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129Y1 - 프레임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임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129Y1
KR200253129Y1 KR2020010022997U KR20010022997U KR200253129Y1 KR 200253129 Y1 KR200253129 Y1 KR 200253129Y1 KR 2020010022997 U KR2020010022997 U KR 2020010022997U KR 20010022997 U KR20010022997 U KR 20010022997U KR 200253129 Y1 KR200253129 Y1 KR 200253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vertical frame
frame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신 김
Original Assignee
영 신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신 김 filed Critical 영 신 김
Priority to KR2020010022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1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129Y1/ko

Links

Landscapes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열장용 횡프레임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홈(110)이 형성된 수직프레임(100)에 대하여 교차방향으로 결합되며, 일측 단부가 원뿔형인 고정구(600)가 체결되는 관통구멍(210)이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수평프레임(200)이 상기 결합홈(11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몸체(300) 일측으로 가이드면(320)과 지지면(330)이 내삽지게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으로는 관통구멍(210)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는 체결구멍(321)이 관통지게 형성되며, 타측에는 외부로 개구되는 가이드홈(331)이 형성된 고정부재(30)와; 상기 가이드면(320)과 지지면(330)에 밀착되게 위치하며, 일측 단부에는 일정길이 이상으로 연장되게 락킹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320)과 밀착되는 외주면에는 위치고정홈(420)이 원뿔형으로 내삽지게 형성된 슬라이드부재(40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400)의 이동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부재(3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스토퍼(340)와; 상기 스토퍼(340)와 슬라이드부재(400)사이에 설치된 리턴부재(500)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직프레임에 대하여 교차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의 내측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손쉬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그리고, 수직프레임에 대한 수평프레임의 고정이 수평프레임의 외측에서 이루어지므로써, 외관미의 향상 및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고정을 별도의 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하므로써, 손쉬운 교체를 통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 및 인지도를 높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 높이조절장치{FRAME HEIGHT ADJUSTING DEVICE}
본 고안은 자유로운 높이조절을 통한 조립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진열장용 횡프레임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프레임에 교차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수평프레임의 자유로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 등을 올려놓기 위한 진열대 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정길이로 절단된 각각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결합해야 한다.
이 결합방식으로는 수직프레임의 내측면에 수평프레임을 위치시킨 후 수직프레임의 외측에서 나사 등과 같은 고정구를 관통시켜 수평프레임을 체결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부피가 큰 물품이나, 무게가 무거운 물품 등과 같이 하중이 높은 물품을 진열대에 올려놓을 경우에는 용접 등을 통하여 강한 고정력을 얻도록 하고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의 잦은 교체가 발생되거나 물품의 크기에 따라 수평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해야 할 경우에는 수직프레임의 내측면에 별도의 받침대 등을 설치하여 수평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크기로 절단된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사이에 수평프레임을 위치시킨 후 수요자의 요구에 맞춰 그 높이를 조절한 후 별도의 고정구 등을 이용하여 수평프레임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된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유리나, 나무판 등을 설치한 후 그 상부에 진열할 물품을 위치시킨다.
따라서, 조립이 매우 단순하여 최근에는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프레임 고정은 수직프레임에 대하여 교차방향으로 수평프레임을 위치시킨 후 수직프레임의 외측에서 별도의 나사 등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수평프레임을 체결시켜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직프레임의 외측에서 고정구를 관통시켜 고정할 경우 수평프레임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할 경우 기존에 형성되어 있던 고정구멍의 형상이 남게 되어 미관을 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용접 등과 같은 방식으로 수평프레임이 수직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높이조절이 불가능하여 별도의 프레임을 공급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받침대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경우에도 높이조절을 위해서는 이 받침대를 이동시키거나 추가로 설치해야하므로, 조립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프레임에 대하여 교차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의 단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손쉬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프레임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직프레임에 대한 수평프레임의 고정이 수평프레임의 외측에서 이루어 지므로써, 외관미의 향상 및 대량생산이 가능한 프레임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고정을 별도의 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하므로써, 손쉬운 교체를 통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 및 인지도를 높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프레임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를 통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 및 형상을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의 (a)는 본 고안 장치를 통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고정 전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단면도.
(b)는 본 고안 장치를 통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고정 후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직프레임 200 - 수평프레임
300 - 몸체 310 - 걸림턱
320 - 가이드면 321 - 체결구멍
330 - 지지면 331 - 가이드홈
340 - 스토퍼 400 - 슬라이드부재
410 - 락킹부 500 - 리턴부재
600 - 고정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홈이 형성된 수직프레임에 대하여 교차방향으로 결합되며, 일측 단부가 원뿔형인 고정구가 체결되는 관통구멍이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수평프레임이 상기 결합홈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몸체 일측으로 가이드면과 지지면이 내삽지게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으로는 관통구멍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는 체결구멍이 관통지게 형성되며, 타측에는 외부로 개구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가이드면과 지지면에 밀착되게 위치하며, 일측 단부에는 일정길이 이상으로 연장되게 락킹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과 밀착되는 외주면에는 위치고정홈이 원뿔형으로 내삽지게 형성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이동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부재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슬라이드부재사이에 설치된 리턴부재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장치를 수평프레임의 단부 내측에 설치한 후 상기 수평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일측 단부가 원뿔형인 고정구를 체결하는 것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써,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손쉬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며, 수평프레임의 자유로운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를 통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조립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 및 형상을 일부 확대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수평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본 고안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3의 (a) ~ (b)는 본 고안 장치를 통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고정전, 후 상태를 일부 절결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고정구를 통한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위치된 수평프레임의 고정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수직프레임(100)의 외주면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대하여 교차방향으로 위치되는 수평프레임(2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일측 단부가 원뿔형인 고정구(600)가 결합 가능하도록 관통구멍(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 내측에는 높이조절장치(10)가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10)는 고정부재(30)와 슬라이드부재(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30)는 몸체(300) 일측으로 가이드면(320)과 지지면(330)이 내삽지게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으로는 수평프레임(200)에 형성된 관통구멍(210)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는 체결구멍(321)이 관통지게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외부로 개구되게 가이드홈(3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300)의 일측 단부에는 높이조절장치(10)가 수평프레임(200)의 내측에 필요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프레임(200)의 주연부에 단속되는 걸림턱(31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0)와 결합되는 슬라이더부재(400)는 가이드면(320)과 지지면(330)에 각각 밀착되게 위치하며, 일측 단부에는 몸체(300)에서 일정길이 이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지지구(412)와 상기 지지구(412)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재(411)로 이루어진 락킹부(4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면(320)에 밀착되는 외주면으로는 관통구멍(210)과 체결구멍(321)을 통과한 고정구(600)에 의해 단속되는 위치고정홈(420)이 원뿔형으로 내삽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홈(420)의 원주면은 체결구(321)멍을 통과한 고정구(600)의 중심보다 높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300) 일측으로는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는 스토퍼(340)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340)와 슬라이더부재(400)사이에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리턴부재(500)가 설치된다.
상기 리턴부재(500)로는 코일형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판스프링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리턴부재(500)가 고정부재(30)와 슬라이더부재(400)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더부재(400)에는 고정홈(4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300)에 형성된 가이드홈(331)을 따라 슬라이더부재(400)를 결합한 상태로, 일측 단부는 스토퍼(340)에 밀착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홈(430)에 삽입되게 리턴부재(500)가 설치된다.
결국, 상기 스토퍼(340)와 슬라이드부재(400)사이에 설치된 리턴부재(5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부재(400)는 지지면(330)에 밀착한 상태로 결합하게 되고, 그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11)는 걸림턱(310)의 하부로 돌출되게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장치(10)를 통한 수평프레임(200)과 수직프레임(100)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높이조절장치(10)를 수평프레임(200)의 단부에 설치한 후 수직프레임(100)의 외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110)에 걸림부재(411)를 삽입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수평프레임(200)을 고정할 위치로 이동시킨 후 수평프레임(200)에 형성된 관통구멍(210)을 통하여 고정구(600)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고정구(600)는 몸체(300)에 형성된 체결구멍(321)을 따라 전진하게되고, 상기 체결구멍(321)을 통과한 고정구(600)의 단부는 슬라이더부재(400)에 형성된 위치고정홈(420)의 원주면과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600)의 단부와 위치고정홈(420)의 내측이 각각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구(600)가 전진함에 따라, 슬라이더부재(400)는 고정구(600)의 경사면을 따라 그 중심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고정구(600)의 일측 단부와 위치고정홈(420)이 각각 원뿔형으로 형성되므로써, 가능한 것으로, 고정구(600)가 위치고정홈(420)의 내측으로 전진할 경우 위치고정홈(420)과 고정구(600)의 경사면이 상호 접하게 되고, 이를 통해 슬라이드부재(400)가 가이드면(320)을 따라 리턴부재(500)를 압축하면서, 스토퍼(340)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재(400)가 이동함에 따라 그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된 락킹부(410)는 가이드홈(331)을 통해 슬라이드부재(400)와 동일방향으로 이동하게되고, 이를 통해 그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재(411)와 수직프레임(100)과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구(60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고정홈(420)과의 체결을 해제하게 되면, 슬라이드부재(400)는 압축되어 있던 리턴부재(500)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밀려나면서 가이드면(320)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수직프레임(100)과의 체결이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수평프레임(200)은 수직프레임(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110)의 위치에 따라 그 위치를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단순한 고정구(600)의 전, 후 회전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므로써, 손쉬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평프레임(200)의 자유로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수직프레임에 대하여 교차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의 내측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손쉬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둘째, 수직프레임에 대한 수평프레임의 고정이 수평프레임의 외측에서 이루어지므로써, 외관미의 향상 및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셋째,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고정을 별도의 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하므로써, 손쉬운 교체를 통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 및 인지도를 높여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외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홈(110)이 형성된 수직프레임(100)에 대하여 교차방향으로 결합되며, 일측 단부가 원뿔형인 고정구(600)가 체결되는 관통구멍(210)이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수평프레임(200)이 상기 결합홈(110)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몸체(300) 일측으로 가이드면(320)과 지지면(330)이 내삽지게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으로는 관통구멍(210)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는 체결구멍(321)이 관통지게 형성되며, 타측에는 외부로 개구되는 가이드홈(331)이 형성된 고정부재(30)와;
    상기 가이드면(320)과 지지면(330)에 밀착되게 위치하며, 일측 단부에는 일정길이 이상으로 연장되게 락킹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320)과 밀착되는 외주면에는 위치고정홈(420)이 원뿔형으로 내삽지게 형성된 슬라이드부재(40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400)의 이동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부재(3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스토퍼(340)와;
    상기 스토퍼(340)와 슬라이드부재(400)사이에 설치된 리턴부재(5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장용 횡프레임 높이조절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일측 단부에는 수평프레임(200)의 주연부에 단속되는 걸림턱(310)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진열장용 횡프레임 높이조절장치.
KR2020010022997U 2001-07-28 2001-07-28 프레임 높이조절장치 KR200253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997U KR200253129Y1 (ko) 2001-07-28 2001-07-28 프레임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997U KR200253129Y1 (ko) 2001-07-28 2001-07-28 프레임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129Y1 true KR200253129Y1 (ko) 2001-11-22

Family

ID=7310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997U KR200253129Y1 (ko) 2001-07-28 2001-07-28 프레임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12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27Y1 (ko) 2007-10-05 2009-07-28 육성호 진열대용 선반 높이조절장치
KR200451099Y1 (ko) 2008-04-11 2010-11-24 육성호 진열대용 걸이봉 설치 구조
KR101834497B1 (ko) * 2016-05-31 2018-03-05 차문환 조립식 선반구조
KR101826598B1 (ko) * 2017-07-27 2018-03-22 주식회사 우드메탈 가구용 지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27Y1 (ko) 2007-10-05 2009-07-28 육성호 진열대용 선반 높이조절장치
KR200451099Y1 (ko) 2008-04-11 2010-11-24 육성호 진열대용 걸이봉 설치 구조
KR101834497B1 (ko) * 2016-05-31 2018-03-05 차문환 조립식 선반구조
KR101826598B1 (ko) * 2017-07-27 2018-03-22 주식회사 우드메탈 가구용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9335B1 (en) Adjustable grip, clasping device
US8650712B2 (en) Side adjustable door hinge pin socket mechanism
KR200392493Y1 (ko)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US20070163077A1 (en) Universal magnetic door stopper with an air buffering structure
JPH0923909A (ja) 紐締め具
US7625083B2 (en) Spring hinge structure for eyewear
KR200253129Y1 (ko) 프레임 높이조절장치
KR102147567B1 (ko) 도어용 힌지조립체
CN101418649A (zh) 一种把手组件
US20040105718A1 (en) Mannequin joints
US7066595B1 (en) Temple assembly for a pair of glasses
KR200270194Y1 (ko) 반침가구용 선반 높이조절장치
US11242674B2 (en) Fast installation mechanism for faucet
US6226835B1 (en) Hinge
KR20090003332U (ko) 진열대용 선반 높이조절장치
CN110966291A (zh) 一种连接固定装置
US20210381534A1 (en) Fastener structure
CN113545570A (zh) 穿戴设备
JPH07193946A (ja) 埋込ボックスの取付枠固定構造
AU2019100231A4 (en) Connector
KR200381800Y1 (ko) 상품진열대
US11369192B2 (en) Floating table leg cap
KR200313887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경첩
JPH0345623Y2 (ko)
KR20040009514A (ko) 높이 가변식 리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