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221Y1 -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221Y1
KR200314221Y1 KR20-2003-0005010U KR20030005010U KR200314221Y1 KR 200314221 Y1 KR200314221 Y1 KR 200314221Y1 KR 20030005010 U KR20030005010 U KR 20030005010U KR 200314221 Y1 KR200314221 Y1 KR 200314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patien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mpress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오
Original Assignee
휴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5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2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2031/003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with alternated thorax decompression due to lateral compre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는, 환자의 흉골을 압박하는 압박부(12)와, 상기 압박부가 흉골을 압박할 때에 흉곽을 조여 수축시키는 흉곽띠를 가지며 상기 압박부에 연결된 흉곽수축부(16)와, 환자의 흉곽 크기에 따라 흉곽띠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14)를 가진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보드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14)는 상기 보드의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보드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압박부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보관하는 수용홈(22)이 형성되되, 상기 보드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상기 보드에 구비된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심폐소생술 중인 환자를 이송하기가 용이하며, 심폐소생술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작할 수 있고, 환자를 이송하는 중에도 심폐소생술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환자의 회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patient transporting apparatus with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본 고안은 환자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은 심박동이 정지된 시술대상자에게 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신하여 온몸에 산소화된 혈류를 공급하는 것이며,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이 포함된다.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중에 자발적으로 혈류의 순환이 일어나게 하려면 관상동맥 관류압이 20 mmHg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흉골만을 반복적으로 압박하는 방법에 의하면 정상적인 심장 혈류량의 약 10~20% 정도만 유발되므로 자발적인 혈류의 순환이 일어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혈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심폐소생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 예로 본 출원인에 출원된 한국특허 제270596호, 한국특허출원 제2001-58583호, 한국특허출원 제2002-17060호 등이 있다.
상기 한국특허 제270596호는 흉골을 압박하는 심장펌프의 기능과 흉곽을 수축시키는 흉곽펌프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압박 및 수축수단을 구비하여 보다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흉곽띠를 가진 심폐소생기이며, 한국특허출원 제2001-58583호 및 제2002-17060호는 시술대상자의 체격에 따라 흉곽띠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길이조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심폐소생기이다.
그런데, 심폐소생술이 시작된 후에는 심장박동이 회복될 때까지 심폐소생술이 중단되지 않아야 하는데, 종래 심폐소생기는 환자를 이송할 때에 이송용 장비를 사용하여 환자와 심폐소생기를 함께 옮겨야 하므로 심폐소생술을 중단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종래 흉곽띠를 가진 심폐소생기는 환자를 눕히도록 받침본체가 있기는 하지만, 받침본체만으로 환자를 이송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환자를 이송하기가 용이하며 환자를 이송하면서도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는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2는 도1의 입면도,
도3은 도1의 길이조절부의 상세도,
도4는 도2의 길이조절부의 상세도,
도5는 도1의 압박부를 환자의 몸 위에 설치하여 심폐소생기를 작동시킬 때의 상태도,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7은 도6의 입면도,
도8은 도6의 압박부를 환자의 몸 위에 설치하여 심폐소생기를 작동시킬 때의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압박부 13 : 흉곽띠
14 : 길이조절부 16 : 흉곽수축부
20, 120 : 보드 22 : 수용홈
24 : 홈 26, 126 : 산소탱크
28, 128 : 밴드 52, 52' : 기어
54, 54' : 보빈 56 : 구동실린더
58 : 피스톤로드 62 : 랙기어
64 : 이동체 66 : 안내부재
68 : 피니언 70 : 동력전달부
82 : 로킹래칫 84 : 로커
86 : 로킹실린더 122 : 다리
124 : 바퀴
본 고안에 의한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는, 환자의 흉골을 압박하는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가 흉골을 압박할 때에 흉곽을 조여 수축시키는 흉곽띠를 가지며 상기 압박부에 연결된 흉곽수축부와, 환자의 흉곽 크기에 따라 흉곽띠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가진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보드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보드의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보드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압박부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보관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보드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상기 보드에 구비된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드에는 인공호흡시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고 압박장치를 구동할 수 있도록 산소탱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수단은, 운반자가 손으로 잡고 들어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손잡이부로 되어 있거나, 운반자가 밀어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보드의 하측에 고정된 다리와, 상기 다리의 하단부에 결합된 바퀴로 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좌, 우측의 흉곽띠가 항상 동일한 길이로 인입, 인출되면서 감기고 풀리도록 기어로 맞물려 동기되는 한쌍의 보빈과, 상기 한쌍의 보빈을 구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어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랙기어를 가진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이동체에 고정된 로킹 래칫과, 상기 이동체를 소정의 위치에 로킹하도록 상기 로킹 래칫에 물리는 로커를 가진 로킹 실린더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낸다. 도1 및 도2에 도시(배선, 배관 및 흉곽띠는 생략)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드(20)의 중간 외부에는 그 폭방향 단부에 수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2)에는 환자의 흉골을 압박하는 압박부(12)가 수용되며, 상기 보드(20)의 중간 내부에는 환자의 흉곽 크기에 따라 흉곽띠(13 : 도5에 도시)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14)가 고정되고, 상기 압박부(12)와 길이조절부(14)는 상기 압박부(12)가 흉골을 압박할 때에 흉곽을 조여 수축시키는 흉곽띠(13)를 가진 흉곽수축부(16 : 도5에 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흉곽띠(13)는 도5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연결부(18)에 의해 환자의 가슴을 감싸면서 착탈가능케 연결된다. 심폐소생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18)에서 흉곽띠를 분리한 다음, 압박부(12)를 상기 수용홈(22)에 수용시켜 보관하게 된다.
상기 보드(20)에는 운반자가 손으로 잡고 들어서 이동시키도록 그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홈(24)으로 된 다수의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홈 대신에돌출된 손잡이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드(20)의 가장자리 상면에는 인공호흡시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고 압박장치를 구동하도록 산소탱크(26)가 밴드(28)에 의해 매어져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드(20)의 가장자리에는, 심폐소생기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32), 압박부(12)의 의한 압박시 압력을 나타내는 압박압력계(34), 압박깊이를 조절하는 압박깊이조절기(36), 인공호흡시의 산소압력을 나타내는 호흡압력계(38), 호흡량을 조절하는 호흡량 조절기(42)등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14)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 우측의 흉곽띠(13)가 항상 동일한 길이로 인입, 인출되면서 감기고 풀리도록 기어(52, 52')로 맞물려 동기되는 한쌍의 보빈(54, 54')과, 상기 한쌍의 보빈(54, 54')을 구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실린더(56)와, 상기 구동실린더(56)의 피스톤 로드(58)에 고정되어 구동실린더(56)의 작동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랙기어(62)를 가진 이동체(64)와, 상기 이동체(64)를 안내하는 안내부재(66)와, 상기 랙기어(62)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68)과, 상기 피니언(68)의 회전축(69)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54, 5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0)와, 상기 이동체(64)에 고정된 로킹 래칫(82)과, 상기 이동체(64)를 소정의 위치에 로킹하도록 상기 로킹 래칫(82)에 물리는 로커(84)를 가진 로킹 실린더(86)을 구비한다.
상기 보빈(54')이 고정된 축에는 흉곽띠를 복원시키도록 스파이어럴 스프링(88)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실린더(56)는 에어 실린더로서 고정판(9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동실린더(56)의 피스톤 로드(58)는 연결부재(94)에 의해 상기 이동체(64)의 머리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64)의 머리부는 상기 안내부재(66)에 끼워져 슬라이딩하게 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70)는 다수의 기어가 물린 구조로서,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피니언(68)의 회전운동을 상기 보빈(54, 54')에 전달한다.
상기 로킹래칫(82)은 상기 이동체(64)의 머리부에 고정되어 이동체의 길이방향으로 래칫 잇빨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본 고안에서는, 흉곽띠(thoracic strap)를 한 쌍의 보빈이 기어로 맞물려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흉곽띠가 항상 동일한 길이로 인입, 인출되게 한다. 그리고, 흉곽띠 장력조절 장치(도시안됨)에 의해 흉곽띠의 장력이 유지되면 압박부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흉곽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심폐소생술을 시작할 때, 압박부를 흉골의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조작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심폐소생술 시작까지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심폐소생술이 진행 중에 압박부가 흉골의 중앙부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흉곽띠의 장력조절 장치는 심폐소생술의 시작으로부터 진행 중에 이르기까지 이완기(compression diastole) 동안 흉곽띠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흉곽띠 로킹 구조는 압박기(compression systole)에 흉곽띠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흉곽띠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흉골압박과 흉곽 수축의 효과를 심폐소생술의 전 과정 동안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에서,심폐소생술을 시행할 경우에는, 보드(20)에 결합된 길이조절부(14)의 보빈(54, 54') 상측에 환자의 가슴이 위치하도록 눕힌 다음, 수용홈(22)에 수용된 압박부(12)를 들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의 가슴 위에 위치시키고, 흉곽띠(13)를 그 연결부(18)에서 연결시킨다.
다음에, 환자의 체격에 맞추어 길이조절부(14)를 조작하게 되는데,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를 통해 구동실린더(56)를 구동하면 이동체(64)가 안내부재(66)를 타고 이동하게 되고, 이동체(64)의 랙기어(62)에 물린 피니언(68)이 회전하게 되어, 동력전달부(70)를 통해 보빈(54, 54')에 동력이 전달되어 흉곽띠(13)가 보빈(54, 54')에 감기거나 보빈(54, 54')에서 풀리게 되어 흉곽띠(13)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때, 한쌍의 보빈(54, 54')은 기어(52, 52')로 맞물려 동기가 이루어지므로 흉곽띠(13)가 항상 동일한 길이로 인입, 인출되므로 흉곽띠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흉곽띠(13)의 길이가 조절되면 로킹 실린더(86)를 구동하여 그 로커(84)를 로킹래칫(82)의 래칫 잇빨에 물리게 하여 흉곽띠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흉곽띠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보드(20)에 결합된 작동스위치를 '온' 위치로 하여 압박부(12)를 작동함에 의해 흉골을 압박함과 동시에 흉곽을 수축시키면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게 된다. 이때, 산소탱크(26)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환자에게 불어 넣어 인공호흡도 동시에 실시하게 된다. 상기 보드(20)를 이동시킬 때에는 홈(24)에 손을 넣어 잡아 들고 이동시키게 되는데, 환자를 이송하는 중에도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게 된다.
도6 내지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환자이송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자가 밀어서 이동시키도록 보드(120)의 하측에 다리(122)가 고정되고, 상기 다리(122)의 하단부에는 바퀴(124)가 결합된 구조이다. 그리고, 산소탱크(126)는 보드(120)의 중앙 저면에 밴드(128)에 의해 매어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다리(122)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교차되게 힌지결합되어 힌지점(P)을 중심으로 교차각도를 변경함에 의해 보드(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보드(120)의 내부에 결합된 길이조절부(14), 보드(120)의 상측 홈에 수용된 압박부(12), 상기 보드(120)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작동스위치(32), 압박압력계(34), 압박깊이조절기(36), 호흡압력계(38), 호흡량 조절기(42) 등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8은 압박부(12)를 환자의 몸 위에 설치하여 심폐소생기를 작동시킬 때의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에 의하면, 심폐소생술 중인 환자를 이송하기가 용이하며, 심폐소생술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작할 수 있고, 환자를 이송하는 중에도 심폐소생술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환자의 회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

Claims (5)

  1. 환자의 흉골을 압박하는 압박부와, 상기 압박부가 흉골을 압박할 때에 흉곽을 조여 수축시키는 흉곽띠를 가지며 상기 압박부에 연결된 흉곽수축부와, 환자의 흉곽 크기에 따라 흉곽띠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가진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보드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보드의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보드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압박부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보관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보드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상기 보드에 구비된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에는 인공호흡시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도록 산소탱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운반자가 손으로 잡고 들어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손잡이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운반자가 밀어서 이동시키도록 상기 보드의 하측에 고정된 다리와, 상기 다리의 하단부에 결합된 바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좌, 우측의 흉곽띠가 항상 동일한 길이로 인입, 인출되면서 감기고 풀리도록 기어로 맞물려 동기되는 한쌍의 보빈과,
    상기 한쌍의 보빈을 구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고정되어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랙기어를 가진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보빈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이동체에 고정된 로킹 래칫과,
    상기 이동체를 소정의 위치에 로킹하도록 상기 로킹 래칫에 물리는 로커를 가진 로킹 실린더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KR20-2003-0005010U 2003-02-20 2003-02-20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KR200314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010U KR200314221Y1 (ko) 2003-02-20 2003-02-20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010U KR200314221Y1 (ko) 2003-02-20 2003-02-20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603A Division KR100517298B1 (ko) 2003-02-20 2003-02-20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221Y1 true KR200314221Y1 (ko) 2003-05-23

Family

ID=4933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010U KR200314221Y1 (ko) 2003-02-20 2003-02-20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2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831A (ko) * 2020-08-26 2022-03-07 케이디엠씨 주식회사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831A (ko) * 2020-08-26 2022-03-07 케이디엠씨 주식회사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
KR102420034B1 (ko) 2020-08-26 2022-07-12 케이디엠씨 주식회사 외부에서 심폐소생술이 가능한 이동형 음압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0022A1 (en) CPR Gurney
US10406068B2 (en) Lockable head up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upport device
US10695265B2 (en) Chest compression device
US11723832B2 (en) Respiration-assistance systems, devices, or methods
JP4276788B2 (ja) 反対拍動機構を備えたcpr装置
CA1167339A (en) Resuscitation method and apparatus
AU726800B2 (en) Chest compression apparatus for cardiac arrest
CN202078515U (zh) 便携式正负压自动心肺复苏器
JP3774720B2 (ja) 心肺蘇生術装置
JP2003520053A (ja) モジュール型cpr補助装置
US20060047228A1 (en) Device for chest and abdominal compression CPR
KR100517298B1 (ko)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KR200314221Y1 (ko)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KR100448449B1 (ko) 흉곽띠를 가진 심폐소생술 장치
KR20110048789A (ko) 심폐소생기가 결합된 환자이송장치
KR100413009B1 (ko) 심폐소생술 장치
CN115778702A (zh) 一种综合急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