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971Y1 - 변형 윷놀이용 윷놀이 기구 - Google Patents

변형 윷놀이용 윷놀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971Y1
KR200313971Y1 KR20-2003-0004807U KR20030004807U KR200313971Y1 KR 200313971 Y1 KR200313971 Y1 KR 200313971Y1 KR 20030004807 U KR20030004807 U KR 20030004807U KR 200313971 Y1 KR200313971 Y1 KR 200313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fields
horse
play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선
Original Assignee
정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선 filed Critical 정영선
Priority to KR20-2003-0004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말과, 밭 중 하나에 원위치 표시가 되어 있는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일면과, 밭 중 하나에 원위치 표시가 되어 있는 원형 말판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타면을 갖는 윷놀이 말판, 그리고 2개의 윷가락, 젖혀진 면에 상기 말이 현재 위치에서 한 밭을 뒤로 후퇴 이동해야함을 알리는 후퇴 식별자가 표시된 2개의 윷가락, 그리고 젖혀진 면에 상기 말이 현재 위치에서 상기 원위치 표시로 이동해야함을 알리는 원위치 식별자가 표시된 하나의 윷가락으로 구성된 5개의 윷을 포함하는 윷놀이 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윷놀이 기구를 이용하면,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윷놀이를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변형 윷놀이용 윷놀이 기구{IMPLEMENTS FOR MODIFIED YUT GAME}
본 고안은 우리민족 고유의 민속놀이인 윷놀이를 위한 윷놀이 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유의 민속놀이인 윷놀이에 보다 재미를 더할 수 있게 변형된 놀이 규칙을 적용할수 있도록 고안된 윷놀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윷놀이는 우리 민족 고유의 민속놀이로서 대개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날까지 즐긴다. 부여족(夫餘族) 시대에 5가지 가축을 5부락에 나누어주어 그 가축들을 경쟁적으로 번식시킬 목적에서 비롯된 놀이라고 하며, 그에 연유하여 '도'는 돼지, '개'는 개, '걸'은 양, '윷'은 소, '모'는 말에 비유한다. 윷은 박달나무나 붉은 통싸리나무로 만드는데 '장작윷(가락윷)'과 '밤윷'의 2가지가 있고, 관서(關西)·관북(關北) 지방에서는 '콩윷(팥윷)'이라 하여 검정콩이나 팥알 2개를 쪼개어 4개로 만들어 노는 것도 있다. 장작윷은 지름 3cm쯤 되는 나무를 길이 15cm 정도로 잘라 이것을 둘로 쪼개서 4개로 만든 것이며, 밤윷은 작은 밤알만하게(길이 1.8cm, 두께 1cm 가량) 만든 것이다.
밤윷은 주로 경상도 지방에서 사용하는데 통상 간장종지 같은 것에 넣어 손바닥으로 덮어 쥐고 흔든 다음 속에 든 밤윷만 땅바닥에 뿌려 던진다. 콩윷은 대개 토시 한짝을 세워놓고 오른손에 콩알(팥알)을 쥐고 흔들어 토시 속으로 던져 넣는데, 토시가 없을 때는 종이로 토시 모양을 만들어 세우기도 한다.
장작윷은 부녀자들의 경우 주로 안방에서 요나 담요 등을 깔고 놀며, 남자들은 사랑방이나 마당 또는 큰길가에서 가마니나 멍석을 깔고 높이 1m 정도로 던지면서 즐긴다. 던진 윷쪽의 하나(지방에 따라 2개)가 멍석 밖으로 나가면 그 회는 무효로 한다.
윷놀이의 말판은 한쪽이 5밭씩으로 정사각형 또는 원형의 20밭과, 중앙을 정점으로 하는 X자형(원형판은 十자형)의 5밭씩 도합 29밭이며, 윷을 던져 땅에 떨어진 모양에서 하나가 젖혀지면 '도'로 한 밭씩, 2개가 젖혀지면 '개'로 두 밭씩, 3개가 젖혀지면 '걸'로 세 밭씩, 4개가 모두 젖혀지면 '윷'으로 네 밭씩, 모두 엎어지면 '모'로 다섯 밭씩을 갈 수 있다.
앞에 가던 상대편 말을 잡거나, '윷', '모'가 나오면 한 번 더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4개의 말이 상대편보다 먼저 말판을 돌아오는 편이 승리한다. 또 한꺼번에 2개 이상의 말을 함께 쓸 수도 있는데, 이것을 '업'이라 하여 보다 능률적이기는 하지만 상대편 말에 잡힐 경우에는 더욱 불리하게 된다. 윷놀이는 인원수의 제약을 받지 않으나 보통 4명이 서로 편을 갈라서 하는 것이 상례인데, 이때는 각 편 사람들이 서로 번갈아가며 윷을 던진다.
이러한 윷놀이는 여러명이 참가하여 단결심과 화목을 다질 수 있는 좋은 놀이이지만, 전통적인 윷놀이는 놀이규칙이 단순하고 흥미 및 관심 유발이 부족하여 상시적인 대중적인 놀이로서 자리매김하지 못하고 명절 등에서만 즐기는 일시적인 놀이로 전락하였고, 최근에는 이마저 화투 등의 외래 오락 문화에 그 자리를 내어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윷놀이를 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몸체로 구성된 다수의 말과 윷가락, 그리고 윷놀이 말판이 필요한데, 종래의 윷놀이 기구는 이러한 독립된 다수의 구성품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도구가 제공되지 않아서 구성품을 분실할 우려가 크고 이동시 다수의 구성품을 번거롭게 모두 챙겨야 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윷놀이를 전통적인 놀이규칙 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형된 놀이규칙을 적용하여 즐길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윷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말, 말판, 윷가락 등과 같은 윷놀이 기구 구성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윷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말과, 밭 중 하나에 원위치 표시가 되어 있는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일면과 밭 중 하나에 원위치 표시가 되어 있는 원형 말판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타면을 갖는 윷놀이 말판과, 그리고 2개의 윷가락, 젖혀진 면에 상기 말이 현재 위치에서 한 밭을 뒤로 후퇴해야함을 알리는 후퇴 식별자가 표시된 2개의 윷가락, 그리고 젖혀진 면에 상기 말이 현재 위치에서 상기 원위치 표시로 이동해야함을 알리는 원위치 식별자가 표시된 하나의 윷가락으로 구성된 5개의 윷을 포함하는 윷놀이 기구를 제공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납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며 개방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며 자유단부에 벨크로가 형성된 개폐부재로 구성된 윷보관함이 상기 윷놀이 말판의 면 중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윷놀이 기구를 제공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윷이 젖혀지다"라고 하는 것은 윷의 편평한 면과 둥근 면 중 편평한 면이 상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고, "윷이 엎어지다"라고 하는 용어는 그 반대의 경우를 일컫는 말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형 윷놀이용 말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형 윷놀이에 사용되는 윷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 윷놀이에 사용되는 말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 윷놀이에 사용되는 말판의 방패형 말판표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 윷놀이에 사용되는 말판의 원형 말판표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1의 말판의 측면도.
도 7은 도 1의 말판의 윷보관함 개방부가 열린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윷보관함을 납작하게 만든 상태의 말판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말판
20: 원형 말판
30: 방패형 말판
40: 윷보관함
50: 윷
60: 말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윷놀이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의 윷놀이 기구를 구성하는 말판(100), 윷(50), 그리고 말(6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윷놀이 기구를 구성하는 말판(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말판(100)은 평판(10)과, 평판(10) 양면에 각각 인쇄된 원형 말판 도형(20) 및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30)과, 말판(100)의 일측에 형성된 윷보관함(40)으로 구성된다.
평판(10)은 대략 2 ~ 3mm 두께의 합성수지 혹은 고무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관 혹은 이동시의 편리성을 더하기 위해 롤 형태로 말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10)의 상·하면에는 원형 말판 도형(20)과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30)이 인쇄되어 있다. 말판 도형(20, 30)에 대해서는 후에 보다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윷보관함(40)은 윷(50) 및 말(60)을 말판(100)과 함께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41)와 개폐부재(42)로 구성되어 있다. 일방이 개방된 본체(41)는 일정한 체적의 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며, 여기에는 다수의 윷가락(52 내지 59) 및 말(60)이 수납될 수 있다. 개폐부재(42)는 본체(41)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윷보관함(40)은 윷가락(52 내지 59)과 말(60)을 꺼낸 후에 납작하게 되어 그 부피가 최대한 작게 될 수 있도록 섬유 혹은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부재(42)는 본체(4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원형 말판 도형(20)이 인쇄된 평판(10)의 면에 윷보관함(40)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윷놀이 기구를 구성하는 윷(5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윷(50)은 제1 윷가락 내지 제5 윷가락(52 내지 59)의 총 5개의 윷가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태에 있어서 전통적인 윷놀이에 사용된 윷의 모양과 거의 유사하다. 제1 및 제2 윷가락(52, 54)은 젖혀진 면에 "X" 형상의 식별기호가 다수 표시되어 있다. 제3 윷가락(56)의 젖혀진 면에는 "O" 형상의 식별기호가 다수 표시되어 있다. 제4 및 제5 윷가락(58, 60)의 젖혀진 면에는 아무런 표시가 되어 있지 않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윷놀이 기구를 형성하는 말(60)이 도시되어 있다. 말(60)은 납작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말을 업고 가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그 상면에는 다양한 도형이나 기호를 형성하여 팀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팀을 구별하기 위하여 말(60)의 색깔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30)이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윷놀이 기구의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30)은 사각형의 4개의 변, 2개의 대각선(31, 33), 그리고 하나의 중앙선(37) 상에 형성된 총 35의 밭으로 구성되어 있다. 밭 중에는 출발점이 되는 밭(36)과, 종료점이 되는 밭(34)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수평으로 연장된 변이 수직으로 연장된 변보다 많은 밭을 포함하고 있고, 중앙선(37)이 추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윷놀이 말판 도형과 다른 형태로 한 것은 변형 자체로서 보다 더 흥미를 돋구고, 윷을 던져 "모"가 나오면 5개의 밭을 진행하도록 되어 있고 말판의 중앙으로 진출하는 시작점이 되는 모서리와 모서리 사이가 5개의 밭의 진행으로 이루어져 있어 보다 쉽게 놀이가 끝나도록 되어 있는 전통적인 윷놀이 말판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총 35개의 밭은 상기 4개의 변에 형성된 22개의 외부밭과, 한 가운데 있는 하나의 중앙밭(39), 그리고 2개의 밭으로 구성되는 제1 내지 제6 내부밭을 포함한다. 중앙밭(39)은 상기 22개의 외부밭 중 출발점이 되는 밭(36)을 제1 밭으로 하였을 때, 제1 모서리가 되는 제5 밭(38a)과 제3 모서리인 제16 밭(38c)을 연결하는 직선인 제1 대각선(31)과 제2 모서리인 제11 밭(38b)과 종료점이 되는 밭(34)인 제22 밭을 연결하는 직선인 제2 대각선(33)과 상기 외부밭 중 제8 밭과 제19 밭을 연결하는 직선인 중앙선(37)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다. 내부밭은 상기 제5 밭(38a)과 상기 중앙밭(39) 사이에 상기 제1 대각선(31)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1 내부밭(35a)과, 상기 제11 밭(38b)과 상기 중앙밭(39) 사이에 상기 제2 대각선(33)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2 내부밭(35b)과, 상기 제16 밭(38c)과 상기 중앙밭(39) 사이에 상기 제1 대각선(31)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3내부밭(35c)과, 상기 제22 밭(34)과 상기 중앙밭(39) 사이에 상기 제2 대각선(33)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4 내부밭(35d)과, 상기 제8 밭과 상기 중앙밭(39) 사이에 상기 중앙선(37)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5 내부밭(35e)과, 상기 제19 밭과 상기 중앙밭(39) 사이에 상기 중앙선(37)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6 내부밭(35f)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30)은 원위치 표시가 된 밭(32)을 포함한다. 원위치 표시는 임의의 밭에 표시가능 하지만, 종료점인 밭(34)으로 가기에 보다 힘들어지는 위치의 밭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30)에서는 상기 제3 내부밭(35c) 중 상기 제16 밭에 가까운 밭(32)에 원위치 표시를 하고 있다.
도 5에는 원형 말판 도형(20)이 도시되어 있다.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30)과 비교하였을 때, 원형 말판 도형(20)은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30)의 사각형상 대신 원호 형상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외부밭이 원형태의 원주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윷놀이 말판 도형과 거의 유사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형 말판 도형(20)은 원주를 따라 형성된 20개의 외부밭과, 상기 20개의 외부밭 중 출발점이 되는 밭(26)을 제1 밭으로 하였을 때, 제5 밭과 제15 밭을 연결하는 직선인 제1 직선(21)과, 제10 밭과 제20 밭을 연결하는 직선인 제2 직선(23)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 하나의 중앙밭과, 상기 제5 밭, 제10 밭, 제15 밭 및 제20 밭과 상기 중앙밭 사이에 형성되는 8개의 제1 내지 제4 내부밭으로 구성되고, 원위치 표시는 상기 제3 내부밭(25c) 중 제15 밭에 가까운밭(22)에 표시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윷보관함(4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개폐부재(42)의 하면과 평판(10)의 상면에는 벨크로(12, 44)가 형성되어 있다. 윷놀이가 끝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42)를 열어, 윷(50)과 말(60)을 본체(41)에 수납시킨 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42)를 닫으면 벨크로(12, 44)에 의해 개폐부재(42)가 평판(1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놀이를 시작하기 위해 윷(50)과 말(60)을 윷보관함(40)으로부터 꺼낸 후, 예를 들면, 손바닥 등을 이용하여 본체(41)를 가압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윷보관함(40)을 납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납작한 형태로 하면, 윷보관함(40)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 평판의 면에 형성된 말판 도형(20)을 이용하고자 할 때, 말판(100)을 보다 편평한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윷놀이 기구를 이용하면 다음에 기술된 여러 가지 변형된 다양한 방법으로 윷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놀이 방법의 선택은 전적으로 참가자의 선택 사항이다.
먼저, 놀이 참가자는 5개의 윷(50) 중 4개를 선택한다. 5개의 윷가락을 모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이 경우 4개의 윷만 사용하는 전통적인 도, 개, 걸, 윷, 모의 구분, 예를 들어, 도는 윷가락 하나가 젖혀지고, 3개의 윷가락이 엎어지는 등의 개념을 적용할 수 없고, 놀이 참가자 간의 특별한 규칙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4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1, 제2, 제3, 제4의 윷가락(52 내지 58)을 선택할 수도 있고, 제2, 제3, 제4, 제5의 윷가락(54 내지 59)을 선택하는 등 참가자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제3, 제4의 윷가락(52 내지 58)을 선택한 경우에는, "X" 형상 식별기호의 윷가락이 2개이고, "O" 형상 식별기호를 갖는 윷가락이 1개, 아무 표시가 없는 윷가락이 1개 이므로, "X" 형상 식별기호를 갖는 윷가락 하나만이 젖혀진 경우에는 이른바 "백 도"로서 말을 거꾸로 한 밭을 후퇴 이동시키는 것으로, "X" 형상 윷가락 2개만이 젖혀진 경우에는 "백 개"로서, 말을 두 밭을 후퇴 이동시키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O" 형상 식별기호를 갖는 윷가락만이 젖혀지면 이른바 "원위치"로 하여, 현재의 말의 위치에 상관없이, 말판 도형(20 혹은 30) 상의 원위치 표시를 갖는 밭(22 혹은 32)에 말을 위치시키는 것으로 정할 수도 있다. 또한, "X" 형상 식별기호의 윷가락 하나와 "O" 형상 식별기호의 윷가락 하나만이 젖혀진 경우에는 "개"로 하던지 또는 윷을 다시 던지게 하는 등 별도의 규칙을 정할수 있다.
본 고안의 윷놀이 기구를 이용하면,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윷놀이를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변형된 놀이 규칙을 적용할 수 있어, 전통적인 윷놀이의 단순성을 피할 수 있고, 놀이를 보다 흥미롭게 만들 수 있다.
본 고안의 윷놀이 기구의 말판은 양면에 말판 도형이 형성됨으로써, 전통적인 윷놀이 말판 도형에 원위치 표시를 별도로 형성한 원형 말판 도형과, 밭의 수 및 밭의 배치가 전통적인 윷놀이 말판 도형과 다르고 또한 원위치 표시를 갖는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을 선택적으로 즐길 수 있다.
특히,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은 출발와 종료점 사이의 경로가 다양하여 기존의 윷놀이와 비교하여 전혀 새로운 방식의 윷놀이를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5개의 윷가락 중 4개를 선택하여 즐길 수 있기 때문에, 놀이 참가자의 의사 및 상황을 반영하여 원위치 표시로 가야됨을 의미하는 윷과 후퇴이동 해야함을 의미하는 윷을 선택하여 놀이를 즐길 수 있어 놀이에 흥미를 더할 수 있다.
또한, 말판에 윷보관함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윷과 말의 분실 우려가 적고 이동시 윷놀이 기구의 관리가 쉽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5)

  1. 말과,
    밭 중 하나에 원위치 표시가 되어 있는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일면과, 밭 중 하나에 원위치 표시가 되어 있는 원형 말판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타면을 갖는 평판과, 상기 면 중 하나에 부착되고 납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며 개방부를 갖는 윷보관함을 갖는 윷놀이 말판, 그리고
    2개의 윷가락, 젖혀진 면에 상기 말이 현재 위치에서 한 밭을 뒤로 후퇴 이동해야함을 알리는 후퇴 식별자가 표시된 2개의 윷가락, 그리고 젖혀진 면에 상기 말이 현재 위치에서 상기 원위치 표시로 이동해야함을 알리는 원위치 식별자가 표시된 하나의 윷가락으로 구성된 5개의 윷
    을 포함하는 윷놀이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윷보관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며 자유단부에 상기 평판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된 개폐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윷놀이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벨크로이고, 상기 평판에는 대응 벨크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윷놀이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패연 형상 말판 도형은 사각형의 4개의 변에 형성된 22개의 외부밭과, 상기 22개의 외부밭 중 출발점이 되는 밭을 제1 밭으로 하였을 때, 제1 모서리인 제5 밭과 제3 모서리인 제16 밭을 연결하는 직선인 제1 대각선과, 제2 모서리인 제11 밭과 종료점이 되는 밭인 제22 밭을 연결하는 직선인 제2 대각선과, 그리고 상기 외부밭 중 제8 밭과 제19 밭을 연결하는 직선인 중앙선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 하나의 중앙밭과, 상기 제5 밭과 상기 중앙밭 사이에 상기 제1 대각선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1 내부밭과, 상기 제11 밭과 상기 중앙밭 사이에 상기 제2 대각선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2 내부밭과, 상기 제16 밭과 상기 중앙밭 사이에 상기 제1 대각선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3 내부밭과, 상기 제22 밭과 상기 중앙밭 사이에 상기 제2 대각선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4 내부밭과, 상기 제8 밭과 상기 중앙밭 사이에 상기 중앙선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5 내부밭과, 상기 제19 밭과 상기 중앙밭 사이에 상기 중앙선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6 내부밭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위치 표시는 상기 제3 내부밭 중 상기 제16 밭에 가까운 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윷놀이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말판 도형은 원주를 따라 형성된 20개의 외부밭과, 상기 20개의 외부밭 중 출발점이 되는 밭을 제1 밭으로 하였을 때, 제5 밭과 제15 밭을 연결하는 직선인 제1 대각선과 제10 밭과 제20 밭을 연결하는 직선인 제2 대각선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 하나의 중앙밭과, 상기 제5 밭과 상기 중앙밭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제1 내부밭과, 상기 제10 밭과 상기 중앙밭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제2 내부밭과, 상기 제15 밭과 상기 중앙밭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제3 내부밭과, 상기 제20 밭과 상기 중앙밭 사이에 형성된 2개의 제4 내부밭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위치 표시는 상기 제3 내부밭 중 상기 제15 밭에 가까운 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윷놀이 기구.
KR20-2003-0004807U 2003-02-19 2003-02-19 변형 윷놀이용 윷놀이 기구 KR200313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807U KR200313971Y1 (ko) 2003-02-19 2003-02-19 변형 윷놀이용 윷놀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807U KR200313971Y1 (ko) 2003-02-19 2003-02-19 변형 윷놀이용 윷놀이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971Y1 true KR200313971Y1 (ko) 2003-05-22

Family

ID=4940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807U KR200313971Y1 (ko) 2003-02-19 2003-02-19 변형 윷놀이용 윷놀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9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993A (ko) * 2022-03-04 2023-09-12 정상진 변형 윷판을 이용한 윷놀이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993A (ko) * 2022-03-04 2023-09-12 정상진 변형 윷판을 이용한 윷놀이 기구
KR102618457B1 (ko) 2022-03-04 2023-12-27 정상진 변형 윷판을 이용한 윷놀이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3867A (en) Finger football/finger rugby game
US11179625B2 (en) Flick football game and method of playing
US7367907B1 (en) Tri-surface table tennis game
GB2302661A (en) Games and puzzles
US9320953B2 (en) Stack-and-avoid game kit
US9616325B2 (en) Play by play football game
US1603717A (en) Football game
US7530573B2 (en) Memory and assembly game
US11338184B2 (en) Golf game
KR200313971Y1 (ko) 변형 윷놀이용 윷놀이 기구
US20230226438A1 (en) Simulated soccer game device and method
US5820127A (en) Rotating trading card apparatus and gameboard
WO2005105250A3 (en) Collectible card games
US4429881A (en) Portable golf game
Lin et al. NCTU6 wins the man-machine connect6 championship 2009
US8201829B2 (en) Stack and avoid game
US20090230623A1 (en) Judo games
KR101211705B1 (ko) 블록쌓기 윷놀이 세트
US5827138A (en) Ball game and bat for use therewith
US7802794B1 (en) Baseball board game
CN218686228U (zh) 一种手掷乌龙球桌
KR101175179B1 (ko) 윷놀이 주사위
CENTER PASTIMES
KR200273830Y1 (ko) 한 세트의 윷가락 및 말판
KR200158299Y1 (ko) 윳을 이용한 야구놀이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