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943Y1 -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 Google Patents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943Y1
KR200313943Y1 KR20-2003-0004497U KR20030004497U KR200313943Y1 KR 200313943 Y1 KR200313943 Y1 KR 200313943Y1 KR 20030004497 U KR20030004497 U KR 20030004497U KR 200313943 Y1 KR200313943 Y1 KR 200313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cushion
cushion member
synthetic resin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일
Original Assignee
김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일 filed Critical 김태일
Priority to KR20-2003-0004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9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of different resilience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의 깔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매트리스는 물론 소파 겸용 침대와 소파의 쿠션부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쿠션부재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면서 각각의 쿠션부재들이 독립적인 쿠션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쿠션부재로 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매트리스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매트리스의 중량을 줄이고, 쿠션작용을 할 때 발생되는 금속 마찰음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트리스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무수히 많은 쿠션부재들로 인하여 한사람의 움직이는 충격이 옆 사람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트리스용 쿠션부재에 관한 것으로, 이는 침대의 깔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의 커버 내부에는 상단지지부재와 하단지지부재의 사이로 무수히 많은 합성수지로 형성한 쿠션부재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합성수지로 형성한 쿠션부재는 그 원주면에 탄성주름부와 다수의 에어홀을 갖도록 형성하여 탄성주름부에서 쿠션작용을 하고, 에어홀에서는 쿠션작용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매트리스용 쿠션부재{Cushion device for a mattress}
본 고안은 침대의 깔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매트리스뿐만 아니라, 소파 겸 침대와 소파의 쿠션부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트리스용 쿠션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트리스의 쿠션부재를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각각의 쿠션부재들이 독립적인 쿠션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쿠션부재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매트리스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매트리스용 쿠션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보드와 받침부 및 프레임을 갖는 침대는 프레임의 중앙부에 다양한 형태의 깔판을 구비하여 그 깔판 위에 매트리스를 올려놓음으로서 사용자가 매트리스 위에 누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프레임 중앙부에 구비되는 깔판은 막대형상의 깔판을 가로 방향으로 다수개 구비하여 그 막대깔판 위에 매트리스를 올려놓도록 한 구성과, 프레임 내부 전체를 통깔판으로 구성하여 그 통깔판 위에 매트리스를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대용 매트리스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물인 커버(51)의 내부에 상부와 하부 철근 프레임(54)(55)을 구비하고, 그 철근 프레임(54)(55)의 사이에 무수히 많은 장구통타입의 코일스프링(56)을 구비하되 철근 프레임(54)(55)과 코일스프링(56)들을 서로 고정하고, 코일스프링(56)들끼리도 고정하여 철근 프레임(54)(55)과 코일스프링(56)들이 위치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 후, 그 외측으로 쿠션보조재(52)(53)를 덧대어 매트리스(50)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코일스프링(56)을 구비한 매트리스(50)의 경우에는 매트리스(50)가 매우 무거울 뿐만 아니라, 매트리스(50)의 일부분을 눌러도 상당히 넓은 부분의 매트리스(50)가 동시에 흔들리는 것이므로 2인 이상이 함께 매트리스(50) 위에 누워있을 때는 옆에 있는 사람이 움직이면 매트리스(50)의 대부분이 출렁이면서 가만히 있던 옆 사람도 함께 움직이게 되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무수히 많은 코일스프링(56)을 구비한 매트리스(50)의 경우에는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2인용의 경우는 혼자서 매트리스(50)를 들어서 옮기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매트리스(50) 내부의 코일스프링(56)이 쿠션작용을 할 때마다 금속마찰음이 발생되어 숙면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매트리스(50)의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56)들을 서로 연결 구성하지 않고 각각 포켓을 씌워서 독립된 쿠션작용을 하도록 하는 매트리스(50)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코일스프링(56)마다 포켓을 씌워서 구성되는 매트리스(50)는 한사람이 매트리스(50) 위에서 움직여도 같은 매트리스(50) 위에 있는 다른 사람이 그 움직임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여전히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매트리스(50)의 중량은 줄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되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침대의 깔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매트리스는 물론 소파 겸용 침대와 소파의 쿠션부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쿠션부재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면서 각각의 쿠션부재들이 독립적인 쿠션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쿠션부재로 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매트리스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매트리스의 중량을 줄이고, 쿠션작용을 할 때 발생되는 금속 마찰음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트리스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무수히 많은 쿠션부재들로 인하여 한사람의 움직이는 충격이 옆 사람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트리스용 쿠션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 2의 쿠션부재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도 5의 쿠션부재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8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9은 본 고안 도 8의 쿠션부재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 도 9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 도 9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쿠션부재를 사각형으로 구성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종래의 쿠션부재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침대 3 : 매트리스
7 : 상단지지부재 8 : 하단지지부재
10, 20, 30 : 쿠션부재
101, 102, 201, 231, 301, 302 : 돌출부
110, 111, 112, 210, 211, 212, 310 : 탄성주름부
120, 121, 122, 220, 221, 222, 320, 321 : 에어홀
230 : 캡 701, 801 : 지지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침대(1)의 깔판(2)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매트리스(3)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의 커버(4) 내부에는 상단지지부재(7)와 하단지지부재(8)의 사이로 무수히 많은 합성수지로 형성한 쿠션부재(1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로 형성한 쿠션부재(10)는 그 원주면에 탄성주름부(110)와 다수의 에어홀(120)(121)을 갖도록 형성하여 탄성주름부(110)에서 쿠션작용을 하고, 에어홀(120)(121)에서는 쿠션작용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3)의 내부에 무수히 많은 쿠션부재(10)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각각의 쿠션부재(10)가 독립적으로 쿠션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쿠션부재(10)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단지지부재(7)와 하단지지부재(8)가 구비되고, 그 상단지지분재(7)와 하단지지부재(8)의 상측과하측에는 각각 쿠션보조재(5)(6)를 구비한 후, 메트리스(3)의 커버(4)를 씌움으로서 본 고안의 쿠션부재(10)가 구비된 매트리스(3)를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블로우 몰딩(blow molding)하여 쿠션부재(10)를 형성함으로서 금속의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던 종래에 비교하여 월등하게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쿠션부재(10)의 원통형 중앙에 탄성주름부(110)를 형성함으로서 그 탄성주름부(110)가 하중에 대한 쿠션작용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탄성주름부(110)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에어홀(120)(121)을 형성함으로서 탄성주름부(110)에 의한 쿠션작용이 있을 때마다 쿠션부재(10)의 내외측 공기가 에어홀(120)(121)을 통해 흐르게 되므로 쿠션작용이 원활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탄성주름부(110)와 에어홀(120)(1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재(10)의 원주면 상측과 하측에 탄성주름부(111)(112)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에어홀(122)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상기 쿠션부재(10)의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돌출부(101)(102)를 형성하고, 매트리스(3)의 상단지지부재(7)와 하단지지부재(8)에도 각각 지지홀(701)(801)을 형성하여 쿠션부재(10)의 돌출부(101)(102)가 지지홀(701)(80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매트리스(3)의 사용중에 쿠션부재(10)가 위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쿠션부재(10)의 윗면과 아랫면에 돌출부(101)(102)를 형성할 때도 탄성주름부(110)(111)(112)와 에어홀(120)(121)(122)이 쿠션부재(10)의 원주면 상측과 중앙부 어디 곳에 있는지 관계없이 돌출부(101)(102)는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매트리스(3) 내부의 상단지지부재(7)와 하단지지부재(8)의 사이에 구성되는 쿠션부재(20)를 상단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사출 성형하고, 그 개방된 상단부에는 캡(230)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쿠션부재(20) 원주면의 중앙측와 상하단측에 형성되는 탄성주름부(210)(211)(212)와 에어홀(220)(221)(222)을 형성하여 중앙부에 형성되는 탄성주름부(210)와 상하단에 형성되는 탄성주름부(211)(212)가 쿠션작용을 하고, 상하측에 형성된 에어홀(220)(221)과 중앙측에 형성된 에어홀(222)을 통해 쿠션부재(20) 내외측으로 공기가 흐르면서 원활한 쿠션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쿠션부재(20)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되는 캡(230)은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되 쿠션부재(20)의 상단에 캡(230)을 결합할 때 접착제를 사용하여 캡(230)을 쿠션부재(20)에 접착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 도 9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확대 종단면도로서,
상기와 같이 사출 성형하는 쿠션부재(20)의 아랫면에는 쿠션부재(20)와 일체인 돌출부(201)를 형성하고, 상기 쿠션부재(20)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되는 캡(230)에도 돌출부(231)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201)(231)들은 매트리스(3)의 상단지지부재(7)와 하단지지부재(8)에 형성한 지지홀(701)(801)에 각각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매트리스(3)의 사용중에 쿠션부재(20)가 상단지지부재(7)와 하단지지부재(8)의사이에서 위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쿠션부재(20)의 아랫면과 캡(231)에 돌출부(201)(231)를 형성할 때도 탄성주름부(210)(211)(212)와 에어홀(220)(221)(222)이 쿠션부재(20)의 원주면 상측과 중앙부 어디 곳에 있는지 관계없이 돌출부(201)(231)는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쿠션부재(10)(20)들을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 외에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재(30)를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쿠션부재(30)에도 탄성주름부(310)와 에어홀(320)(321)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윗면과 아랫면에 돌출부(301)(302)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침대의 깔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매트리스는 물론 소파 겸용 침대와 소파의 쿠션부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쿠션부재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면서 각각의 쿠션부재들이 독립적인 쿠션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쿠션부재로 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매트리스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매트리스의 중량을 줄이고, 쿠션작용을 할 때 발생되는 금속 마찰음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트리스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무수히 많은 쿠션부재들로 인하여 한사람의 움직이는 충격이 옆 사람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6)

  1. 침대(1)의 깔판(2)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매트리스(3)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3)의 커버(4) 내부에는 상단지지부재(7)와 하단지지부재(8)의 사이로 합성수지로 블로우 몰딩하여 형성한 무수히 많은 쿠션부재(10)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로 형성한 쿠션부재(10)는 그 원주면에 하중에 대한 쿠션작용을 하는 탄성주름부(110)(111)(112)와 쿠션작용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에어홀(120)(121)(122)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10)는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돌출부(101)(102)를 형성하고, 매트리스(3)의 상단지지부재(7)와 하단지지부재(8)에도 각각 지지홀(701)(801)을 형성하여 쿠션부재(10)의 돌출부(101)(102)가 지지홀(701)(801)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4. 침대(1)의 깔판(2)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매트리스(3)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3)의 커버(4) 내부에는 상단지지부재(7)와 하단지지부재(8)의 사이로 합성수지로 상단이 개방되게 사출 성형하여 캡(230)을 씌운 무수히 많은 쿠션부재(20)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쿠션부재(20)는 그 원주면에 하중에 대한 쿠션작용을 하는 탄성주름부(210)(211)(212)와 쿠션작용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에어홀(220)(221)(222)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20)는 아랫면에 돌출부(201)를 형성하고, 캡(230)에도 돌출부(231)를 형성하며, 매트리스(3)의 상단지지부재(7)와 하단지지부재(8)에도 각각 지지홀(701)(801)을 형성하여 쿠션부재(20)와 캡(230)의 돌출부(201)(231)가 지지홀(701)(801)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KR20-2003-0004497U 2003-02-17 2003-02-17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KR200313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497U KR200313943Y1 (ko) 2003-02-17 2003-02-17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497U KR200313943Y1 (ko) 2003-02-17 2003-02-17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680A Division KR20040074147A (ko) 2003-02-17 2003-02-17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943Y1 true KR200313943Y1 (ko) 2003-05-22

Family

ID=4933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497U KR200313943Y1 (ko) 2003-02-17 2003-02-17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94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517B1 (ko) * 2008-08-12 2011-11-15 송춘근 에어분출 의자 시트
KR200460317Y1 (ko) * 2009-12-30 2012-05-21 주식회사 그랜드침대 매트리스 포켓스프링용 포켓구조
KR101526828B1 (ko) * 2014-12-29 2015-06-05 한광식 쿠션용 에어포켓
WO2019147060A1 (ko) * 2018-01-26 2019-08-01 성상엽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517B1 (ko) * 2008-08-12 2011-11-15 송춘근 에어분출 의자 시트
KR200460317Y1 (ko) * 2009-12-30 2012-05-21 주식회사 그랜드침대 매트리스 포켓스프링용 포켓구조
KR101526828B1 (ko) * 2014-12-29 2015-06-05 한광식 쿠션용 에어포켓
WO2019147060A1 (ko) * 2018-01-26 2019-08-01 성상엽 에어 블로잉 기능을 갖는 쿠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5676B1 (en) Mattress construction
JP4912553B2 (ja) 撓み軽減ベッド構造
KR100795430B1 (ko) 침대용 매트리스
JP2010530764A (ja) マットレス
KR20190028159A (ko) 스폰지를 이용한 매트리스
KR200313943Y1 (ko)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KR20040074147A (ko) 매트리스용 쿠션부재
US20200229609A1 (en) Coil spring mattress construction
KR101796123B1 (ko) 보강용 탄성블럭이 구비된 셀프포켓 매트리스
KR102225862B1 (ko) 측면 주름 방지용 매트리스 커버
KR100938781B1 (ko) 쿠션부재를 수납한 침대매트리스
KR100826948B1 (ko) 매트리스용 견면
KR101603949B1 (ko) 하이브리드 쿠션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0502B1 (ko) 매트리스
KR100520332B1 (ko)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
KR200384235Y1 (ko) 매트리스의 스프링장치
KR200275616Y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200259413Y1 (ko) 매트리스의 보강부재
KR102225861B1 (ko) 패드 고정 구조
KR100196780B1 (ko) 소퍼 겸용 침대 매트리스
KR200234625Y1 (ko) 이중 침대스프링
KR200405813Y1 (ko) 좌식의자
KR200206452Y1 (ko) 침대 매트리스의 고정장치
KR200284226Y1 (ko) 매트리스의 보강부재
KR102312498B1 (ko) 체압 분산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