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772Y1 - 용기용 거름 기구 - Google Patents

용기용 거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772Y1
KR200315772Y1 KR20-2003-0008619U KR20030008619U KR200315772Y1 KR 200315772 Y1 KR200315772 Y1 KR 200315772Y1 KR 20030008619 U KR20030008619 U KR 20030008619U KR 200315772 Y1 KR200315772 Y1 KR 200315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container
present
body portion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유진
Original Assignee
손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유진 filed Critical 손유진
Priority to KR20-2003-0008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7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등과 같은 용기에 담기는 주스 혼합물과 봉지차로부터 원액과 찌꺼기를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용상의 편리성과 위생성 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용기용 거름 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하로 관통된 중앙부위에는 거름 설치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실리콘 링의 탈부착이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거름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밀봉할 수 있도록 제작된 밀봉캡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용 거름 기구{filter utensils for vessel}
본 고안은 용기용 거름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등과 같은 용기에 담기는 주스 혼합물과 봉지차로부터 원액과 찌꺼기를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용상의 편리성과 위생성 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용기용 거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채소 등과 같이 믹싱,분쇄시킨 주스나 봉지차와 같이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는 음식물은 별다른 여과과정 없이 그냥 마신다.
이에 따라 주스를 음용 시에는 주스액(엽록소와 미네랄을 포함)과 주스찌꺼기(섬유질 찌꺼기)를 함께 섭취하게 되고, 봉지차는 우려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찌꺼기를 동시에 섭취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찌꺼기 들은 음용하는데 있어 마시는 이에게 유익한 영양 성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기보다는 순수한 맛의 장애와 더불어 원활한 음용에 장애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주스를 만들거나 봉지차를 우려낼시 상술한 찌꺼기를 거르는 이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믹싱,분쇄시키는 과정에서 주스액과 주스찌꺼기를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물 또는 봉지차만을 전용을 걸러내어 음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물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물은 고가이고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어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는 물론이고 불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목적은 컵등과 같은 용기에 담기는 주스 혼합물과 봉지차로부터 원액과 찌꺼기를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용상의 편리성과 위생성 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용기용 거름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상,하로 관통된 중앙부위에는 거름망이 설치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실리콘 링의 탈부착이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거름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밀봉할 수 있도록 제작된 밀봉캡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용기용 거름 기구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용기용 거름 기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용기용 거름 기구의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용기용 거름 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0 : 본체부
12 : 거름 14 : 실리콘 링
16 : 삽입홈 18 : 손잡이
20 : 밀봉캡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용기용 거름 기구의 외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용기용 거름 기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용기용 거름 기구의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된 중앙부위에는 거름망(12)이 설치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실리콘 링(14)의 탈부착이 가능한 삽입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상부에는 손잡이(18)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름(12)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10)의 상부에는 거름(12) 상부를 선택적으로 밀봉할 수 있도록 제작된 밀봉캡(20)이 설치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인 용기용 거름 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컵과 같은 용기(1) 내에 삽입하여 주스 혼합물 또는 봉지차에서 주스액과 우러난 차 원액만을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선택 분리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컵과 같은 용기(1)에 주스 혼합물 또는 봉지차를 담은 후 상기 본체부(1)의 양상부에 위치한 손잡이(18)를 이용하여 강제로 하향 이동시키면 거름(12) 상부로 원액은 여과 분리되어 위치되고 찌꺼기는 거름(12) 하부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여과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거름(12) 상부에 밀봉캡(20)을 끼워 원액과 찌꺼기 간의 완전한 분리를 이루게 된다.
한편, 여기서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에는 실리콘 링(14)이 연결되어 있어 용기(1) 내에서의 본체부(10) 이동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내용물의 상하분리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컵등과 같은 용기에 담기는 주스 혼합물과 봉지차 등으로부터 원액과 찌꺼기를 간단히 분리하여 음용할 수 있음에 따라 음용상의 편리성과 위생성 등의 향상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조원가가 저렴하여 구매하여 이용하는 실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로 관통된 중앙부위에는 거름 설치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실리콘 링의 탈부착이 가능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거름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밀봉할 수 있도록 제작된 밀봉캡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용기용 거름 기구를 통해 컵등과 같은 용기에 담기는 주스 혼합물과 봉지차로부터 원액과 찌꺼기를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용상의 편리성과 위생성 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로 관통된 중앙부위에는 거름(12)이 설치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실리콘 링(14)의 탈부착이 가능한 삽입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상부에는 손잡이(18)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0)와;
    상기, 거름(12)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1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밀봉할 수 있도록 제작된 밀봉캡(20)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거름 기구.
KR20-2003-0008619U 2003-03-22 2003-03-22 용기용 거름 기구 KR200315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619U KR200315772Y1 (ko) 2003-03-22 2003-03-22 용기용 거름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619U KR200315772Y1 (ko) 2003-03-22 2003-03-22 용기용 거름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772Y1 true KR200315772Y1 (ko) 2003-06-11

Family

ID=4940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619U KR200315772Y1 (ko) 2003-03-22 2003-03-22 용기용 거름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7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5953B2 (en) Sealed filtering and mixing jar
US20090229478A1 (en) Fruit/vegetable juice spinning filter
US8740116B2 (en) Essence extracting drinking vessel
US10420361B2 (en) Citrus press drinking vessel
US11045036B2 (en) Beverage filtering system
US20130163370A1 (en) Mixing Device
MX2014009457A (es) Dispositivo para la elaboracion de bebida.
KR20080016771A (ko) 용기 출구용 뚜껑 구조체
KR200315772Y1 (ko) 용기용 거름 기구
KR101919108B1 (ko) 차 추출용 텀블러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KR101610588B1 (ko) 커피 압출기
KR101777456B1 (ko)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
KR200443066Y1 (ko) 분말 또는 액상 음료의 일회용 포장용기
CN209932278U (zh) 一种饮水杯
KR101259148B1 (ko) 과즙 원액 추출기
EP2754374A1 (en) Citrus Press Drinking Vessel
CN201379456Y (zh) 摇杯
CN211299381U (zh) 一种具有摇匀功能的泡茶杯
CN109512231A (zh) 一种便携式手冲饮品杯
AU2003100432B4 (en) Convert-a-can an attacable drinking cup for a can of beverage
CN220192680U (zh) 一种带有喝汤上盖和硅胶吸管的辅食碗
CN215133631U (zh) 泡奶器
CN210748564U (zh) 一种多功能饮液食品容器
CN219088933U (zh) 一种手冲咖啡滤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