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103Y1 - 장식용 수용구 - Google Patents

장식용 수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103Y1
KR200315103Y1 KR20-2003-0003091U KR20030003091U KR200315103Y1 KR 200315103 Y1 KR200315103 Y1 KR 200315103Y1 KR 20030003091 U KR20030003091 U KR 20030003091U KR 200315103 Y1 KR200315103 Y1 KR 200315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ottom member
drip tray
chopsticks
parti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철기
Original Assignee
민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철기 filed Critical 민철기
Priority to KR20-2003-0003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나 젓가락의 직립수용이 가능하고, 흘러내리는 물을 용이하게 받아 버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구의 미려한 외관에 의해 단순한 수용구 이외에 인테리어 효과 까지도 연출할 수 있는 장식용 수용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장식용 수용구는, 상부에 걸림부재(11)와 하부에 바닥부재(12)와, 상기 걸림부재와 바닥부재간에 위치되는 구획부재(13)와, 상기 구획부재와 바닥부재 사이에 형성된 안치부(14)와, 상기 걸림부재와 바닥부재 및 구획부재의 외주면에 용착되고 하단측이 절곡되어 받침편(15a)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부재(15)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의 일측에 연장된 손잡이(16)와, 상기 지지부재들의 하부에 용착된 다리(17)들로 이루어진 거치구(10)와; 상기 거치구의 내측에 인입되고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21)이 통공되며, 상단이 상기 걸림부재에 걸쳐지는 수용통(20)과; 상기 구획부재와 바닥부재에 의해 형성된 안치부에 자유롭게 인출입되고, 일측에 파지부(31)가 형성된 물받이(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식용 수용구{KEEPING TOOL FOR DECORATION}
본 고안은 주로 식탁에 올려 놓고 수저나 젓가락 등을 보관하는 장식용 수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저나 젓가락 등에서 발생되는 물을 받을 수 있는 물받이부를 구비하되, 이 물받이부의 원활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저나 젓가락 등이 수용되는 통을 거치하는 거치구의 미적인 외관에 의해 상품의 부가가치가 증대될 수 있는 장식용 수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수저나 젓가락 등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른바, 수저통에 수용하여 보관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수저통은 사각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뚜껑은 몸체에 수용된 수저나 젓가락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투시창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 내부에 수저 및 젓가락 등을 수용하여 보관한 후, 필요할 때 꺼내어 사용한다.
그러나, 대개의 수저 및 젓가락 등을 세척하고 난 이후, 세척시 사용된 물이 그대로 수저 및 젓가락 등에 묻어나게 됨에 따라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세척시 묻어난 물을 닦은 후, 수저통의 몸체 내부에 수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물을 닦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
더욱이 물기를 완전하게 제거하지 않을 경우엔, 물기가 수저나 젓가락 등과 함께 그대로 수저통의 몸체 내부에 방치되기 때문에, 수저나 젓가락을 사용하기 위해 꺼낼 경우, 불쾌한 느낌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수저통이 대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저나 젓가락 등을 수용하여 보관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수저나 젓가락의 세척시 묻은 물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수저통들이 제안되고는 있으나, 이 또한 상기 문제점들을 완전하게 해결하지는 못한다.
한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130829호인 분리조립식 직립 수저통이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공고된 공보에 게재된 바와 같이 통내부가 여러칸으로 나누어진 직립식 수저통에 있어서, 상단에 금속재 손잡이가 착설된 외통이 내통에 끼워지고 내통의 측벽에 대향되게 연장형성된 기립편이 상단에 영구자석과 감착구를 착설하여 저면에 괘지편이 형성된 뚜껑을 끼워 덮어 씌우고, 내통 저부에 암나사돌환이 중앙에 천설된 밑판을 감착하여 수저통 본체를 구성하고, 내통 하단에 형성된 절결부를 통하여 삽설된 물받이 위에 구멍이 다수 천설되고 구획편이 구비된 접시형 수저받이를 얹어 놓고, 밑판 저부에 돌설된 암나사돌환에 통공이 천설된 받침대를 회전되게 끼운 다음, 수나사돌환이 형성된 연결구로 나사식으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분리조립식 직립수저통은, 수저나 젓가락 등이 직립수용됨에 따라 세척시 묻어있던 물이 아래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하부에 흘러내린 물을 받아 버릴 수 있는 물받이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흘러내린 물을 버리기 용이하도록 한다.
그러나, 설명한 바와 같이 그 구성요소들이 많아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오고, 이 또한 수저나 젓가락 등을 수용하여 보관하는 단순한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는 못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수저나 젓가락 등을 수용하여 보관하는 수저통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저나 젓가락의 직립수용이 가능하고, 흘러내리는 물을 용이하게 받아 버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구의 미려한 외관에 의해 단순한 수용구 이외에 인테리어 효과 까지도 연출할 수 있는 장식용 수용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저나 젓가락 등을 수용하는 수용구 이외에 예컨대 화분 등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식용 수용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장식용 수용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장식용 수용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수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거치구 11 : 걸림부재
12 : 받침부재 13 : 구획부재
14 : 안치부 15 : 지지부재
15a : 받침편 16 : 손잡이
17 : 다리 20 : 수용통
21 : 배출공 30 : 물받이
31 : 파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장식용 수용구는,
상부에 걸림부재와 하부에 바닥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와 바닥부재간에 위치되는 구획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와 바닥부재 및 구획부재의 외주면에 용착되고 하단측이 절곡되어 받침편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의 일측에 연장된 손잡이와, 상기 지지부재들의 하부에 용착된 다리들로 이루어진 거치구와;
상기 거치구의 내측에 인입되고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통공되며, 상단이 상기 걸림부재에 걸쳐지는 수용통과;
상기 구획부재와 바닥부재에 의해 형성된 안치부에 자유롭게 인출입되고, 일측에 파지부가 형성된 물받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는 일측과 타측이 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나머지 면들은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의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나머지면들의 너비는, 상기 거치구에 구성된 하나의 지지부재와 대응되는 지지부재의 너비와 적은 너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장식용 수용구는 수저나 젓가락 등이 직립수용되어 보관되는 수용통을 거치하는 거치구가 미려한 외관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수저나 젓가락을 보관하는 수용통 기능이외에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음에 따라 식탁이 구비된 주방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생산단가의 절감을 가져오며, 물받이가 원활하게 인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 버리기에 용이하다.
이하, 본 고안인 장식용 수용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장식용 수용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1)와, 바닥부재(12)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11)와 바닥부재(12)를 구획하여 안치부(14)를 형성하는 구획부재(13)와, 상기 걸림부재(11), 바닥부재(12) 및 구획부재(13)의 외주면에 용착되고, 하부에 절곡된 받침편(15a)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부재(15)들과, 상기 지지부재(15)들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 일측에 연장된 손잡이(16)와, 상기 지지부재(15)들의 하부에 용착된 다리(17)들로 구성된 거치구(10)와, 상기 거치구(10)의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걸림부재(11)에 상단측이 걸쳐지고 물이 밖으로 배출되는 배출공(21)이 내부 바닥면에 통공된 수용통(20)과, 상기 수용통(20)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수저나 젓가락 등에서배출되는 물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와 모아질 수 있는 물받이(30)가 상기 구획부재(13)와 바닥부재(12)에 의해 형성된 안치부(14)에 인입구성된다.
상기 물받이(30)는 상기 안치부(14)로부터 용이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일측에 파지부(31)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장식용 수용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구(10)의 걸림부재(11) 내측으로 수용통(20)을 인입한 후, 상기 수용통(20) 내부에 젓가락이나 수저 등을 수용하여 보관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 구(10)의 미려한 외관에 의해 식탁이 아름답게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용통(20)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수저나 젓가락 등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수용통(20)의 내부 바닥면에 통공된 배출공(21)을 통해 밖으로 배출됨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저나 젓가락에 묻은 물기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닦아내지 않아도 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공(21)을 통해 수용통(20)의 외부로 배출된 물은 상기 수용통(20)의 하부에 구성된 물받이(30)에 담겨지게 되고, 담겨진 물을 버리고자 할 경우엔, 상기 물받이(30)의 일측에 형성된 파지부(31)를 파지하여 물받이(30)를 안치부(14)로부터 꺼내어 물을 버리면 된다.
상기 물받이(30)는 안치부(14)로부터 자유로운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호형상으로 형성된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나머지 면들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일직전상으로 형성된 나머지 면들의 너비는, 상기 걸림부재(11)와 구획부재(13) 및 받침부재(12)의 외주면에 용착된 다수개의 지지부재(15)들 중, 대응되는 2개의 지지부재 사이의 너비보다 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받이(30)는 안치부(14)에 인입될 경우, 상기 지지부재(15)들의 하부 절곡에 의해 형성된 받침편(15a)들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떨어지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인 장식용 수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통(20)에 젓가락이나 수저 이외에 다른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통(20)의 내부에 흙을 충진하고 꽃과 같은 식물을 심어 가꾸는 화분으로 사용하여도 되는 것으로, 이 경우에도 상기 수용통(20)을 거치하는 거치구(10)의 아름다운 외관에 의해 화분에 심어진 꽃과 같은 식물이 더욱 미려하게 연출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장식용 수용구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장식용 수용구는, 직립수용되어 보관되는 수저나 젓가락 등에서 흘러내리는 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배출된 물을 모아 버림에 전혀 문제가 없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산단가의 절감을 가져옴에 따라 널리 실용화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용통이 거치되는 거치구의 아름다운 외관에 의해 식탁이 포함된 주방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는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겸할 수 있다.

Claims (3)

  1. 상부에 걸림부재(11)와 하부에 바닥부재(12)와, 상기 걸림부재와 바닥부재간에 위치되는 구획부재(13)와, 상기 구획부재와 바닥부재 사이에 형성된 안치부(14)와, 상기 걸림부재와 바닥부재 및 구획부재의 외주면에 용착되고 하단측이 절곡되어 받침편(15a)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부재(15)와,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재의 일측에 연장된 손잡이(16)와, 상기 지지부재들의 하부에 용착된 다리(17)들로 이루어진 거치구(10)와;
    상기 거치구의 내측에 인입되고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21)이 통공되며, 상단이 상기 걸림부재에 걸쳐지는 수용통(20)과;
    상기 구획부재와 바닥부재에 의해 형성된 안치부에 자유롭게 인출입되고, 일측에 파지부(31)가 형성된 물받이(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수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일측과 타측이 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나머지 면들은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수용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의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일직선상으로형성된 나머지면들의 너비는, 상기 거치구에 구성된 하나의 지지부재와 대응되는 지지부재의 너비와 적은 너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수용구.
KR20-2003-0003091U 2003-01-30 2003-01-30 장식용 수용구 KR200315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091U KR200315103Y1 (ko) 2003-01-30 2003-01-30 장식용 수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091U KR200315103Y1 (ko) 2003-01-30 2003-01-30 장식용 수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103Y1 true KR200315103Y1 (ko) 2003-06-02

Family

ID=4940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091U KR200315103Y1 (ko) 2003-01-30 2003-01-30 장식용 수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1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511B1 (ko) * 2005-02-14 2007-02-05 민철기 받침대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KR100727761B1 (ko) 2006-08-10 2007-06-13 변무현 수저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511B1 (ko) * 2005-02-14 2007-02-05 민철기 받침대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KR100727761B1 (ko) 2006-08-10 2007-06-13 변무현 수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5103Y1 (ko) 장식용 수용구
US20060272209A1 (en) Multi-purpose decorative assembly
USD497688S1 (en) Holder for hair dryer and accessories
CN209898940U (zh) 一种陶瓷组合式花插
KR200351750Y1 (ko) 장식용 수용구
USD583903S1 (en) Bottle holder
CN204379092U (zh) 一种厨房用多功能置物架
KR20110009107U (ko) 외통에 물받이대가 구비된 화분
KR20170003848U (ko) 물받이 화분
KR101502840B1 (ko) 벽면 장식용 화분걸이
CN217554444U (zh) 饮料杯
CN210540318U (zh) 一种空气凤梨展示架
KR200390696Y1 (ko) 가정용 수납용구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CN210540650U (zh) 一种改进的多功能产品置物架
KR200193540Y1 (ko) 화분대
CN215227104U (zh) 一种可伸缩不锈钢毛巾架
KR200465179Y1 (ko) 이동식 칸막이 화분 겸용 수납장
JP2003245179A (ja) 花 器
CN208447382U (zh) 一种多功能厨房置物架
KR200179826Y1 (ko) 주방용 선반
CN213014516U (zh) 一种多功能洗碗槽
JP2000014260A (ja) フラワーポット外装容器
CN107007859A (zh) 一种嵌入式消毒柜
JP3150122U (ja) コップ類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