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456B1 -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456B1
KR101777456B1 KR1020150083874A KR20150083874A KR101777456B1 KR 101777456 B1 KR101777456 B1 KR 101777456B1 KR 1020150083874 A KR1020150083874 A KR 1020150083874A KR 20150083874 A KR20150083874 A KR 20150083874A KR 101777456 B1 KR101777456 B1 KR 101777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ing
tea
beverage container
stopp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076A (ko
Inventor
최민
Original Assignee
러닝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러닝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러닝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45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음료 용기의 병목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어 개구부를 개폐시키되, 일측에는 상기 음료 용기의 내외부를 연통 가능하게 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하기 거름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는 차 원료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미세 여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상기 음료 용기에 담겨진 음용수에 혼입시키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결합홈에 억지끼움 결합되며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경질의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개구부를 이루는 둘레부에 접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거름부재를 포함하는 거름부; 상기 거름부재의 일측 둘레를 감싸 조여 상기 공간부의 일정 구간을 폐쇄시키되, 상기 거름부재의 둘레를 감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링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링부재의 내주연 일부와 대응하도록 만곡지게 이루어져 상기 거름부재를 밀착 가압하는 조임판을 포함하는 용량조절부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거름부의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마개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하여 상기 거름부의 공간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가압하되, 상기 마개부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복원되는 단추부재와, 상기 마개부를 관통하여 일단부는 상기 단추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거름부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거름부의 내주연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 원료를 밀착 가압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혼입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Container stopple for preparation of a tea beverage}
본 발명은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유로운 생활을 추구하는 유행에 맞물려 잠깐의 시간에 티타임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녹차, 홍차, 인삼차, 홍삼차, 구기자차 등 차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종류의 차가 출시되고 있으며, 차 고유의 맛을 음미하기 위해 분말이나 엑기스 또는 찻잎 형태로 물이나 음료에 타먹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자신의 기호에 맞는 분말이나 엑기스 등의 차 원료를 컵이나 병에 넣고 물을 부은 후 티스푼 등을 이용하여 혼합하여야 하며, 차가 충분히 우러난 후에 찌꺼기 등을 제거한 후 음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를 음용하려면 매번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고, 차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차 원료나 찌꺼기가 옷이나 주변에 뭍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정돈된 상태에서 여유롭게 차를 즐길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차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실내에서 찻잔과 뜨거운물 및 차 원료를 준비하여야만 하므로 야외 활동을 하는 상황에서는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를 즐기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20-0475129 Y1 KR 20-0460121 Y1 KR 20-0353860 Y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 음료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료 용기의 병목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어 개구부를 개폐시키되, 일측에는 상기 음료 용기의 내외부를 연통 가능하게 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하기 거름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는 차 원료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미세 여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상기 음료 용기에 담겨진 음용수에 혼입시키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결합홈에 억지끼움 결합되며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경질의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개구부를 이루는 둘레부에 접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거름부재를 포함하는 거름부; 상기 거름부재의 일측 둘레를 감싸 조여 상기 공간부의 일정 구간을 폐쇄시키되, 상기 거름부재의 둘레를 감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링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링부재의 내주연 일부와 대응하도록 만곡지게 이루어져 상기 거름부재를 밀착 가압하는 조임판을 포함하는 용량조절부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거름부의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마개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하여 상기 거름부의 공간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가압하되, 상기 마개부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복원되는 단추부재와, 상기 마개부를 관통하여 일단부는 상기 단추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거름부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거름부의 내주연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 원료를 밀착 가압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혼입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 음료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빨대의 사용이 용이하고, 거름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차 원료를 넣고 다시 마개부에 결합시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거름부에 수용되는 차 원료의 양을 간단한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취향에 따른 차 음료의 맛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거름부 내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가압하여 음용수와의 혼입을 빠르게 유도함으로써 차 음료를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분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이 음료 용기에 적용된 일례를 도시하는 제1예시도이고,
도4는 도3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하는 제2예시도이고,
도5는 도3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하는 제3예시도이고,
도6은 도3에서 더 부가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하는 제4예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5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마개부와 거름부로 구성되어 음료 용기에 마개부를 결합시켜 거름부에 수용된 차 원료가 음용수에 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음료 용기(1) 내의 음용수가 거름부(400)의 내외부를 통과하면서 거름부(400) 내부에 수용된 차 원료와 섞여 차 음료가 제조되는 것이다. 이에,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 음료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음료 용기(1)는 통상의 생수페트를 포함한 음용수의 수용이 가능한 모든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200)는 음료 용기(1)의 사이즈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개부(200)는 음료 용기(1)의 병목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어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통상의 용기 마개와 같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개부(200)의 일측에는 상기 음료 용기(1)의 내외부를 연통 가능하게 하는 관통홀(25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관통홀(250)은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빨대(2)를 꽂아 용기 내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빨대(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관통홀(250)이 고무재질의 패킹부재(210) 등에 의해 폐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개부(200)의 저면에는 상기 거름부(4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홀(2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거름부(4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차 원료를 넣어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1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해 비용 낭비를 줄이고 1회용 쓰레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름부(400)는 상기 마개부(20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차 원료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미세 여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차 원료가 음용수에 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거름부(400)는,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관통홀(230)에 억지끼움 결합되며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경질의 끼움부재(420)와, 상기 끼움부재(420)의 개구부를 이루는 둘레부에 접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거름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거름부(400)가 마개부(200)의 관통홀(23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재(420)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름부재(440)는 거름망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거름부재(440)의 일측 둘레를 감싸 조여 상기 공간부의 일정 구간을 폐쇄시키는 용량조절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량조절부(600)는 거름부(400)에 수용되는 차 원료의 양을 간단한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 음료의 농도를 취향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용량조절부(6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부재(440)의 둘레를 감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링부재(620)와, 상기 링부재(620)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링부재(62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조임부재(640)와, 상기 조임부재(640)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링부재(620)의 내주연 일부와 대응하도록 만곡지게 이루어져 상기 거름부재(440)를 밀착 가압하는 조임판(6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량조절부(600)에 따르면, 링부재(620)를 거름부재(440)의 원하는 곳에 위치시킨 후 조임부재(640)를 조여 조임판(642)이 상기 거름부재(440)를 밀착 가압시켜 내부 공간의 일정 지점이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폐쇄된 구간까지만 차 원료가 수용되므로 사용자가 차 원료의 정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부(2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하여 상기 거름부(400)의 공간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가압하는 혼입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혼입유도부는 거름부(400) 내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가압하여 음용수와의 혼입을 빠르게 유도함으로써 차 음료를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혼입유도부는, 상기 마개부(20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복원되는 단추부재(220)와, 상기 마개부(200)를 관통하여 일단부는 상기 단추부재(22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거름부(400)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가압부재(240)와, 상기 가압부재(240)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거름부(400)의 내주연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 원료를 밀착 가압하는 누름판(2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혼입유도부에 따르면, 단추부재(220)를 눌러 가압부재(240)를 하강시켜 누름판(242)이 차 원료를 밀착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음용수와의 혼입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음료 용기를 흔들어 차 원료의 혼입이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한편, 도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250)은 거름부(400) 끼움부재(420)의 개구부와 동일 중심을 가지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부(200)에는 상기 관통홀(250)의 외주연을 따라 음용 돌기(260)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용 돌기(260)에는 음용 캡(270)이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어 상기 관통홀(250)을 개폐시키게 된다. 즉, 마개(200)를 열어 음용할 경우 상기 마개(200)에 결합된 거름부(400)까지 달려나오게 되는데, 이에 의해 마개(200) 개폐시 사용자의 불편함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방법으로 음용 캡(270)만을 열어 음용이 용이해지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자신의 기호에 맞는 차 음료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빨대의 사용이 용이하고, 거름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차 원료를 넣고 다시 마개부에 결합시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거름부에 수용되는 차 원료의 양을 간단한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취향에 따른 차 음료의 맛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거름부 내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가압하여 음용수와의 혼입을 빠르게 유도함으로써 차 음료를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음료 용기
2: 빨대
200: 마개부
210: 패킹부재
220: 단추부재
230: 결합홈
240: 가압부재
242: 누름판
250: 관통홀
260: 음용 돌기
270: 음용 캡
400: 거름부
420: 끼움부재
440: 거름부재
600: 용량조절부
620: 링부재
640: 조임부재

Claims (8)

  1. 음료 용기의 병목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어 개구부를 개폐시키되, 일측에는 상기 음료 용기의 내외부를 연통 가능하게 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하기 거름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는 차 원료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미세 여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상기 음료 용기에 담겨진 음용수에 혼입시키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결합홈에 억지끼움 결합되며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경질의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개구부를 이루는 둘레부에 접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거름부재를 포함하는 거름부;
    상기 거름부재의 일측 둘레를 감싸 조여 상기 공간부의 일정 구간을 폐쇄시키되, 상기 거름부재의 둘레를 감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링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링부재의 내주연 일부와 대응하도록 만곡지게 이루어져 상기 거름부재를 밀착 가압하는 조임판을 포함하는 용량조절부;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거름부의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마개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하여 상기 거름부의 공간부에 수용된 차 원료를 가압하되, 상기 마개부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탄성복원되는 단추부재와, 상기 마개부를 관통하여 일단부는 상기 단추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거름부의 공간부에 수용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거름부의 내주연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 원료를 밀착 가압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혼입유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83874A 2015-06-15 2015-06-15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 KR101777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874A KR101777456B1 (ko) 2015-06-15 2015-06-15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874A KR101777456B1 (ko) 2015-06-15 2015-06-15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076A KR20160148076A (ko) 2016-12-26
KR101777456B1 true KR101777456B1 (ko) 2017-09-12

Family

ID=5773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874A KR101777456B1 (ko) 2015-06-15 2015-06-15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797B1 (ko) 2018-05-17 2019-09-24 이제관 휴대용 차 음료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4242B (zh) * 2018-10-29 2020-10-02 武义县双力杯业有限公司 一种带过滤装置的杯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716Y1 (ko) * 2004-07-01 2004-10-12 김화식 필터망을 갖춘 머그컵
KR101216540B1 (ko) * 2009-07-03 2012-12-31 정향빈 휴대용 물병
JP6025238B2 (ja) * 2010-12-21 2016-11-1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二段電力コンバータ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60Y1 (ko) 2004-03-09 2004-06-26 감선희 차 음료용 용기
KR200460121Y1 (ko) 2011-08-25 2012-05-04 정순태 거름망을 구비한 음료용기
KR200475129Y1 (ko) 2014-02-28 2014-11-07 임상만 찻잎을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차 물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716Y1 (ko) * 2004-07-01 2004-10-12 김화식 필터망을 갖춘 머그컵
KR101216540B1 (ko) * 2009-07-03 2012-12-31 정향빈 휴대용 물병
JP6025238B2 (ja) * 2010-12-21 2016-11-1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二段電力コンバータ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797B1 (ko) 2018-05-17 2019-09-24 이제관 휴대용 차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076A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5953B2 (en) Sealed filtering and mixing jar
US9801492B1 (en) Liquid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CN108349621A (zh) 分隔瓶和杯子
US20050029130A1 (en) Universal bottle cap
US10051875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recessed lid and breathable seal
US20150166258A1 (en) Beverage mixing cartridge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50074521A (ko) 뚜껑이 일체로 구비된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101777456B1 (ko) 차 음료 제조용 용기 마개
KR20140083585A (ko)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
JP2004083022A (ja) ペットボトル等ドリンク用ボトルのキャップ
JP2004083022A5 (ko)
KR20150063989A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JP3185488U (ja) 携帯用飲料容器
CN212698441U (zh) 一种带茶仓的按压式杯盖
US7828139B2 (en) Closure mixing apparatus for a drinking container
CN106966039B (zh) 一种多功能瓶盖
KR20150045100A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CN207482531U (zh) 旋转注入式功能饮料瓶盖
CN206345214U (zh) 固体饮料快饮装置
KR101816551B1 (ko) 금속거름망을 구비한 휴대용 텀블러
KR101610588B1 (ko) 커피 압출기
CN203914343U (zh) 便携式泡茶杯
KR101566809B1 (ko) 차 우림기
CN105380521A (zh) 一种混合饮料调制装置
CN207754955U (zh) 多用途保温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