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697Y1 -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 - Google Patents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697Y1
KR200315697Y1 KR20-2003-0008508U KR20030008508U KR200315697Y1 KR 200315697 Y1 KR200315697 Y1 KR 200315697Y1 KR 20030008508 U KR20030008508 U KR 20030008508U KR 200315697 Y1 KR200315697 Y1 KR 200315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ouble
blind
window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덕수
Original Assignee
정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덕수 filed Critical 정덕수
Priority to KR20-2003-0008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6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6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내측에 냉교차단을 위한 공간부를 확보하고 이 공간을 햇빛 차단기구 설치영역으로 활용함으로서, 보온성을 가지며 충전된 전원에 의하여 햇빛을 가리거나 내부 투시를 방지하는데 사용하는 이중투시창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2개의 창틀(F1,F1') 사이에 구동모터(M1)에 의하여 전개될 수 있는 블라인드(C1)가 원격제어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창틀 중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창틀(F1')을 이중창으로 구성하고, 상기 2개의 창틀(F1,F1')과 블라인드(C1)를 복수의 채널홈(G)을 갖도록 압출된 하나의 고정틀(FL) 내에 끼워 조립하며, 상기 블라인드(C1)는 축전가능한 전원장치(PS)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보온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창과 창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많은 설치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정전시에도 가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Building dual window have sunvisor function}
본 고안은 건물의 내측에 냉교차단을 위한 공간부를 확보하고 이 공간을 햇빛 차단기구 설치영역으로 활용함으로서, 보온성을 가지며 충전된 전원에 의하여 햇빛을 가리거나 내부 투시를 방지하는데 사용하는 이중투시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내부로 빛이 투과되면서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투시창은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할 수 없도록 함으로서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함께, 내부로 햇빛이 불필요하게 직접 투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투시 방지와 햇빛 차단수단을 구비하여야 보다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햇빛 차단과 투시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투시창 내측에 전동 장치에 의하여 전개될 수 있는 커튼이나 햇빛 차단판을 설치하였다. 실용신안등록 제120205호(1998.03.31 등록)는 햇빛 차단기능을 갖는 건물용 투시창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투시창을 구성하는 유리판 사이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유리판 사이로 자바라식 차단판을 로프와 연결끈으로 작동판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유리판 사이로 프레임을 설치하여 그 내부로 상측에 모터와 감속기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에 육각축을 연결하며, 상기 차단판과 연결되는 로프와 연결끈을 모터의 육각축에 연결 설치하여 상하 개폐동작 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 다른 실용신안등록 제216468호(2000.12.30 등록)는 블라인드 이중창에 관한 것으로, 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좌우 종지지틀의 외측에는 방풍패킹이 개재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안밖으로 유리끼움부가 형성되고, 이 상하단에 체결 결합되는 상하 횡지지틀의 외측에는 방풍패킹이 개재된 안내간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안밖으로 유리끼움부를 형성하여 안밖으로 유리를 끼움하고, 안밖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블라인드를 설치하되, 블라인드의 상부에는 박스를 형성하여 이의 체결부를 상부 횡지지틀에 체결하고, 상부 횡지지틀의 좌우측에 설치된 로울러에는 블라인드에 체결된 끈이 감김된 상태에서 그 일단에는 권취부가 체결되고, 타단에는 핸들이 설치되어 진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 중에서 실용신안등록 제120205호는 내부에 브라인드가 설치된 이중창이기는 하지만 건물 벽에 고정시키는 창틀인데 반해, 실용신안등록 제216468호는 같은 구조이기는 하지만 이것을 미닫이문에 적용했다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투시창으로는 외부의 온도 변화와 강풍과 같은 자연 환경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베란다가 있는 아파트에서 베란다 창틀과 거실 창틀은 약 1,5m 전후 이격된 상태에서 시공된다. 그러나 입주자들은 거실을 보다 넓게 사용할 목적으로 위와 같은 상태에서 거실 창틀을 베란다 창틀 쪽으로 옮겨 확장시공을 하는 건축 개조작업을 많이 하고 있다.
위에 언급한 종래의 고안들은 이때 적용될 수 있는데, 이미 시공되어 있는 베란다 창틀 안쪽에 별도의 창틀을 일정간격(약 100mm) 이격시켜 시공하면서 블라인드를 그 사이에 끼워 장착토록 하였기 때문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비교적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블라인드의 거추장스러움이 일상생활에서 불편한 문제들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뿐만 아니라 블라인드를 가동시키는 전동장치가 교류 전원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정전시에는 블라인드를 가동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보온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창과 창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많은 설치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여러 형식의 햇빛차단수단을 창과 창 사이에 설치하여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전원장치를 충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정전시에도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그 결합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블라인드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개략도.
도 4는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된 외부창 정면 구성도.
도 5는 태양전지에 의한 전원장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1:축전지, BL,C1:블라인드, BL1:구동부, CV:커버체, F1:내측 창틀, F1':외측 창틀, G:채널홈, M1:구동모터, PS:전원장치, R1:수신기, SM:태양전지 모듈, T1:송신기, W1,W1':이중유리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개의 창틀 사이에 구동모터에 의하여 전개될 수 있는 햇빛차단장치가 원격제어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창틀 중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창틀을 적어도 이중창으로 구성하고, 상기 2개의 창틀과 햇빛차단장치를 복수의 채널홈을 갖도록 압출된 하나의 틀 내에 끼워 조립하며, 상기 햇빛차단장치는 축전가능한 전원장치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전원장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한 후 직류 축전지에 충전시키는 충전장치와, 태양전지 모듈에 의하여 얻어진 전류를 직류 축전지에 충전시키는 태양전지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창틀 중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창틀의 외면에 부착시킨 것이다.
또, 상기 햇빛차단장치는 직물로 이루어진 주름식 블라인드, 버티칼 블라인드, 커튼식 버티칼 블라인드, 롤 스크린 블라인드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이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결합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블라인드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된 외부창 정면 구성도이며, 도 5는 태양전지에 의한 전원장치 구성도이다.
먼저,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유리(W1')를 포함하는 외측 창틀(F1'), 이중유리(W1) 또는 홋유리를 포함하는 내측 창틀(F1), 블라인드(C1), 구동부(BL1), 그리고 고정틀(FL)을 구비한다.
외측 창틀(F1')은 건물의 외면을 이루는 면으로서 이중창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측 창틀(F1)은 건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나의 홋창이나 이중창으로 구성할 수 있다. 햇빛차단장치인 블라인드(C1)는 도 2 및 도 3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로 개폐시키는 일종의 버티칼 블라인드를 사용한다. 본 고안에서는 위의 버티칼 블라인드 외에도 위로 오그라들며 적층되는 주름식 블라인드,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대칭되게 개폐되는 커튼식 버티칼 블라인드, 스크린이 말려 올라가는 롤 스크린 블라인드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외측 창틀(F1')의 이중유리(W1') 사이에 설치된 주름식 블라인드(BL)를 예시하고 있다.
구동부(BL1)는 소극적으로 보면 사각단면의 박스 내에 구동모터(M1)와 전원장치(PS)를 내장시킨 후 커버체(CV)로 고정시킨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실질적인 구성요소는 블라인드(C1)를 구동시키는 직류의 구동모터(M1)와, 외부의 신호에 의하여 구동모터(M1)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수신장치(R1)와, 이 수신장치(R1)에 블라인드(C1)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T1), 그리고 구동모터(M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PS)를 포함한다. 수신장치(R1)는 내측 창틀(F1)의 오른쪽 상부 내에 설치한다. 전원장치(PS)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한 후 직류 축전지(B1)에 충전시키는 충전장치로 하거나 태양전지 모듈(SM)에 의하여 얻어진 전류를 직류 축전지(B1)에 충전시키는 태양전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태양전지를 사용하였다.
고정틀(FL)은 상기한 외측 창틀(F1')과 내측 창틀(F1) 및 구동부(BL1)의 커버체(CV)가 들어가 조립될 수 있는 복수의 채널홈(G)을 갖도록 압출된 하나의 틀이다. 도 1에서는 일부가 절단된 상태로 도시하였는 바 채널홈(G)은 3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채널홈(G)에 외측 창틀(F1')과 내측 창틀(F1) 및 구동부(BL1)를 각각 끼운 후 사각의 틀로 조립하면 시공할 수 있는 하나의 이중 투시창이 되는 것이다.
전원장치(PS)를 이루는 태양전지는 도 5에 나타내었다. 태양전지는 태양전지 모듈(SM)의 양극(P1)과 음극(P2)에 직류 축전지(B1)를 연결하고, 이 직류 축전지(B1)와 태양전지 모듈(SM) 간의 라인 L1, L2에 원격 조정의 수신기(R1)를 라인 L1', L2'로 연결하며, 이 수신기(R1)에 상기한 구동부(BL1)의 구동모터(M1)를 라인 L1", L2"로 연결한 것이다. 수신기(R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 창틀(F1)의 오른쪽 상부에 설치된다. 태양전지 모듈(SM)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 창틀(F1)의 외면 상부에 부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나의 틀 안에 외측 창틀과 내측 창틀 및 블라인드의 구동부를 함께 끼워 설치함으로써 창과 창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아파트에서 건축 개조시에 거실 창틀을 베란다 창틀에 덧붙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많은 설치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적어도 3중창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보온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 여러 형식의 블라인드를 창과 창 사이에 설치하여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고, 전원장치를 충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정전시에도 가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2개의 창틀 사이에 구동모터에 의하여 전개될 수 있는 햇빛차단장치가 원격제어 가능하게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창틀 중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창틀을 적어도 이중창으로 구성하고, 상기 2개의 창틀과 햇빛차단장치를 복수의 채널홈을 갖도록 압출된 하나의 틀 내에 끼워 조립하며, 상기 햇빛차단장치는 축전가능한 전원장치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는 태양전지 모듈에 의하여 얻어진 전류를 직류 축전지에 충전시키는 태양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창틀 중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창틀의 외면에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햇빛차단장치는 직물로 이루어진 주름식 블라인드, 버티칼 블라인드, 커튼식 버티칼 블라인드, 롤 스크린 블라인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
KR20-2003-0008508U 2003-03-21 2003-03-21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 KR200315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508U KR200315697Y1 (ko) 2003-03-21 2003-03-21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508U KR200315697Y1 (ko) 2003-03-21 2003-03-21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697Y1 true KR200315697Y1 (ko) 2003-06-09

Family

ID=4940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508U KR200315697Y1 (ko) 2003-03-21 2003-03-21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6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715B1 (ko) 2011-02-15 2012-10-25 주식회사 세원 채광이 가능한 태양광발전과 열에너지 활용을 위한 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시설물
KR101270735B1 (ko) 2005-04-26 2013-06-03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내장된 전기적 요소를 구비한 다층 유리창
WO2015093647A1 (ko) * 2013-12-18 2015-06-25 주식회사 이노탑 고정창 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35B1 (ko) 2005-04-26 2013-06-03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내장된 전기적 요소를 구비한 다층 유리창
KR101194715B1 (ko) 2011-02-15 2012-10-25 주식회사 세원 채광이 가능한 태양광발전과 열에너지 활용을 위한 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시설물
WO2015093647A1 (ko) * 2013-12-18 2015-06-25 주식회사 이노탑 고정창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0276B2 (en) Integrated multi-function window
KR20100034361A (ko) 유리창의 햇빛 투과량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CN206290189U (zh) 一种卷帘机构
KR101367913B1 (ko) 커튼박스 일체형 창호구조
KR101605321B1 (ko) 복층 창호 및 그의 덧창 시공방법
CN103628782B (zh) 内置卷帘的双层玻璃隔热门窗
US20230042244A1 (en) Battery-powered roman shade system
CN106223823A (zh) 一种防火外遮阳一体化窗
CN210033221U (zh) 一种外遮阳遮光防风卷帘
KR200315697Y1 (ko) 햇빛차단기능을 갖는 이중투시창
CN204851011U (zh) 一种抗风外遮阳一体化窗
JP2009225827A (ja) 遮光部材制御装置
WO2010147341A2 (ko) 밀폐되도록 이중창호에 설치된 블라인드.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CN102704826A (zh) 电动节能卷帘窗
SI25159A (sl) Zunanja žaluzija in rolo senčila, zaščitena s steklom v ohišju
CN213391914U (zh) 一种建筑门窗一体化节能装置
CN211500256U (zh) 一种智能窗户
JPH054548Y2 (ko)
CN103291183A (zh) 节能环保型多功能窗户
KR101870745B1 (ko) 단열겸용 방범셔터
JP3330354B2 (ja) ペアガラス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ペアガラス窓装置
DE19620619A1 (de) Automatikmarkise
CN213450171U (zh) 内置遮阳卷帘的中空玻璃
EP2431563B1 (en) Energy saving bli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