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302Y1 -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의 분해구조 - Google Patents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의 분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302Y1
KR200314302Y1 KR20-2003-0007034U KR20030007034U KR200314302Y1 KR 200314302 Y1 KR200314302 Y1 KR 200314302Y1 KR 20030007034 U KR20030007034 U KR 20030007034U KR 200314302 Y1 KR200314302 Y1 KR 200314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case
rotating shaft
fasten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선
Original Assignee
이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선 filed Critical 이희선
Priority to KR20-2003-0007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3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54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in which the cabinet or the like is tilted with the b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식 침대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책장과 함께 수납장을 형성하고 이 수납장에서 수용되는 침대를 구성할 때에 상기 침대의 접이에서의 완충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완충장치를 침대 본체에서 쉽게 이탈 및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한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의 분해구조를 제공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소형평수의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은 평수가 작은 룸으로 건설되고 이 방에는 책상과 옷장 및 침대 등이 함께 구비됨으로서 공간이 협소해져 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므로 좁은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수납장에 침대를 접어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시켜 사용하는 수납식 침대가 알려진바 있다.
본 고안은 침대 본체에 고정된 케이스를 구성하고 이 케이스를 관통한 조절볼트로 장력스프링을 체결한 체결너트에 체결되며 상기 장력스프링은 고정봉을 구성한 장력판에 고정하고 장력판과 일체의 회전축을 구성함과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회전축 삽입홈에 회전축을 끼워맞춤하므로 회전축을 기점으로 침대가 회전되며 상기 조절볼트의 해지로 회전축을 케이스에서 이탈시켜 분리하고 또는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침대의 분해조립에 의하여 운반과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부품의 교체가 편리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의 분해구조{Disassemble structure for Shock absorber of drawer-bed}
본 고안은 수납식 침대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책장과 함께 수납장을 형성하고 이 수납장에서 수용되는 침대를 구성할 때에 상기 침대의 접이에서의 완충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완충장치를 침대 본체에서 쉽게 이탈 및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한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의 분해구조를 제공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시화되면서 많은 주택이 건설되고 있으나, 지가상승에 따라 건축물은 좁은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소형평수의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은 평수가 작은 룸으로 건설되고 이 방에는 책상과 옷장 및 침대 등이 함께 구비됨으로서 공간이 협소해져 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필요도구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계하여 설치하므로 좁은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수납장에 침대를 접어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시켜 사용함으로 그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납식 침대가 알려진바 있다.
이러한 수납식 침대는 사용하지 않은 낮에는 수납장내로 수납시켜 좁은 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밤에 침대를 사용할 때에는 수납장에서 침대를 펼쳐 침대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침대가 가지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의한 접이식 및 수납구조는 실용신안등록 제 20-0229337호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접이침대를 힌지하는 회전축에 사각고정판을 일체로 고정시키고 이 고정판 일측에 체결되는 장력스프링을 일정 길이로 연장하여 케이스에 체결함과 함께 상기 케이스를 침대본체에 고정하고 상기 회전축을 연장하여 수납장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침대가 수납장에 이동되어 수직으로 접어지고 수납되어지며 이때에 고정축과 장력스프링간의 장력을 발휘함으로 일정한 힘으로 무거운 침대를 용이하게 들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일정한 위치에서부터는 스프링의 장력으로 침대가 이동되어 수납장에 수용됨과 함께 견고히 지지되며 또는 적은 힘으로 당김으로 접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높인바 있다.
이러한 선 등록고안에서는 장력스프링을 구성한 케이스가 침대 본체에 체결 고정되며 또한 상기 회전축이 침대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수납장에 고정됨으로서 이사 또는 가구의 재배치 등에서 수납장과 분리시키는 작업이 전문가에 의해 한정되므로 가구의 재배치가 불가능하고 또한 수납식 침대의 분해조립에 의한 운반, 보수 및 교체가 어려운 폐단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내에 체결되는 장력스프링을 장력판에 고정하고 일체의 회전축을 구성시키되, 상기 케이스에 회전축 삽입홈을 형성하여 회전축이 끼워져 회전되고 또한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 회전축과 침대본체를 분리시켜 수납장에서의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에 대한 사용상태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침대본체 20;케이스 21;조절볼트
22;장력스프링 23;체결너트 25;삽입홈
30;고정축 31;장력판 32;체결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침대본체에 고정된 케이스를 구성하고 이 케이스를 관통한 조절볼트로 장력스프링을 체결한 체결너트에 체결되며 상기 장력스프링은 고정봉을 구성한 장력판에 고정하고 장력판과 일체의 회전축을 구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회전축 삽입홈에 회전축을 끼워맞춤함으로서회전축을 기점으로 침대가 회전되며 상기 조절볼트의 해지로 회전축을 케이스에서 이탈시켜 분리하고 또는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침대의 분해조립에 의하여 운반과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부품의 교체가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 및 도 3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에 대한 사용상태의 설명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본체(10)에 고정된 케이스(20)를 구성하고 이 케이스(20)를 관통한 조절볼트(21)로 장력스프링(22)에 체결된 체결너트(23)에 체결시켜 신축성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장력스프링(22)의 타측은 장력판(31)에 고정된 체결봉(32)에 체결되고 장력판(31)과 일체의 고정축(30)을 구성시키되,
상기 케이스(20)에는 고정축(30)이 끼워지는 삽입홈(25)을 형성하여 고정축(30)을 끼우거나 이탈시켜 침대본체(10)와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40은 수납장이고 41은 수납장의 측판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 및 도 3은 본 고안의 중요부분에 대한 사용상태의 설명도로 이상에서와 같이 소형평수의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에서 책상과 옷장 및 침대 등을 함께 구비할 때에 좁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수납침대를 이용하게 되는데 수납침대의 사용기간이 경과되거나 또는 이사 등의 계획으로 인해 가구의 재배치, 가구의 증가 등이 요구되면 사용 중인 수납침대를 이동시킬 필요성이 야기된다.
이와 같이 수납침대를 이동시킬 때에 침대본체(10)에 고정된 케이스(20)의 조절볼트(21)를 풀어 장력스프링(22)의 이탈시키면 장력스프링(22)이 자유로운 상태에 있다.
이와 함께 장력스프링(22)을 고정한 체결봉(32)과 장력판(31) 및 고정축(30)도 함께 자유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고정축(30)을 케이스(20)에 형성된 삽입홈(25)에서 간단히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고정축(30)은 수납장(40)의 측판(41)에 회전되지 않게 체결되어 있으므로 침대본체(10)를 이동시켜 케이스(20)의 삽입홈(25)에 끼워진 고정축(30)을 분리하므로 침대본체(10)가 수납장(40)에서 침대만을 분리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침대의 수리 또는 교체 및 이동을 하여 재조립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의해 분리된 수납장(40)과 침대는 분리상태에서 이송하고 새로 설치할 위치에서 수납장(40)을 설치한 다음 수납장(40)의 측판(41)에 미도시된 축공에 고정축(30)을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30)에 침대본체(10)를 설치하되 케이스(2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25)을 고정축(30)에 끼우고 장력스프링(22)의 일측에 구성된체결너트(23)는 케이스(20) 외부에서 관통되는 조절볼트(21)에 체결시켜 조절볼트(21)를 조절함으로 장력스프링(22)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서 침대가 일정한 장력을 발휘하여 접거나 펼칠 때에 장력에 의한 편리성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좁은 면적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납침대에 있어서 수납장과 침대를 간단히 분리하고 또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이사와 고장수리 작업시에 침대를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는 편리성이 증대되고 또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특징을 발휘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소형평수의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에서 책상과 옷장 및 침대 등을 함께 구비할 때에 좁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수납침대를 이용하게 되고 수납침대의 사용에서 기간이 지나거나 또는 이사 등으로 가구의 재배치, 가구의 증가 등에 따라 사용중인 수납침대를 이동시킬 때에 수납장과 침대를 간단히 분리하고 또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이사와 고장수리 작업에서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는 편리성의 증대와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특징을 발휘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침대본체(10)에 고정된 케이스(20)를 구성하고 이 케이스(20)를 관통한 조절볼트(21)로 장력스프링(22)에 체결된 체결너트(23)에 체결시켜 신축성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장력스프링(22)의 타측은 장력판(31)에 고정된 체결봉(32)에 체결되고 장력판(31)과 일체의 고정축(30)을 구성시키되,
    상기 케이스(20)에는 고정축(30)이 끼워지는 삽입홈(25)을 형성하여 고정축(30)을 끼우거나 이탈시켜 침대본체와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 수납장과 침대를 분리 체결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의 분해구조.
KR20-2003-0007034U 2003-03-10 2003-03-10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의 분해구조 KR200314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034U KR200314302Y1 (ko) 2003-03-10 2003-03-10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의 분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034U KR200314302Y1 (ko) 2003-03-10 2003-03-10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의 분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302Y1 true KR200314302Y1 (ko) 2003-05-27

Family

ID=4940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034U KR200314302Y1 (ko) 2003-03-10 2003-03-10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의 분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3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477B2 (en) Table frame
US8851435B1 (en) Rod assembly with reversible locking device
KR101859664B1 (ko) 낚시받침대 고정구
CN205063531U (zh) 用于门手柄和/或窗手柄的止挡体
US8006327B1 (en) Pivoting leg assembly for folding furniture
KR101929065B1 (ko) 전면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 장치
US9844162B2 (en) Sliding rail fixing structure of server cabinet
US6817044B1 (en) Bathroom accessories holder
CA2996914C (en) Cam lock
US9816644B2 (en) Duct stiffening device
KR200314302Y1 (ko)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의 분해구조
GB2441966A (en) Furniture support with detachable legs
US20210137263A1 (en) Quick assembly furniture
JP2004108110A (ja) ストッパー機能付き蝶番
KR100894071B1 (ko) 휴대용 독서대 겸용 책상
KR101207364B1 (ko) 확장판을 구비한 책상
KR20100100467A (ko) 스탠드용 헤드 힌지
KR200253129Y1 (ko) 프레임 높이조절장치
JP2009284765A (ja) ペット用柵
KR200294489Y1 (ko) 지지용 레그장치
CN217631718U (zh) 一种便携式电子围栏装置
RU2013143730A (ru) Петля с регулятором усилия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ых дверей
ES1066942U (es) Bisagra de ajuste multidireccional.
KR102578154B1 (ko) 볼 캡쳐를 이용하여 칸막이의 간격을 조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는 싱크대용 수납서랍
KR200360185Y1 (ko) 수납침대의 장력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