while moving from the top of the feed container (2) to the other side.

다음 타측으로 이동되는 파쇄된 사료는 제2 스크류축(32)에 형성된 오른 스크류판(321)의 회전을 통해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하부인 제3 스크류축(33)의 상부로 균일하게 떨어진다.The crushed feed is then moved to one sid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ight screw plate 321 formed on the second screw shaft 32 falls uniforml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third screw shaft 33.

다음 제3 스크류축(33)에 도달된 파쇄 사료는 제3 스크류축(33)에 형성된 오른 스크류판(331)의 회전을 통해 일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부(241)를 통과하여 축사의 사료통(101)으로 유입되는 작동을 수행한다.Next, the crushed feed reached to the third screw shaft 33 is moved to one sid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ight screw plate 331 formed on the third screw shaft 33 an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art 241 to feed the feeder 101 of the barn. Perform the inflow to).

그러므로 상기 제3 스크류축(33)에 도달되는 점도를 가진 사료는 거의 파쇄되어 가루의 형태임으로서, 제3 스크류축(33)을 통해 사료가 정량으로 배출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feed having a viscosity reaching the third screw shaft 33 is almost crushed and in the form of powder, so that the feed is discharged quantitatively through the third screw shaft 33.

또한 제1,2 스크류축(31,32)을 통한 파쇄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덩어리 상태의 사료를 사료 공급통(2)의 상부에서 순환 이동시킴과 동시에 파쇄를 시킴에 따라서. 파쇄 효율을 극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rush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crew shafts (31,32) in accordance with the crushed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circulating movement of the feed in the lump stat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 container (2). The crush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to the maximum.

또 사료 공급통(2)의 중간에 위치된 제1,2 스크류축(31,32)이 서로 맞물려 있어 사료 공급통(2)의 상,하부 공간을 차단 구획함으로서, 덩어리 상태의 사료가 하부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서 순간적으로 사료 배출량이 과다하게 되거나, 또는 사료 덩어리로 인하여 제3 스크류축(33)이 정지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crew shafts 31 and 32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feed container 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block and partition the upper and lower spaces of the feed container 2 so that the feed in the form of agglomerates is lower in the lower space. As it does not flow into the feed discharge is instantaneously excessive, or the third screw shaft 3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topped due to the feed mass.

따라서 사료공급통를 대용량(500kg 이상)으로 제조하더라도 사료공급통의 상부와 하부가 각기 분리되게 작동됨으로서, 용량과 관계없이 점도가 있는 사료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feed container is manufactured in a large capacity (500kg or more) by ope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eed container,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supply a quantitative feed having a viscosity regardless of the capacity.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작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제1 스크류축(31)의 회전속도를 제2 스크류축(32)의 회전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함으로서, 제1 스크류축(31)의 일측에 항상 공간이 구비되게 하여 사료 공급통에 있어 사료투입을 원활히 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제2 스크류축(32)에 사료를 공급함에 있어 약간의 압력을 줌에 따라서 제2 스크류축(32)에 사료의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in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by mak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screw shaft 31 relatively fast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screw shaft 32, the first screw shaft ( 31) the space is always provided on one side to facilitate the feeding of the feed in the feed container, as well as the second screw as a slight pressure in feeding the second screw shaft (32) It is to prevent the feeding of the feed to the shaft (32).

즉 상기 제2 스크류축(32)의 사료공급을 원활하게 함으로서 제2 스크류축(52)의 공회전 상태를 예방하여 사료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y smoothly feeding the second screw shaft 3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dling state of the second screw shaft 52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feed supply.

또한 제3 스크류축(33)의 회전속도를 제1 스크류축(31)의 회전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함으로서, 정량 배출을 수행함에 있어서 배출의 적체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연속적인 정량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mak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third screw shaft 33 relatively faster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screw shaft 3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discharge in performing the quantitative discharge, thereby enabling continuous quantitative discharge. It can b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수단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수단(4)을 구성하는 상기 구동모터(41)는, 회전축에 장착된 동일크기의 3개소의 스프로킷(411)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the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driving motor 41 constituting the driving means 4 includes three sprockets 411 of the same size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will be.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42)은,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크기를 달리하는 제1,2,3 스프로킷(421,422,423) 및 이 제1,2,3 스프로킷(421,422,423)과 상기 구동모터(41)의 3개소의 스프로킷(411)을 각기 연결하는 3개소의 체인(424)으로 구성된다.The connecting means 42 may include first, second and third sprockets 421, 422, 423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rockets having different sizes provided at en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w shafts 31, 32, and 33. It consists of three chains 424 which connect 2, 3 sprockets 421, 422, 423, and 3 sprockets 411 of the said drive motor 41, respectively.

특히 상기 제2 스프로킷(422)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제1 스프로킷(421)의 크기를 작게하고 제1 스프로킷(421)보다 상대적으로 제3 스프로킷(423)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first sprocket 421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sprocket 422 and the size of the third sprocket 423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procket 421.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4)의 작동과 연결수단(42)을 구성하는 각 스프로킷과 체인(424)들을 통해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w shafts 31, 32 and 33 may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through the respective sprockets and chains 424 constituting the operation means 4 and the connecting means 42. It can be.

그리고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에 장착된 제1,2,3 스프로킷(421,422,423)의 크기를 달리함에 따라서,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의 회전속도를 달리 함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료의 연속적인 정량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w shafts 31, 32, and 33 may vary according to siz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prockets 421, 422, 423 mount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w shafts 31, 32, and 33. By varying the rotational speed of, 33, it is possible to enable continuous quantitative discharge of the feed as described above.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에 위치된 제1 스크류축(31)이 전방에 위치된 제2 스크류축(32)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되게 함으로서, 제1 스크류축(31)의 일측에서 투입되는 사료가 제2 스크류축(32)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음에 따라서, 사료의 파쇄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예방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screw shaft 31 positioned at the rear side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screw shaft 32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whereby the first screw shaft 31 is disposed. A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eed introduce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screw shaft 32, the shredding effect of the feed is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그리고 상기 제1,2 스크류축(31,32)의 왼, 오른 스크류판(311,312)은 비틀려지는 방향만 틀리고 형상과 크기는 동일하게 구성되며, 왼,오른 스크류판(311,312)의 후방측과 전방측은 사료 안내공간의 후방 경사판(232)과 전방 경사판(231)에 밀착되게 장착된다.The left and right screw plates 311 and 312 of the first and second screw shafts 31 and 32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twisted direction, and the rear and right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crew plates 311 and 312 are different. The front side is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inclined plate 232 and the front inclined plate 231 of the feed guide space.

따라서 사료공급통(2)의 중간을 완전히 차단하여 분쇄된 사료만이 제3 스크류축(33)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서, 좀더 안정된 정량배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completely blocking the middle of the feed container (2) so that only the pulverized feed flows into the third screw shaft 33,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re stable quantitative discharge effect.

도 5는 본 고안의 이동수단을 도시한 하부에서 본 사시도로서, 상기 이동수단(21)은, 양측에 상기 복렬 레일(1;도1참조)을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사료공급통의 하부로 돌출된 다리(212) 및 이 다리(212)에 장착된 회전축(213)을 통해 고정되는 한쌍의 롤러(214)를 포함하는 양측 이송부(211)와, 상기 양측 이송부(211) 중 하나의 이송부(211)를 구성하는 회전축(213)에 동력을 전달하는 이동모터(215)로 구성된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bottom showing the mo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means 21, protrud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 container so as to be able to move on both sides of the double rail (see Fig. 1) Two-side feeder 211 including a pair of rollers 214 fixed through a bridge 212 and a rotating shaft 213 mounted on the leg 212, and one of two-side feeder 211. It consists of a moving motor 215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rotating shaft 213 constituting.

따라서, 상기 이동모터(215)의 작동을 통해 직선형의 복렬레일(1)을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ile smoothly moving the linear double rail (1)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otor 215,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feed the feed.

도 6은 본 고안의 이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일 실시예의 이동수단(21)에 있어서, 상기 양측 이송부(211)를 구성하는 다리(212)는, 양측 이송부(211)를 각각 구성하는 한쌍의 롤러(214)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하부 다리로 분리되며 상,하부 다리의 사이에는 하 다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힌지부(216)가 더 구비된다.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ving means 21 of the embodiment, the legs 212 constituting the two side transfer portion 211, each of the two side transfer portion 211 It is further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eg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air of rollers 214 constituting the rotation hinge portion 216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egs to enable the lower leg to rotate.

따라서, 상기 이동모터(215)의 작동을 통해 곡선형의 복렬레일(1)을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feed the feed while smoothly moving the curved double rail (1)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otor 215.

즉 상기 한쌍의 롤러(214)가 장착된 하부다리가 상부다리와 연결된 회전 힌지부(216)를 통해 방향이 자유로이 변경됨에 따라서, 곡선형의 복렬레일(1)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the direction of the lower leg mounted with the pair of rollers 214 is freely changed through the rotating hinge portion 216 connected to the upper leg, the curved double rail 1 can be smoothly moved.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로서, 상기 사료 공급통(2)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이동수단(21)과 구동수단(4)을 제어할 수 있는 복귀 스위치(5)와 정지 스위치(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복렬 레일(1)의 끝단과 시작단에는 상기 복귀 스위치(5)와 정지 스위치(6)를 각기 작동시키는 작동대(11)가 더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front schematic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eed container 2, the return switch 5 that can control the moving means 21 and the drive means (4) And a stop switch (6), and an operating table (11) for operating the return switch (5) and the stop switch (6) is further provided at the end and the start of the double row rail (1).

따라서 상기 사료공급을 마친후에는 상기 복귀 스위치(5)와 복렬레일(1)의 끝단에 장착된 작동대(11)가 서로 충돌되어 복귀 스위치(5)가 작동됨으로서, 사료의 공급이 멈춘 상태에서 이동수단(21)만이 동작되어 사료 공급통(2)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Therefore, after the feed is finished, the return switch 5 and the operating table 11 mounted at the end of the double rail 1 coll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turn switch 5 is operated, so that the feed is stopped. Only the moving means 21 is operated so that the feed container 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그리고 상기 사료 공급통(2)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순간에는 상기 정지스위치(6)와 복렬 레일(1)의 시작단에 장착된 작동대(11)가 서로 충돌되어 정지스위치(5)가 작동됨으로서 장치는 멈추게 되는 것이다.At the moment when the feed container 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stop switch 6 and the operating table 11 mounted at the start of the double rail 1 coll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top switch 5 is operated. The device is to be stopped.

또한 상기 사료 공급통(2)의 전방에는 구동수단(4)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구동수단 제어스위치(7)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복렬 레일에는 물통의 위치를 알려주어 사료의 배출을 중지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 제어스위치와 접속되는 다수의 돌출 작동대(12)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feed container (2) is further provided with a drive means control switch (7) for controlling the on and off of the drive means (4), the double rail informs the position of the bucket stops the discharge of the feed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ding operating table 12 is connected to the drive means control switch.

따라서, 상기 복렬 레일(1)을 타고 사료통(101)이 아닌 물통(102)의 상부를 통과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 제어스위치(7)와 상기 복렬레일(1)의 돌출작동대(12)가 서로 충둘되어 구동수단(4;도2참조)이 정지되어 사료의 배출을 멈추게 되고, 상기 돌출작동대의 구간을 벗어나게 되면 다시 구동수단이 작동되어 사료통에 사료를 배출 공급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02 instead of the feed container 101 by riding the double rail (1), the driving means control switch 7 and the protrusion 12 of the double rail (1) is The driving means 4 (see Fig. 2) are stopped to stop the discharge of the feed, and the driving means is operated again when it is out of the protruding operation section to supply the feed to the feed container.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241)의 하부에는 실린더(81)를 통해 개폐되는 배출커버(8)를 구비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배출부을 막을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241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cover 8 to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cylinder 81, it is also possible to block the discharge portion as necessary.

그리고 상기 사료 투입구의 상부에는 커버(9)가 더 구비됨으로서, 외부로부터 불어오는 흙 또는 빗물이나 눈 등이 사료 공급통(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 inle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ver 9,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il or rain water or snow blowing from the outside to be introduced into the feed container (2).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점도가 있어 덩어리 형태로 뭉쳐지는 사료를 사료공급통의 상부에서 1차적으로 파쇄하여 이를 사료공급통의 하부에 위치된 배출 스크류축으로 공급시켜 사료의 배출량을 항상 일정하게 함에 따라 정량공급이 가능한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iscosity, which is primarily crushed in the form of agglomerate feed at the upper part of the feed container, and fed to the discharge screw shaft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feed container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feed is always constant.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livestock feeder capable of quantitative feeding.

그리고 상기 파쇄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덩어리 상태의 사료를 순환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파쇄효율을 최대로 높여 좀더 안정된 정량공급이 가능한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효과 있다.And in the process of the crushing process to move the feed in the form of lumps through the process to increase the crushing efficiency to the maximum,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more stable quantitative feed supply device.

또한 사료 공급통을 용량과 관계없이 정량 공급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사료 공급통을 대형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feed container by enabling a quantitative supply of the feed container regardless of the capacity.

또 상부에 위치된 각각의 스크류축 및 하부에 위치한 스크류축의 속도를 달리하여 좀더 안정된 정량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varying the speed of each screw shaft located in the upper and the screw shaft located in the lower there is an effect to enable a more stable quantitative discharge.

또 직선형 또는 곡선형(원형)으로 배치된 사료통 배열과 관계없이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ere is also the effect of automatically feeding the feed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of the feeders arranged in a straight or curved (round).

또 사료통과 물통이 번갈아 배열되어 있는 축사에 있어서, 사료를 사료통에만 선택적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어 장치의 기능이 좀더 높이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stall and the bucket is arranged alternately, the feed can be selectively supplied only to the feed can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device.

또 사료의 공급후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킴에 따라서 축사의 무인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축산의 선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automatically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feeding the feed, it is possible to unmanned the livestock house, thereby enabling the advancement of livestock raising.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Claims (12)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사료통(101)만 또는 사료통(101)과 물통(102)이 번갈아 배치되는 통상에 축사(100)에 있어서;In the barn 100, in which only the feed container 101 or the feed container 101 and the water container 102 are alternately arrange |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or a curved form; 사료통(101)과 물통(102)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복렬 레일(1)과;A double row rail (1) provided above the feed container (101) and the water container (102); 하부에는 상기 복렬 레일(1)을 타고 이동되는 이동수단(21)이 구비되고, 상부에 사료 투입구(22)가 구비되며, 내부 하측에는 하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전,후방 경사판(231,232)이 포함되는 사료 안내공간(23)이 구비되고, 상기 사료 안내공간의 하부에는 일측에 배출부(241)가 구비된 반원통형의 배출관(24)이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사료 공급통(2)과;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21 moving on the double rail (1), the feed inlet 22 is provided at the upper side, the inner lower side includes a front and rear inclined plates (231, 232) to narrow the width of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feed guide space 23, the lower portion of the feed guide space is provided with a feed cylinder (2) having a semi-cylindrical discharge pipe (24)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ion 241 on one side; 상기 사료 안내공간(23)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왼쪽방향의 왼 스크류판(311)이 포함되는 제1 스크류축(31)과, 이 제1 스크류축(31)의 전방에 제1 스크류축(31)과 상호 맞물리게 장착되며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321)이 포함되는 제2 스크류축(32)과, 상기 배출관(24)에 구비되어 사료을 배출하는 오른방향의 오른 스크류판(331)이 포함되는 제3 스크류축(33)으로 구성된 정량배출부(3); 및The first screw shaft 31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feed guide space 23 and includes a left screw plate 311 in the left direction, and a first screw in front of the first screw shaft 31. The second screw shaft 32 is mounted in engagement with the shaft 31 and includes the right screw plate 321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right screw plate 331 in the right direction for discharging the feed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24. Quantitative discharge unit 3 consisting of a third screw shaft 33 is included; And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Livestock feed for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second, third screw shafts (31, 32, 33) in the same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은, 사료공급통(2)의 외측에 고정되는 구동모터(41)와, 상기 제2 스크류축(32)보다 상대적으로 제1 스크류축(31)의 회전을빠르게 하고 제1 스크류축(31)보다 상대적으로 제3 스크류축(33)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41)와 각 스크류축을 연결하는 연결수단(4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e means (4), the drive motor 41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eed container (2), and the first screw shaft (31) relative to the second screw shaft (32) It is composed of a connecting means 42 for connecting the drive motor 41 and each screw shaft so that the rotation of the fast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third screw shaft (33) relatively faster than the first screw shaft (31) Livestock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1)는 회전축에 장착된 동일크기의 3개소의 스프로킷(41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수단(42)은 상기 제1,2,3 스크류축(31,32,33)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크기를 달리하는 제1,2,3 스프로킷(421,422,423) 및 이 제1,2,3 스프로킷(421,422,423)과 상기 구동모터(41)의 3개소의 스프로킷(411)을 각기 연결하는 3개소의 체인(4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3. The driving motor (41)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rive motor (41) comprises three sprockets (411) of the same size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and the connecting means (42) compris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screw shafts (31). First, second and third sprockets 421, 422 and 423 having different sizes provided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nds 32 and 33 and three sprockets of the first and second and third sprockets 421, 422 and 423 and the driving motor 41. Livestock feed forage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ree chains (424) connecting each of the 4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로킷(422)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제1 스프로킷(421)의 크기를 작게하고 제1 스프로킷(421)보다 상대적으로 제3 스프로킷(423)의 크기를 작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ze of the first sprocket 421 is mad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sprocket 422 and the size of the third sprocket 423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procket 421. Livestock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에 위치된 제1 스크류축(31)이 전방에 위치된 제2 스크류축(32)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3. A livestock feeder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crew shaft (31) located at the rear is locat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second screw shaft (32) located at the fron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스크류축(31,32)의 왼, 오른스크류판(311,312)은 비틀려지는 방향만 틀리고 형상과 크기는 동일하게 구성되며, 왼,오른 스크류판(311,312)의 후방측과 전방측은 사료 안내공간의 후방 경사판(232)과 전방 경사판(231)에 밀착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The left and right screw plates 311 and 312 of the first and second screw shafts 31 and 32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twisting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screw plates 311 and 312 are the same. Rear side and front side of the livestock feeder for livestock feed, characterized in that is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inclined plate 232 and the front inclined plate 231 of the feed guide spac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21)은, 양측에 상기 복렬 레일을 타고 이동될 수 있도록 사료공급통의 하부로 돌출된 다리(212) 및 이 다리(212)에 장착된 회전축(213)을 통해 고정되는 한쌍의 롤러(214)를 포함하는 양측 이송부(211)와, 상기 양측 이송부(211) 중 하나의 이송부(211)를 구성하는 회전축(213)에 동력을 전달하는 이동모터(2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oving means 21 is mounted on the leg 212 and the leg 212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feeding container so as to be able to move on both sides of the double rails. A movement for transmitting power to both side conveying units 211 including a pair of rollers 214 fix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213 and the rotating shaft 213 constituting one conveying unit 211 of the two conveying portions 211. Livestock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otor (2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이송부(211)를 구성하는 다리(212)는, 양측 이송부(211)를 각각 구성하는 한쌍의 롤러(214)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하부 다리로 분리되며 상,하부 다리의 사이에는 하부 다리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힌지부(21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legs 212 constituting the two side transfer section 211 is separated into upper and lower legs so a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air of rollers 214 constituting the both side transfer section 211, respectively. , Between the lower legs there is a rotary hinge portion 216 for rotating the lower leg is further provided for livestock feed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공급통(2)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이동수단(21)과 구동수단(4)을 제어할 수 있는 복귀스위치(5)와 정지스위치(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복렬 레일(1)의 끝단과 시작단에는 상기 복귀스위치(5)와 정지스위치(6)를 각기 작동시키는 작동대(1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The return switch 5 and the stop switch 6 according to claim 1 or 2, which control the moving means 21 and the driving means 4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eed container 2. Is provided, the feed end device for livestock fe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and the start end of the double row rail (1) is further provided with a working table (11) for operating the return switch (5) and the stop switch (6), respectively . 제 1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공급통(2)의 전방에는 구동수단(4)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구동수단 제어스위치(7)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복렬 레일에는 물통의 위치를 알려주어 사료의 배출을 중지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 제어스위치와 접속되는 다수의 돌출 작동대(1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 공급장치.4. A driving means control switch (7)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means control switch (7) for controlling the on and off of the driving means (4) in front of the feeding container (2), and the position of the water tank on the double row rail. Livestock feed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ding operating table 12 is connected to the drive means control switch so as to stop the discharge of the fe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241)의 하부에는 실린더(81)를 통해 개폐되는 배출커버(8)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The feeder for livestock fee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cover (8) which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a cylinder (81)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24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투입구의 상부에는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커버(9)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사료공급장치.The livestock feed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ver (9) is furth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eed inlet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foreign substances.
KR20-2003-0008787U 2003-03-24 2003-03-24 A feed apparatus KR20031578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87U KR200315781Y1 (en) 2003-03-24 2003-03-24 A fee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87U KR200315781Y1 (en) 2003-03-24 2003-03-24 A feed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307A Division KR20040083736A (en) 2003-03-24 2003-03-24 A feed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781Y1 true KR200315781Y1 (en) 2003-06-11

Family

ID=4940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787U KR200315781Y1 (en) 2003-03-24 2003-03-24 A feed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78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98B1 (en) 2010-06-17 2011-06-29 (주)지이씨 Forming device for manufacturing solid fu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98B1 (en) 2010-06-17 2011-06-29 (주)지이씨 Forming device for manufacturing solid fu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90605A (en) Feed mixer
US3942768A (en) Mobile mixer
CN110679975A (en) Potato chip seasoning system capable of quantitatively feeding
CN209815020U (en) Powder feeding device for lignin fiber production raw materials
CN208668228U (en) A kind of plastic cement race track paver
KR20040083736A (en) A feed apparatus
US11067337B2 (en) Grain dryer unload system
KR200315781Y1 (en) A feed apparatus
EP0907408B1 (en) Mixer vehicle
CN210247909U (en) Be used for cattle farm feed mixing and feeder
EP0985342B1 (en) Mobile device for mixing fodder
KR20180137367A (en) Feedstuff supply device able to uniform mixing of additives
CN110075746A (en) A kind of heavy metal-polluted soil stabilizer treat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CN103879732A (en) Intelligent mixing and continuous conveying all-in-one machine for bulk material and liquid
US3114933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eparing and extruding plastic compositions
CN214438094U (en) Mixing conveyor
CN108450984A (en) Cowboying feed-processing device
CN210389805U (en) Automatic quantitative device that adds of medical PVC aggregate manufacturing
US3021121A (en) Feed mixer
CN219877138U (en) Novel fodder ejection of compact device
CN209939695U (en) Horizontal screw conveyer
CN219939354U (en) Multi-bin powder metering synchronous feeding device
CN213833370U (en) Material distribution device
CN218571119U (en) Automatic batching device for sheepcote
CN216756057U (en) Partitioned batching stir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